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통원 수술로 백내장 수술을 받는 환자군의 특성과 주술기 관리

        황상원(Sang Won Hwang),정승현(Seung Hyun Chung),김경옥(Kyoung Ok Kim) 대한검안학회 2007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6 No.1

        목적: 통원으로 백내장 수술을 받는 환자군의 특징 및 위험 요소를 파악하여 주술기의 환자 관리에 유의할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위하여 통원 수술실로 내원한 환자 337예를 전향적으로 관찰하고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결과: 남자 141명, 여자 196명 총 337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67.3세(20∼91)였다. 217명(64%)의 환자가 하나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고혈압 환자가 180명(53%)으로 가장 많았고, 당뇨 환자가 106명(31%)이었다. 71명(21%)의 환자가 두 가지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었다. 2%의 당뇨환자에서 수술 전에 저혈당이 관찰되었고, 고혈압 환자의 2.8%에서 수술 중에 지속되는 고혈압으로 혈압강하제가 투여되었다. 결론: 통원 수술로 백내장을 시행받는 환자들은 고령과 함께 당뇨, 고혈압 등 전신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의 상태에 유념하여 수술 전과 수술 중에 혈압 및 혈당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등 주의를 기울인다면 백내장 수술은 통원 수술로 충분히 시행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Purpose: There is an increase in number of geriatric patients who have cataract surgery in ambulatory facility. Giving the geriatric population with its associated medical problems, perioperative complications may ari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understand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of patients having ambulatory cataract surgery. Methods: A prospective study included 337 patients (196 female and 141 male patients) undergoing routine cataract surgery under monitored anesthetic care. A detail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the anesthesia personnel. Results: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7.3 years old (range 20 to 91 years). Overall 217 patients (64%) had known medical conditions. Of those patients with medical conditions, 180 patients had hypertension, and 106 patients had diabetes mellitus.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 was 80 mg/dl or lower in two diabetic patients.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five patients received antihypertensive medication during operation by anesthesiologist. Conclusions: Although significant medical conditions exist in patients having cataract surgery under monitored anesthetic care in ambulatory facility, most patients appear suitable for day case surgery provided they are well informed and carefully managed.

      • KCI등재
      • 다중 이기종 센서를 보유한 Nano-Q+ 기반 센서네트워크에서 메타데이터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한 질의 최적화 (pp.85-89)

        황상원(Sang-Won Hwang),남영광(Young-Kwang Nam),이광용(Kwang-Yong Lee),마평수(Pyung-Soo Mah)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D

        센서네트워크에는 한 가지 종류의 센서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종류의 센서를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한 번에 여러 종류의 센서의 질의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에 다양한 센서가 부착된 네트워크에서 한가지 종류의 센서에 대한 질의를 수행할 경우 해당되는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센서에 대해서도 질의를 수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종류의 센서가 부착된 센서네트워크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하여 질의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센서노드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그 센서가 질의명령어를 보내고 받아야 하는 센서노드에 대한정보를 포함한다. 자식노드에 명령어를 보낼 경우 하위노드에서 질의하는 센서의 종류가 없을 경우에도 명령어를 보내야 한다. 이 경우 하위 자식노드에 원하는 센서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면 센서의 종류에 따라서 불필요한 명령어의 수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방법은 ATmega128 CPU를 장착한 Nano-Q+ 시스템에서 구현되었다.

      • KCI등재후보

        소아 중복 요관의 임상적 고찰

        한정우,대환,박지민,상원,이재승,Han Jung-Woo,Hwang Dae-Hwan,Park Jee-Min,Han Sang-Won,Lee Jae-Seu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3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7 No.2

        목적 : 중복 요관은 부검상 전인구의 0.9%에서 발견되는 비교적 흔한 비뇨기계 기형이다. 과거에는 발열, 복통, 혈뇨 등을 단서로 하여 발견되었으나, 최근에는 산전초음파에 의하여 조기 진단되고 있다. 저자들은 최근 5년간 본원에서 진단된 환아들의 임상 양상 및 산전초음파에 의한 조기 진단의 유용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방법 : 1998년부터 2003년 7월까지 본원에 입원하여 진단된 18세 미만의 55례의 중복 요관 환아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 진단 당시 평균 연령은 2.2세였고, 추적 기간의 평균은 14개월이었으며, 남녀비는 1:2.7이었다. 완전 중복 요관은 49례(89%)였다.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경우는 15례(27%)였고, 산전 진찰로 진단된 경우는 26례(47%)였다. 방광요관역류가 동반된 경우는 14례(28%)였고, 수신증은43례(88%)에서 동반되었다. 산전 진찰을 통해 진단된 군과 생후에 진단된 군의 비교시, DMSA 신주사상 결손의 비율은 각각 70.8%와 67.7%였으며, 환측 신장의 동위원소 섭취율은 각각 48.2%와 45.5%로 두 군간에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과거와 달리 최근 5년간 산전초음파로 중복 요관이 진단되는 비율은 47%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진단시 연령이 낮아져(2.2세) 경과 추적이 조기에 시작될 수 있었다. 그 외의 임상적인 양상은 과거와 유사하였다. 산전초음파로 진단된 경우와 생후에 진단된 경우를 비교할 때, 두 군간에 신손상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학적 유의성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산전 초음파가 조기 진단과 이에 따른 추적 관찰을 통해 치료시기를 적절히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향후 광범위한 다기관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Ureteral duplication is a common urologic anomaly and early diagnosis may prevent irreversible renal damage. We thus aimed to evaluate the benefits of prenatal sonography in early detectio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studied 55 children with duplicated systems who were admitted to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from January 1998 to July 2003. Results :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2.3 years old. 89% of the children had complete duplicated ureter. 47% of the children visited the hospital with an initial complaint of abnormal prenatal sonographic findings. Among these patients, 70.8% had DMSA defects. The mean differential renal function(DRF) in the DMSA scan was 48.2% in the group diagnosed prenatally. In the postnatally-diagnosed group, DMSA defects were found in 67.7% patients and the mean DRF was 45.5%. Conclusion : In comparison with the past studies, the mean age at diagnosis is becoming younger, and the proportion of abnormal prenatal sonography as an initial complaint larger. Other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similar. The difference of the renal damage between the prenatally diagnosed group and the postnatally diagnosed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multi-center study may help to prove the importance of prenatal sonography i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ureteral duplication.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3;7:189-196)

      • KCI등재

        안쪽눈구석인대에 발생한 섬유종 1예

        전준우,황상원,Jun Woo Chun,MD,Sang Won Hwang,MD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1

        Purpose: To report a case of medial canthal tendon fibroma, a rarely observed tumor at the eye or ocular adnexa. Case summary: A 47-year-old female visited our clinic with a two-year history of a hard mass in the medial canthal region. On examination, a 7 × 5 mm2 sized, hard and unmovable subcutaneous mass was palpated. The mass was slowly enlarging and the patient had no symptoms including tearing or pain. To confirm the diagnosis, a total excision of the mass was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The tumor was a well-demarcated, 7 × 5 × 2 mm3 sized, white oval mass. The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specimen revealed dense collagen bundles with scattered fibroblas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esion was diagnosed as a fibroma. Although rare, fibromas should be include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medial canthal tumors.

      • SCOPUSKCI등재

        활로 4징증의 완전교정술에 대한 장기 성적

        이연재,황상원,김한용,유병하,Lee, Yeon-Jae,Hwang, Sang-Won,Kim, Han-Yong,Yu, Byeong-Ha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12

        활로 4징증은 청색증이 있는 선천성 심장기형 중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다. 마산삼성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84년 4월부터 1993년 12월 까지 활로 4징증으로 완전교정을 받은 39례를 경험하였다. 그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가 14명, 여자가 25명이며 연령은 최소 2세에서 최고 36세로 평균 13.33$\pm$7.40세이었다. 심실중격결손증은 제 1형이 10례(25.6%), 제 2형이 19례(48.8%), 제 1형과 제 2형이 복합된 경우 10례 (25.6%)이었다. 우심실 유출로 폐쇄는 누두부와 폐동맥 판막이 함께 협착이 있는 경우가 19례(48.7%)로 가장 많고, 누두부 협착과 폐동맥 판막 및 판륜 협착이 함께 있는 경우 10례(25.6%), 누푸부 협착만 있는 경우 1례, 폐동맥 판막 협착만 있는 경우가 1례 있었다. 우심실 유출로 재건술은 첨포확장술이 33례(84.6%)에서 필요했고, 이중에 단일 판첨을 내재한 첨포를 사용한 2례를 포함하여 10례에서 경판륜 첨포확장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36명의 생존자중 23례에서 2 dimensison 및 도플러 심에코를 시행하였다. 가장 흔한 합병증은 부정맥이었고 특히, 완전우각차단이 30 례(76.9%)에서 있었다. 수술 사망률은 7.7%이었으며, 사망원인은 저심박출증이었다. Tetralogy of Falloff is the most common cyanotic congenital cardiac malformation. Between April 1984 and December 1993, we experinced with 39 cases of total correction for the tetralogy of Falloff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Masan Samsung General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14 males and 25 females, and their ages ranged from 2 to 36 years, with an average age of 13.33 $\pm$7.40 years. There was type I VSD in 10 cases(25.6%), type II VSD in 19 cases(48.8%) and type 1+ II VSD in 10 cases(25.6%) Types of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were valvar + infundibular stenosis in 19 cases(48.7%), valvar + infundibular + annular stenosis in 10 cases(25.6%), infundibular stenosis in 9 cases(23.1%)and pure valvar stenosis in 1 case(2.6%).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patch widening was necessary in 33 cases(84.6%) and a Iransannular patch including 2 cases of Monocusp-bearing outflow patch was used in 10 cases. n 36 hospital survivors, 23 patients were evaluated by 2 dimensional and doppler echocardiography.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arrthymia, especially complete right bundle branch block, in 30 cases (76.9%). The operative mortality was 7.7%, and the cause of death was low cardiac output syndrome.

      • KCI등재후보

        근원뿔내 혈성 거짓낭종 1예

        이종주,김종현,황상원,김남주,정호경,곽상인,Jong Joo Lee,Jong Hyun Kim,Sang Won Hwang,Nam Ju Kim,Ho Kyung Choung,Sang In Khwarg 대한안과학회 2006 대한안과학회지 Vol.47 No.4

        Purpose: Orbital hematic pseudocyst is the localized accumulation of organized blood-breakdown products within a fibrous capsule, and is known to be typically located subperiosteally. We report a case of orbital hematic pseudocyst in the intraconal space. Methods: A 51-year-old man visited our clinic, complaining of injection and bruise of his right eye one month before. On the orbit MRI, a mass assumed to be benign was detected in the intraconal space of his right orbit. After several months of follow-up, a decrease of visual acuity and visual field defect were detected in his right eye. Excision of the mass was done through lateral and medial orbitotomy. Results: Histologic examination showed the accumulation of blood-breakdown products within a fibrous capsule, and the mass was diagnosed as a hematic pseudocyst. Conclusions: When a well-demarcated and slowly growing mass is detected in the intraconal space of the orbit, the possibility of hematic pseudocys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SCOPUS

        ISO/IEC 11179에 따른 산업기술정보 메타데이터 표준화

        남영광,서태설,황상원,Nam, Young-Kwang,Seo, Tae-Sul,Hwang, Sang-Won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5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6 No.1

        본 논문에서는 ISO/IEC 11179에 따라 산업기술정보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작성하고, 메타데이터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온라인으로 표준화할 수 있는 산업기술정보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IMR)를 개발하였다. 메타데이터 표준안 개발의 경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ISO/IEC 11179 표준에 따라서 데이터 요소를 정의하여, 4개의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개발하였다. 산업기술정보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는 4개의 분야별 MDR로 구성되도록 구축하였다. 그에 따라 통합관리자 모듈과 분야별 관리자 모듈이 함께 개발되었다. 메타데이터 표준화 조직이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 요소의 등록과 투표과정을 수행하여 새로운 데이터 요소를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에 제공할 수 있다. 이용자는 산업기술정보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를 분야별로 검색하여, 자신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스크립트를 내려받을 수 있다. 시스템 개발은 ORACLE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Java JSP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The Industrial Metadata Registry(IMR) for standardizing industrial information metadata was implemented and four drafts of metadata se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ISO/IEC 11179. The IMR consists of four individual metadata registries characterized by subject category. Accordingly, the system includes the integrated administration module, and the divisions administration module. The users of the system are divided into committee members and general users. The system has been developed with Oracle 9i and Java JSP over Linux operating system. The system will support the procedure for data sharing and exchanging among users and organizations and improve the availability and manageability of data and provide the standardization of data across the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