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감정중심의 여성주의 철학상담과 새로운 방법론 모색

        홍경자 ( Keung Ja Hong ) 한국해석학회 2013 해석학연구 Vol.32 No.-

        This paper shows the case of present-day counseling; despite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 clients looking for counseling are female, philosophical counseling has been progressing until now by removing feministic values and perspectives and by implementing mainly masculine values and perspectives instead. Starting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paper will investigate how to recognize the phenomenon of these erroneous trends arising from the majority of present-day counseling also arising in philosophical counseling, how important the matter of a feministic perspective and point of view from a feministic stance in philosophical counseling is, and how female clients can approach their various realistic problems from real-life encounters using a feministic perspective and point of view. Therefore, the potential of ‘feministic’ therapeutic counseling will sound out when the problems that occur when women embracing their problems handle it with a masculine perspective and point of views by pointing it out naturally. As a result, this paper sets a goal to seek a new potential of ‘feminist philosophical counseling’ reflecting on inherent values, experience, and reality, etc., that only women can have. This can give a substantive help to female clients given the point of observation that they are not receiving enough psychological and mental help from philosophical counseling, a realm that still remains in a traditional opposite sex methodology, which in turn keeps women clients from progressing due to the masculine center of psychotherapy or psychiatric counseling. Above all things, a new philosophical methodology will be established by adjusting the focal point on feminist philosophy and putting emphasis on emotion for this concrete method.

      • KCI등재

        매체 문화에서 가상과 현실에 대한 정보해석학적 해명

        홍경자(Keungja Hong)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9 No.-

        본 논문은 매체문화에서 가상과 현실에 대한 관계를 정보해석학적 관점에서 해명하고자 한다. 특히 보드리야르, 들뢰즈 등의 급진적 매체문화론이 옹호하는 문화 텍스트를 수용함에 있어서 탈주체성과 의미의 해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이루어진다.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급진적 매체문화론은 해석학적 주체의 해석을 포기하고 주체에 의한 정보의 의미구성을 제거해 버리며, 그 의미를 기호와 이미지로 흡수한다. 그러나 근대 이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줄곧 그 의의를 포기할 수 없었던 것은 ‘주체’, ‘의미’, ‘현실’ 등의 계기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계기들을 부정하지 않는 정보해석학적 관점을 수용함으로써 실재현실과는 다른 성격을 지닌 가상현실을 해석학적으로 어떻게 구현해 나갈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정보해석학은 주체와 그에 의한 의미구성의 계기를 부정하지 않으며, 전통적 의미의 현실개념에 도전하는 급진적 매체이론들에도 불구하고 기술매체를 통한 보다 확장된 의미에서의 현실경험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정보해석학을 기반으로 하는 이러한 논의들이 텔레비전이나 사이버공간과 같은 전자매체에서 ‘해석학의 죽음’이 초래되고 있다는 일부의 비판적 시각에 대해 주체성의 문제가 여전히 의미를 구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몰입과 현전이라는 특성을 지닌 가상현실이 가다머적 의미의 영향사적인 연관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시간이라는 개념을 넘어서는 ‘현실’이라는 새로운 경험들에 대한 이해를 해석학적으로 해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REBT와 기독교적 상담이론의 비교

        홍경자(Kyung Ja Hong) 한국REBT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한국REBT인지행동치료 Vol.1 No.1

        REBT 이론으로써 내담자를 상담하는 카운슬러들의 상당수가 기독교 신자이고 내담자들 역시 많은 수가 기독교 신자인데, REBT 이론과 기독교적 접근의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하여 확실하게 알고 싶어하는 관심이 많은 것이 슈퍼비전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REBT 이론과 기독교적 상담이론에 대한 연구가 거의 발표된 적이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이론적 접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기독교 상담자들에게 확고한 개념적 이해를 도우며 차후의 REBT 이론발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REBT와 기독교의 인간관은 인간의 존엄성과 불행감의 원인 및 마음의 평안을 얻는 방법과 인간의 정서를 기술하는 면에서 유사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EBT와 기독교적 상당의 접근의 단계 또한 1-4 단계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냐타났다. 상담의 기법에서 인지적 접근은 유사하나 상담이 목표로 추구하는 면에서 REBT는 합리적 사고를, 기독교적 상당에서는 하나님의 준거를 따르는 것에 두는 면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적, 행동적 기법에서는 REBT가 내담자를 도와주는 실제적 방법 면에서 기독교 상당보다 더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REBT와 기독교적 상담이 융합되어 차후에는 무념무상의 명상, 언어와 상상력의 활용, 소크라텍스식 담론, 수동적 자세와 죄의식의 문제 등이 REBT 이론의 발전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It was discovered through the researcher's supervisions that many Christian counselors and Christian clients realized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REBT and Christian Counseling theories and they wanted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is.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 articles on the topic. Therefore, this study was to try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REBT and Christian Counseling theories, in order to help counselor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two theorie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REBT theory. This study was done through bibliography research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in the two theories on the human nature, in terms of human dignity, source of unhappiness, how to get peaceful mind and human emotion. And 4 counseling stages in the two were similar.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pursuing counseling objectives: rational thinking in REBT, and following God's principles according to the Bible in the Christian Counselings. And REBT showed practically helpful techniques more in emotive, behavioral approaches for the clients.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such as applying meditation, making use of language and imagination, Socrates style discussion, passive attitudes and guilt feeling & etc. by collaborating the two theories for the development of REBT theory. And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was mentioned.

      • KCI등재

        세계화시대에 정치문화의 전망과 쟁점들

        홍경자(Hong Keung-Ja)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3 No.-

        본 논문은 세계화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문화형태 속에 내재된 공통된 인간으로서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문화다양성을 촉진하기 위해 국민국가적 차원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지구적 차원에서도 세계시민의 보편적 권리들을 제도적으로 정당화해 줄 정의원칙이 어떻게 가능하며, 그에 기초한 세계화된 정치문화적 조건들은 무엇인가를 해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20세기 후반 이래로 인간의 다양한 욕구와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요구된 문화적 권리들은 정치적 세계화에 부응하여 출신과 생활양식을 불문하고 세계시민사회의 성원들이 상호 인정할 수 있고 수용할 수 있는 행위규범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광범위한 정치적 참여를 통해 세계시민들이 근본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사회통합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정치문화(Politische Kultur)에 대한 전망을 제시할 때 가능할 것이다. 왜냐하면 요구되지 않은 권리들은 법적으로 효력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규정되거나 실행되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런 맥락에서 자유주의적 정치문화는 개별국가의 국민이면서 동시에 전 인류의 한 구성원일 수 있는 다양한 문화정체성을 지닌 세계시민들이 평화적으로 공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세계시민들이 문화에 대한 그들의 보편적 권리들에 대해 사회적 합의를 합리적으로 해 나가는 데 있어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서로 접촉하고 관계를 맺지 않고는 살 수 없는 오늘날과 같은 상황에서 새롭게 등장한 세계사회의 정치적 의제들에 대한 현실화 문제는 무엇보다도 근대적 의미의 국민국가 중심적인 가치참여를 초월한 세계적 공통문화를 지향하는 정치문화에서 그 해결점을 추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민국가라는 정치공동체가 발전시킨 정치문화를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전 지구적 차원의 정치문화로 어떻게 확대할 수 있고 실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행복한 삶을 위한 전인적 ‘영성치유’와 철학상담

        홍경자 ( Hong¸ Keung-ja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가톨릭철학 Vol.0 No.28

        본 논문은 ‘행복의 역설’을 강조하는 철학상담적 관점에서 인간의 고통을 치유하고 행복한 삶을 지향하는 ‘전인적 영성치유’에 대해 논의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얼마 전부터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신흥학문이자 융복합 학문인 ‘행복학’(Bonheurologie)은 행복에 대한 정의를 새로운 관점과 다양한 방식으로 정립시키고자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와 무관하지 않는 본 논문은 이성적 사유를 넘어서는 전인적 ‘영성’개념을 행복과 연결시켜 기존에 진행 중인 행복학의 논의를 좀 더 확장하여 진전시켜 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다양한 층위를 가진 인간 정신의 또 다른 차원인 ‘영성’을 통해 인간들이 겪는 일상의 고통을 치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철학상담적 논의와 연결시켜 ‘치유의 행복학’으로 불리는 다양한 쟁점들을 보다 심화시켜 나가는 데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는 본 논문은 행복한 삶을 전인적 인격을 완성하는 영성 치유의 차원에서 다룰 것이며, 이와 관련하여 영성 치유의 전제가 되는 영성 개념의 철학적 정립 또한 야스퍼스(K. Jaspers) 철학을 중심으로 병행하게 될 것이다. ‘영성’개념은 ‘이성’으로만 모든 것을 파악하고 해결하려는 인간의 정신능력을 다시 한 번 재고해봐야 한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영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일상생활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이국적이고 색다른 무엇, 이상한 비법 수행정도로 간단히 치부했던 ‘종교적 영성’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뛰어 넘어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점을 무엇보다도 중시하는 본 논문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신학이나 종교학의 전유물로만 여겨져 왔던 영성 개념이 사실은 이성과 대립되는 모순된 개념이 아니라 어원상 이성과 같은 뿌리를 둔 철학적이며 인간학적인 기초개념 중 하나라는 사실과 함께 영성이야 말로 인간의 고유한 정신을 설명해 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매개체라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debate of ‘whole spiritual healing’ that heals human misery and aims towards a happy life through philosophical counseling that emphasizes the paradox of happiness. ‘Bonheurologie’, an emerging and convergent study, which has been the peak of various researchers’ attention and long been a pioneer in research, is attempting to establish a new perspective on happiness and various methods of learning. This paper, which does not relate to said attempt, seeks to advance the existing discussion on ‘Bonheurologie’ by linking the whole ‘spirituality’ concept to happiness. In particular, this thesis paves the way for humans to heal the daily suffering of human beings through the ‘spirituality’ dimension and the various levels of the human mind. This is a combination of philosophical discussions, which further widens a variety of issues called the ‘Bonheurologie of healing.’ The thesis begins in this sense, dealing with the level of spiritual healing that completes one’s character in a happy life. In this regard, the philosophical embodiment of the philosophical conception of spirituality will also be centered around the philosophy of K. Jaspers. We need to rethink the mental abilities of the human mind being able to grasp and resolve everything. From this point, the concept of “spirituality” requires to be able to look past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religious spirituality’, for it was derived from something exotic and different rather than from everyday life. This thesis, which focuses on this point of view, does not contradict the terms of the fact that spirituality and religion has long been regarded as a whole, but rather asserts that it is a very useful medium to describe the unique spirit of human beings, along with the fact that it is one of the philosophical and anthropological concepts of philosophical equality.

      • KCI등재
      • 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교직원들의 아동권리존중에 대한 인식과 실행

        홍경자(Hong, Kyoung-Ja),안영혜(An, Young-Hye),순옥(Hong, Soon-Oh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5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4

        본 연구는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아동권리존중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아동 권리존중보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P시의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 현재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유아특수교사, 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통해 분석하였고, 심층면담자료는 전사한 후 코딩(coding), 분류, 범주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교직원들의 아동권리존중에 대한 인식과 실행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교직원들의 직무유형에 따른 아동권리존중 영역별 하위내용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이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보육교사와 치료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애아전문어린이집 보육교직원들은 사회적 편견을 가지지 않는 것이 장애아동의 권리존중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실생활 중심, 흥미중심, 개별적 발달수준, 지역사회 문화행사 참여, 다양한 경험을 통한 교육을 중심으로 보육을 실행하고 있었으며, 장애아동의 다양한 발달적 특성의 차이, 자율성 허용범위와 지도를 위한 훈육 사이에서의 혼란, 사회적 편견으로 인한 지역사회참여 기회 및 아동권리존중 보육에 대한 지식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으며,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개선 및 이를 위한 홍보, 다양한 아동권리 존중교육을 받을 기회제공, 사회적 참여 기회의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of respecting disabled children"s rights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of respecting disabled children"s rights in disability-special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arried out targeting day care teacher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rapists who are now working at a specialized child 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aired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 hoc test by using the PASW 18.0 program. The in-depth interview materials were analyzed through the process of coding, classifying and categorizing after transcrip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t=7.87, p<.001) between the recognition (M=4.00, SD=1.07) and implementation (M=3.49, SD=1.05)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n disability-special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sub-contents by sphere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 role of disability-special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whole (t=4.69, p<.05). As a result of the post-test on thi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y care teachers and therapists. However, the difference in implementation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pheres of the whole and the sub-factors by sphere of children"s rights. Third, the disability-specialized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eir recognition by saying that respect for the rights of disabled children is not to have social prejudice rather than specially a right for disabled children as for “disabled children"s rights.”(I am not sure what this means.) Even the child-care practice contents of respecting children"s rights were being executed by focusing on the real lives of the disabled children, their interests, their individual development levels, their participation in community cultural events, and their education through diverse experiences. Disabled children’s difficulties generally stemmed from the difference in their divers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confusion between the range of allowing autonomy and the discipline for guidanc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due to social prejudice, and the lack of knowledge of childcare related to respecting children"s rights.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disabled children, to create positive publicity for this, to offer opportunities of receiving education on respecting children"s diverse rights, and to expand disabled children"s opportunities to engage in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