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달도에 따른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전략 사용 양상 연구-반복을 중심으로-

        조위수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5 No.-

        This study is about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ccording to their Korean proficiency. Out of various strategies, repetition takes multiple functions in discourse. However, it has not been discussed deeply enough in the argument over communication strategies. To deal with this, this study analyzes learners' daily discourse and investigates repetition as a strategy in the discourse. The subjects include the utterances of 9 Chinese students and 3 Chinese graduates studying at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analysis is categorized by dividing self-repetition and other-repetition into non-interactive strategies and interactive strateg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roficiency the Chinese Korean learners have, the more various the interactive strategies the Chinese Korean learners use. This study on the communication strategies in accordance with learners' level will suggest something important to the studies on learners' interlanguage.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의 논쟁 담화 전략 연구 -중국어권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다기능 논쟁쟁 담화 전략을 중심으로-

        조위수 이중언어학회 2015 이중언어학 Vol.61 No.-

        Cho Wisu. 2015. 12. 31. A Study on the Argument Discourse Strategies of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the multifunctional argument discourse strategie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nd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Bilingual Research 61, 241-270. In this study, I tried to examine the features of the argument strategies of advanced Chinese Korean learners’ by comparing with those of Korean native speakers’. When it comes to speaking styles, I discovered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like Korean native speakers, used both of high-involvement style and high-considerateness style. However, they preferred to use high-involvement style rather than high-considerateness style. And their speech rate was rather fast. About face-saving, they, even though most of them were female, actively employed various face-saving strategies against face threatening acts. The multifunctional argument strategies of both groups were revealed from questioning and repetition. In argument, questioning and repetition were utilized as macro-strategies which introduces super ordinate topics and sub ordinate topics and develops topic flows as well as various micro-strategies which conveys information and maintains relationship and conversation. Meanwhile, I also discovered that many of them found it difficult to select suitable convers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although each of them had a good command of Korean. I expect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enhance Korean learners’ strategy using skills and to develop education materials in the future by extracting argument strategies through the conversation analysis aimed at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KCI등재후보

        미취학 자녀 교육을 위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문화 교재 단원 구성 방안

        조위수,이승혜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8 한국어문화교육 Vol.12 No.1

        본 연구는 설화를 중심으로 한 한국문화교재 단원의 구성 원리와 실례를 살펴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 교육과 한국 사회 정착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결혼이민자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기존 한국어교재 및 문화 관련 교재의 내용과 구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한국문화 교재 단원을 ‘바보 온달과 평강공주’를 예로 들어 제안하였다. 단원은 크게 엄마, 아빠와 자녀가 협력하여 내용을 이해하는 단계와 한국의 언어문화와 행동문화, 성취문화를 이해하고 나아가 엄마(여성결혼이민자) 나라의 문화를 한국문화와 비교해 보는 확장된 활동 단계로 구분된다. 이 연구는 한국인에게는 대중적이나 결혼이민자들에게는 낯설 수 있는 설화를 제시함으로써 자녀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방향적으로 한국문화만을 제시하고 있는 기존 한국문화교재와 달리 여성결혼이민자의 모국문화와 한국문화를 비교해 보는 활동을 통해 그들의 문화적 자존감과 정체성을 확립하여, 이들이 한국 사회에 건강하게 정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ducate married female immigrants’ children so that help them better integrate in the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the Korean culture textbook based on folk tales and specific cases is used. Following detailed interviews with married female immigrants,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and related Korean culture textbooks’ contents and compositio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focuses on one unit with the overarching topic of interculturalism. The unit comes from the folk tale entitled “Foolish On-dal and Princess Pyeong-Gang”. The unit is divided into 3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understand the content by cooperating with children’s parents. The aim of the second stage is that children understand the Korean language culture, behavioral culture, and achievement culture. Finally, in the third stage,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culture and the Korean culture are compared. This is an expanded task. This study will help to promote children education by suggesting folk tales that are unfamiliar to married immigrants. In addition, unlike the existing Korean culture textbooks that only suggest the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posed comparative activities with married female immigrant’s culture, their children’s identity can be established. The ultimat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help these children successfully integrate in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아랍어·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문화교육 내용 연구

        조위수,윤주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9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education contents and to establish items of culture education to Improve Arabic-speaking Korean learners’ and Korean speaking Arabic learn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rder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learners need not only linguistic skills but also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deep structure of culture and classification of thinking that enables speaking in the target language. For such a reason,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 and the composition elemen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the preceding studies. And then, using iceberg model, categorized the items of the culture education by four types as follows: ‘attitude·manner’, ‘cultural base’, ‘cultural surface’ and ‘communication techniques’. And based on this items described Korean and Arabian cultural contents for culture education. Although, this research is not be able to present the detailed teaching method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which were divided into deep culture and surface culture of Korean’s and Arabian's and constructed the cultural contents by the cultural education item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아랍어 학습자와 아랍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해 문화교육의 항목을 설계하고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다. 이 두 언어권의 학습자들이 목표 문화권의 화자들과 원활히 소통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목표 언어의 발화를 가능하게 하는 사고의 유형과 문화의 심층 구조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빙산 모델을 활용하여 ‘자세·태도’, ‘문화 기저’, ‘문화 표층’, ‘소통 기술’로 범주화한 교육 항목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문화 교육을 위한 한-아 문화 내용들을 기술하였다. 본연구는 문화 간 의사소통 수업의 구체적인 방안을 보여 주지는 못하였으나, 한국과 아랍의 문화 영역을 심층 문화와 표층 문화로 구분하여 문화 교육 항목을 설정하고, 영역별내용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담화에 나타난 질문의 기능 연구 - 윤설미TV를 중심으로 -

        조위수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

        I analyzed the function of questions in the North Korean defectors' discourse. I found some functions of question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analyzed the function of the questions in the North Korean defectors' discourse transcribed from YouTube video clips. The discours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shows their language is different from the South Koreans' for the North Korean expressions, intonations, and vocabulary. However, they use questions in various ways in macro & micro aspects of discourse as the native South Koreans do. Moreover, as each individual has a unique way of speaking, the function and aspect of the question preferred by North Korean defectors differ from one to another. The way of speaking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hometown, background of growth, time of entry into Korea, etc.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features of all North Korean defectors. I hope studies about variations will continue.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유튜브 방송 담화에 나타난 반복의 기능 연구 - <남북공동구역 윤설미TV>를 중심으로 -

        조위수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유튜브 방송 담화에 나타나는 반복의 기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남북공동구역 윤설미TV> 채널의 2인 방송 중 확률 표본 추출 방법으로 10개의 영상을 선정하고, CLOVA Note와 WaveSurfe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상 속 담화를 전사하였다. 전사된 내용을 토대로 북한이탈주민 유튜브 담화에 나타나는 반복을 본인 반복과 타인 반복으로 구분하여 반복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복은 담화 진행 기능, 정보 전달 기능, 정서적 기능, 정체성 형성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반복이 단순한 언어 현상이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의 담화에서 의사소통 전략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한정된 범위와 규모로 수집되어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북한이탈주민의 의사소통 특성과 반복의 전략적 기능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 영상매체 개발을 위한 수업 운영 방안 연구 -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

        조위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A medium is a useful learning tool in second language classe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decipher the complex formats of media language and make active use of them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students specializing in Korean education, who are pre-service Korean teachers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develop their technical capabilities to understand media and use it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Project-based learning is an instructional method to help learners solve a problem for themselves and complete a task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ir team members. The present study examined media and language education to run a subject on media theories for Korean and also design directions and management systems for lessons according to project-based learning. It then reviewed the content about the ways of running a class in the stages of project preparation, progress and wrapup. The project preparation stage covered concepts, types, classification criteria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along with the skills to film and edit content and the content of mock practice. The project progress stage analyzed media related to Korean education,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 media in addition to media language, and gave a couple of actual examples in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 project wrapup stage consisted of a project presentation and evaluation, offering a detailed introduction of a presentation process and distinguishing items for self-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Even though the present study did not review educational content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it did propose plans by stage for future Korean instructors to understand a variety of media, cultivate their the literacy of media language, and create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it in the current era of multiple media,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제2언어 교실에서 매체는 유용한 학습 도구로 활용된다. 매체가 주는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매체를 활용할 교사가 매체 언어가 지니는 복합양식을 해독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담당할 예비 한국어 교원인 한국어교육 전공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매체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역량을 길러 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프로젝트 학습법은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조원과의 협업을 통해 과업을 완성해 나가는 교수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프로젝트 학습을 토대로 한국어 매체론 교과 운영을 위해 매체와 언어 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수업 설계의 방향과 운영 체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수업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프로젝트 예비 단계, 진행 단계, 마무리 단계로 구분하여 내용을 검토하였다. 프로젝트 예비 단계에서는 매체의 개념과 유형, 매체의 분류 기준과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콘텐츠 촬영, 편집 기술 습득과 모의 실습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서는 한국어교육 관련 매체를 분석하고 매체 언어와 매체 속 한국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용 콘텐츠 제작에 대한 실례를 보였다.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는 프로젝트 발표회와 평가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는 발표회 진행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자가 평가, 동료 평가, 교수 평가 항목을 구분하여 설정해 보았다. 본 연구는 교육용 콘텐츠의 만족도와 효과성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진 못하였으나, 다매체 시대를 맞이한 현 시점에서 미래 한국어 교수자가 다양한 매체를 이해함으로써 매체 언어 문식력을 함양하고, 이를 활용하여 교육 자료를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단계별로 보여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남·북한 사회문화적 통합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 북한이탈주민과 선주민을 대상으로 -

        조위수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1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선주민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상호문화교육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사회문화적 통합 과정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상호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알아보고, 문화 교육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상호문화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상호문화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와 ‘해석과 연관성’, ‘발견과 상호작용’, ‘비판적 문화 인지’ 등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남·북한의 사고방식과 정서, 가치관, 종교 등의 정신체계 지식과 남·북한의 어휘 및 화법 등 언어문화 지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사회문화적 통합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 내용에 대한 효과성은 검증하지 못하였으나, 북한이탈주민과 선주민이 상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cross-cultural education and discuss the education plan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digenous peoples(South Koreans) to understand each other's cul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und out the direction of cross-cultural education and extracted the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process of the socio-cultural integration and the previous studies of Germany.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we need an open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skills such as skills for interpretation and relations, skills for discovery and interaction, and critical cultural awareness. Besides, an understanding of mental systems such as the way of thinking, emotions, values, and religions of South and North Korea, as well as the knowledge of language and culture regarding the vocabulary and speech of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be preceded. Based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the ways of cross-cultural education for socio-cultur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lthough this study did not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it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digenous peoples to understand the mutual culture.

      • 북한이탈주민 대상 언어적응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조위수,조연주,이수지,이영희,오상민,조완철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9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iscussing ways to develop the linguistic adaptation contents for North Korean refugees. The issue of inter-Korean language heterogeneity has been considered as the main factor preventing them from settling in South Korean society beyond communication, but practical education measures are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has shed light on the linguistic adaptation contents development that enables self-learning considering learner’s circumstances. To this end, it examined the principles of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linguistic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m from March 14 to July 1, 2018. In addition, it analyzed the videos and self-learning workbooks developed by B University. The contents are expected to reduce the refugees’ linguistic and cultural difficulties to some degree, but the needs for customized educational materials reflecting learners’ variables and motivations are also suggested. The failure to validate the contents would remains its limitation. However, this work has its meaning in that it has extracted educational contents and form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needs analysis, and illustrated the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the case study.

      • KCI등재

        유학생 대상 K-뷰티 마이크로전공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조위수,이민경,박은미,임지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6

        Micro-major is a curriculum with small credits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and explore other majors in a short period. If the K-beauty micro-major is operated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it can benefit from meeting international students’ needs and improving their workplace capab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basic research based on Taba (1962)’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o build the K-beauty micro-major curriculum. From the result of the demand survey, we foun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are highly interested in several beauty professions: skincare, makeup, hair design, and beauty medical counseling, and they want to learn K-beauty-related theories, terminology, expressions, and beauty technique practice. Hence, we limited the subjects to Skincare, Makeup, and Beauty Medical Service by considering the needs analysis and school facilities. Then, we extracted common and basic contents and suggested methods for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education contents by analyzing the curricula and the textbooks for beauty-related majors of 11 universities.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education contents into four areas: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language, not only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but also by adding elements on demands for education. In order for what we discussed here to lead to the opening of the curriculum, we still need further studies as expert verification. Nevertheles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it provides primary data for disigning a practical curriculum that reflects international students’ preferences. 마이크로전공은 단기간 내에 타 전공을 체험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작은 단위의 학점으로 운영되는 과정으로, ‘K-뷰티’ 마이크로전공을 운영하여 실무중심의 교육을 실시할 경우, 유학생의 요구 충족과 취업역량 향상이라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뷰티 마이크로전공’ 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Taba(1962)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에 근거하여 기초 조사를 진행하였다. 요구 조사 결과 유학생들은 피부관리, 메이크업, 헤어디자인, 뷰티 의료 상담 등의 분야에 높은 관심을 보였고, K-뷰티 관련 이론, 전문용어와 표현, 미용기술 실습 등에 대한 학습 요구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요구분석과 학교 제반 시설을 고려하여 ‘스킨케어’, ‘메이크업’, ‘뷰티 메디컬 서비스’로 범위를 제한하여 대학별 전공 교과목과 교재를 분석하여 공통적이며 기초적인 교과 내용을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에 관해 제언하였다. 아울러 K-뷰티 마이크로전공의 교육내용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하되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 항목을 첨가하여 지식, 기술, 태도, 언어 영역으로 구성하고, 영역별로 구분하여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논의한 바가 교육과정의 개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전문가 검증등 2차적인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학생의 선호도를 반영한 실무중심의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