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ub-threshold MOSFET을 이용한 전류모드 회로 설계

        조승일,여성대,이경량,김성권 통신위성ㆍ우주산업연구회 2013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8 No.3

        본 논문에서는 저전력 기술인 DVFS (Dynamic Voltage Frequency Scaling) 응용을 위하여, 동작주파수의 변화에도 소비전력이 일 정한 특성을 갖는 전류모드 회로를 적용함에 있어서, 저속 동작에서 소비전력이 과다한 전류모드 회로의 문제점을 전류모드 회로에 서 sub-threshold 영역 동작의 MOSFET을 적용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는 설계기술을 소개한다. 회로설계는 MOSFET BSIM 3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시뮬레이션한 결과, strong-inversion 동작일 때 소비전력은 900uW 이었으나, sub-threshold 영역으 로 동작하였을 때, 소비전력이 18.98uW 가 되어, 98 %의 소비전력의 절감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공유 주파수 대역에서 FH와 LBT시스템의 통신효율에 관한 연구

        조승일,강상기,황택진,홍헌진,차재상,이일규,양충모,김성권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7 No.1

        무선통신이 생활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현재의 Ubiquitous 사회에서 가장 크게 부각되고 있는 문제점이 주파수의 부족이다. 주파수의 효율적인 사용 방안의 하나로 다른 종류의 무선통신기술들을 임의의 대역에서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공유 주파수 대역의 개념이 제시되었다. 공유 주파수 대역이 실현되면 임의의 대역에서 간섭회피기술인 FH와 LBT시스템의 공존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유 주파수 대역에서 채널수별로 사용자수에 따라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 수의 throughput을 분석한 FH와 LBT시스템의 통신효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임의의 주파수대역에서 FH와 LBT시스템이 같이 사용될 경우에 LBT시스템의 우수한 채널점유능력 때문에 FH시스템의 통신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LBT시스템의 파라미터 중 동 채널 사용 시 지연시간을 늘려주거나, 채널점유시간을 줄여주는 방법으로 FH시스템의 통신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FCM을 이용한 기관지폐포세척된 림프구의 CD4/CD8 ratio 분석

        조승일,임문섭,이종찬,이현섭,권혁철,우희숙,마상철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07 조직세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07 No.-

        배경: 기관지폐포세척액(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내의 염증세포, 백혈구수 및 면역글로블린, 림프구 아형의 분포 등을 측정하면 간질성폐렴(interstitial lung diease ILD), 유육종증(sarcoidosis), 비특이성 간질성폐렴(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s NSIP)과 기타 폐질환(과민성폐렴, 특발성 폐섬유종, 폐경색증, 진폐증) 등의 결과 판정과 진단에 매우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면역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져 있는 면역억제환자의 폐렴 특히,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게 유용하며 폐포단백증(pulmonary proteinosis) 등에서는 치료목적으로도 활용된다. 여기서는 cytospin과 혈구계산기에 의한 세포검경과 differential count 이외에 유세포측정(flow cytometry, FCM)을 이용하여 BALF내의 림프구 아형 중에서 CD4/CD8 ratio를 구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07년 1~4월까지 ILD, Sarcoidosis, NSIP, 기타 폐질환 등으로 삼성서울병원에 내원하여 기관지폐포세척술을 받은 환자들의 BALF 중에서 FCM 검사가 의뢰된 40예를 대상으로 검사 실시하였다. 검사 방법은 먼저, BALF에 대한 세포생존도(cell viability)를 확인하기 위해서 trypan blue 염색을 시행하였고, 원심분리하여 pellet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로 세척하여 nylon mesh filter 등을 거치며 1x107/ml 개의 세포부유액(cell suspension)을 얻었다. falcon tube 2개에 50ul의 세포부유액을 각각 넣고. 1번에는 림프구와 negative 설정을 위해서 unstain을 하였고, 2번에는 direct monoclonal antibody로써 CD4-FITC/CD8-PE/CD3-PERCP(Dinona) 20ul를 넣어 20분간 냉장 암실에 반응시킨후, 다시 PBS washing하고 Paraformaldehyde로 고정시켜 FCM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부적합 검체에 대한 재채취, 냉장보관과 24시간 안에 염색을 완료하였으므로 cell viability를 90% 이상으로 하였고, T림프구(lymphocyte)를 제외한 단핵백혈구(monocyte)나 대식세포(macrophage), 중피세포(mesothelial cells), B-cell, NK-cell 등의 포함을 제한하기 위하여 CD3(T-cell)에 대한 상대적 측정치인 CD3/CD4, CD3/CD8로 먼저 측정하였다. 각각의 값은 다시 CD4를 1로 환산해서 CD4/CD8 ratio 분석을 위한 평균값으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괄호 안은 CD8을 1로 기준한 값으로 편의상 함께 표현했고, 소수점 둘째자리로 반올림하였다. 먼저, ILD 13예의 경우를 보면 CD4/CD8 평균이 1/1.78(0.81/1)로 CD8의 ratio가 상대적으로 높았고, Sarcoidosis 15예는 1/0.27(5.29/1), NSIP 5예는 1/0.55(2.34/1), 기타 폐질환 7예에서도 1/0.52(2.27/1)로 CD4가 많게 측정되었다. 전체 평균 ratio 또한, 1/0.84(2.93/1)로 CD4가 높은 값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정상 BALF의 경우, CD4/CD8의 ratio는 일반적으로 1/1.5 정도로 알려져 있는데 비해서 실시된 40예의 검사에서는 다양한 CD4/CD8의 ratio를 보여주고 있었다. 전체의 평균 ratio와 Sarcoidosis, NSIP, 기타 폐질환의 경우는 CD4(helper/inducer)가 높거나 증가됨을 보였는데, ILD의 경우는 반대로 CD8(suppersor/cytotoxic)이 증가되었다. 전형적으로 Sarcoidosis 환자는 CD4 ratio가 대부분 증가된다고 하며, CD8 ratio가 많을수록 특이적으로 ILD 환자의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실험도 그와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FCM을 이용한 기관지폐포세척된 림프구의 CD4/CD8 ratio는 다른 임상검사들의 정보와 더불어서 폐질환 진단 및 예후에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유리모세관 파괴시 발생된 AE신호에 대한 모델링 접근

        조승일,이종규,이두희,정성수 한국물리학회 2002 새물리 Vol.45 No.5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ponses of the PZT piezoelectric transducers were observed by the elastic waves generated during glass capillary breaking. The PZT piezoelectric transducers with a constant diameter(D) had been made by changing the thickness(T) of the PZT ceramic. The theoretical displacement and velocity at the epicenter on glass plate with an air boundary condition were calculated by assuming the point load of 10 N force strength and a rise time of 280 ns with a ramped functional dependence. In order to obtain AE signals in the time domain for the PZT transducer, the Mason equivalent circuit model and lattice model were employed by assuming that the vertical particle velocity was incident on the electrode of the PZT ceramics. At T/D=0.3, the pulse-type of AE signals was observed when the vertical particle velocity met the electrode of the PZT ceramics, and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pulse-type signals of AE could be occurred due to the vibration mode of thickness. However, at T/D= 0.6 or 0.9, the observed AE signals composed of pulse-type and continuous-type with a low frequency. The pulse-type of AE signals may be considered due to the PZT ceramic with the vibrational mode of thickness, but the continuous-type of AE signals with a low frequency may be considered due to the PZT ceramic with the vibrational mode of the radial direction. 유리모세관 파괴시 진앙점에서 관찰되는 AE신호와 동일한 AE시스템에 대하여 모델링 접근으로 계산된 AE를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유리모세관 파괴시 발생되는 AE신호를 두꺼운 유리평판(직경=290 mm, 두께=43.7 mm)의 진앙점에서 PZT압전변환기로 관찰하였다. 사용된 PZT압전변환기는 동일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백색알루미나인 전면재, PZT압전세라믹 그리고 공기층인 후면재로 구성되어 있다. PZT압전세라믹의 직경(D)은 12.7mm로 동일하게 유지하여 면적변화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였고, 두께(T)를 서로 달리하여 제작된 PZT압전세라믹의 T/D는 0.3, 0.6, 0.9이었다. 실험으로 관찰된 AE신호와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과 동일한 조건을 갖는 AE시스템에 대하여 모델링 접근하여 AE신호를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AE발생원은 280 ns 의 상승시간과 10 N의 힘의 크기를 갖는 계단함수 형태의 점 하중이라고 가정하였고, 전파매질인 유리평판의 진앙점에서 AE발생원에 의하여 발생된 입자속도의 수직성분을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계산된 입자속도의 수직성분이 PZT압전변환기의전면으로 입사하고, 두께 진동모드로 가정된 Mason등가회로와 격자점으로 간주된 모형 PZT압전변환기에 대한 AE신호를 이론적으로 구하였다. T/D=0.3에서 실험으로 관찰된 펄스형태의 AE신호는 계산된 AE신호와 잘 일치하였고, 펄스형태의 AE신호는 두께 진동모드로 간주된 PZT압전변환기의 응답특성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그러나, T/D=0.6과 0.9에서 실험으로 관찰된 AE신호는 펄스와 저주파수 진동이 서로 결합되어 있었고, 펄스형태의 AE신호는 두께 진동모드로 간주된 PZT압전변환기의 응답특성이고 저주파수 진동의 AE신호는 두께진동모드 외의 다른 진동 모드인 동경방향 진동모드에 의하여 일어난다고 생각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음향학적 방법에 의한 덕트 내 장애물의 위치와 크기의 재생방법

        조승일,정성수,이두희,이종규 한국물리학회 2003 새물리 Vol.47 No.2

        The location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lockages in a duct were estimated by using an acoustic method, and the estimat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real blockages. Three methods having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Qunli's with close-close and close-open conditions, Salis' with a close-open conditions, the newly proposed method with a close-close conditions, were applied to reconstruct the blockgae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se methods can be usefully applied to find out blockage in a duct when one can't see it directly. 덕트 내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의 위치와 크기를 추정하고 실측값와 비교하였다. 서로 다른 경계조건을 가지는 3가지 방법, Qunli(close-close, close-open), Salis(close-open) 그리고 새롭게 제안하는(close-close) 방법으로 장애물을 재현하고 실측값과 비교하였다. 이 방법은 육안으로 장애물을 관측하기 어려운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깊이지도를 이용한 3D 파노라마 생성에 관한 연구

        조승일,김종찬,반경진,김응곤,Cho, Seung-Il,Kim, Jong-Chan,Ban, Kyeong-Jin,Kim, Eung-K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1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6 No.6

        컴퓨터 그래픽스 적용분야에서 표현되는 모습들은 현실 세계의 모습을 기반으로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분야에서는 사실적인 3D(Dimension) 모델 또는 가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3D 디스플레이의 발전과 보급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입체감 있는 3차원 가상현실을 손쉽게 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소실점 위치에 따른 깊이지도 생성 기법을 이용하여 3D 파노라마 시스템을 제안했다. 3D 파노라마는 사용자에게 마치 촬영 장소에 서서 주위를 살펴보는 것과 같은 입체감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3D 파노라마 시스템은 넓은 영역에 대해 근거리의 사물과 원거리의 배경에 대한 자유로운 시점과 변함없는 고화질의 사진과 같은 현실감 있는 3차원 입체영상이 제공된다. Computer vision research area, a division of computer graphics application area that creates realistic visualization in computer, conducts vigorously researches on developing realistic 3D model or virtual environment. As the popularization and development of 3D display makes common users easy to experience a solid 3D virtual reality, the demand for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increasing. This paper proposes 3D panorama system using depth point location-based depth map generation method. 3D panorama using depth map gives an effect that makes users feel staying at real place and looking around nearby circumstances. Also, 3D panorama gives free sight point for both nearby object and remote one and provides solid 3D video.

      • KCI등재

        유리모세관 파괴시 발생된 탄성파에 대한 1-3 압전복합체의 응답특성

        조승일,이종규,김성부,윤운하,이종오 한국물리학회 2007 새물리 Vol.54 No.5

        A 1$-$3 piezoelectric composite transducer with a 60 $\%$ volume fraction of PZT-5A was fabricated by using the dicing-filling method. The electrical and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1$-$3 piezoelectric composite transducer were analyzed by using 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s and the pulse-echo method. The mechanical quality coefficient (Q) and the resonant frequency were 18.5 and 1.6 MHz, respectively. Elastic waves generated during glass capillary breakage were observed by using the 1$-$3 piezoelectric composite transducer. The observed AE signals matched well with the perpendicular component of the particle velocity calculated by computer. The observed AE signal and its frequency spectrum showed that the pulse-type AE signals observed by using the 1$-$3 piezoelectric composite transducer might depend on the vibration mode of thickness with the plate response of the wide band. 압전세라믹의 체적비가 60 $\%$인 1$-$3 압전복합체 변환기를 dicing-filling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제작된 1$-$3 압전복합체 (직경 : 25 mm, 두께 : 1.25 mm)의 전기 및 음향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피던스 분석과 펄스-에코 응답특성에 대한 신호해석을 수행하였다. 1$-$3 압전복합체 변환기의 역학적품질계수 (Q)와 공진주파수는 각각 18.5와 1.6 MHz였다. 유리모세관 (외경 : 0.25mm, 내경 : 0.15 mm) 파괴시 발생되는 탄성파를 두께가 30 mm인 강판의 진앙점에서 1$-$3 압전복합체 변환기로 관찰하였고, 1$-$3 압전복합체 변환기의 음향방출 신호는 컴퓨터로 계산된 이론적인 입자속도의 수직성분과 잘 일치하였다. 1$-$3 압전복합체 변환기의 음향방출 신호를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관찰한 결과, 펄스형태의 음향방출 신호는 두께진동모드로 간주된 1$-$3 압전복합체 변환기의 응답특성이고 광대역의 평탄한 응답특성을 보였다.

      • KCI등재

        유리모세관 파괴시 발생된 음향방출신호의 FFT 해석

        조승일,이종규,김성부,이두희 한국물리학회 2006 새물리 Vol.53 No.4

        유리모세관 파괴시 진앙점에서 관찰되는 AE신호와 동일한 AE시스템에 대하여 모델링 접근으로 계산된 AE신호를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유리모세관 파괴시 발생되는 AE신호를 두꺼운 유리평판 (직경 = 290 mm, 두께 = 43.7 mm)의 진앙점에서 PZT압전변환기로 관찰하였다. 제작한 PZT압전변환기는 동일한 직경과 두께를 갖는 백색알루미나를 전면재, PZT압전세라믹 그리고 공기층을 후면재로 구성하였다. PZT압전세라믹의 직경(D)은 12.7 mm로 동일하게 유지하여 면적변화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였고, 두께(T)와의 비(T/D)를 0.3, 0.6, 0.9로 하였다. 실험으로 관찰된 AE신호와 비교하기 위하여 실험과 동일한 조건을 갖는 AE시스템에 대하여 모델링 접근하여 AE신호를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D1 PZT압전변환기는 T/D가 0.3 임에도 불구하고 두께모드의 진동만 고려한 이론AE신호와 실험AE신호가 잘 일치하고 있다. 하지만 실험AE신호를 FFT 분석한 결과에서 PZT진동자의 동경방향모드의 진동이 있음을 획인하였다. T/D가 각각 0.6과 0.9인 D2와 D3 PZT압전변환기는 두께모드의 진동만 고려한 이론AE신호와 실험AE신호가 잘 일치하고 있으나, 실험AE신호에 펄스 외에 저주파수 성분을 갖는 신호가 추가되어 있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론AE신호와 실험AE신호를 FFT 분석한 결과 저주파수 성분을 갖는 신호는 약 158 kHz 근방의 주파수를 갖는 동경방향모드의 진동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ponses of PZT piezoelectric transducers were observed by using the elastic waves generated during glass capillary breakage. The PZT piezoelectric transducers with a constant diameter(D) were made by changing the thickness(T) of the PZT ceramic. The observed AE signals were composed of a pulse-type component and a continuous-type component with a low frequency. The pulse-type AE signals may be due to the incident and the reflected PZT ceramic elastic wave generated during glass capillary breakage, but the continuous-type AE signals with a low frequency of about 158 kHz were identified through FFT analysis as being due to the PZT ceramic with a vibrational mode in the radial direction.

      • KCI등재

        UHF대역에서의 SEAMCA을 이용한 간섭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조승일,장경승,강성철,이주환,강정진,최규석,차재상,김성권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0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6

        본 논문에서는 가시거리가 확보가 되는 임의의 산간지형에서 UHF대역의 주파수 환경의 모델링을 제안한다. UHF대역을 사용하는 송신국은 Wt(Wanted Transmitter)로 정의하고 수신국은 Vr(Victim Receiver)로 정의하여 Victim link로 설정하며, 간섭원은 It(Interference Transmitter)와 Wr (Wanted Receiver)으로 정의하여 Interference link로 설정한다. Monte-Carlo 방식을 이용하는 전파간섭분석 시뮬레이션 툴인 SEAMCAT(Spectrum Engineering Advanced Monte Caelo Analysis Tool)을 사용하여 모델링된 주파수 환경을 시뮬레이션 한 결과와 임의의 산간지형에서 측정한 실측데이터를 비교하였다. SEAMCAT의 dRSS(desired Received Signal Strength)계산 값은 지형에 의해 생기는 손실이 있기 때문에 UHF 대역에서 수신 전력에서 70% 오차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형에 의한 간섭회절만큼의 송신전력을 줄임으로써 실제 전파 환경과 유사한 가정을 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논문에 제시된 UHF 주파수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 모델링은 UHF 주파수 재배치 및 간섭분석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