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느릅나무에서 추출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황태혁,이효정,강동민,문경미,유재철,안미정,문동규,우동균 한국생명과학회 2023 생명과학회지 Vol.33 No.2

        자외선으로 야기되는 피부조직의 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멜라닌세포는 멜라닌 색소를 생산한다. 이러한 멜라닌 생성에는 tyrosinase 효소가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과다한 멜라닌 생성은 피부조직에 주근깨와 검버섯 등의 과다 색소침착 병변을 일으킨다. 따라서 tyrosinase 발현이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과도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발굴하는 것은 임상적인 의미가 있다. Catechin은 tyrosinase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화합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B16F10 마우스 흑색종 세포주와 버섯에서 추출된 tyrosinase를 사용하여, 참느릅나무의 줄기 껍질에서 추출 및 동정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C5A, C7A, C7G, 및 C7X)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능을 검증하였다. 먼저, B16F10 세포주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의 catechin 유도체 화합물 처리는, 모두α-MSH로 촉진된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였다.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의 이러한 효능은 멜라닌 생합성 저해제로 잘 알려진 kojic acid와 비슷한 수준이였다. 또한, C5A와 C7A는 버섯에서 추출된 tyrosinase의 효소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컴퓨터 분석을 통해 C5A와 C7A는 kojic acid와 유사한 수준으로 tyrosinase의 active site에 결합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더하여, 4종류의 catechin 유도체 화합물 모두가 α-MSH 처리된B16F10 세포주에서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참느릅나무에서 추출/동정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은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이러한 catechin 유도체 화합물이 피부의 과다 색소침착 질환 제어를 위한 새로운 조절 물질로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 견갑골 극관절와 결절종의 관절경하 감압술

        황태혁,왕태현,조형래,김근영,Hwang, Tae Hyok,Wang, Tae Hyun,Cho, Hyung Lae,Kim, Keun Young 대한관절경학회 201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5 No.2

        목적: 견갑골 극관절와 결절종에 대한 관절경하 감압술의 술기와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견관절 극관절와 결절종에 대해 관절경하 감압술을 시행한 8예(남자 7명, 여자 1명; 평균 연령 40.6세; 범위 21~61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가장 흔한 증상은 평균 6.4개월(범위: 3~8개월)가량 지속된 환측 견관절의 외회전 근력 약화와 모호한 동통이었다. 근전도 검사 상 총 8예중 5예에서 견갑상 신경의 이상소견을 보였으며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전 예에서 평균 2.6 cm(범위 1.8~3.6 cm)의 극관절와 결절종이 관찰되었다. 관절경 소견 상 모든 예에서 후상방 관절순의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관절경하 후상방 관절낭 절개술을 통해 감압술을 시행하였고 6예에서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와 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Constant 점수 및 단순 견관절 검사를 포함한 임상적 점수는 최종 추시 상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수술과 관련된 특이한 합병증은 없었다. 근전도 검사 상 이상 소견을 보인 예를 포함한 전 예에서 등속성 근력 측정 상 외회전 근력의 회복소견을 보였다. 전 예에서 술 후 평균 5.2개월(범위: 3~12개월)에 촬영한 자기공명영 검사에서 결절종의 소실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평균 18개월(범위: 12~26개월)의 추시기간 중 재발의 증거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견갑골 극관절와 결절종에서 관절경하 감압술을 시행하여 유의한 기능적 회복을 얻었으며 전 예에서 술 후 자기공명영상 검사 상 결절종의 소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관절경하 감압술은 동반된 관절와 순 병변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며 이를 통해 결절종의 재발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describe a all-arthroscopic technique for decompression of spinoglenoid ganglion cyst and present our clinical results for this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June 2009, eight patients (7 males, 1 female; mean age 40.6 years; range: 21~61) were included who underwent arthroscopic decompression of spinoglenoid ganglion cyst. The most common symptoms were vague shoulder pain and external rotation weakness, which lasted 6.4 months (range: 3~8) on average. Five of eight patients were noted abnormalities on electromyographic (EMG) examination to have suprascapular nerve neuropat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spinoglenoid ganglion cysts in all eight patients and the cyst size was 2.6 cm (range: 1.8~3.6). Labral pathology was identified intraoperatively in all patients and the cysts were decompressed by the posterosuperior capsulotomy under arthroscopic control and labral repair with suture anchors was performed in six patients. Results: The average clinical outcome scores including Constant and Murley, Simple shoulder test (SST) all improved significantly at the time of the final follow-up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resulting from the procedures. All patients including the patients with abnormal EMG study recovered strength on isokinetic strength testing. Follow-up MRI scans were performed on all patients at a mean of 5.2 months postoperatively (range: 3~12) revealed complete resolution of the cysts and no evidence of recurrences were seen at an average of 18 months (range: 12~26) of follow-up. Conclusion: Arthroscopic decompression of spinoglenoid ganglion cyst effectively restores patient function and all patients in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 in their postoperative MRI findings. Arthroscopic decompression is also useful in the appropriate treatment for labral pathology and may contribute to decreased risk of cyst recurrence.

      • 중학교 야구선수에서 시행한 주관절 초음파 검사의 결과

        황태혁,조형래,왕태현,진홍기,Hwang, Tae Hyok,Cho, Hyung Lae,Wang, Tae Hyun,Jin, Hong Ki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7 No.2

        목적: 중학교 야구 선수의 단체 검진에서 확인된 주관절 초음파 검사의 이상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4개의 중학교 야구부를 방문하여 주관절 통증 유무에 상관없이 총 93명의 선수(나이: 12~15세, 평균: 13.5세)에게 양측 주관절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는 양측 주관절의 내측과 전외측을 검사하여 각각 내상과 골단의 분리나 분절, 소두 박리성 골연골염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주관절 통증 유무, 이학적 검사 소견과 초음파 이상 소견의 관계 및 투수와 일반 야수들의 초음파 소견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총 93명의 선수 중 36명(39%)에서 우세수의 초음파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내상과 골단 분리 또는 분절이 30명, 주두 박리성 골연골염은 2명, 두 병변 모두가 동반된 경우가 4명 이었다. 주관절 통증이 있는 37명 중 29명(78%)에서 초음파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학적 검사 상 내상과 골단 이상은 내측부 압통(59%), 외반 부하검사(52%)에서 양성을 보였으며 박리성 골연골염을 보이는 6명 중 5명(83%)에서 $5^{\circ}$이상의 주관절 굴곡 구축이 있었다. 내상과 골단 이상은 투수와 야수에서 진단 빈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박리성 골연골염은 투수에 많았다(p<0.05). 결론: 주관절 초음파 검사는 현장에서 시행할 수 있는 유용한 선별 검사이며 청소년 야구 주관절 통증의 주 원인이 되는 주관절 내상과 골단의 이상이나 박리성 골연골염을 조기 발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the elbows on group screening of middle school baseball players. Materials and Methods: Ninety-three players (age: 12-15, mean 13.5 years) of four middle school baseball team were evaluated with bilateral elbow ultrasonographies in the field regardless of elbow pain. Medial and anterolateral ultrasound examination of the both elbow were performed in the field to detect any abnormalities including medial epicondylar separation or fragmentation and capitellar osteochondritis dissecans respectivel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elbow pain, physical findings and sonographic abnormalities and the differences of sonographic abnormalities between pitchers and fielders. Results: Thirty-six of 93 (39%) players had sonographic abnormalities of elbow in dominant arm, 30 with medial epicondylar apophyseal separation or fragmentation, 2 with osteochondritis dissecans, 4 with both lesions. Twenty-nine of 37 (78%) players with elbow pain had sonographic abnormalities. On physical examination, players with medial epicondylar abnormalities had medial epicondylar tenderness (59%) and pain on valgus stress test (52%), and 5 of 6 (83%) players with osteochondritis dissecans showed flexion contracture more than $5^{\circ}$. The incidence of medial epicondylar abnormalities between pitchers and fielders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but osteochondritis dissecans was more prevalent in pitchers (p<0.05). Conclusion: Elbow sonography is a simple and useful screening tool in the field and also effective for early detection of medial epicondylar abnormalities or osteochondritis dissecans that could be the main causes of elbow pain in adolescent baseball players.

      • KCI등재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근위 상완골 골절

        황태혁(Tae Hyok Hwang),조형래(Hyung Lae Cho),왕태현(Tae Hyun Wang),양희순(Hui Sun Yang)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6 No.2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동반된 근위 상완골 골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으로 진단된 20세 남자로 가벼운 외상 후 발생한 우측 견관절의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로 내원하였다. 수상측 주관절부에는 큰 망상형 신경 섬유종들이 있었으며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 병변이었다. 단순 방사선과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 상 상완골과 견갑골의 골성 변형을 보였고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상 삼각근과 회전근 개에 다발성 신경 섬유종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관혈적 정복술 및 관절막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근위 상완골 골절은 재건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골유합과 만족스런 기능 회복을 보였으며 수술 후 7개월 추시 상 견관절 탈구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견관절 재발성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은 드문 합병증이나 질환의 정형외과적 접근 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report a case of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nd combined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A twenty-year-old male patient with known neurofibromatosis type I presented with right shoulder dislocation and proximal humerus fracture following a minor trauma. His injured arm also had large plexiform neurofibromas on the elbow, and the dislocation of the shoulder joint was proven to be recurrent. Bony deformation of the humerus and scapula were revealed on X-ray and computed tomography, as well as multiple neurofibromatic changes of the deltoid and periscapular muscles were not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pen reduction and capsular reconstruction were performed and humeral fracture was stabilized with a reconstruction plate. Satisfactory union and functional result were achieved and the dislocation did not recur until the 7-month followup after the procedure.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nd combined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are rare complications. However, it should still be considered in the orthopaedic evaluation process of the diseases.

      • KCI등재

        30세 이하 현역 국군 장병에서 발생한 단독 반월 연골판 파열의 관절경 소견에 따른 특징

        황태혁 ( Tae Hyok Hwang ),박기봉 ( Ki Bong Park ),김덕희 ( Duc Hee Kim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6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4 No.1

        Meniscal tears are a common source of knee pain in military personnel.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rthroscopic findings of isolated meniscal tears in soldiers younger than 30 years of age. Between May 2011 and April 2014, a total of 36 soldiers with 37 knees who underwent arthroscopic surgeries for isolated meniscal tea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were male soldiers and average age was 22 years (range, 19 to 30 years). Thirty patients (83%) were identified as having trauma in sports activity or military training, but no definite trauma was documented in six patients. We analyzed whether medial or lateral meniscus, the location and type of tear according to the arthroscopic findings. The incidence of meniscal tears was nearly same for both knees (right 18 and left 19). Twentysix of 37 tears (70%) were found in the lateral meniscus and 11 (30%) in the medial meniscus. Twenty-five tears (68%) were located in mid body and traumatic vertical type tears (65%) were more common than degenerative horizontal type tears (35%). Although our study based on relatively small cohort, isolated meniscal tears in young soldiers were usually resulted from trauma such as sports or ranger training and commonly located in lateral meniscus. Regarding the type of tear, traumatic vertical type was more common than degenerative horizontal type.

      • KCI등재

        야구 선수에서 척측 측부 인대 손상의중력 외반 부하 초음파 검사

        황태혁 ( Tae Hyok Hwang ),조형래 ( Hyung Lae Cho ),김형민 ( Hyoung Min Kim ),박기봉 ( Ki Bong Park ),조홍 ( Hong Jo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5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gravity valgus stress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ulnar collateral ligament (UCL) injury among baseball players. Twenty-eight (age, 16.30; mean, 19.5 years) UCL injured players, diagnosed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examined by bilateral elbow ultrasonography. On MRI findings, partial and complete tears were 17 and 11 players, respectively. Ultrasonograph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in 90 degree elbow flexion with gravity valgus stress, and abnormalities around UCL and ulnohumeral distance were compared with contralateral uninjured elbow. 22 of 28 (79%) players had sonographic abnormalities in injured elbow such as thickening, wavy contour of the UCL (32%), hypoechoic foci in the ligament (43%), osteophyte on trochlearor ulnar articular margin (36%), joint effusion (29%) and ossicles in or around the UCL (68%) that were the most common finding in both partial and complete tears. In all players, the ulnohumeral distance was significantly wider on the injured side than it was on the uninjured side (4.0±1.5 mm and 2.5±0.43 mm, respectively; p=0.015). Significant increased average ulnohumeral distance in injured elbow was observed with complete UCL tears compared with partial tears (5.4±0.9 mm and 3.1±0.8 mm, respectively; p=0.021) and the mean difference between injured and uninjured elbow was more significant in complete tears than partial tears (2.8±1.2 mm and 0.7±0.6 mm, respectively; p=0.012). Gravity valgus stress ultrasonography is rapid noninvasive diagnostic tool and can provide clinicians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the condition of the UCL and medial elbow laxity in partial and complete UCL tear players.

      • KCI등재후보

        소아에서 발생한 전거비 인대 거골 부착부 견열 골절(1예 보고)

        조형래,황태혁,왕태현,김근영,Cho, Hyung-Lae,Hwang, Tae-Hyok,Wang, Tae-Hyun,Kim, Keun-You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5 No.3

        Inversion injury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is very common. Few studies, however, have focused on avulsion fracture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s. A fracture producing a small fragment usually avulsed from lateral malleolus and may be easily misdiagnosed as a sprain because the fragment is superimposed on the lateral malleolus and goes undetected on early radiographs, especially in skeletally immature patients. We present a case of isolated avulsion fracture of the talar attachment of the 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in 13-year-old male patient. Diagnosis was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avulsed fragment was fixed to original talar footprint with suture anchors. A high level of suspicion must be maintained to obtain an accurate diagnosis of avulsion fracture in inversion ankle injury because of the high incidence in children and to prevent recurrent instability.

      • 사지에 발생한 거대 지방육종

        강신택,황태혁,박범석,김대중,신향미,Kang, Shin-Taek,Hwang, Tae-Hyok,Park, Boem-Soek,Kim, Tae-Jung,Shin, Hwang-Mi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8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4 No.2

        지방육종은 연부 조직 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주로 5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사지에서 발생할 경우 근위부에서 발생한다. 저자들은 67세 남자의 좌측 대퇴부의 거대 지방육종을 변연절제술을 이용한 종양 적출술로 치료하였다. 다른 부위로의 전이는 없었으며, 종양은 변연절제에 의해 성공적으로 적출 하였으며, 종양적출 후 6개월간 재발하지 않았다. 환자의 신장은 153 cm이며, 체중은 43 kg인데 반하여 종양은 $34{\times}20{\times}9\;cm$, 2.82 kg이였다. 환자의 신장과 체중에 비하여 종양은 매우 거대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상 잘 분화된 지방육종(well-differentiated liposarcoma)으로 판명되었다. 저자들은 조직학적 분화도와 크기에 관련된 증례가 많지 않고 이에 따른 치료 방법이 명확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변연절제를 이용한 종양 적출술로 치료한 잘 분화된 거대지방육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t is well understood that liposarcoma is most common in soft tissue sarcomas. It usually develop proximally in the extremities and most patients are older than 50 years. We report a case of huge liposarcoma which develop on left thigh of 67-year-old man. There was no evidence of metastasis and the tumor was successfully removed by marginal resection. Patient's height is 153 cm and weight is 43 kg, but the tumor's size is $34{\times}20{\times}9\;cm$ and weight is 2.82 kg. The Mass is severely huge in compare with patient's height and weight. But, There are few report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umor-size and pathologic differentiation. 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s a well differentiated liposarcoma. The patient is still asymptomatic at 6-months follow up.

      • 만성 불응성 외 상과염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

        구정회,황태혁,이정수,조형래,김정우,Ku, Jung Hoei,Hwang, Tae Hyok,Lee, Jung Su,Cho, Hyung Lae,Kim, Jung Woo 대한관절경학회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목적: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불응성 주관절 외 상과염에 대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의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주관절 외 상과염으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을 시행 받은 환자 24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술 후 환자 자신의 평가, visual analog scale (VAS) 점수, Quick-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점수와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술 전 인자를 평가하였다. 결과: 21예(88%)에서 술 후 결과에 만족 하였고 평균 VAS 점수와 Quick-DASH 점수는 최종 추시 상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 나이, 성별, 우세수 여부, 증상 이환 기간, 관절낭 파열이나 석회 침착유무는 임상적 결과와 상당한 인과 관계가 없었다. 술 전 자기 공명 영상 T2강조 영상 상 단 요 수근 신건 기시부에 고강도 신호부가 없는 4예 중 3예에서 보다 높은 Quick-DASH 점수를 보였다. 결론: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불응성 주관절 외 상과염에 대한 관절경적 단 요 수근 신건 유리술은 유용한 치료법 중 하나이며 술 전 자기공명영상 T2강조 영상에서 고강도 신호부가 없는 경우는 술 후 불량한 결과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수술 적응 시 고려해야 할 요소로 사료된다.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outcome of arthroscopic release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ECRB) tendon in chronic recalcitrant lateral epicondylitis and tried to determine any prognostic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24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treated by arthroscopic ECRB release was performed. Outcome measures included a patient self rating and visual analog scale (VAS). Functional evaluation was made with Quick-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system to identify preoperative factors that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outcomes. Results: Twenty one (88%) elbows received benefit from the procedure. A mean preoperative VAS pain score and the mean Quick-DASH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final follow up. Age, sex, dominant arm and duration of symptom, presence of capsular tear or calcification did no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clinical outcome. Three of four patients without T2-weighted high signal focus of the ECRB origin on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howed higher Quick-DASH score. Conclusion: Arthroscopic release of the ECRB is an effective option for chronic recalcitrant lateral epicondylitis. Lack of high signal focus on preoperative MRI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poor surgical outcome and a considerable factor for the proper surgical indic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