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결절에 1 cm 이상의 잔여 건이 부착된 회전근 개 실질 내 완전 파열 - 2례 보고 -

        조수현,이춘기,조형래,황태혁,왕태현,Cho, Su-Hyun,Lee, Choon-Key,Cho, Hyung-Lae,Hwang, Tae-Hyok,Wang, Tae-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1

        회전근 개의 전층 파열에서 건은 대결절 또는 소결절의 골 부착부에서 주로 분리된다. 저자들은 상완골 대결절에 1cm 이상의 잔여부가 부착된 회전근 개 건실질 부위에서 발생한 완전 파열을 가진 드문 2예의 회전근 개 파열을 경험하였다. 두 예에서 모두 잔여건을 제거하지 않고 관절경적 건 대 건 봉합술을 시행하였으나 술 후 6개월에 시행한 자기 공명 영상에서 이전 파열 부위에서 회전근 개의 재파열을 보였다. 회전근 개 건실질부 파열에서의 건 대 건 봉합술의 유용성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증례 검토와 생역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patients with full-thickness tears of the rotator cuff, the tendon is usually detached from its bony insertion in the greater or lesser tuberosity. We experienced an unusual pattern of rotator cuff tear in two cases, in which complete rotator cuff tears occurred at the tendinous portion (i.e., intrasubstance tears) with more than a 1cm remnant attached to the greater tuberosity. Arthroscopic tendon-totendon repair was performed without remnant removal in both cases. Follow-up MRI at 6 months showed re-tear of the rotator cuff at the previous tear site in both of our patients. To prove the availability of arthroscopic tendon-to-tendon repair in such cases, a larger case follw-up and biomechanical studies are required.

      • SCIESCOPUSKCI등재

        1<sup>++</sup> 등급 거세한우의 부위별 칼로리, 콜레스테롤, 콜라겐,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및 지방산조성

        조수현,성필남,김진형,박범영,백봉현,이연정,인태식,이종문,김동훈,안종남,Cho, Soo-Hyun,Seong, Pil-Nam,Kim, Jin-Hyoung,Park, Beom-Young,Baek, Bong-Hyun,Lee, Yeon-Jung,In, Tae-Sik,Lee, Jong-Moon,Kim, Dong-Hun,Ahn, Chong-Nam 한국축산식품학회 2008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8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al properties by different cut of Hanwoo steer beef. 10 cuts [Abjin (short plate), Bosup (top sirloin), Cheggt (striploin), Dngsim (Ioin), Guri (chuck tender), Hongduke (eye of round), Moksim (chuck roll), Sulgit (bottom round), Udoon (top round), Yangji (brisket)] were prepared from 10 Hanwoo steers ($24{\sim}28$ mon old)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Calorie contents were $2,205{\sim}3713.20\;cal/g$ and loin, striploin, short plat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cuts (p<0.05). Loin was highest in cholesterol content, whereas top round and eye of round were lowest among 10 cuts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luble and insoluble collagen contents although chuck tender, chuck roll and bottom round contain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collagen and loin and striploin contained significantly lower total collagen contents than the other cuts (p<0.05).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showed that glutamate and alanine contents were $275.99{\sim}536.04\;mg/100g$, $130.63{\sim}175.23\;mg/100g$, respectively and followed by arginine ($7.00{\sim}10.49\;mg/100g$), phenylalanine ($4.70{\sim}13.88\;mg/100g$), and leucine ($5.98{\sim}10.26\;mg/100g$) in 10 cuts. $1^{++}$ grade Hanwoo steer beef had significantly higher IMP (Inosine monophosphate) and inosine in eye of round (30.04% and 6.25%) and top round (33.44% and 6.28%), while hypoxanthi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uck tender than the other cuts (p<0.05). In fatty acid analysis,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fatty acid composition among 10 cuts only except for C16:1n7, C20:3n6, and C20:4n6 (p>0.05).

      • KCI등재

        국내산 육가공제품의 유형별 첨가물과 영양성분함량 및 표시실태 조사

        조수현,성필남,박범영,김진형,박은혜,하경희,이종문,김동훈,Cho, Soo-Hyun,Seong, Pil-Nam,Park, Beom-Young,Kim, Jin-Hyung,Park, Eun-Hea,Ha, Kyung-Hee,Lee, Jong-Moon,Kim, Dong-Hoo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국내육가공제품의 질적 향상 및 성분표시의 필요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국내 유통 중인 육가공제품 총 57종(햄 31종,소시지 26종)을 수거하여 성분을 조사 분석하였다. 현행 축산물가공기준 및 성분규격법의 표시규정에 따르면 육함량과 주종이 되는 첨가제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 국내 유통되고 있는 육가공제품 중 혼합프레스햄류, 돈육소시지류 및 분쇄육가공제품의 종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유형의 제품 내에서도 육, 지방, 칼로리,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함량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육함량, 단백질, 지방, 콜레스테롤 수준 및 칼로리 범위는 햄제품의 경우 75-98, 12-23, 1-16%, 7-50 mg/100g 및 1,620-3,127 cal/g이었고, 소시지 제품의 경우 60-96, 5-17, 3-27%, 5-73 mg/100g, and 1,271-3,546 cal/g이었다. 포화지방, 단가불포화지방 및 다가불포화지방 함량은 햄제품의 경우 31-40, 44-53 및 60-72%이었고 소시지 제품의 경우 17-38, 34-61 및 13-37%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육가공제품들에 대하여 영양성분 및 함량을 구분하여 명확하게 표시해 줌으로써 소비자들은 육제품 구입시 각자에 필요한 영양성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 받도록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제품별로 정확한 영양성분 정보 공개는 소비자의 알권리 충족 및 각자에게 적절한 식품선택 기회를 제공해 주고 또한 경쟁력 있는 육가공품 생산을 유도하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meat and non-meat ingredients, calorie,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s of processed meat products of which informations are being provided for consumer and partly required for the current labeling system in Korea. A total of sixty-one domestic processed meat products produced from 6 domestic meat companies were collected at the large supermarkets in Suwon city; 1) 31 ham products(3 loin hams, 6 press hams, 20 mixed press hams and 2 fish hams), 26 sausage products(15 pork sausages, 7 mixed sausages and 4 fish sausages) and 4 ground processed meat products. Soy protein and com starch were widely used as non-meat ingredients for the most of processed meat products. The contents of meat, protein, fat, cholesterol contents, and calories were 75-98, 12-23, 1-16%, 7-50 mg/100g, and 1,620-3,127 cal/g for ham products and 60-96, 5-17, 3-27%, 5-73 mg/100g, and 1,271-3,546 cal/g for sausage products, respectively. The saturated(SFA), monounsaturated(MU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contents of ham products were 31-40, 44-53 and 60-72%, and those of sausage products were 17-38, 34-61, and 13-37%, respectively. The ranges of meat contents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were considerably broad even in the same type of the meat products. Therefore, the labeling system of the nutritional facts for ham as well as sausage products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quality level and thus to give the nutritional information to consumer for better choice of products in market.

      • 무증상 고교 상지 거상 운동 선수의 견관절 초음파 소견

        조수현,조형래,이정수,김정우,Cho, Su Hyun,Cho, Hyung Lae,Lee, Jung Su,Kim, Jung Woo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5 No.2

        목적: 무증상 고교 상지 거상 운동 선수의 양측 견관절 초음파 소견을 알아보고 이를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33명(연령 $17.5{\pm}1.4$세)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최근 6개월간 견관절 통증이 없었던 남자 고교 야구 선수 13명과 남자 배구선수 10명을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 같은 연령대의 스포츠 활동을 하지 않는 고교 학생 10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우세수와 비우세수의 상완 이두건 장두와 극상건의 두께를 측정하고 0도 외전 상태에서의 견봉 상완 간격을 측정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 상 상지 거상 운동선수 23명 중 우세수에서 5명, 비우세수에서 1명에서 견봉하 점액낭의 삼출액이 관찰 되었으며 이는 무증상 대조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양 견관절의 상완 이두건 장두와 극상건의 두께, 견봉 상완 간격은 대조군 보다 운동선수에서 의미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또한 상지 거상 운동선수에서 상완 이두건과 극상건의 두께, 견봉 상완 간격은 비우세수에 비해 우세수에서 증가를 보였으나(P<0.05), 배구선수와 야구선수와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무증상 상지 거상 운동선수에서도 초음파상 견봉하 점액낭의 삼출액이 관찰될 수 있고 정상인보다 상지 거상 운동 선수에서 상완 이두건, 극상건의 두께가 더 두껍고 견봉 상완 간격이 증가되어 있었다. 이러한 소견은 상지 거상 운동선수의 견관절 질환의 초음파 진단 시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US) findings in both shoulders of asymptomatic high school overhead athletes and compare with healthy control. Materials and Methods: 33 individuals (age: $17.5{\pm}1.4$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recruited two groups of high school male athletes, 13 baseball and 10 volleyball players without shoulder pain for recent 6 months as well as one control group of 10 untrained healthy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age-matched. Ultrasound measurements of thickness of biceps and supraspinatus tendon and acromio-humral distance (AHD) at 0o abduction were taken in dominant and nondominant shoulders. Results: On US examination, subacromial bursa effusion was observed in 5 of the dominant shoulders and in 1 of the nondominant shoulder of 23 overhead athletes and in none of the asymptomatic controls. The thickness of the biceps and supraspinatus tendons and AHD in both shoulder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athletes than in the controls (P<0.05). We also found that the thickness of the biceps and supraspinatus tendon and AHD of the dominant shoulder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non-dominant shoulder in overhead athletes (P<0.05),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aseball and volleyball players. Conclusion: Subacromial effusion could be found even in the asymptomatic stage overhead athlete and the thickness of the biceps and supraspinatus tendons and AHD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overhead athletes than in the healthy controls. Our data is useful reference guide for the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shoulder pathologies occurring in overhead athletes.

      • SCIESCOPUSKCI등재

        1<sup>++</sup> 등급 거세한우의 부위별 이화학적 육질특성 및 영양성분조성

        조수현,김진형,성필남,조영무,정완태,박범영,정명옥,김동훈,이종문,안종남,Cho, S.H.,Kim, J.H.,Seong, P.N.,Cho, Y.M.,Chung, W.T.,Park, B.Y.,Chung, M.O.,Kim, D.H.,Lee, J.M.,Ahn, C.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8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properties of Hanwoo steer beef by different cut. Ten cuts [Abjin (short plate), Bosup (top sirloin), Cheggt (striploin), Dngsim (loin), Guri (chuck tender), Hongduke (eye of round), Moksim (chuck roll), Sulgit (bottom round), Udoon (top round), Yanaji (brisket)] prepared from 10 Hanwoo steers (28-30 months old)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range of pH was 5.46-5.64. In the chemical analysis, Hongduke contained highest protein contents (21.15%) and Dngsim had lowest protein contents (16.94%) (p<0.05). Fat contents were higher in Dngsim whereas those of Guri, Hongduke and Udoon were significantly lower when compared to the other cuts (p<0.05).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meat color (L, a and b values) properties only except that L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ngsim among 10 cuts (p<0.05). Cooking loss (%) was higher in Guri, Hongduke, Udoon and Yangji whereas it was significantly love. in Cheggt (p<0.05).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bjin $(6.24inch^2/kg)$, whereas Dngsim $(3.45inch^2/kg)$ and Cheggt $(3.50inch^2/k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cut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holding capacity (WHC) among 10 cuts (p>0.05).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ongduke (p<0.05). Hongduke was highest in most kinds of amino acids, however, Udoon had the highest methionine and histidine contents among 10 cuts (p<0.05). Glutamate contents were high in all cuts and followed by aspartate, leucine and lysin. With regard to mineral contents, Ca was ranged from 47.63-70.69 mg/kg and Fe was ranged from 15.09-26.68 mg/kg in 10 cuts. Zn was highly contained in Guri (50.56 mg/kg) when compared to the other cuts (p<0.05).

      • KCI등재

        홀스타인 거세육우의 출하시기에 따른 채끝, 꾸리, 홍두깨육의 이화학적 육질특성 및 지방산조성

        조수현,성필남,강근호,최순호,강선문,박경미,김영춘,권응기,박범영,Cho, Soohyun,Seong, Pilnam,Kang, Geunho,Choi, Soonho,Kang, Sun Moon,Park, Kyung Mi,Kim, Youngchun,Kwon, Eungki,Park, Beom Young 한국축산식품학회 201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3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riploin (m. longissimus dorsi), chuck tender (m. supraspinatus) and eye of round (m. semitendinosus) of Holstein steer beef produced from different fattening groups (18, 21, 24 mon-old).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triploin (9.14%) and eye of round (4.31%) from 24 mon-old groups when compared to the same cuts (6.53% and 2.63%) from 18 mon-old groups, respectively. Three muscles from 18 mon-ol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s (%) than those from the other groups (p<0.05). The prote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uck tender (19.39%) and eye of round (21.09%) from 24 mon-old group than 18- and 21 mon-old groups (p<0.05). The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llagen contents among three fattening groups. In meat color, striploin, chuck tender and eye of round from 21 mon-ol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IE $L^*$ (41.77), $a^*$ (20.98) and $b^*$ (10.87) values than those from the other groups (p<0.05). Warner-Bratzler shear force values (WBS) for three muscl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24 mon-old group than the other groups (p<0.05). The oleic acids (C18:1n9) contents of three muscles from 24 mon-old group were highest (p<0.05) among three groups. Total contents of MUFA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otal contents of PUFA including arachidonic acids (C20:4n6)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huck tender and eye of round muscles from 24 mon-old group (p<0.05).

      • KCI등재

        공동주택 건물의 상수도 절감량에 따른 CO<sub>2</sub> 배출량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조수현,강혜진,이언구,Cho, Su-Hyun,Kang, Hae-Jin,Rhee, Eon-Ku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31 No.5

        The current world wide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has moved from energy conservation to $CO_2$emission reduction. Recently,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demand for water resources, insufficient potable water circumstance is supposed, unless there are corresponding in crease in water conservation and water recycling.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CO_2$emission reduction by water saving strategies like installation water saving devices, rain water harvesting and grey water system. To do this, this research investigates applicable water conservative strategies by literature review and calculated total water saving. The results show that (1) firstly, the water usage and $CO_2$ emission could be reduced up to 44%, (2) $CO_2$ emission reduction by water saving devices and rainwater harvesting system is about 47.7%, and (3) water usage and $CO_2$ emission reduction by grey water system is about 66%. In the future, this paper will be utilized for water management from the early design stage to maintenance stage of water glutton building.

      • KCI등재

        바이노미얼 트리를 이용한 이동 에이전트의 빠른 전송

        조수현,김영학,Cho, Soo-Hyun,Kim, Young-Ha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9 No.3

        네트워크 환경이 좋아지고 인터넷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이동 에이전트(Mobile Agent) 기술이 정보검색, 네트워크관리, 전자상거래, 병렬/분산처리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 다수의 연구자들이 이동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한 병렬/분산처리 개념을 연구하고 있다. SPMD(Single Program Multiple Data)는 하나의 프로그램이 병렬환경에 참여하는 모든 컴퓨터에 전송되어 다른 자료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병렬처리 방법이다. 따라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모든 컴퓨터에 빠르게 전송하는 것은 전체 수행시간을 줄이기 위한 주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으로 구성된 병렬환경에서 SPMD의 병렬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바이노미얼 트리를 이용하여 하나의 이동 에이전트 코드를 모든 컴퓨터에 빠르게 전송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IBM's Aglets에서 실험적 평가를 통하여 다른 방법과 비교되었으며 다른 방법에 비해서 상당히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본 문에서는 바이노미얼 트리에서 에이전트 전송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결함허용에 관한 문제를 다룬다. As network environments have been improved and the use of internet has been increased, mobile agent technologies are widely used in the fields of information retrieval, network management, electronic commerce, and parallel/distributed processing. Recently, a lot of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concepts of parallel/distributed processing based on mobile agents. SPMD is the parallel processing method which transmits a program to all the computers participated in parallel environment, and performs a work with different data. Therefore, to transmit fast a program to all the computers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o reduce total execution time.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parallel environment consisting of mobile agents system, and propose a new method which transmits fast a mobile agent code to all the computers using binomial trees in order to efficiently perform the SPMD parallel processing.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another ones through experimental evaluation on the IBM's Aglets, and gets greatly better performance. Also this paper deals with fault tolerances which can be occurred in transmitting a mobile agent using binomial trees.

      • KCI등재

        Therapeutic Effect of Low Level Laser Therapy on the Trigger Points

        조수현,박준상,고명연,Cho, Soo-Hyun,Park, June-Sang,Ko, Myung-Yun Th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 2000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25 No.3

        구강안면통증환자에서 저출력 레이저의 임상 효과는 많은 임상가에 의해 연구되었으나 그 결과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시행하여 구강안면부위의 발통점에 대한 저출력 레이저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저작근 중 교근, 측두근과 경부근육 중 승모근에 발통점을 가진 부산대학교 치과대학생 69명중 37명은 레이저 조사군, 32명은 레이저 모의 조사군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여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를 평가하였다. 둘째 방법으로 동일 근육에 발통점이 있는 19명의 환자와 발통점이 전혀 없는 20명의 정상인을 무작위로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을 다시 레이저 조사군과 모의 조사군으로 나누어 실제 저출력 레이저의 치료효과와 위약효과를 평가하였다. 50mW, 820nm의 GaAlAs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첫 주는 2회, 이후 3주 동안 각 1회씩 총 5회를 조사하였고, 레이저 모의 조사군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치료반응은 전자통각계를 이용하여 압력통각역치를 치료 전, 치료 2주 및 4주에 측정하여 이를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레이저 조사군의 각 근육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치료 2주 후부터 유의하게 높아졌으며(P<0.05), 모의 조사군과의 차이는 이후 점점 더 증가하였다(P<0.001). 모의 조사군에서는 압력통각역치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2. 레이저 조사-환자군에서 측정한 압력통각역치는 레이저 모의조사-환자군의 압력통각역치보다 그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P<0.05). 정상 대조군은 레이저 조사와 관계없이 압력통각역치에 유의성이 없었다. 3. 약간의 위약 반응이 레이저 모의조사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에서 관찰되나, 레이저 조사 환자군의 실제 레이저 치료효과가 위약 반응보다 우세하였다.

      • KCI등재

        한우고기와 뉴질랜드산 냉장수입육의 육질 및 영양성분 비교

        조수현,강근호,성필남,박범영,정석근,강선문,김영춘,김지희,김동훈,Cho, Soo-Hyun,Kang, Geun-Ho,Seong, Pil-Nam,Park, Beom-Young,Jung, Seok-Geun,Kang, Sun-Moon,Kim, Young-Chun,Kim, Ji-Hee,Kim, Dong-Hun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6

        본 연구에서 거세한우(26-28개월) $1^+$, 1 등급육과 뉴질랜드산 냉장수입 육우로부터 채끝, 등심, 우둔, 꾸리부위를 공시시료로 이용하여 일반성분, 육색, 전단력, 가열감량,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및 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부위 모두 단백질 및 수분함량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반대로 근내지방함량은 뉴질랜드산 채끝, 등심, 꾸리부위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과 비교했을 때 채끝과 홍두깨 부위의 $L^*$값(백색도)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꾸리 부위의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전단력은 채끝, 등심, 홍두깨 부위에서는 원산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꾸리부위에서는 한우고기 $1^+$, 1 등급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전단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보다 4개 부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가열감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C18:0 및 C18:3n3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C16:1n7 및 C18:1n9 지방산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특히 C18:2n6 지방산은 한우고기 $1^+$ 등급육이 4개 부위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포화지방산(SF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에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한편 n-3 계열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아미노산 조성에서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lysine, histidine 함량은 채끝, 등심, 꾸리 및 홍두깨 부위 모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Cystein, arginine과 proline 함량도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채끝과 등심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무기물 조성 비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채끝부위의 Ca 함량과 홍두깨 부위의 Zn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던 반면에 한우고기 1 등급육은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채끝과 꾸리 부위에서 Fe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한우육과 뉴질랜드산 수입흑우육은 부위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한우육은 근내지방과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고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흑우육은 한우육보다 유통경로상 냉장숙성기간이 더 길었으나 전단력 수치를 비교한 결과 등심, 채끝등심, 홍두깨 부위의 연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우고기는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근내지방함량이 높고 특히 단일불포화지방산함량이 높았으며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높았다. 또한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수입육 유통경로상 한우육보다 숙성기간이 더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단력 분석결과 등심, 채끝등심 및 홍두깨 부위의 연도에 있어서 한우육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열감량이 적어 한우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숙성효과 및 육질이 우수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meat color,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cooking loss (CL), fatty acids composition, amino acid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of Hanwoo beef (QG $1^+$, 1) and imported New Zealand black Angus beef with loin, strip loin, eye of round and chuck tender. The intramuscular fat contents were higher in the strip loin, loin and chuck tender of Hanwoo beef than New Zealand beef (p<0.05). Hanwoo QG 1 beef had higher Fe contents in the strip loin (30.52 mg/100g) and chuck tender (40.70 mg/100g) (p<0.05). Hanwoo beef had lower cooking loss and than those of New Zealand beef, whereas New Zealand beef had higher protein and amino acids contents (%) than their counterpar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BS between two origin samples except the chuck Hanwoo beef had significantly lower saturated fatty acids (SFA) and higher monounsaturated fatty acids contents than New Zealand beef (p<0.05). WBS values indicated that Hanwoo and New Zealand beef had similar tenderness in the loin, striploin and eye of round due to the longer aging periods of the New Zealand beef than Hanwoo beef during the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