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구방문조사에서 무응답 보정을 위한 파라데이터 활용 :국제성인역량조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혜은,김영원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1

        We consider the use of level-of-effort(LOE) paradata to model the nonresponse mechanism in survey and to adjust for non-ignorable nonresponse bias. Also we review the call-back model for household interview surveys and unconditional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procedure that was proposed by Biemer et al.(2013). The nonresponse adjust method are then applied and evaluated for a large scale field survey-The Survey on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PIAAC). We found that the call-back model based on LOE paradata was effective to reduce the nonresponse bias. 본 연구에서는 가구방문조사에서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에 의한 편향을 보정하기 위해 조사과정에서 표본 접촉을 위해 투여된 노력수준과 관련된 파라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재조사모형과 모형의 모수추정방법을 다루고 있다. Biemer et al.(2013)이 제시한 가구방문조사에서 파라데이터를 활용한 재조사모형을 중심으로 기존 연구결과들을 정리하였으며, 사례분석에 사용한 2011-2012년 우리나라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집한 파라데이터 현황과 특징을 소개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 파라데이터를 이용해 재조사모형을 적용하는 경우 무응답 편향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KCI등재

        가구방문조사에서 무응답 보정을 위한 파라데이터 활용국제성인역량조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혜은 ( Hye Eun Han ),김영원 ( Young Won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1

        We consider the use of level-of-effort(LOE) paradata to model the nonresponse mechanism in survey and to adjust for non-ignorable nonresponse bias. Also we review the call-back model for household interview surveys and unconditional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procedure that was proposed by Biemer et al.(2013). The nonresponse adjust method are then applied and evaluated for a large scale field survey-The Survey on Program for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of Adult Competencies(PIAAC). We found that the call-back model based on LOE paradata was effective to reduce the nonresponse bias.

      • KCI등재

        연구논문 : 재조사의 무응답 편향 감소 효과

        한혜은 ( Hye Eun Han ),변종석 ( Jong Seok Byun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1

        최근 표본조사에서는 아파트 주거 비율의 증가, 재택 비율 감소, 그리고 1인 및 2인 가구 증가와 같은 조사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표본과의 접촉이 어려워지고 조사참여의 거부 경향도 많아져 무응답률이 증가하고 있다. 무응답의 증가는 추정치 및 조사 품질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무응답을 최소화하려는 근본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단위무응답이 발생하는 경우 표본에 대하여 재조사하거나 원표본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표본으로 교체하거나 무응답 가중치를 보정하는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무응답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고려되는 재조사에 대해 장단점 및 고려사항을 논의하였으며, 둘째, 실제 전화조사와 면접조사로 진행된 표본조사 사례에 대해 재조사 현황을 살펴보고, 재조사와 표본특성 및 관심변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한된 재조사로 인해 표본을 교체하거나 추가 재조사하지 않는 무응답 상황을 가정하여 무응답 편향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Recently response rates are decreased because survey environment and dwelling types are changed. Increasing nonresponse affect estimates and quality of data. We need to prevent a bias and information loss caused by nonresponse. There are several common ways to deal with unit nonresponse that are doing callback, substituting resemble sample for original one or applying weight adjustment method. In this paper, we discussed callbacks and examined relationship with callbacks and study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units. we analyzed some affects of nonresponse bias assuming a situation that surveyed without sample substitute and an additional callbacks using two practical surveys.

      • KCI등재후보

        Pre-adjustment of incomplete group variable via K-means clustering

        황선영,한혜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15 No.3

        In classification and discrimination, we often face with incomplete group variable arising typically from many missing values and/or incredible cases. This paper suggests the use of K-means clustering for pre-adjusting incompleteness and in turn classification based on generalized statistical distance is performed. For illustrating the proposed procedure, simulation study is conducted comparatively with CART in data mining and traditional techniques which are ignoring incompleteness of group variable. Simulation study manifests that our methodology out-performs.

      • KCI등재

        2단 크기비례 계통추출법의 분산추정량 효율성 비교

        김영원,김예니,한혜은,곽은선,Kim, Young-Won,Kim, Yeny,Han, Hye-Eun,Kwak, Eun-Sun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6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several variance estimators for pps systematic sampling. Unfortunately, there is no unbiased variance estimators for a systematic sample because systematic sampling can be regarded as a random selection of one cluster. This study provides guidance on which variance estimator may be more appropriate than others in several circumstances. We judge the efficiency of variance estimators for systematic sampling based on of their relative biases and relative mean square error. Also, we investigate variance estimation problems for two-stage systematic sampling applied for the Food Raw Material Consumption Survey and the Establishment Labor Force Survey simulation study, in order to consider the popular two-stage pps systematic sample design for establishment and household survey in Korea. 본 논문에서는 크기비례 계통추출법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산추정 방법들을 정리하고 각 분산추정 방법들의 통계적 특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론적으로 하나의 계통표본을 가지고 비편향 분산추정량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실제 표본자료 분석에 있어서 어떤 대안이 있을 수 있는지 살펴보고, 다양한 분산추정 방법들의 성질을 상대편향 및 상대평균제곱오차 관점에서 비교해 보았다. 또한 우리나라 가구나 사업체 표본설계에서 흔히 발생하는 2단 크기비례 계통추출 표본에서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분산추정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2008년 사업체근로실태조사 자료의 근로자 평균임금과 2011년 식품원료소비실태조사 자료의 가구당 연평균 쌀 소비량의 분산 추정 문제를 기초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부동산보유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기업지배구조에 따른 차이 -

        한광호(Gwang Ho Han),한혜은(Hye Eun Han),노승한(Seung Han Ro) 한국감정원 연구개발실 2021 부동산분석 Vol.7 No.3

        대리인 이론에 따르면 경영진에 대한 높은 수준의 모니터링은 경영진의 대리인 문제를 완화하여 기업가치를 높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높은 수준의 기업지배구조가 기업이 보유한 부동산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상쇄할 수 있는지 분석한다. 우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OSPI 기업이 보유한 사업용 부동산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KOSDAQ 기업이 보유한 사업용 부동산은 기업가치에 부정적이다. 또한, 투자용 부동산은 KOSPI 및 KOSDAQ 기업의 기업가치에 부정적이다. 둘째, 우수한 기업지배구조를 갖춘 기업이 보유한 투자부동산은 기업가치에 긍정적이지만, 낮은 수준의 기업지배구조를 갖춘 기업의 투자부동산은 기업가치에 부정적이다. 이러한 결과는 우수한 지배구조를 갖춘 기업의 부동산 투자 결정은 주주가치를 극대화하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일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을 통해 기업부동산이 유발하는 대리인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ccording to the agency theory, a high-quality monitoring system can reduce self-interest of a manager and increase firm value. In this perspective,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high-level of corporate governance can offset negative effects of corporate own real estate on firm value. The findings are as followed; First, it is found that KOSPI firms" real estate for operations does not have any effect on their firm value. However, KOSDAQ firms" real estate for operations has negative effects on their firm value. In addition, real estate for investment has negative effects on the firm value of both KOSPI and KOSDAQ. Second, real estate for investment owned by a firm with high quality governance is positively related to its firm value. However, real estate for investment owned by a firm with bad quality governance is negatively related to its firm value. Consequently, the real estate investment decision made by a firm with high-quality governance can be a rational decision to maximize shareholder-value, irrespective of agency problem. The finding shows that corporate governance is an effective measure to control agency problems induced through corporate real estate.

      • KCI등재

        특수교육 실태조사 조사도구 개발

        노선옥,강영택,김희규,이성봉,이승훈,이효자,최기상,한경근,한혜은 국립특수교육원 2011 특수교육연구 Vol.18 No.1

        이 연구는 2011 년도부터 실시될 ‘특수교육 실태조사’에서 사용할 타당성과 신뢰성,응답 용이성이 높은 조사도구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 연구 분석, 협의회 개최, 예비조사 등을 사용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01 년도부터 2009년도까지 국립특수교육원에서 실시한 특수교육 실태조사를 비롯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의 장애인고용 실태조사,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평생교육 통계 자료집 및 평생학습 실태조사, 교육과학기술부의 특수교육 통계 동의 보고서에 나타난 조사부분과 조사항목들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2008년도 조사항목에 대해서는 시계 열적 조사가 필요한 항목을 추출하는 한편 새롭게 포함되어야 할 조사문항을 개발하고, 포함하는 일을 하였다. 개최된 협의회는 공동연구자협의회, 자문위원협의회, 현장전문위원협의회 퉁이었다. 공동연구자협의회는 특수교육 실태조사에 전문성을 가진 원내외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사부문의 선정,조사항목의 결정, 조사문항의 개발 둥 전 부문에 걸쳐 협의와 검토를 담당하였다. 자문위원협의회는 특수교육 관련학과 교수 및 특수학교 관리자 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동연구자 협의회에서 개발한 조사문항과 조사표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현장전문위원협의회는 공동연구자 협의회에서 개발한 조사문항과 조사표의 내용에 관하여 현장에서 응답할 수 있는 지 여부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규정된 특수교육 실태조사 8가지 부문 중 7가지 부문에 대한 조사표를 개발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특수교육대상자의 성·연령·장애유형·장애정도별 현황, 특수교육기관 및 그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의 제공현황,특수교육 지원을 위한 행정조직 및 지원 현황, 특수교육재정의 확보·분배·활용 현황,장애인 평생교육과정 및 장애인 평생교육시설의 운영 현황,특수교육대상자 및 그 보호자,특수교육에 관한 전문가 퉁 특수교육 관련자의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만족도 조사 등이다. 둘째,이 연구에서 개발한 조사표는 특수교육대상학생 보호자용,미취학 장애학생 보호자용,장애 성인용 둥 개인 응답자와 특수학교 유·초·중·고등학교 교사용 및 관리자,유·초·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시용 및 관리자 장애인 평생교육기관 담당자용 둥 20종이다. 특수교육대상학생이라고 할 수 있는 장애 영아와 장애 대학생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표를 개발하지 않은이유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별도로 실시하는 조사에서 그 실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urvey tools that are feasible, reliable, and enable an easy response, which can be used for an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special education that is planned for 2011. For this study,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conferences were held and preparatory surveys were executed. For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surveys of special education conducted by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from 2001 to 2009, investigations of the disabled execu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employment surveys of the disabl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of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statistical data of life education execu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 Technology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and parts of surveys and other items in the Ministry’s reports on the statistics of special education were used. of the survey items from 2008, items requiring time-series surveys were extracted, and questions that had to be newly added were developed and included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committees held included a committee of joint researchers, consultants and on-site professional committee members. The committee of joint researchers consisted of 9 internal and external experts with expertise in special education investigation, and they took charge of a committee and reviews regarding overall parts, such as the selection of surveyed paπs, decisions regarding survey items and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The committee of consultants consisted of professors of department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and managers of special schools, and they examined questions and checklists developed by the committee of joint researchers. The committee of in-site special committee members focused on studying whether questions and checklists developed by the conference of joint researchers could be answered immediately in the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is study, checklists were developed on seven out of the eight sectors of survey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pecial education prescribed by the law on speci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Details include the gender, age, type of disability and conditions by degree of disability of those who should receive special education, the present conditions of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ose institutions, the provision of services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for special education assistance, the security,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funds and the operation of life education courses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satisfaction surveys relating to special educational assistance for special education stakeholders, including the subjects of special education, their parents, and experts in the field. Second, there were 20 groups of respondents to the checklists developed by this study, including individuals, such as parents of student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parents of preschool-aged disabled children and disabled adults, teachers and managers at special schools,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eachers and managers at special classes of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related instructors at life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Checklist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of disabled infants and college students who can be considered target students of special education haven't been developed, as such conditions can be known through surveys separatel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