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관찰추천제의 연구 동향과 과제

        민소원,장원형,홍훈기 한국영재학회 2019 영재교육연구 Vol.29 No.4

        In this study, we conduc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91 literature related to the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to predict future tasks accordingly. First, the number of literature has been decreasing since 2015, with a majority of the studies conducted in the form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to develop assessment tools that can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six topics were extract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opical constructing words were schematized in to a text network. Thir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teachers were considering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areas when recommending students. Fourth, some teachers were running in a way to simplify the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so they should look back on the purpose of the system, and needed a reflection. Fifth, the status of students from the underprivileged class receiving gifted education was found to be still low,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mental support and econom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gether. 본 연구에서는 교사관찰추천제 관련 문헌 91편을 대상으로 양적 및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교사관찰추천제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향후 과제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첫째, 2015년부터 문헌 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과반수의 연구가 양적 연구의 형태로 수행되었고 교사들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평가도구 개발 연구는 부족하였다. 둘째, 토픽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6개의 토픽이 추출되었으며, 출력된 주제 구성 단어들 간의 관계를 텍스트 네트워크로 도식화하였다. 셋째, 교사관찰추천제의 시행으로 교사들은 학생을 추천할 시 인지적․정의적 영역을 모두 고려하고 있었다. 넷째, 일부 교사들은 교사관찰추천제를 간소화하는 방향으로 운영하고 있었기에 시행 취지를 되돌아보며 반성적 성찰이 필요해 보였다. 다섯째, 소외계층 학생들의 영재교육 수혜현황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지지기반과 경제적 지원이 함께 갖추어져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불임여성의 스트레스,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민소원,김영혜,조영란 한국모자보건학회 2008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1 No.3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 fertility stress and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an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94 infertile women in 5 Infertile Clinic and 3 Infertile Cafe in B and D cities from December 6, 2005 to April 10, 2006.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0.0.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n many variables such as age, marital period, education, occupation, religion, monthly family incomes, family type, treatment period for infertility, treatment method for infertility, ovulation induction method, pressure of treatment cost, treatment phase, abortion experience, charge group, and support group.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infertility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r=-0.63, p<0.01).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r=-0.59, p<0.01). The predictors of the Quality of Life were depression, infertility stress, age, education, pressure of treatment cost, and abortion experience. These variables explained 57% of total variance of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For the management of infertility stress, it may require not only the control of the infertility women's depression but also consider the known stress factors such a pressure of treatment co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unseling program and systemic nursing plan.

      • KCI등재

        불임여성의 스트레스,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민소원 ( So-won Min ),김영혜 ( Young-hae Kim ),조영란 ( Young-ran Cho ) 한국모자보건학회 2008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12 No.1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 fertility stress and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an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of infertile women.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194 infertile women in 5 Infertile Clinic and 3 Infertile Cafe in B and D cities from December 6, 2005 to April 10, 2006.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WIN 10.0.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n many variables such as age, marital period, education, occupation, religion, monthly family incomes, family type, treatment period for infertility, treatment method for infertility, ovulation induction method, pressure of treatment cost, treatment phase, abortion experience, charge group, and support group.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infertility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r=-0.63, p<0.01).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r=-0.59, p<0.01). The predictors of the Quality of Life were depression, infertility stress, age, education, pressure of treatment cost, and abortion experience. These variables explained 57% of total variance of quality of life. Conclusions : For the management of infertility stress, it may require not only the control of the infertility women's depression but also consider the known stress factors such a pressure of treatment co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unseling program and systemic nursing plan.

      • KCI등재후보

        텍스트 분석에 기초한 영재교육원 관련 연구의 동향과 전망

        장원형,민소원,홍훈기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9 과학영재교육 Vol.11 No.3

        With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striving for qualitative growth along with quantitative growth, research on various subjects has been conducted for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was analyzed using category analysis and text analysis to identify trends in research and propose future tasks for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ince most of the studies were based on quantitative or literary analysis, the direction of the management of the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and program improvement should be sought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on each student, and that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related to students' search for the giftedness, selection methods and career choice. It also showed a deep link to the results of drawing six topics based on topic modeling throug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nd then scheming the text network with topic-configured words. In particular,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education institute for gifted were trying to organize the science fiel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of gifted students, and in this connection, researchers suggested suggestions for practical improvement. 영재교육원들이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성장을 위해 진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영재교육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의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범주 분석과 텍스트 분석을 활용해 영재교육원 관련 연구 문헌을 분석하여 영재교육원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 연구나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기에 학생 개개인에 대한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원 운영과 프로그램 개선의 방향성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학생의 영재성 탐색과 선발 방안, 그리고 진로 선택 제시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잠재 디리클레 할당을 통한 토픽 모델링을 기반으로 6개의 주제를 도출한 후, 주제 구성 단어들로 텍스트 네트워크를 도식화한 결과와도 깊은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영재교육원들이 교육하고자 하는 과학 분야를 영재들의 특성과 능력에 맞추어 구성하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질적 개선을 위한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전국과학전람회 출품작 분석을 통한 과학과 교육과정과 학생 과학탐구활동 간의 연계성 고찰

        장원형,이경건,민소원,홍훈기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9 현장과학교육 Vol.13 No.2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ntri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emistry section of the National Science Fair as an example of their representative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to confirm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planned National Curriculum (NC) and the student scientific inquiry activity, which is an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he research motivation and subject of the entries, the detailed study area, and the connectivity of the NC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domain. And two researchers who majored in chemistry classified the entries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the academic area in the content element of the NC was similar to that of the students’entries, indicating that the content of the NC affects students' selection of research area and subject. This result shows that the percentage value of research subjects derived from the content of the NC and having strong connectivity to the NC is 11.9 and 64.7, respectively. Accordingly, two suggestions we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students'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when planning the NC. 본 연구에서는 문서로서 계획된 과학과 국가교육과정과 그 교육과정의 실행 사례인 학생 과학탐구활동 간의 연계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표적인 과학탐구활동의 예시로서 전국과학전람회 화학 부문 고등부 출품작을 분석하였다. 분석 영역으로 작품의 연구동기 및 연구대상, 세부 학문영역, 교육과정 연계성을 설정하였으며 화학을 전공한 연구자 2인이 작품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 내용 요소의 학문영역 분포가 출품작의 학문영역 분포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이 학생들의 연구분야 및 연구주제 선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육과정 내용으로부터 연구주제를 직접적으로 도출한 경우는 11.9%, 교육과정과 강한 연계성을 가진 경우는 64.7%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가교육과정을 계획하는 데에 있어서 과학과 교육과정과 학생 과학탐구활동 간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두 가지 사항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이방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과학교육 - 교직이수를 위하여 대학원에 입학한 예비과학교사들의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장원형,유인성,민소원,정명현,홍훈기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0 현장과학교육 Vol.14 No.2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four pre-service teachers who majored in chemistry and entered graduate school in order to complete the course of teaching were reviewed in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s to talk about scienc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anger’ of science education, and to see how each life style has changed through science education. To this end, narratives were compiled and analyzed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including the process of the researchers studying science education, the difficulties they felt in it, and the emotions and regrets they received in the academic world of science education. They also looked at how their lives changed, focusing on what their experience in science education left behind. The study found that: First, unlike the academic community's negative assessment of the motivation of non-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choice of teaching and their perception of the teaching process, researchers expressed a will toward being teacher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views of the members of the educational sector are different from those of non-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Second, we found two factors as academic identity of science education: ‘the central role in the process of convergence and engagement of learning’ and ‘people-centered learning’. They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solidifying the academic status of science education. Third, we found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course in teaching. Although problems related to completing a course in teaching for non-education department students have been pointed out in the preceding study, this study found that additional problems occurr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for teaching courses, or in recognition of grades. Four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narratives, researchers found that a variety of contents related to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 in science education are extracted from looking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reliving. 본 연구에서는 화학을 전공하고 교직과정 이수를 위하여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입학한 예비과학교사 4명의 경험을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비사범계 대학원생이자 과학교육의‘이방인’의 시선에서 과학교육을 이야기하고, 과학교육을 통하여 각자의 삶의 양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이 과학교육을 공부하게 된 과정과 인식의 변화, 그 속에서 느끼는 어려움, 그리고 과학교육의 학문세계 속에서 받은 감명과 유감 등 각자가 살아온 경험에 대하여 이야기한 내러티브를 정리하고, 이야기들을 탐구하여 학술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의 경험이 연구자들에게 남긴 것을 중심으로 각자의 삶이 어떻게 바뀌어 나가게 되었는지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그간 학계에서 비사범계 학생들의 교직선택 동기 및 교직과정에 대한 인식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것과 달리 연구자들은 교직에 대한 의지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사범계 구성원의 시각에서 이방인을 바라보는 것과 비사범계 학생이 스스로를 바라보는 것이 다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과학교육의 학문 정체성으로써 ‘학문의 융합과 통섭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과 ‘사람 중심의 학문’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발견하였다. 이들은 과학교육의 학문적 지위를 견고히 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직이수 과정에 있어서 내용상․행정상에 여러 어려움이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간 교직이수와 관련된 문제는 선행연구에서 지적된 바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하여 비사범계 대학원생의 교직이수의 경우 교직이수 신청 과정, 혹은 학점 인정 등에 있어서 특히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내러티브 탐구 결과에 따라 연구자들 스스로 다시 살아가는 과정을 살펴본 결과 과학교육의 경험이 연구자들에게 미친 영향과 관련한 다양한 내용이 도출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 정도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 분석

        정명현(Jeong, Myeonghyeon),유인성(You, Insung),민소원(Min, Sowon),홍훈기(Hong, Hun-G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7

        지난 수십 년간 과학의 본성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과학의 본성 반영정도와 그 수준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Abd-El-Khalick et al. (2008)의 과학의 본성 정의를 반영하여 구성된 이정원 외(2016)의 NOSAT(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 분석틀을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융합과학 교과서와 2015 개정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의 영역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융합과학과 통합과학 모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과학의 본성 영역은 이론, 관찰추론, 사회문화로 나타났다. 두 교과서 모두에서 암시적인 관점의 서술의 비율이 명시적인 관점의 서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두 교과서의 과학의 본성을 서로 비교한 결과 각 출판사의 과학의 본성 서술 방향에 따라 과학의 본성의 빈도 및 명시성의 정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교과서 집필방향에서 명시적인 서술이 더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고, 일부 과학의 본성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 현상을 줄이고 각 과학의 본성 영역이 균형 있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ver the past decades, the importance of the nature of science has been emphasize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degree of reflection and the level of the nature of science (NOS) is advancing as the curriculum has been revised from ‘2009-revised-curriculum’ to ‘2015-revised-curriculum’. The area and level of the NOS in ‘Convergence-science’ of ‘2009-revised-curriculum’ and ‘Integrated-science’ of ‘2015-revised-curriculum’ were analyzed using the Nature of Science analyzing tool (NOSAT) which Lee Jeong-won et al. (2016) had made reflecting the definition of the NOS by Abd-El-Khalick et al. (2008). As a result of our analysis, the area of the NOS that appeared most in both ‘Convergence-science’ and ‘Integrated-science’ was ‘Theory’, ‘Inference’, and ‘Social and Cultural embeddedness’. In both textbooks of the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implicit point of view was higher than that of explicit point of view.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OS in the textbooks, the frequency and the extent of the explicit descriptions of NOS differ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toward the nature of science of which each publisher writ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explicit descriptions in the direction of textbook writing, and to reduce the phenomena that are biased toward the certain area of NOS and balance each area of N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