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화학Ⅱ 교과서의실험 제시 방식 변화 분석

        유인,장원형,훈기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9 현장과학교육 Vol.13 No.4

        Since the students’ scientific inquiry competency can be effectively achieved through experimental activities in school, experimental manuals in a textbook need to present experimental activities systematically. As a textbook is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ion, it is important to look at how the way a textbook presents changes as the curriculum is revis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experimental manuals in the experiments of reaction rate and electrolysis in 16 textbooks according to in 7th,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in terms of the openness level, the purpose, the procedure, and the results. Firstly, the result shows that the openness level of both experiments represent zeroth or first level in the course of the curriculum revision, it is appropriate because textbook experiments are performed at the school site. Second, the ratio of safety precaution in the procedure is increased a lot, while the ratio of technique instruction a little, and the main methodology of reaction rate is quantitative while electrolysis experiment is qualitative, not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exploratory experiences. Finally, the ratio of wrap-up and discussing after an experiment is lower than 0.5 in all textbooks which might be a limit to increase students' scientific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provide useful help such as experimental techniques in the procedure, to present evenl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d to include a discussion process after the experiment in the result. 학생의 과학적 탐구 능력은 학교 실험 활동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므로 교과서는 실험 활동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교과서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그 내용이 재구성되는 만큼,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교과서의 실험 제시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차,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16개 교과서의 반응속도 측정 실험과 전기분해 실험 제시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개방도 수준, 실험 목표, 실험 과정, 실험 결과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실험의 개방도 수준은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에서 두 실험 모두 제 0수준, 또는 제 1수준을 나타내는데, 실험 수업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학교 현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실험 과정에서 안전 관련 유의점의 제시 횟수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크게 증가하나, 기술 관련 지시는 증가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반응속도 측정 실험에서는 정량적인 방법이, 전기분해 실험에서는 정성적인 방법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에게 다양한 탐구 경험을 제공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실험 결과에서 실험 종료 후 정리 및 토의하는 과정이 포함된 비율이 모든 교과서에서 0.5 이하로 나타나,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 과정을 제시할 때 실험 기법 등 유용한 도움말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정량 및 정성적 실험 방식을 균형 있게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실험 결과 제시에서 실험 종료 후 토의하는 과정을 포함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 KCI등재

        ‘이방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과학교육 - 교직이수를 위하여 대학원에 입학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장원형,유인,민소원,정명현,훈기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2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four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chemistry and entered graduate school in order to complete the course of teaching were reviewed in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s to talk about scie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anger’ of science education, and to see how each life style has changed through science education. To this end, narratives were compiled and analyzed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including the process of the researchers studying science education, the difficulties they felt in it, and the emotions and regrets they received in the academic world of science education. They also looked at how their lives changed, focusing on what their experience in science education left behind. The study found that: First, unlike the academic community's negative assessment of the motivation of non-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choice of teaching and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ing process, researchers expressed a will toward being teacher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views of the members of the educational secto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on-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Second, we found two factors as academic identity of science education: ‘the central role in the process of convergence and engagement of learning’ and ‘people-centered learning’. They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solidifying the academic status of science education. Third, we found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course in teaching. Although problems related to completing a course in teaching for non-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have been pointed out in the preceding study, this study found that additional problems occurr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for teaching courses, or in recognition of grades.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rratives, researchers found that a varie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 in science education are extracted from looking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reliving. 본 연구에서는 화학을 전공하고 교직과정 이수를 위하여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입학한 예비과학교사 4명의 경험을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비사범계 대학원생이자 과학교육의‘이방인’의 시선에서 과학교육을 이야기하고, 과학교육을 통하여 각자의 삶의 양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이 과학교육을 공부하게 된 과정과 인식의 변화, 그 속에서 느끼는 어려움, 그리고 과학교육의 학문세계 속에서 받은 감명과 유감 등 각자가 살아온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한 내러티브를 정리하고, 이야기들을 탐구하여 학술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의 경험이 연구자들에게 남긴 것을 중심으로 각자의 삶이 어떻게 바뀌어 나가게 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그간 학계에서 비사범계 학생들의 교직선택 동기 및 교직과정에 대한 인식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과 달리 연구자들은 교직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사범계 구성원의 시각에서 이방인을 바라보는 것과 비사범계 학생이 스스로를 바라보는 것이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과학교육의 학문 정체성으로써 ‘학문의 융합과 통섭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과 ‘사람 중심의 학문’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발견하였다. 이들은 과학교육의 학문적 지위를 견고히 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직이수 과정에 있어서 내용상․행정상에 여러 어려움이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간 교직이수와 관련된 문제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바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비사범계 대학원생의 교직이수의 경우 교직이수 신청 과정, 혹은 학점 인정 등에 있어서 특히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내러티브 탐구 결과에 따라 연구자들 스스로 다시 살아가는 과정을 살펴본 결과 과학교육의 경험이 연구자들에게 미친 영향과 관련한 다양한 내용이 도출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전문가 설문을 통한 『한국지지』와 『한국지리지』 발간성과 분석

        유근배(Keun Bae Yu),홍유인(Yooinn Hong),신영호(Young Ho Shin),권용우(Yongwoo Kwon),김찬웅(Chan Woong Kim)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5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 현대 지리지인 『한국지지』와 『한국지리지』의 사업성과를 평가한 것이다. 1980년대와 2000년대에 수행된 지리지 발간사업에 대하여 지리학 전문가를 대상으로 지리지 편찬체계와 참여인력, 지리지의 내용과 구성, 시각자료 활용 등에 대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리학 전문가들은 『한국지지』와 『한국지리지』의 의의를 높게 평가하였고, 동시에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편찬주기, 소요기간, 분량, 집필진 선정방식, 주제구분과 권역구분 등에 대해서는 현행방식에 만족하였다. 편찬방식에 있어 집필진 외에 상위 책임자를 추가할 것, 난이도에 있어 보편적 독자를 더욱 염두에 둘 것, 시각자료 활용에 있어 도안과 표현의 다양화 등을 주문하였다. 이러한 응답성향은 응답자의 직업, 지리지 편찬 참여경력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수행한 지리지 사업성과 평가는 추후 지리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려하는 과정에서 주요 고려사항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ets out to assess achievement of two series of publication titled “the Geography of Korea”, which established itself as the most representative publication on Korea’s geography. For assessment, this study selected Delphi method to survey Korean geographical professionals on the publication by requesting respondents to rate the adequacy of its: publishing system, production team organization, array of topics, target reader, classification of regions, and use of visual materials. The results showed the respondents highly appreciated the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s and generally agreed that the past publications had adequate level of: publication frequency, time allowed for writing, number of pages, selection criteria of authors, range of topics, region classification schemes. On the other hand, dissatisfaction from the respondents came from the lack of chief supervisor over each section or the whole publication. The geographers also stressed the need to enhance the publication’s accessibility to the wider public by adopting easier writings and also requested diversification of visual aid desig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respondent groups by occupations and by past involvement in the publ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to identify the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publications on “the Geography of Korea”.

      • KCI등재

        화성바이오밸리산업단지 수처리습지 유형과 면적의 산정에 관한 연구

        유근배,권용우,남서정,홍유인,임종서 국토지리학회 2011 국토지리학회지 Vol.45 No.3

        The functions and types of treatment wetlands have been actively studied and applied to practice since the 1950'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but in Korea, the investigation has started in the limited area. This research includes the overall analysis of the previous works to examine the function, sizing and design of the wetlands for wastewater treatment. Based on the findings we have suggested the types and the areal sizes of the treatment wetlands for the planned amount of wastewater from the Hwaseong Bio-valley Industry Complex. Considering the amount and pollutant concentration of effluent, potential use of refined water for agriculture, and the eco-friendly images of the Industry Complex, we suggest the FWS-type wetland which shows good performanice in treating heavy metals such as Cu, Fe, Zn, Mn, provides wildlife habitats, and well accommodates high level tertiary treatment. The possible areas of treatment wetlands were determined for varying influx rates of the secondary refined water into the wetland systems: 34,400m^2 for 50%, 48,100m^2 for 70%, and 69,788m^2 for 100%. 수처리 인공습지에 대한 연구와 시공은 구미를 중심으로 1950년대부터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나, 한국에서는 시험단계의 연구에 머무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공습지의 기능과 설계, 규모산정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화성바이오밸리산업단지 계획폐수량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의 형태와 면적을 제안하였다. 산업단지 폐수처리계획과 처리수의 농업용수 이용, 산업단지의 이미지 제고 등을 고려하여, Cu, Fe, Zn, Mn 등 중금속 처리효율이 우수하고 3차 고도처리에 적합한 FWS형 습지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2차 처리수의 수처리습지 유입비율 50%, 70%, 100%에 따라 각각 34,400m^2, 48,100m^2, 68,788m^2의 인공습지면적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 정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 분석

        정명현(Jeong, Myeonghyeon),유인성(You, Insung),민소원(Min, Sowon),훈기(Hong, Hun-G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지난 수십 년간 과학의 본성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과학의 본성 반영정도와 그 수준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Abd-El-Khalick et al. (2008)의 과학의 본성 정의를 반영하여 구성된 이정원 외(2016)의 NOSAT(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융합과학 교과서와 2015 개정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의 영역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융합과학과 통합과학 모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과학의 본성 영역은 이론, 관찰추론, 사회문화로 나타났다. 두 교과서 모두에서 암시적인 관점의 서술의 비율이 명시적인 관점의 서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두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을 서로 비교한 결과 각 출판사의 과학의 본성 서술 방향에 따라 과학의 본성의 빈도 및 명시성의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교과서 집필방향에서 명시적인 서술이 더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일부 과학의 본성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 현상을 줄이고 각 과학의 본성 영역이 균형 있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ver the past decades, the importance of the nature of science has been emphasize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degree of reflection and the level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s advancing as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from ‘2009-revised-curriculum’ to ‘2015-revised-curriculum’. The area and level of the NOS in ‘Convergence-science’ of ‘2009-revised-curriculum’ and ‘Integrated-science’ of ‘2015-revised-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the 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 (NOSAT) which Lee Jeong-won et al. (2016) had made reflecting the definition of the NOS by Abd-El-Khalick et al. (2008). As a result of our analysis, the area of the NOS that appeared most in both ‘Convergence-science’ and ‘Integrated-science’ was ‘Theory’, ‘Inference’, and ‘Social and Cultural embeddedness’. In both textbooks of the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implicit point of view was higher than that of explicit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OS in the textbooks, the frequency and the extent of the explicit descriptions of NOS differ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toward the nature of science of which each publisher writ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explicit descriptions in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and to reduce the phenomena that are biased toward the certain area of NOS and balance each area of NOS.

      • KCI등재

        구글 카드보드 타입 가상현실기기(VR)에서 애플리케이션 특성이 시기능 및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강현구(Hyungoo Kang),유인왕(In wang Yoo),이준혁(Jun Hyuk Lee),형기(Hyungki Hong) 한국안광학회 2017 한국안광학회지 Vol.22 No.3

        Purpose: In Virtual Reality (VR) device of Google Cardboard type, change of the fatigue and the visual function was analyzed for two VR application. One application was VR theater (Movie) APP that viewing direction of participant was fixed and the other application was Titans of space (Travel) APP that required head movement of the participant. Methods: 20 people with the normal visual function, normal stereopsis, the normal, corrected visual acuity of better than 1.0, and age range of 21~27 years (average age of 24.6±1.91 years, 10 male and 10 femal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Participants who were wearing eyeglass were excluded. Before viewing VR device, fatigues using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SSQ) and the visual functions were measured. After 20 minutes viewing one APP using VR device, fatigues and the visual functions were remeasured.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visual function and fatigue, experiment using the other APP was done next day. Results: In the result of the visual function before and after viewing VR,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occurred at Near point of convergence and Accommodation facility, but no abnormal change occurred. The change of fatigue was significant. In Movie and Travel APPs, overall fatigue was increased. Increase of fatigue survey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r for Travel APP compared with Movie APP in General discomfort and Nausea (p<0.05). Conclusions: The change of visual function before and after viewing VR device and between two APPs was not noticeable. However Fatigue was increased after viewing both APP. The increment was larger for Travel APP that required frequent head movement, compared with Movie APP that did not require head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