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형-핀 열교환기 분배면의 유동 가시화 연구

        정태식(Tae-Sik Jeong),박승하(Seung-Ha Park),김창수(Chang-Su Kim),김형범(Hyoung-Bum Kim)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12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Vol.10 No.3

        Plate-fin heat exchanger is a kind of compact heat exchangers with a good performance in heat transfer.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engineering fields such as aerospace, chemical and biomedical industri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low visualization study were performed using the water model of commercial plate-fin heat exchanger with header angles of 30˚. The Reynolds number was 100. Conventional digital particle image velocimetry was used to measure the instantaneous velocity fields of the header region and the flow visualization using dye injection and hydrogen bubble method were applied to capture the qualitative flow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e existence of separation flow region at the junction area and the bottom wall of the exit region.

      • KCI등재

        원심 블로어 입구 유동의 정량적 가시화 연구

        정태식(Tae-Sik Jeong),도흔승(Xin Cheng Tu),김성준(Sung-Jun Kim),장환영(Hwan-Young Jang),김진광(Jin-Kwang Kim),김형범(Hyoung-Bum Kim) 한국가시화정보학회 2013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Vol.11 No.2

        The inlet flow of centrifugal blower were quantitatively visualized using particle image velocimetry. Because the centrifugal blower system is one of the key parts of EV battery cooling system,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of flow field of centrifugal blower is important to design and optimize the cooling system. Two types of inlet parts were used in this study. One is the straight inlet and the other is a bended one. The results showed the flow asymmetry exists in the straight model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in the blower. In case of the bended one, the separation bubble and the increase of head loss appeared compared with the straight model.

      • SCOPUSKCI등재

        선량 및 선량률 변화에 따른 말초혈액 임파구의 염색체 이상의 빈도

        정태식(Tae Sik Jeong),백흠만(Heum Man Baek),신병철(Byung Chul Shin),문창우(Chang Woo Moon),김미향(Mi Hyang Kim),이용환(Yong Hwan Lee),염하용(Ha Yong Yu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 적 : X- 선 조사 후 이동원 염색체와 환형 염색체의 빈도가 피폭 선량과 비례하는지를 확인하고, X-선 조사시 선량률의 변화가 생물학적 선량 측정에 영향을 주는지를 찾아서 보정인자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8세의 건강한 성인남자에서 2회에 걸쳐 각각 16 ml와 18 ml의 전혈을 정맥으로부터 무균채취하여 이미 해파린(heprin) 처리되어 있는 10 ml의 vacutainer (삼화공사, 한국)에 2 ml씩 분주하였다. 분주한 혈액 시료를 1개는 정상대조 군으로 16개는 실험 군으로 총 17개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방사선 조사는 조사야 10×10 cm2로 분당 240 cGy 의 일정한 선량률로 50, 100, 200, 300, 400, 600, 800cGy의 선량을 각 1회 조사하였다. 나머지 9개의 실험 군은 동일한 선량(400 cGy)에서 선량률 변화만 주어 20, 40, 60, 80, 100, 160, 240, 320, 400 cGy/min의 각 선량률로 1회 조사하였다. 관찰 시 염색체의 개수가 46±2개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염색체의 밀도나 염색체 형태가 염색체 이상 빈도 확인에 적합한지 확인한 후 해당되는 경우에 한해서만 계측하였다. 각 표본에서 최소 50개의 림프구를 관찰하려고 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를 이용하여 평균값비교와 회귀곡선의 기울기 값을 구하였다. 결 과 : 방사선 조사된 림프구의 관찰된 총 수에 대한 염색체 이상을 가진 림프구의 비율(yield)은 선량이 50, 100, 200, 300, 400, 600, 800 cGy일 때 각각 0, 9, 20, 27, 55, 88, 100%이었다. 선량변화에 따른 염색체 이상(이동원 및 환형 염색체)의 평균빈도는 50, 100, 200, 300, 400, 600, 800 cGy일 때 각각 0.000, 0.093, 0.200, 0.364, 0.612, 2.040, 2.846이었다. 관찰된 총림프구에서 이동원 염색체와 환형 염색체의 빈도(Ydr)는 선량이 50, 100, 200, 300, 400, 600, 800 cGy일 때 각각 0.000, 0.093, 0.200, 0.364, 0.613, 2.040, 2.846이었다. 방사선량과 Ydr의 관계는 Ydr=αD+βD2에 의한 Liner- quadratic model을 따를 때 Ydr=0.188×10- 2×D/Gy+0.422×10- 4/Gy2×D2로 나타났다. 이동원 염색체와 환형 염색체 이상을 가지는 림프구에서 이동원 염색체와 환형 염색체의 빈도(Qdr)는 50, 100, 200, 300, 400, 600, 800의 선량일 때 각각 0.000, 1.000, 1.000, 1.333, 1.118, 2.318, 2.846 이었으며 이는 앞의 Ydr값으로부터 구한 값과 거의 일치하였다. 선량 율을 각각 20, 40, 60, 80, 100, 160, 240, 320, 400 cGy/min으로 달리하여 총 선량을 400 cGy를 각각 조사했을 때 임파구에서 나타난 염색체이상(이동원, 환형, 무동원체단편 염색체)의 빈도의 차는 없었다. 결 론 : 방사선의 급성 피폭에 의한 손상은 선량률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며 대부분 피폭된 총 선량에 의해 좌우된다. 염색체 이상을 이용한 생물학적 선량측정방법은 피폭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교적 규칙적으로 증가하므로 피폭 선량 측정을 위한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일회 피폭인 급성 피폭 시는 선량률 변화가 보정인자로써 작용하지는 않았다. Purpose : It was stud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 dose, dose rate and the frequency of chromosomal aberrations in peripheral lymphocytes. Methods and Materials : Peripheral lymphocytes were irradiated in vitro with 6 MeV X- ray at dose ranges from 50 cGy to 800 cGy. The variations of the frequency of chromosomal aberrations were observed according to different radiation dose rate from 20 cGy/min to 400 cGy/min at constant total dose of 400 cGy which it was considered as factor to correct biological radiation dose measurement. Results :The yields of lymphocytes with chromosomal aberrations (dicentric chromosome, ring chromosome, acentric fragment pairs) are 0% at 50 cGy, 9% at 100 cGy, 20% at 200 cGy, 27% at 300 cGy, 55% at 400 cGy, 88% at 600 cGy, and 100% at 800 cGy. The value of Ydr is 0.000 at 50 cGy, 0.093 at 100 cGy, 0.200 at 200 cGy, 0.364 at 300 cGy, 0.612 at 400 cGy, 2.040 at 600 cGy, and 2.846 at 800 cGy.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 (D) and the frequency of dicentric chromosomes and ring chromosomes (Ydr) can be expressed as Ydr=0.188×10- 2/Gy×D+0.422×10- 4/Gy2×D2 . The value of Qdr is 0.000 at 50 cGy, 1.000 at 100 cGy, 1.000 at 200 cGy, 1.333 at 300 cGy, 1.118 at 400 cGy, 2.318 at 600 cGy, and 2.846 at 800 cGy. When 400 cGy is irradiated with different dose rate each of 20, 40, 60, 80, 100, 160, 240, 320, and 400 cGy/min, Ydr is each of 0.982, 0.837, 0.860, 0.732, 0.763, 0.966, 0.909, 1.006, and 0.806, and Qdr is each of 1.839, 1.565, 1.654, 1.333, 1.381, 1.750, 1.6000, 1.710, and 1.318. Conclusion :There are not the significant variations of Ydr and Qdr values according to different dose rate. And so radiation damage is influenced by total exposed radiation doses and is influenced least of all by different dose rate when it is acute single exposure.

      • SCOPUSKCI등재

        병원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 분석 현황

        정태식(Tae Sik Jeong),신병철(Byung Chul Shin),문창우(Chang Woo Moon),조영덕(Yeong Duk Cho),이용환(Yong Hwan Lee),염하용(Ha Yong Yu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2

        목 적:병원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개인별 방사선 피폭 정도를 분석하여 방사선 장해의 위험도를 예상해 보고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의 점차적인 수적 증가와 장기근무화 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종사자들의 건강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병원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며 방사선 피폭의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1993년 1월 1일부터 1997년 12월 31일까지 부산광역시 소재 4개 대학병원에서 기록 보관중인 방사선 피폭 관리 대장을 가지고 분석하였으며, 1년 미만 기록된 자를 제외한 347명에 대하여 필름뱃지나 열형광 선량계(TLD:Thermoluminescent dosimeter)로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보관한 기록지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진단방사선과, 치료방사선과 및 핵의학과에 근무하는 의사, 방사선사, 간호사, 사무요원들이 있으며 실험실이나 다른 부서도 모두 포함하였고 비교대상군간의 피폭량은 연평균 피폭량으로 하였다. 과다 피폭의 빈도의 비를 보기 위해서는 3개월간의 피폭을 한 건으로 하여 전체에 대한 100분율(%)로 비교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연도별, 기관별, 과별로 분석해보고 다음으로 각과 내에서 각 파트별로 세부분석을 하였다. 피폭정도의 기준은 3개월간의 누적량을 가지고 분석하였으며, 각 개인의 연령, 직종별(의사, 방사선사, 간호사, 기타)로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른 분석에서 개인의 나이는 1993년과 1997년의 중간인 1995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과다 피폭의 대상에 대해서는 과다 피폭의 원인을 분석해 보고 개선방법을 연구해 보았다. 통계처리로는 SPSS 프로그램에서 χ2-test와 ANOVA- test를 이용하여 p-value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 과:전체 대상자 347명에 대한 연간 피폭선량 평균은 1.52±1.35 mSv 였으며 법적 선량한도인 50 mSv보다 훨씬 적은 량이지만 그 중 125명(36%)은 방사선과 관련 없는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의 선량한도인 1년간 1 mSv 보다 많은 양의 피폭을 받고 있었다. 연령에 따른 방사선 피폭은 30세이하에서 평균 1.87±1.01 mSv, 31세에서 40세 사이가 평균 1.22±0.69 mSv, 41세 이상에서 평균 0.97±0.43 mSv로 연령이 적을수록 많은 양의 피폭을 받고 있었다(p<0.01). 병원 내에서 방사선 피폭을 많이 받는 장소가 한정되어 있었다. 방사선을 취급하는 과별로 받는 년간 평균 피폭 선량은 진단방사선과 1.65±1.54 mSv, 치료방사선과 1.17±0.82 mSv, 핵의학과 1.79±1.42 mSv, 기타 0.99±0.51 mSv였으며 상대적으로 저선량율 에너지를 사용하는 핵의학과에서 다른 과와 비교해서 방사선 피폭이 높게 나타났으며(p< 0.05), 핵의학과 내에서는 특히 동위원소 조작실과 주입실의 년간 평균 피폭량이 3.69±1.81 mSv으로 많은 피폭을 받고 있었다(p<0.01). 진단방사선과 내에서는 대장 촬영실 근무자의 연평균 피폭량이 3.74±1.74 mSv로 가장 많이 받고 있으며(p<0.01) 그외 투시진단법(Fluoroscopy) 등 직접 투시를 요하는 촬영실, 즉 혈관촬영실이 연평균 1.17±0.35 mSv, 상위장관 촬영실이 연평균 1.75±1.34 mSv으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치료방사선과에서는 가장 많이 고에너지의 방사선을 사용하지만 상대적으로 피폭을 적게 받고 있었다. 직종별 연평균 피폭선량은 의사 1.75±1.17 mSv, 방사선사 1.60±1.39 mSv, 간호사 0.93±0.35 mSv, 기타 1.00±0.3 mSv로 의사와 방사선사가 다른 직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 0.05) 결 론:결론으로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수적 증가와 장기 근무화 현상을 고려할 때 작은 양이나마 방사선 피폭을 동일인이 동일 장소에서 계속 받게 되면 방사선 피폭의 축적 선량은 증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작업종사자에 대한 교육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피치 못하게 근무중 방사선 피폭을 받아야 되는 부서에는 순환근무를 실시하여 근무시간을 단축하고 취급에 숙련된 자가 근무하게하여 개인별 피폭누적 선량을 최소화하여 종사자의 건강을 유지증진 시켜야 할 것이다. Purpose: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care of radiation workers, to predict a risk, to minimize the radiation exposure hazard to them and for them to realize radiation exposure danger when they work in radiation area in hospital. Methods and Materials:The documentations checked regularly for personal radiation exposure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Pusan city in Korea between January 1, 1993 and December 31, 1997 were analyzed. There were 458 persons in this documented but 111 persons who worked less then one year were excluded and only 347 pers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sults:The average of yearly radiation exposure of 347 persons was 1.52±1.35 mSv. Though it was less than 50mSv, the limitaion of radiation in law but 125 (36%) people received higher radiation exposure than non-radiation workers. Radiation workers under 30 year old have received radiation exposure of mean 1.87±1.01 mSv/year, mean 1.22±0.69 mSv between 31 and 40 year old and mean 0.97±0.43 mSv/year over 41year old (p<0.001). Men received mean 1.67±1.54 mSv/year were higher than women who received mean 1.13±0.61 mSv/year (p<0.01). Radiation exposure in th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department in spite of low energy sources is higher than other departments that use radiations in hospital (p<0.05). And the workers who received mean 3.69±1.81 mSv/year in parts of management of radiation sources and injection of sources to patient receive high radiation exposure in nuclear medicine department (p<0.01). In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high radiation exposure is in barium enema rooms where workers received mean 3.74±1.74 mSv/year and other parts where they all use fluoroscopy such as angiography room of mean 1.17±0.35 mSv/year and upper gastrointestinal room of mean 1.74±1.34 mSv/year represented higher radiation exposure than average radiation exposure in diagnostic radiology (p<0.01). Doctors and radiation technologists received higher radiation exposure of each mean 1.75±1.17 mSv/year and mean 1.60±1.39 mSv/year than other people who work in radiation area in hospital (p<0.05). Especially young doctors and technologists have the high opportunity to receive higher radiation exposure. Conclusion: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radiation workers for radiation exposure risks are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to rotate worker in short period in high risk area. The hospital management has to concern health of radiation workers more and to put an effort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as low as possible in radiation areas in hospital.

      • SPOT 5 HRG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한 3차원 지형정보 추출

        이진덕(Lee Jin-Duk),정태식(Jeong Tae-Sik),연상호(Yeon Sang-Ho)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2

        사진측량학적 처리에 의하여 SPOT 5호 HRG supermode 영상으로부터 수치고도모형(DEM)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DEM의 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1/5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로부터 기준 DEM을 작성하고 설정한 여러 시험구간 상에서 비교하였다. 또한 수치표면모형(DSM)과 3D 건물모델링을 행하였다. Digital elevation models(DEM) were generated from SPOT-5 HRG supermode imagery through photogrammetric processing. The reference DEMs were obtained from digital topographic maps of 1/5000 scaleas for analyzing the accuracy of the generated DEMs. The DEMs extracted from HRG stereo image data were compared with digital topograpic map DEMs on several test sections. And digital surface models(DSM) and 3D building model was produced.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하인두암의 방사선치료

        신병철(Byung Chul Shin),염하용(Ha Yong Yum),문창우(Chang Woo Moon),정태식(Tae Sik Je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3

        목적 : 하인두암 환자에서 방사선단독치료와 항암화학요법 병용치료시의 반응과 생존율, 그리고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4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치료를 받았던 환자 중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 단독 또는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치료를 받았던 5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방사선 단독치료(Group I)가 24명(42.9%), 항암화학방사선치료(Group II)가 32명(57.1%)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정규분할 조사법으로 9명(16.4%), 과분할조사로 분할선량이 1.15~1.2 Gy인 경우가 26명(47.2%), 1.35 Gy인 경우가 18명(32.7%), 가속과분할조사로 2명(3.6%)이 치료받았으며 총 방사선량은 40.5~83.5 Gy (평균선량 68.3 Gy)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은 cisplatin 100 mg/㎡을 day 1에, 5-FU 1,000 mg/㎡를 day 2~6에 방사선치료에 선행해서 사용하였으며 3주 간격으로 시행하였고 환자에 따라 1회에서 3회까지 시행하였다(평균 2.3회). 추적관찰기간은 1개월에서 195개월 이었고 중앙값은 28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대상 환자들의 3년 및 5년 생존율은 40.6%, 27.6%였고, Group I은 50.0%, 30.0%, II는 36.4%, 26.3%였다. 국소제어율은 Group I에서 완전관해율이 70.0%, Group II에서는 완전관해율이 67.7%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로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과 림프절 병기로 나타났다.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군에서 합병증 발생율이 높았으나 다분할 조사군에서는 정규분할조사군보다 적게 나타났다. 결론 : 하인두암의 방사선치료 결과는 방사선치료에 대한 반응과 경부 림프절 병기에 따라 좌우되었다. Cisplatin, 5-FU를 방사선치료 전 선행하여 1~3회 사용하는 것은 하인두암의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에 가치가 없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며 오히려 합병증을 높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다분할 방사선치료는 후기 합병증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survival rate and complications of radiation therapy and chemoradiation treatment in hypopharyngeal cancer. Methods and Materials : From January 1984 to December 1999, 56 patients who had hyp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urative radiation therapy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Twenty four patients (42.9%) we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Group I) and 32 (57.1%) treated with a combination of chemotherapy and radiation (Group II). Total radiation dose ranged from 40.5 to 83. 5 Gy (median 67.9 Gy). Radiotherapy was given with conventional technique in 9 patients (16.4%), with hyperfractionation I (1.15~1.2 Gy/fr., BID) in 26 (47.2%), hyperfractionation II (1.35 Gy/fr., BID) in 18 (32.7%), and accelerated fractionation (1.6 Gy/fr., BID) in 2 (3.6%). In chemotherapy, 5-FU (1,000 mg/㎡ daily for 5 consecutive days) and cisplatin (100 mg/㎡ on day 1) were administered in a cycle of 3 weeks interval, and a total of 1 to 3 cycles (average 2..3 cycles) were given prior to radiation therapy. Follow up duration was 1~195 months (median 28 months). Results : Overall 2 and 5 year survival rates were 40.6% and 27.6% 50.0% and 30.0% in Group I, and 36.4% and 26.3% in Group II, respectively. Complete local control rates in Group I and II were 70.0% and 67.7%, respectively. The response to radiotherapy and nodal sta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The complication rate was increased in Group II and was decreased in hyperfractionation. Conclusion : The response to radiotherapy and nodal stage were valid factors to indicate the degree of control over the hypopharyngeal cancer. The induction cisplatin, 5-Fu chemotherapy was not valid in terms of local control rate and survival rate, but did contribute to an increased complication rate. The use of hyperfractionation was valid to reduce the late radiation complications.

      • 용적조절호형방사선치료(VMAT)의 다중치료중심(Multi- Isocenter)을 이용한 치료 시, 접합부(Junction)의 선량 변화에 대한 고찰

        정동민,박광순,안혁진,최윤원,박별님,권용재,문성공,이종운,정태식,박령황,김세영,김미정,백종걸,조정희,Jung, Dong Min,Park, Kwang Soon,Ahn, Hyuk Jin,Choi, Yoon Won,Park, Byul Nim,Kwon, Yong Jae,Moon, Sung Gong,Lee, Jong Oon,Jeong, Tae Sik,Park, Ry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21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33 No.-

        용적조절호형방사선치료(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의 다중치료중심(Multi-Isocenter)을 이용하여 치료 시, 접합부(Junction)의 재현 오차에 따른 선량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Arccheck Phantom에 임의의 치료부위를 설정하고, 다중치료중심에 대해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리고 X(왼쪽), Y(위쪽), Z(안쪽, 바깥쪽) 방향에 대해서 접합부의 오차를 0 ~ 4 mm로 설정 후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방사선을 조사하였고, 이 후 phantom을 통해 얻어진 점 선량(point dose)과 감마인덱스(gamma Index)를 통해 분석하였다. X방향과 Y방향에 대한 오차가 2, 4 mm 발생 했을 때, 감마패스율(점 선량)은 각각 99.3% (2.085), 98% (2.079 Gy) 와 98.5% (2.088), 95.5% (2.093 Gy)로 나타났다. 그리고 Z방향에 대해서 안쪽과 바깥쪽에 대한 오차가 1, 2, 4 mm 발생 했을 때, 감마패스율(점 선량)은 각각 94.8% (2.131), 82.6% (2.164), 72.8% (2.22 Gy) 와 93.4% (2.069), 90.6% (2.047), 79.7% (1.962 Gy) 로 보여졌다. X, Y방향에 대해서 4 mm 까지의 오차 결과는 허용오차 안에 있었으나, Z방향에 대해서는 1 mm 를 초과하는 오차 값에 대해서 허용오차 밖의 결과 값이 도출되었다. 이는 높은 선량 영역(high dose area)과 낮은 선량 영역(low dose area)에 대해 치료부위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의 오차가 선량 분포(dose distribution)가 더 민감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기관차원의 셋 업(set up) 오차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정립된다면, 접합부를 이용한 치료에서 양질의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dose change depending on the reposition error of the junction at the time of treatment with multi-isocenter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This study selected a random treatment region in the Arccheck Phantom and established the treatment plan for multi-isocenter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Then, after setting the error of the junction at 0 ~ 4 mm in the X (left), Y (upper), and Z (inner and outer) directions, the area was irradiated using a linear accelerator; the point doses and gamma indexes obtained through the Phantom were subsequently analyzed. It was found that when errors of 2 and 4 mm took place in the X and Y directions, the gamma pass rates (point doses) were 99.3% (2.085) and 98% (2.079 Gy) in the former direction and 98.5% (2.088) and 95.5% (2.093 Gy) in the latter dire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errors of 1, 2, and 4 mm occurred in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Z direction, the gamma pass rates (point doses) were found to be 94.8% (2.131), 82.6% (2.164), and 72.8% (2.22 Gy) in the former part and 93.4% (2.069), 90.6% (2.047), and 79.7% (1.962 Gy) in the latter part, respectively. In the X and Y directions, errors up to 4 mm were tolerable; however, in the Z direction, error values exceeding 1 mm were beyond the tolerance level. This suggests that for high and low dose areas, errors in the direction same as the progress direction in the treatment region have a more sensitive dose distribution. If the guidelines for set-up errors are establish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good quality treatment using junctions.

      • KCI등재후보

        SPOT-5 HRG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지형정보 추출

        이진덕(Lee Jin Duk),이성순(Lee Seong Sun),정태식(Jeong Tae Sik) 대한공간정보학회 200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4 No.4

        본 논문에서는 SPOT 5호 HRG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하여 수치표고모형을 생성하기 위한 사진측량학적 처리과정을 제시하고 수치표고모형 생성을 위한 HRG supermode 영상의 정확도 잠재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센서모델링을 위하여 광속조정을 행한 후 에피폴라 영상재배열과 영상정합 과정 등을 통하여 수치표면모형을 생성하였다. HRG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DEM 성과를 축척 1:5000의 수치지형도로부터 추출된 기준 DEM과 여러 시험구간 상에서 비교하였다. 전체구간 중 5m 미만의 DEM 오차를 나타내는 부분의 비율은 53.8%이었고, 5m를 초과하는 오차부분은 구름, 수역, 건물 등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러한 지역을 제외하고 평가한 정확도는 약 2.5m의 RMSE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추출된 수치표면모형(DSM)을 사용하여 3차원 건물모델과 대상지역 전체의 3차원 가시화 모델을 작성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photogrammetric processing to generate digital elevation models using SPOT-5 HRG stereo images and deals with the accuracy potential of HRG (High Resolution Geometry) supermode imagery for DEM generation. After bundle adjustment was preformed for sensor modelling, digital surface models were generated through the procedures of Epipolar image resampling and image matching. The DEM extracted from HRG imagery was compared along several test sections with the the refernce DEM which was obtained from the digital topographic maps of a scale of 1 to 5000. The ratio of the zone with DEM errors less than 5m to the whole zone was 53.8%, and about 2.5m RMSE was showed when assuming that the zones larger than 5m were affected by clouds, water bodies and buildings and excluding those zones from accuracy evaluation. In addition, the three-dimensional bird's eye view model and 3D building model were producted based on the DSM which was extracted from SPOT-5 HRG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