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장년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

        정홍인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etween the successful aging-related predictive factors and the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 aged office.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ch a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confirmed by the existing literatu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middle aged office employees, who are generally defined an age group from 40 to 60.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argeted to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registered to securities, KSDAQ, and KONEX in Korea. SPSS WIN 23.0 and AMOS 21.0, and M-plus 6.12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elow. First,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was appropriate as RMSEA=.059, TLI=.932, CFI=.944. Seco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successful aging but cognitive function and self-esteem were not significant. Third, social support, which is a social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othe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장년에게 있어 성공적 노화의 예측요인으로 입증된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중장년에게 의미있는 성공적 노화의 선행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대표변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를 상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O(http://kind.krt.co.kr)에 등록된 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1.0, M-plu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형의 적합도는 RMSEA=.059, TLI=.932, CFI=.944로 적합도 지수의 기준값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사회적지지만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나 인지기능과 자아존중감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중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중장년의 성공적 노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성공적 노화에 있어 기존 선행연구와 배치되는 결과이며 생애주기에 따라 성공적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름을 시사한다. 즉, 중장년은 사회적 관계망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며, 일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과 의미를 확립하고 있음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를 촉진시키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상황적 맥락이 반영된 중장년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의 모형을 탐색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Lifelong Learning Policies in Korea: Central Administration in 2018

        정홍인,김은비,조대연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6

        The first Lifelong Education Long-term Promotion Plan (2003 ~ 2007) was established in Korea in 2002. Recently, the fourth plan (2018 ~ 2022) has been announced, and various policies are being formulated to promote lifelong learning for all citizens.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national lifelong education, we reviewed the policy projects of 18 central departments in 2018, and looked into the central budget and major promotion departments’ budgets, among other policy budgets, for the six areas specified in the Lifelong Education Act. According to our analysis, in 2018, a budget of 7.1 trillion KRW—2.03% of the total departmental budget—was organized for the project of 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of projects targeting specific groups, the highest budgets were earmarked for low-income groups. Based on this expenditure plan, the future tasks of the lifelong education policy industry are laid out.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 생애단계별 미래인재 필요역량 및 우선순위 역량 도출

        정홍인,조대연,최지수,이종민,장은하,강현주 한국평생교육학회 2018 평생교육학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quired and priority competencies for future talent at life stages—from childhood to middle-aged adults—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our research team analyzed the extant literature review of future competencies published between 2013 and 2018, and drew 35 competencies. Based on the three-round Delphi technique, the 27 future competencies were finalized, and we confirmed the required competencies at each life stage (16 competencies for childhood, 25 competencies for teenagers, 26 competencies for youths, 23 competencies for middle-aged groups). Nex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iority competencies at each life stage were drawn: four competencies for childhood, fourteen competencies for teenagers, ten competencies for youth, and eight competencies for middle-aged adults. We found that integrative thinking as the top priority competency should be commonly fostered over the lifespan and emphasized. We also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전 생애적 관점에서 미래사회 인재의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각 생애단계별(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중장년기) 필요역량과 우선순위 역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5년 간(2013년∼2018년) 국내외 미래역량관련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연구진 회의 및 전문가 자문 결과를 반영하여 35개의 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35개의 역량을 토대로 3차에 걸친 생애단계별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 27개의 미래역량 확정 및 각 단계별 필요역량과 우선순위 역량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7개 중 아동기 16개, 청소년기 25개, 청년기 26개, 중장년기 23개 역량이 필요역량으로 나타났다. 아동기에 갖춰야 할 역량은 16개로 가장 적은 반면, 청소년기와 청년기는 각각 25개, 26개로 제시된 27개 미래역량 중 1, 2개를 제외하고 모든 역량을 골고루 갖추어야 하는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각 단계별 우선순위 역량을 분석한 결과 아동기는 4개, 청소년기는 14개, 청년기는 10개, 중장년기는 8개로 필요역량과 유사하게 청소년기와 청년기에 가장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역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아동기부터 중장년기까지 4단계 모두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역량은 통합적 사고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방 대학생의 일의 의미, 학습민첩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홍인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3 휴먼웨어 연구 Vol.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factors that can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he meaning of work, learning ag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region, and a total of 13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26.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as th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meaning of work is perceiv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re more likely to occur, and learning agility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learning agilit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work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ways to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후보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동적 비례 그리드 방법의 응용 - 웹과 홈네트워크 메인 화면 사례를 중심으로 -

        정홍인,김미영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3

        )웹과 네트워크 관련 기술은 계속해서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이 예견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 따라 웹 디자인과 사용자의.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도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이나 웹 디자인에 있어서 레이아웃은 전체디자인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기 위해 화면을 구분하고구성요소의 배열 방법을 결정하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 구성요소의 배열방법에 있어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은 고대 그리스의 건축물과 예술품에서 자주 등장하는황금분할과 같은 동적 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일 것이다.조형적으로 균형미와 안정감을 주는 직사각형의 높이와밑변의 비율은 유리수가 아닌 무리수로 나타나게 되는데,이와 같은 동적 비율을 고대그리스 사람들은 건축 예술,품 등에 응용했고 그 이후에도 동적비율은 비전 돼( )秘傳중세에 이르러서는 여러 분야에 활용되었다 동적 비율.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황금비율의 경우 자연계의 현상을잘 설명한다고 알려진 피보나치 수열의 연속되는 수의 비율에서도 나타나며 황금분할 로도 일컬어(golden section)지고 있다 황금분할과 같은 동적 비율은 다양한 곳에서.적용되고 있지만 아직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활발하게적용되지는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레이아.웃 디자인과 홈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동적 비례를 이용하는 그리드 방법을 실제로 적용하여 보고 인터페이스의 레이아웃 디자인에 있어 동적비례의 적용가능성을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