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格齋賡韻唐宋賢詩絶句에 대하여

        정경주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60

        Gyeokjae-Gangwoon-Tangsonghyon Poetry[格齋賡韻唐宋賢詩] is one of the very old poetry editions in early Chosun Dynasty. This old anthology contains poetry of the 323 number, that rime along the rhymes[次韻] of Tang(唐) and Song(宋) poetry, written by Son-Josuh, who was one of the tragic bureaucracy in mid-15th century Joseon Dynasty. First edition of this anthology was published in 1479.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by his son in the form of wood-block printing. But this anthology has been forgotten since the first edition was published. Nevertheless, the main content of the poems remain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that were edited in the late Joseon by his descendants. Recently, one of the first edition of this anthology was discovered in China, Peking University. In this paper, I estimated the origin of this book based on a number of different records. First, I have demonstrated that the origin text of the poetry with five words to each lines[五言絶句] of this book completely consistent with DanghyeonShibum[唐賢詩範] which was one of the collection of Tang-Poetry[唐詩] with five words to each lines[五言絶句], published in the mid Goryeo Dynasty in Haeinsa[海印寺]. Second, I have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the Songhyonshi[宋賢詩], which was one of the collection of Song-Poetry[宋詩] with seven words to each lines[七言絶句], in the early Joseon Dynasty. 이 글은 조선 초기의 인물 格齋 孫肇瑞(1410경-1471경)가 지은 차운시집『격재갱운당송현시절구』1책의 판본과 그 차운의 원본을 추정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이 책은『격재갱운당현시』와『격재갱운송현시』를 합철한 책으로, 孫肇瑞가 만년에『唐賢詩範』에 실려 있는 唐詩 五言絶句 163수와, 고려시대부터 전해졌던 편자 미상의『宋賢詩』에 실려 있는 宋詩 七言絶句 160수를 대본으로 하여 지은 次韻詩와 그 原韻詩를 함께 묶어둔 것을, 격재의 아들 孫胤漢이 성종 10년 기해년(1479) 밀양의 본가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의 印本은 조선 후기 영조 연간에 一直縣에서 발견되어 그 후손들이『격재선생문집』을 편성하는 주 자료로 사용하였으나 지금 전하지 않고, 현재 중국 북경대학도서관 소장본이 유일본으로 전한다. 북경대학도서관 소장본은『격재갱운송현시』의 제27판이 결판된 상태로 전한다. 『격재갱운당송현시절구』에 실려 있는 唐賢詩의 원운시는 모두 해인사에 책판이 남아 있는 병오년 간본의 『唐賢詩範』과 일치한다. 이 책의 宋賢詩의 원운시에는 원작가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데, 그중 상당수의 시는 지금 전하는 宋詩 관련 문헌에서 찾기 어려운 것들이 적지 않다. 이 점에서 『격재갱운당송현시절구』는 무엇보다도 고려조 이래로 조선 전기까지 한국의 문인 학자들 사이에 시학교재로 널리 유포된 唐詩 五言絶句 및 宋詩 七言絶句 詩選集의 근거 문헌으로 가치가 높다. 차운시를 묶어 하나의 책으로 간행하는 것은 그 사례가 매우 드문데,『격재갱운당송현시절구』는 한국에서 차운시의 전통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 KCI등재

        녹농균 임상균주의 쿼럼 센싱 관련 표현형 분석

        정경주,최유상,하창완,신정환,이준희,Jung, Kyung-Ju,Choi, Yu-Sang,Ha, Chang-Wan,Shin, Jeong-Hwan,Lee, Joon-Hee 한국미생물학회 2010 미생물학회지 Vol.46 No.3

        그람음성 간균인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비뇨기, 결막(conjunctiva), 호흡기(respiratory system), 화상부위 등에 광범위하게 감염하며, 병원성의 발현에 세균의 세포밀도 인식기전인 쿼럼 센싱이 매우 중요하다고 알려진 기회감염성 병원균이다. 국내의 환자들에게 감염하는 녹농균에서 쿼럼 센싱의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부산 백병원의 환자들로부터 189종의 녹농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 임상 균주들에서 쿼럼 센싱 신호 물질의 발현을 리포터 균주를 이용한 고체 배지 확산법으로 조사하였다. 전체 임상 균주의 79.4%가 녹농균 야생형균주와 비슷하게 쿼럼 센싱 조절의 가장 상위 신호인식-조절단백질인 LasR을 충분히 활성화 시키는 수준으로 쿼럼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반면 4.2% 정도는 신호물질을 합성하지 못하는 녹농균 돌연변이주와 비슷하게 LasR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는 수준으로 쿼럼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한편, 전체의 72.5%가 또 다른 쿼럼 신호인식-조절 단백질인 QscR을 충분히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야생형 수준으로 신호물질을 생성한 반면, 9%가 QscR을 활성화 시키지 못하는 수준으로 신호물질을 생성하였다. 임상 균주들 중 특히 녹농균 감염이 의심되는 환자들에게서 유래한 74종을 선정하여 병독인자로 중요한 프로테아제 활성을 조사한 결과, 44.6%에서 프로테아제 활성이 낮아져 있었으며, 12.2%에서는 프로테아제 활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같은 균들을 대상으로 만성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생물막 형성 능력을 확인하였을 때, 대부분이 야생형보다 생물막 형성능력이 떨어져 있었다. 또한 이 균주들의 운동성을 살펴본 결과 많은 균주들이 swarming과 twitching 능력이 저해되어 있었으며(전체의 51.4%가 reduced swarming activity, 전체의 41.9%가 reduced twitching activity), 관찰되지 않는 수준의 균주도 상당부분 있었다(전체의 28.4%가 swarming negative, 전체의 28.4%가 twitching negative). 본 연구결과는 쿼럼 센싱을 정상적으로 하는 임상 균주들 중에서도 상당 부분은 프로테아제 생성, 생물막 형성, 운동성 등의 특징들이 저해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일부 임상 균주들은 그들의 쿼럼 활성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독특한 패턴의 프로테아제 생성능과 생물막 형성능 및 운동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seudomonas aeruginosa is a Gram (-)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causing a wide variety of infections on lung, urinary tract, eyes, and burn wound sites and quorum sensing (QS), a cell density-sensing mechanism plays an essential role in Pseudomonas pathogene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of QS in the Pseudomonas infections of Korean patients, we isolated 189 clinical strains of P. aeruginosa from the patients in Pusan Paik Hospital, Busan, South Korea. The QS signal production of these clinical isolates was measured by signal diffusion assay on solid media using reporter strains. While most clinical strains (79.4%) produced the QS signals as similar level as a wild type strain, PAO1 did, where LasR, the initial QS signal sensor-regulator was fully activated, a minority of them (4.2%) produced much less QS signals at the level to which LasR failed to respond. Similarly, while 72.5% of the clinical isolates produced QS signals enough to activate QscR, an another QS signal sensor-regulator, some few of them (9%) produced the QS signals at much lower level where QscR was not activated. For further analysis, we selected 74 clinical strains that were obtained from the patients under suspicion of Pseudomonas infection and investigated the total protease activity that is considered important for virulence. Interestingly, significant portion of them showed very low protease activity (44.6%) or no detectable protease activity (12.2%). When the biofilm-forming ability tha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chronic infection was examined, most isolates showed lower biofilm-forming activity than PAO1. Similarly, significant portion of clinical isolates showed reduced motility (reduced swarming activity in 51.4% and reduced twitching activity in 41.9%), or non-detectable motility (swarming-negative in 28.4% and twitching-negative in 28.4%). Our result showed that the clinical isolates that produced QS signals at the similar level to wild type could have significantly reduced activities in the protease production, biofilm formation, and motility, and some clinical isolates had unique patterns of motility, biofilm formation, and protease production that are not correlated to their QS activity.

      • KCI등재

        골수이식시 Cyclosporine과 같은 경로로 투여되는 약물의 상호적합성에 관한 연구

        정경주,최승기 한국병원약사회 2001 병원약사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ompatibility of cyclosporine with 20 selected drugs in BMT unit during simulated Y-site injection by visual inspection and turbidimetry. The results meeting the criteria for physical compatibility, admixtures were tested of for concentrations of cyclosporine. Test solution of cyclosporine (1㎎/㎖) combined in a 1:1 ratio with secondary drugs in triplicate. Visu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in fluorescent laboratory light and turbidity was measured. The samples are assessed immediately after preparation and at one, four and twenty-four hours. Physicochemical changes such as precipitation, color change, turbidity change or decrease of cyclosporine concentration were monitored to validate compatibility results.

      • KCI등재

        科文 表箋의 형식과 문체의 특성

        정경주 대동한문학회 2013 大東漢文學 Vol.39 No.-

        이 글에서는 조선왕조시대 科文六體의 하나로 널리 저술되었던 科文 表箋의 형식과 그 문체상의 특징을 개관하였다, 여기에서는 먼저 표전 문체의 연원과 그 연혁을 요약한 다음, 조선조 과거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입격한 표전문을 중심으로 그 단락 구성과 구절 배치를 기준으로 하여 네 가지 기본 양식을 제시하고, 몇 편의 모범적인 과문 표전을 예문으로 들어 구절의 구성과 단락의 배치와 널리 사용되는 관용어를 검토하여 앞서 제안한 기본양식의 변화 양상을 검증하였다. 또한 고전문헌과 「作表之體」라는 자료를 근거로 표전 문체의 속성과 그 특징을 지적하였다. 요컨대 表箋의 문체는 중세 왕조사회에서 신하가 군주에게 특별한 사정으로 인하여 올리는 글이다. 이 문체는 관직을 가진 관료가 국가의 경사를 축하하거나, 은전에 대하여 감사하거나, 또는 특별한 사안에 대한 求請을 주제로 하여, 자칫하면 의례적인 치레에 그치거나 阿諂의 문자로 전락할 위험성을 안고 있었다. 그럼에도 표전의 문체는 중세왕조사회에서 직위의 고하와 신분의 귀천에 따라 정중하게 격식을 갖추어 상대방의 미덕을 칭송하여 높이면서, 동시에 자신을 낮추어 스스로의 감정과 요구를 완곡하면서도 명백하게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세련된 문학양식임이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literary style of Pyojeon[表箋], that had been imposed on the examination to appoint senior officials in Joseon Dynasty. Pyojeon[表箋] was one of the very important literary genres, that was used for multiple purposes such as a diplomatic official documents and as a formal statement to the king. As a formal statement to the king, there were six prescribed format, according on its purpose and its contents, such as requests[請], appeals[乞], thanks[謝], celebration[賀] and etc. In this article, I summarized it into four kinds of style format, and point out some characteristics of each style. In short, the six style of Pyojeon[表箋] all have six paragraphs in accordance with the statements of each step, and uses various formal syntax in order to express the appropriate content. Despite suspicion of flattery for the king, as a subjects of the Kingdom, It is no doubt that was an effective article to glorify the virtues of kings equipped with a polite formality, and to clarify his position and to achieve the political needs as a loyal servant.

      • KCI등재

        맛버섯(Pholiota nameko) 품종 육성과 액체배양 조건

        정경주,최덕수,방극필,정종천 한국버섯학회 2009 한국버섯학회지 Vol.7 No.4

        맛버섯(Pholiota nameko )은 일명 나도팽나무버섯 으로 도 알려져 있는데 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고목, 죽은 가지, 그루터기 위에 다발 발생하는 목재 갈색 부후성 버섯 이며,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등 북반구 일대에 분포 한다. 분류학적으로 주름버섯목(Agaricales ), 독청버섯과 (Strophariaceae ), 비늘버섯속(Pholiota )의 일종으로 갓표면 에는 인피와 점성이 있어 “나메꼬“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 국내에서는 맛버섯 재배기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 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재배를 하지 않고 있으나 일본에 서는 4번째로 소비가 많이 이루어지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 이는 버섯으로 암세포 억제율은 86.5%로 신령버섯, 상황버 섯 다음으로 식용버섯 중 가장 높은 항암력을 갖고 있어 국내 버섯 산업의 안정화를 위하고 버섯 품목의 다양화를 위하고 맛버섯 품종육성과 액체배양 조건구명을 위해 시험을 수행 하였다. 본 실험은 국내외에서 수집한 맛버섯 균주 29계통 을 균사배양 특성 및 병재배시 자실체 특성 검정을 하여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JNM19003 등 6계통을 선발한 후 단포자 를 분리 교배한 후 JNM19028와 JNM19028 등 25조합을 하여1,700계통을 육성하고, 육성 된 교배계통에 대한 1, 2, 3 차 선발을 하여 그 증에서 갓새깔, 갓의 모양 등 수량을 고려 하여 갓색깔이 노랑과 갈색인 우량계통을 선발하였다. 맛버 섯 대량생산을 위아여 병재배에 접종할 액체종균조제에 알 맞은 조건을 보기위해 액체배지산도는 pH 4, 5, 6, 7, 8을 배 양온도는 20, 22.5, 25, 27.5, 30℃로 처리하여 본 결과 배양 조건별 온도는 22.5℃에서 균사 생육이 좋았고, 균사체 무게 는 2.86 g/ℓ으로 가장 높았으며, pH는 6.0이 좋았으며, pH 가 낮아질수록 균사 생육이 떨어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