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외국인 학생의 지역사회 연계형수업에 관한 소고

        조위수,한강우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lesson model that incorporates tandem learning into a capstone design to spread tandem learning around the community and help colleges and universities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local issues. It has been approximately 20 years since tandem learning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It is now necessary to develop a tandem model in various areas of specialization other than foreign languages for its further sophistication and development. Thus,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tandem learning between different areas of specialization with a group of Korean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nd multiculture and a group of foreigners in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course in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tudies. Literature about tandem learning and capstone design was reviewed to create a lesson model. Cases at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ere analyz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universities and the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the investigator discussed specific lesson procedures and methods around the Dongbaek Multicultural Project (support for the education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a clinic for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s), a joint project between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Busan City. Tandem-style capstone lessons would take the forms of native Korean students and overseas students forming a team and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then, they would do practical train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with the educational materials they developed. Even though the less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not managed in the actual field, it holds some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an expanded model for tandem learning. 본 연구는 탄뎀 학습을 지역 사회로 확산하고 지역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대학이 기여할 수 있도록 탄뎀 학습과 캡스톤 디자인을 접목한 수업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내 도입 20여 년의 탄뎀 학습을 보다 정교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외국어 이외 다양한 전공으로 탄뎀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다문화 교육을 전공하는 내국인과 국제학부 한국어문화교육트랙 외국인을 대상으로 전공 간 탄뎀 학습을 시도하였다. 수업 설계를 위해 탄뎀 학습과 캡스톤 디자인에 대한 문헌을 검토하고 B대학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지역사회의 공조 체계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B대학이 부산시와 진행 중인 다문화동백 사업(다문화이해교육 서포터스, 한국어 표준 발음 클리닉)과 연계하여 구체적인 수업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역사회 연계형 수업은 내·외국인 학생들이 팀을 구성하여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것과 개발한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교육 현장에서 실습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본 연구의 수업 모형은 실제 현장에서 운영해 보지 못한 점은 아쉬우나, 탄뎀 학습의 확장형 모델 개발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북한이탈주민 대상 언어적응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조위수,조연주,이수지,이영희,오상민,조완철 부산외국어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9 다문화사회와 교육연구 Vol.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iscussing ways to develop the linguistic adaptation contents for North Korean refugees. The issue of inter-Korean language heterogeneity has been considered as the main factor preventing them from settling in South Korean society beyond communication, but practical education measures are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has shed light on the linguistic adaptation contents development that enables self-learning considering learner’s circumstances. To this end, it examined the principles of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n linguistic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in-depth interview with them from March 14 to July 1, 2018. In addition, it analyzed the videos and self-learning workbooks developed by B University. The contents are expected to reduce the refugees’ linguistic and cultural difficulties to some degree, but the needs for customized educational materials reflecting learners’ variables and motivations are also suggested. The failure to validate the contents would remains its limitation. However, this work has its meaning in that it has extracted educational contents and forms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needs analysis, and illustrated the contents development through the case study.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유튜브 방송 담화에 나타난 반복의 기능 연구 - <남북공동구역 윤설미TV>를 중심으로 -

        조위수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유튜브 방송 담화에 나타나는 반복의 기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남북공동구역 윤설미TV> 채널의 2인 방송 중 확률 표본 추출 방법으로 10개의 영상을 선정하고, CLOVA Note와 WaveSurfe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영상 속 담화를 전사하였다. 전사된 내용을 토대로 북한이탈주민 유튜브 담화에 나타나는 반복을 본인 반복과 타인 반복으로 구분하여 반복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복은 담화 진행 기능, 정보 전달 기능, 정서적 기능, 정체성 형성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반복이 단순한 언어 현상이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의 담화에서 의사소통 전략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한정된 범위와 규모로 수집되어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북한이탈주민의 의사소통 특성과 반복의 전략적 기능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담화에 나타난 질문의 기능 연구 - 윤설미TV를 중심으로 -

        조위수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

        I analyzed the function of questions in the North Korean defectors' discourse. I found some functions of question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analyzed the function of the questions in the North Korean defectors' discourse transcribed from YouTube video clips. The discours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shows their language is different from the South Koreans' for the North Korean expressions, intonations, and vocabulary. However, they use questions in various ways in macro & micro aspects of discourse as the native South Koreans do. Moreover, as each individual has a unique way of speaking, the function and aspect of the question preferred by North Korean defectors differ from one to another. The way of speaking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hometown, background of growth, time of entry into Korea, etc.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features of all North Korean defectors. I hope studies about variations will continue.

      • KCI등재

        남·북한 사회문화적 통합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 북한이탈주민과 선주민을 대상으로 -

        조위수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1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선주민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상호문화교육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사회문화적 통합 과정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상호문화교육의 방향성을 알아보고, 문화 교육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상호문화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상호문화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와 ‘해석과 연관성’, ‘발견과 상호작용’, ‘비판적 문화 인지’ 등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남·북한의 사고방식과 정서, 가치관, 종교 등의 정신체계 지식과 남·북한의 어휘 및 화법 등 언어문화 지식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사회문화적 통합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 내용에 대한 효과성은 검증하지 못하였으나, 북한이탈주민과 선주민이 상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cross-cultural education and discuss the education plan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digenous peoples(South Koreans) to understand each other's cul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und out the direction of cross-cultural education and extracted the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process of the socio-cultural integration and the previous studies of Germany. To improve intercultural competence, we need an open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skills such as skills for interpretation and relations, skills for discovery and interaction, and critical cultural awareness. Besides, an understanding of mental systems such as the way of thinking, emotions, values, and religions of South and North Korea, as well as the knowledge of language and culture regarding the vocabulary and speech of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be preceded. Based on this, this study discussed the ways of cross-cultural education for socio-cultural integ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lthough this study did not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it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digenous peoples to understand the mutual culture.

      • KCI등재

        한국어교육 영상매체 개발을 위한 수업 운영 방안 연구 -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

        조위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A medium is a useful learning tool in second language classe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decipher the complex formats of media language and make active use of them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students specializing in Korean education, who are pre-service Korean teachers for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develop their technical capabilities to understand media and use it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Project-based learning is an instructional method to help learners solve a problem for themselves and complete a task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ir team members. The present study examined media and language education to run a subject on media theories for Korean and also design directions and management systems for lessons according to project-based learning. It then reviewed the content about the ways of running a class in the stages of project preparation, progress and wrapup. The project preparation stage covered concepts, types, classification criteria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along with the skills to film and edit content and the content of mock practice. The project progress stage analyzed media related to Korean education,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 media in addition to media language, and gave a couple of actual examples in the pro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 project wrapup stage consisted of a project presentation and evaluation, offering a detailed introduction of a presentation process and distinguishing items for self-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Even though the present study did not review educational content in terms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it did propose plans by stage for future Korean instructors to understand a variety of media, cultivate their the literacy of media language, and create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it in the current era of multiple media,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제2언어 교실에서 매체는 유용한 학습 도구로 활용된다. 매체가 주는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매체를 활용할 교사가 매체 언어가 지니는 복합양식을 해독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을 담당할 예비 한국어 교원인 한국어교육 전공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매체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한국어 교육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역량을 길러 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프로젝트 학습법은 학습자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조원과의 협업을 통해 과업을 완성해 나가는 교수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프로젝트 학습을 토대로 한국어 매체론 교과 운영을 위해 매체와 언어 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수업 설계의 방향과 운영 체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수업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 프로젝트 예비 단계, 진행 단계, 마무리 단계로 구분하여 내용을 검토하였다. 프로젝트 예비 단계에서는 매체의 개념과 유형, 매체의 분류 기준과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콘텐츠 촬영, 편집 기술 습득과 모의 실습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프로젝트 진행 단계에서는 한국어교육 관련 매체를 분석하고 매체 언어와 매체 속 한국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용 콘텐츠 제작에 대한 실례를 보였다.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는 프로젝트 발표회와 평가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는 발표회 진행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자가 평가, 동료 평가, 교수 평가 항목을 구분하여 설정해 보았다. 본 연구는 교육용 콘텐츠의 만족도와 효과성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진 못하였으나, 다매체 시대를 맞이한 현 시점에서 미래 한국어 교수자가 다양한 매체를 이해함으로써 매체 언어 문식력을 함양하고, 이를 활용하여 교육 자료를 제작할 수 있는 방안을 단계별로 보여 주었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학생 대상 K-뷰티 마이크로전공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조위수,이민경,박은미,임지현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2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1 No.6

        Micro-major is a curriculum with small credits to enable students to experience and explore other majors in a short period. If the K-beauty micro-major is operated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it can benefit from meeting international students’ needs and improving their workplace capab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basic research based on Taba (1962)’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o build the K-beauty micro-major curriculum. From the result of the demand survey, we found that international students are highly interested in several beauty professions: skincare, makeup, hair design, and beauty medical counseling, and they want to learn K-beauty-related theories, terminology, expressions, and beauty technique practice. Hence, we limited the subjects to Skincare, Makeup, and Beauty Medical Service by considering the needs analysis and school facilities. Then, we extracted common and basic contents and suggested methods for selecting and organizing the education contents by analyzing the curricula and the textbooks for beauty-related majors of 11 universities.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education contents into four areas: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language, not only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but also by adding elements on demands for education. In order for what we discussed here to lead to the opening of the curriculum, we still need further studies as expert verification. Nevertheless,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it provides primary data for disigning a practical curriculum that reflects international students’ preferences. 마이크로전공은 단기간 내에 타 전공을 체험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작은 단위의 학점으로 운영되는 과정으로, ‘K-뷰티’ 마이크로전공을 운영하여 실무중심의 교육을 실시할 경우, 유학생의 요구 충족과 취업역량 향상이라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뷰티 마이크로전공’ 교육과정을 설계하고자 Taba(1962)의 교육과정 개발모형에 근거하여 기초 조사를 진행하였다. 요구 조사 결과 유학생들은 피부관리, 메이크업, 헤어디자인, 뷰티 의료 상담 등의 분야에 높은 관심을 보였고, K-뷰티 관련 이론, 전문용어와 표현, 미용기술 실습 등에 대한 학습 요구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요구분석과 학교 제반 시설을 고려하여 ‘스킨케어’, ‘메이크업’, ‘뷰티 메디컬 서비스’로 범위를 제한하여 대학별 전공 교과목과 교재를 분석하여 공통적이며 기초적인 교과 내용을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에 관해 제언하였다. 아울러 K-뷰티 마이크로전공의 교육내용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하되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 항목을 첨가하여 지식, 기술, 태도, 언어 영역으로 구성하고, 영역별로 구분하여살펴보았다. 여기에서 논의한 바가 교육과정의 개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전문가 검증등 2차적인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학생의 선호도를 반영한 실무중심의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