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石堂 鄭在煥선생의 문화유산․기록유산에 대한 계승 노력과 인식

        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This paper attempts to newly analyze into the Succession—efforts and perception of Dr. Jeong Jae—Hwan's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he has served as the first president of Dong-A(東亞) University from the 1950s to the 1970s, has called himself—name to the SeokDang(石堂). The SeokDang has been defined as a law professional & educator in the encyclopedias. However, he has already been evaluated as a lover of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by professional experts who has acted in the local community since the 1970s. because of, he had made the various efforts to preserve the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of the Korean nation that had been built from prehistoric times to modern times. he had continuously collected this heritage from the 1950s to the 1970s, had systematically preserved this heritage. in addition, he had creatively developed this heritage. his collections are currently included in the national treasures & treasures of Korea. The SeokDang has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History & Department of Korean Literature that can systematically learn about this heritage, has also established the GoJeon(古典) Research—Institute & the Korean culture Research—Institute that can research in depth. the two Research—Institute are the forerunner of the Seokdang—Academy. he has established the Museum(Seokdang Museum) & Library(Hamjinjae : 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at can systematically preserve this heritage, has invited a prominent expert to our university. as a result, the cultural & recorded heritage of Dong-A University's Library & Museum had become the prime scale in the 1960s. especially, he has supported the translation & annotation project of the Koryo-Dynasty's History (『高麗史』) that the nation should carry out. This effort of the SeokDang has grown from considerable insight & interest & perception about the Korean History & Culture. his cultural perception was in the creativ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 Culture. because of this, he has already been evaluated as a lover of cultural & recorded heritage by professional experts of posterity. 이 글에서는 동아대학교 초대총장 石堂 鄭在煥의 우리민족 문화․기록유산에 대한 계승․발전노력과 인식․위상을 새롭게 진단하였다. 석당은 백과사전류에 법조인․교육자로 정의되고 있지만, 1970년대부터 전문연구자들에게 대표적인 文化愛護家로 평가받았다. 민족 문화․기록유산의 보존과 창조적인 계승․발전에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였기 때문이다. 매장문화재의 발굴과 함께 유물의 기증․구입, 방치 유물의 수습, 해외 유출의 저지 및 입수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선사시대 이래 근현대에 이르는 문화․기록유산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지원한 유물․유적 가운데는 국보․보물 및 국가 사적 등으로 지정된 국가문화재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동궐도」 및 「土器隆起紋鉢」 등의 경우에는 제3국으로 유출될 위기에 있던 문화유산이었다. 석당은 1955년부터 문화․기록유산을 발굴․수집․보존 및 교육․연구하고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구조적 기반으로 국문학과․사학과도 설립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고고학․고대사․중세사․근세사와 한문학․향가․민속학․한글․서지학 등에서 풍부한 연구․교육역량을 갖춘 저명 인력들도 영입하였다. 학생들의 고적순례․발굴․유물전시회 등과 같은 현장역량강화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석당은 문화․기록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연구할 수 있는 도서관․박물관을 개관하고 1950․60년대에는 독립건물도 확보하였다. 이에 1966년에는 우리대학 박물관이 전국에서 으뜸되는 위상을 확보하였으며, 도서관 소장의 古書도 국내에서 손꼽힐 규모였다. 고서 가운데는 『고려사』, 해인사대장경판 및 諸경판의 인출본 완질 등 고려시대를 연구할 수 있는 핵심적인 원천기록유산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박물관에는 국보․보물급의 문화재도 상당수 소장하고 있었다. 석당은 석당학술원의 전신인 古典硏究所․韓國文化硏究所와 같은 전문연구기관도 1958․59년 각각 설립․운영하였다. 고전연구소에서는 1958년부터 남북한 최초로 『고려사』 역주사업을 착수하여 1973년까지 『譯註高麗史』 11책을 완간하였다. 이에 우리대학은 해당 분야에서 전국적인 인지도와 지명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석당이 이런 노력을 지속할 수 있었던 배경은 우리나라의 역사․문화에 대한 지식수준 및 관심과 함께 문화․기록유산에 대한 객관적인 식견과 인식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漢學․서예와 함께 한국학에도 상당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으며, 특히 민족문화의 창달을 우리대학의 건학이념으로 채택․실천하는 등 문화․기록유산의 창조적 계승․발전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태도와 실천노력은 1959년 부산시문화상의 수상으로 객관적인 위상을 확보하였다. 특히 1970년대 鶴山 金廷鶴은 석당의 이러한 공적을 文化愛護家로 평가하였으며, 그 위상과 공적도 전국적인 인지도와 위상을 확보하고 있었다.

      • KCI등재

        석당 정재환선생이 수집한 기록유산과 그 가치 - 특히『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를 중심으로 -

        김광철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There are many ancient books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e volume of books is 22,170 books of 5,750 kinds. These ancient books have collected by Jeong Jae-Hwan, the founder of Dong-A University. These books are classified in the form of Siku Quanshu(四庫全書). The volume of Gyung-Bu(經部) is 2,312 books of 556 kinds, Sa-Bu(史部) is 7,331 books of 1,175 kinds, Ja-Bu(子部) is 8,118 books of 2,014 kinds, Jip-Bu(集部) is 4,409 books of 2,005 kinds. 『Goryosa(高麗史)』 is essential data for the study of the Goryeo period and is a precious cultural heritage of ours. There are 80 editions of 『Goryosa』 home and abroad these days. But most of them are missing volumes and only 5 complete sets of works exist including one owned by Dong-A University (hereinafter the DAU 『Goryosa』). The DAU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is compiled into 75 volumes, combining some of Ji(志) and Yeoljeon(列傳) into a book in one volume or a book in three volumes. The DAU 『Goryosa』 is the same book as one in 85 volumes owned by Gyujangkak(奎章閣), Seoul National University. It is confirmed that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missing and omitted words had been increased in the process of publication from the first edition to Eulhae letter edition and to final carving edition in woodblocks. However quite a few misprints and omitted words there are found in 『Goryosa』 printed from woodblocks, they limit to only a small number among 800 thousand words in all. The 『Tripitaka Koreana(高麗大臧經)』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recognized as a priceless Korean cultural heritage since the 13th century. They represent the advanced level of Buddhist studies at that time and its printing technology. The 『Tripitaka Koreana』 also reflect the universal cultural values of 13th century East Asia. This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Hamjinjae(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is Tripitaka Koreana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This Tripitaka Koreana has been printed in a circular pattern, providing a rich source of data. 동아대학교 고서 도서관 석당함진재에는 동아대학교 설립자 석당 정재환 총장이 수집한 고서들이 소장되어 있다. 이들 고서는 한국본, 중국본 등을 고루 갖추고 있으며, 주제별로는 경서를 비롯하여『고려사』 등 사서, 해인사 팔만대장경 책판 등 불경, 법가를 비롯한 제자백가서 그리고 문집 등 다양한 주제의 고서들이다. 그 수량은 經部 556종 2,312책, 史部 1,175종 7,331책, 子部 2,014종 8,118책, 集部 2,005종 4,409책 등 모두 5,750종 22,170책에 달한다.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는 동아대학교의 고전에 대한 연구와 역주사업의 전개는 대학이 수집한 고서가 상당 수준에 올라 있었던 데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고 고서의 수집과 정리작업을 활성화 하는 계기가 되었다. 석당선생의 수집한 기록유산의 가치를 『고려사』 판본과 『고려대장경』 인경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고려사』는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 나라 2대 정사의 하나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목판본 『고려사』는 보기드믄 완질의 판본으로, 『고려사』 139권을 75책으로 분책하여 15개 함으로 분류하고 있다. 책은 그 권 수를 일정량씩 묶은 것이기 때문에 책 수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분량과 내용을 고려하면서 요령있게 묶을 때 독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아대본 『고려사』는 규장각 소장의 85책 태백산사고본과 대조해 본 결과, 그 광곽과 판심의 형태, 자형이 같은 모습이며, 오탈자가 동일하게 추출되고 있는 점도 동일한 판본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함진재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은 1963년 4월부터 1968년 9월까지 인출한 13질 가운데 1질이다. 동아대학교 소장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가치는 고려대장경판이 갖는 본래의 가치와 인경과정과 방식에서 비롯된 가치 두 측면에서 엿볼 수 있다. 고려대장경은 현존하는 대장경판 가운데 최고의 정확한 대장경이다. 함진재 소장의 고려대장경 인경본에는 인경 당시의 각수 자료가 상당 부분 원형대로 인경되어 있어 원천자료를 보다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이들 각수 자료 가운데는 그들의 출신성분이나 발원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어 고려대장경의 역사․문화적 실체와 성격을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한림(漢林) 정수봉(鄭樹鳳) 선생의 선현들의 말씀에 대한 인식

        조해훈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경남 남해에서 가장 명망이 높은 가계에서 출생한 한림 정수봉 전 동아대학교 총장은 가풍으로 어릴 적부터 서당에 다녔으며, 고전에 대한 지식이 상당하였다고 평가받았다. 경남중·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부친이 설립한 동아대 법률학과에 진학하여 1952년 졸업하였다. 이후 내무부에 들어가 혼란스런 정국에서 나라의 행정체계를 바로 세우기 위하여 헌신하다가 동아대학교 교수로 부임하였다. 교무처장과 부총장 등의 보직을 거쳐 동아대학교 제2대 총장에 취임하여 3·4대 총장과 재단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그런 한림 선생은 동아대학교의 입학식과 졸업식 등을 비롯해 외부 행사에서도 많은 연설을 하였다. 그 연설들에서 적절하게 사서오경이나 퇴계 이황의 문집 등에 있는 말씀들을 인용하여 가르침을 주었다. 단순히 사자성어를 한두 번 인용하는 데 그친 것이 아니라, 공식적인 자리에서든 사석에서든 선현들의 말씀이 들어있는 문장들을 통째로 인용하기도 하였다. 그는 오랫동안 동아대를 발전 성장시키는 데 혼신의 힘을 다 바쳤지만 내면적으로 평생 추구한 것은 수양을 통한 이른바 수기치인이었으며, 효를 매우 소중한 가치로 여겼다. 한림 선생은 평소에 과묵하기로 소문이 나 있었으나 스스로 판단해 학교발전에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이 되면 무서울 정도로 추진력을 발휘하였다. 세계 유수의 대학들을 견학하면서 그 대학의 역사와 문화, 행정시스템 등을 파악하였던 그는 동아대를 성장시키기 위해 온갖 반대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승학캠퍼스와 동아대병원을 밀어붙여 지었다. 그 결과 동아대는 한수이남 최고 사립대학교라는 명성을 얻었다. 또한 대학을 키우는 데는 체육활동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찍 간파하고 유망주들을 동아대로 데려와 각종 지원을 하며 훈련을 시킨 결과 우리나라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양정모 선수를 비롯해 하형주·조재기·문대성 등 올림픽 메달리스트들을 배출하였다. 게다가 그는 동아대를 설립한 부친인 석당 정재환 선생의 뒤를 이어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재정립 시키는데도 세상을 버리기 전까지 애를 썼다. 한림 선생이 선현들의 말씀들을 인용해 학생과 교수, 시민들에게 이야기 한 그 바탕에 깔려 있는 ‘인식’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어릴 적부터 서당에 다니면서 천자문과 명심보감, 소학 등을 공부하여 군자와 소인의 차이, 공부의 목적과 방법, 수양과 처세 등 살면서 귀감이 될 내용들을 배웠다. 그래서 선현들의 말씀을 참조하여 살게 되면 제대로 된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둘째, 한림 선생은 동아대학교 총장으로서, 그리고 여러 사회단체의 장으로서 연설을 하거나 이야기를 하면서 적절하게 선현들의 말씀을 대입시켜 설명함으로써 말하고자 하는 논점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셋째, 그가 특히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 말씀들을 많이 인용하였다. 대학 시절의 수학 내용은 실제로 사회에 진출하여 학생들의 직업이나 대인관계 등에서 그대로 적용이 되므로, 선현들의 말씀 등을 대입시켜 설명을 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공감하도록 하였다. 그 역시 선현들의 말씀에서 벗어나지 않고, 그 말씀들이 일러주는 대로 평생을 살았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Former Dong-A University President Hanlim(漢林) Jeong Soo-bong(鄭樹鳳), who was born in the most prestigious family in Namhae(南海), Gyeongsangnam-do(慶尙南道), has been to Seodang(書堂) since childhood due to his family tradition, and was evaluated as having considerable knowledge of classics. After graduating from Gyeongnam Middle and High School, he went to the Department of Law at Dong-A University established by his father and graduated in 1952. After that, he entered the Ministry of Home Affairs(內務部) and devoted himself to establishing the country's administrative system in a chaotic political situation, and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at Dong-A University. After serving as the second president of Dong-A University, he served as the third and fourth president and the chairman of the foundation. Such a teacher Hanlim gave many speeches at external events, including the entrance ceremony and graduation ceremony of Dong-A University. In those speeches, he properly quoted the words in the writings of Sasa Ogyeong(四書五經) and Toegye(退溪) Yi Hwang(李滉) and taught them. It was not just a four-character idiom quote once or twice, but also a whole sentence contain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whether officially or privately. He devoted himself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Dong-A University for a long time, but what he pursued internally throughout his life was the so-called handicraft through training, and filial piety was considered very valuable. Teacher Hanlim was rumored to be quiet, but he showed frightening momentum when he judged himself and thought it would help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Having grasped the university's history, culture, and administrative system while touring the world's leading universities, he pushed ahead with Seunghak Campus and Dong-A University Hospital despite all kinds of opposition and difficulties to grow Dong-A University. As a result, Dong-A University gained a reputation as the best private university on the south side of Han Riv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importance of sports activities early and bringing promising athletes to Dong-A University to provide various support and training, they produced Olympic medalists such as Yang Jung-mo, Korea's first Olympic gold medalist, Ha Hyung-joo, Cho Jae-ki, and Moon Dae-sung. In addition, he tried to inherit and re-establish Korea's traditional culture after his father, Seokdang Jeong Jae-hwan, who founded Dong-A University, until he abandoned the world. Cit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Hanlim briefly summarizes the “recognition” underlying the story to students, professors, and citizens as follows. First, while studying Seodang from an early age, he studied Cheonjamun (千字文), Myeongsimbogam (明心寶鑑), Sohak (小學), etc. to lear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unty and the small, the purpose and method of study, training and attitude. Second, as the president of Dong-A University and as the head of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Hanlim was able to highlight the issue to be said by properly substituting and explain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Third, he cited the words a lot, especially for students. Since the contents of mathematics in college actually entered society and were applied to students' job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tudents were able to sympathize more by substituting and explaining the words of the ancestors. He, too, is considered to have lived his whole life as the words tell him without departing from the words of the ancestors.

      • KCI등재

        漢林선생의 문화유산에 대한 계승 노력과 인식

        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2

        This paper attempts to newly analyze into the Succession—efforts and perception of Dr. Jeong Su-Bong's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he has served as the 2nd to 4th president of Dong-A(東亞) University from the June 1975 to the February 1989, has called himself-name to the HanLim. he was the son of Seokdang(石堂) who served as the first president of Dong-A University. The HanLim has generally been defined as a physical education expert & educational administrator. however, he has also continued to make practical efforts to newly develop the traditional culture &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of the Korean nation that had been built from prehistoric times to modern times. his collections are currently included in the treasures of Korea & the Busan Metropolitan City's cultural properties. he has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Professional Studies that can systematically learn about this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has also established the Seokdang-Academic-Research-Institute of Korean- Culture(石堂傳統文化硏究院). in particular, he has provided the Seokdang- Museum of Dong-A University into a representative museum among the university museums of Korea, and has established the Seokdang-Hamjinjae (石堂函珍齋) of Dong-A University that have preserved the recorded heritage. this practical effort of the HanLim have creatively inherited the achievements of a cultural heritage & recorded heritage that the Seokdang has been practiced since the 1960s. for these efforts, he has been awarded the Order of Cultural Merit Eun-gwan(銀冠文化勳章) on the Culture Day of

      • KCI등재

        석당 정재환선생의 건학이념과 동아대 구덕캠퍼스 계획 - 구덕캠퍼스 건축물의 근대문화유산 가치 -

        김기수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The Dong-A University is one of private comprehensive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with rich history and tradition, and we celebrated the 70th year of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y in 2016. The history of Dong-A University dates back to 1946 when JaeHwan Chung an eminent statesman of modern South Korea, founded “Dong-A” as a private academy on the site of the Busan. In 1951, he started established Guduck Campus in Busan, South Korea. The plan of Guduck Campus was applied to the School Spirit and Educational Philosophy, justice and truth and freedom, pursued by Jae-Hwan Jeong. This thesis is results summarizing the factors that JaeHwan Chung's School Spirit and Educational Philosophy have influenced the Guduck Campus plan. Also, I wanted to research the historical and Modern Cultural Heritage value of the building in Guduck Campus. Through the facility and building of Guduck Campus Founded in November 1946, I could have the opportunity to check the transition proces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odern times. In particular, I was able to identify various material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central library(1957.12), the second student council(1957.12), and the museum(1957.2).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School Spirit and Educational Philosophy ar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the Central Library building has historical value of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1946년 11월 1일 개교한 동아대학교는 1951년 10월 5일 교사를 현재의 구덕캠퍼스 위치인 부산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번지로 이전하였다. 이에 따라 제2관(1953년 9월)을 시작으로 본관(1954년 11월), 제3관(1955년 9월), 제5관(1955.10), 제2학생회관(1956.8), 과학관(1957년 12월), 중앙도서관(1957년 12월)을 차례로 준공하여 1959년 2월 종합대학교로 승격하였다. 1985년 승학캠퍼스 준공으로 대학본부를 이전하였으며, 1990년 구덕캠퍼스에 부속병원을 준공, 인문학 중심의 부민캠퍼스가 건립하였다. 본 논고는 동아대학교 설립자인 정재환 선생의 철학과 건학이념이 담겨있는 대신동 캠퍼스를 대상으로 캠퍼스 구상계획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을 정리하였으며, 나아가 주요 건축물이 갖는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이들 건축물이 갖는 근대문화유산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방직후인 1946년 11월 자주적 근대교육과 함께 시작된 동아대학교의 교사시설과 구덕캠퍼스는 근대기 부산지역 교육시설의 변천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가치를 갖고 있으며, 특히 중앙도서관(현 석당기념관 1957.12), 제 2학생회관(구 과학관 1957.12), 박물관(구 소강당, 특수교실 1957.2)에서는 근대기 건축이 갖는 조형적 특성과 함께 지역건축의 건설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각종 자료들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사학교육기관으로서 설립자의 건학이념에 따른 건축적 영향이 구덕캠퍼스 계획과 구상에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중앙도서관 건물은 근대문화유산 가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인경본의 자료적 가치와 활용방안

        신태갑,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3 石堂論叢 Vol.0 No.57

        This case study analyzed into the source-value and utilization-plan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s printing-material in the Hamjinjae of Dong-A University. this printing-date was printed from 1963 to 1968, wa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since the 1990s. hereby, this printing-date was utilized the source-material that researched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alit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Nevertheless, this printing-date was some cases that the source- material was missing or unclear. therefore, the missing source- material can be compensated from these sources. the complementary-data is the digital material of Tripitaka-Koreana- institute(八萬大藏經硏究院) in the Haein(海印)-Temple, the printing- material of the Otani(大谷) University, the printing-material of the Woljeong(月精)-Temple. the supplemented source-material can be used as follows. it is the systematic study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the restoration of the Goryeo- Dynasty's Annals(高麗王朝實錄), the source material of the cultural content-development, the restoration of the damaged original woodblock. 이 글은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강화경판 『고려대장경』 인경본에 대한 자료적 가치와 보완방법 및 보완자료의 활용방안을 진단하였다. 1960년대 확보된 함진재 소장의 강화경판 인경본은 1990년대부터 원천자료의 체계적인 조사․정리작업을 수행하면서 자료적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어 주목되었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해인사 소장 강화경판의 원천자료를 열람할 수 없었으므로,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원천자료로 중요한 가치를 확보할 수 있었다. 더구나 1970년대 동국대학교에서 간행한 『고려대장경』 영인본 총48책에 비해, 보다 풍부한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좌․우 변란과 그 외곽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자료와 함께 ‘외장(外藏)’ 자료도 풍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1990년부터 2013년 현재까지 함진재 소장 인경본 자료가 연구자료로 활용되면서 상당한 연구성과를 축적하도 하였다. 우선, 강화경판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밝히는 원천자료로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학자들이 강화경판을 소위 초조대장경판의 복각판(復刻板)으로 파악한 문화적 정체성(停滯性) 등을 극복하는 원천자료로 활용하여 역사․문화적 객관성을 바로잡았다. 다음으로, 조성사업의 주체와 목적에 대한 역사 실체를 객관적으로 정립하는 자료로도 활용되었다. 일제식민주의 역사학자와 해방 이후 한국 연구자들이 강화경판의 조성주체․목적과 조성공간의 위치 및 참여자의 범위를 최씨무인정권과 연계시켜 축소․평가한 이해방식을 객관적으로 바로잡는 데 함진재 소장의 원천자료를 적극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내용을 새롭게 밝히는 원천자료로도 활용되었다. 그 결과, 대장․분사도감의 운영조직체계와 역할, 그 산하의 판각공간, 분사도감의 위치 등이 구체적으로 탐색되었고, 조성사업 참여자들의 다양한 출신성분과 그들의 현실인식 등도 새롭게 밝히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함진재 소장의 인경본은 1960년대 인출 당시 인경 전문가의 제한적 인식, 개별 경판의 마모나 훼손 등으로 원천자료가 누락되거나 불명확하게 인경된 경우도 있다. 특히 좌․우 변란의 밖이나 그 외곽 부분에 새겨진 각수, 발원문, 공방(工房) 자료의 상당수도 누락되어 있다. 따라서 누락된 원천자료는 해인사 팔만대장경연구원 소장의 디지털자료를 원천텍스트로 삼고, 우왕 7년(1381) 인출된 일본 오오타니(大谷)대학 소장본의 자료집, 조선 고종 2년(1865)에 인출된 월정사 소장 인경본의 사진자료 등을 교차적으로 활용하여 보완할 수 있다. 보완된 자료는 체계적인 연구와 함께 고려왕조실록의 복원, 문화․관광콘텐츠 개발의 원천소스, 마모․훼손된 원판의 복원, 원판과 후대 보각판의 진위여부 진단 등 다양한 영역에도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석당뮤지엄 소장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䟽)』 권88의 역사·문화적인 가치

        崔永好 ( Choy Young-h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79

        이 글에서는 동아대학교 석당뮤지엄에 소장된 『대방광불화엄경소』 권88의 역사·문화적인 실체와 성격을 진단하였다. 이 불교기록유산은 대각국사 의천이 송나라에서 주문·제작하여 선종 4년(1087) 3월 고려사회로 수입된 『대방광불화엄경소』 120권의 목판 가운데 해당 경판을 찍은 인출본이다. 우선, 석당뮤지엄 소장 권88의 인출본에 새겨진 외형적 형태·서체와 전체적인 구성체계·내용 및 종이종류·규격·표지제목 등 다양한 기준지표를 분석·정리한 다음, 선종 4년 3월 송나라에서 수입한 불교기록유산의 동일 여부를 확인하였다. 현존 다른 권차의 동일 판본과 기준지표를 세밀하게 대조하여 동일한 원천텍스트로 인출한 판본으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석당뮤지엄 소장의 권88은 종이 종류와 표지문양 및 표지제목 형태·서체·배열형태 등도 분석하여 보물 제1106호 및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등의 판본과 같은 시기나 근접한 시기에 찍은 판본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권88의 판본에는 政和丙臣五月敬造이라는 정보가 권미제 다음에 표기되어 있으며, 이 정보는 예종 11년(1116) 음력 5월 인출정보를 추가로 새겨 매목한 인경목활자로 진단할 수 있다. 석당뮤지엄 소장 권88의 판본에는 경판의 보존상태·보각현상 등 다양한 역사·문화적인 실체를 담고 있다. 우선, 고려 사람들이 권88 등 일부 목판에 인출 정보 등의 내용을 추가·보완하였으며, 보완된 내용은 이후에도 매목 상태로 지속되었던 사실이 확인된다. 다음으로, 보완 내용에서는 예종 11년 당시 고려사회가 송나라 중심의 대외인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해당 판본에는 개법장진언부호 등 불교 경전의 존엄적 가치를 반영한 사실도 보인다. 마지막으로, 권88의 판본은 현재 확인되는 동일 판본과의 연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원천자료이며, 현존하는 유일한 권차로서의 희소적인 가치도 확보하고 있다. This paper attempt to analyze into the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the Avatamsaka-Sutra’s annotation-book(88th volume) that it's currently owned by the Seokdang―Museum. this Buddhist―memory―heritage is the printing Buddhist―scriptures of the 88th volume among the woodblocks of the 120 volumes that the Uicheon(義天) of the Taegak―national teacher(大覺國師) commissioned to produce in the Song(宋)―Dynasty. these woodblocks were imported into Goryeo(高麗)―Dynasty in March 1087, the 88th volume of the Seokdang―Museum was printed after May 1116.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 existed studies have been critically reviewed. and the original information has been analyzed the outward form of bibliography & letter, the overall configuration―system, the kind of paper, the style of cover, the written letter―form of the cover―title and so on. As a result, the 88th volume of the Seokdang―Museum has various historical & cultural values. first of all, the 88th volume is the only existing edition. next, this 88th volume newly engraved with the printing information that the Buddhist―work of printer was carried out. this printing information was supplemented with the wooden―type in May 1116. and this printing information was reflected the external perception that the Song―Dynasty was at the center. in addition to, the style―cover of this 88th volume signed the Gaebeopjang―Mantra-mark(開法藏眞言符號), was reflected the dignity of the Buddhist scriptures.

      • KCI등재

        『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의 판본(版本) 양상(樣相)과 문화재적(文化財的) 가치(價値)

        朴文烈 ( Park Moon-year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79

        본 硏究는 朝鮮朝 王室版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와 公州 岬寺版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의 대비를 통하여 東亞大學校 石堂뮤지엄 소장 岬寺版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의 版本 樣相과 文化財的 價値를 考察한 것으로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水陸齋는 水陸의 떠도는 孤魂과 餓鬼를 위로할 목적으로 佛法의 講說과 음식의 供養을 통하여 저들을 救濟하는 密敎의 성격을 지닌 法會이며, 水陸齋의 起緣을 비롯한 제반 儀式과 節次를 기록한 것이 水陸文이고 이를 정리하여 版本化한 것이 水陸書이다. (2) 중국의 水陸齋는 梁朝의 武帝로부터 시작되어 宋朝에 이르러 水陸文이 정비되면서 楊諤의 『天地冥陽水陸儀文』과 志磐의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가 編纂ㆍ刊行되었다. (3) 우리나라는 高麗朝를 시작으로 朝鮮朝에 이르기까지 國行의 水陸齋가 常設되기도 하였으나 燕山朝 이후로는 國行의 水陸齋는 중지되고 점차 寺刹과 民間을 중심으로 傳承되기에 이르렀다. (4) 중국의 水陸書가 우리나라로 傳來된 이후로 國內에서도 다양한 水陸書가 編纂ㆍ刊行되었으나 그중에서도 編者 不明의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와 竹菴의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및 志磐의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가 가장 널리 알려졌다. (5) 成宗 원(1470)년 7월 무렵에 간행된 王室版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는 王室의 主導 아래 [貞熹]大王大妃가 世祖와 睿宗 및 懿敬王(德宗)의 冥福을 기원하고 침체된 水陸齋의 復興을 위하여 朴耕의 板下本으로 開板된 版本이며, 朝鮮朝의 崇儒抑佛의 政策 아래서도 王室에서 開板된 王室版의 嚆矢이다. (6) 東亞大學校 石堂뮤지엄 소장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는 明宗 13(1558)년에 公州의 岬寺에서 王室版을 底本으로 惠仁과 祖榮이 翻刻함과 아울러 守玄이 書寫한 刊行秩만은 새로이 板刻하여 간행된 寺刹版의 最初이며, 이 판본은 岬寺(1558)에서 開板된 후로 廣興寺(1563)ㆍ普院寺(1565)ㆍ空林寺(1573)ㆍ淸溪寺(1622)ㆍ龍腹寺(1632)ㆍ釋王寺(1634)ㆍ通度寺(1649)ㆍ松廣寺(1786) 등의 寺刹에 이르기까지 각 사찰에서 開板된 版本에 영향을 미친 根源的 版本이라 할 수 있다. (7) 朝鮮朝 각 寺刹에서 開板된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의 木板 중 비록 完帙이 아닌 일부나마 현재까지 開心寺ㆍ淸溪寺ㆍ通度寺ㆍ松廣寺 등에 殘存되어 우리나라 寺刹 木板文化財의 우수성이 증명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on the editorial characteristics and the cultural values of the Gapsa Temple edition of Beopgyeseongbeom suryukseunghoe sujaeuigwe owned by the Seokdang Museum of Dong-A Universit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uryukjae(水陸齋, roughly translated as the ceremony of the waters and the lands), is a Buddhist ceremony aimed at consoling the souls and spirits wandering the waters and the lands by providing them with Buddhist sermons and foods. Suryukmun(水陸文) is a written record of the rituals and procedures performed at Suryukjae, and Suryukseo(水陸書) is a published collection of Suryukmun records. (2) In China, Suryukjae began under the reign of Emperor Wu(武帝) of the Liang Dynast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uryukmun format, Tian di ming yang shui lu yi wen(天地冥陽水陸儀文) by Yangak and Beopgyeseongbeom suryukseunghoe sujaeuigwe(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 by Jiban were published in the Song Dynasty. (3) In Korea, Suryukjae was performed on a regular basis as a national ceremony in the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until it was discontinued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after which it was passed down at Buddhist temples and local communities. (4) The import of Suryukseo publications from China led to the creation and publication of various Suryukseo in Korea. Well-known examples include Suryuk mucha pyeongdeung jaeui chwaryo(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author unknown), Jugam’s Cheonji myeongyang suryuk jaeui chanyo(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and Jiban’s Beopgyeseongbeom suryukseunghoe sujaeuigwe. (5) The royal court edition of Beopgyeseongbeom suryukseunghoe sujaeuigwe was published in 1470 (1st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original script written by Park Gyeong for woodblock printing. The edition was published by the Queen Dowager (Queen Jeonghui) to commemorate King Sejo, King Yejong, and King Uigyeong(Deokjong) and revitalize the Suryukjae ceremony. This publication holds significance as a Buddhist book published by the royal court despite Joseon’s oppression of Buddhism. (6) The edition of Beopgyeseongbeom suryukseunghoe sujaeuigwe housed at Seokdang Museum of Dong-A University is the book’s Buddhist temple edition. It is a collection of two parts: the printed version of the woodblock texts carved by Hyein and Joyeong at the Gapsa Temple in Gongju in 1558(13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based on the royal court edition, and the printed version of the new woodblock texts carved based on the calligraphy written by Suhyeon. This edition is the source edition that influenced the revised editions published by the Gwangheungsa Temple(1563), the Bowonsa Temple(1565), the Gongnimsa Temple(1573), the Cheonggyesa Temple(1622), the Yongboksa Temple (1632), the Seokwangsa Temple(1634), the Tongdosa Temple(1649), and the Songgwangsa Temple(1786). (7) Some of the revised woodblock editions of Beopgyeseongbeom suryukseunghoe sujaeuigwe created by these temples are still in existence today, although not in their complete forms. The surviving editions can be found at the Gaesimsa Temple, the Cheonggyesa Temple, the Tongdosa Temple, and the Songgwangsa Temple, which testify to the excellence of Korea’s woodblock printing culture.

      • KCI등재

        동아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중국어 교육 연계방안

        김자은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60

        중국어로부터 중국 마케팅 전략기획에 이르는 필요성은 오래 전부터 강조되어왔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시장이며, 중국기업의 브랜드가치는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했다. 시진핑(習近平) 시대의 출범과 함께 경제・사회・문화 각 방면의 한중 관계 또한 근본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어 구사 능력뿐 아니라 중국 당정(黨政)구조의 특수성을 이해하며, 중국 각지의 지역 특징을 학습하고, 한중 교역의 구체적인 과정을 중국어로 구사하며, 중국의 기업문화를 익히고, 지역별・품목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며, 기업의 중국 진출에 필수적인 법제와 관행 등을 자기화하는 것은 취업 후 중국관련 업무를 담당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 되었다. 이 논문은 동아대학교 학생들의 중국어․중국 이해와 취업을 돕기 위하여, 교양 중국어 교육으로부터 현실적인 교과과정 운영에 이르기까지 중국어 교육주체가 어떤 식으로 분업․협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먼저 학교 당국은 교양 중국어를 필수화․단계화해야 한다. 중어중문학과는 공자아카데미와 연계하여 중국기업 취업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을 위해 교육이 존재한다는 관점, 학생들의 현실적인 필요에 대한 정확한 계측, 미래를 내다보는 교과목의 개설과 운영, 교과목에 맞는 교수 자질의 확보, 합리적인 강의평가와 피드백 등이 시스템으로 강구되어야 한다. Dong-A University and Confucius Institute need to educate students to speak practical Chinese fluently through phased education program. Ultimately that program will train students to be the right people for both Korea and China, also lead them to get a job successfully. For that, It is necessary that the main agent of Chinese education must be harmonious among educational subject. We are going to suggest several ways to accomplish, such as the accurate prediction for students, the right course offering for the future. the right qualification of professor, the right lecture evaluation etc. Also they need to step out the new way of self-examination.

      • KCI등재

        식민형 ‘중간시민’에서 동화형 ‘유사시민’으로 - 화교화인의 변모와 ‘동아시아 시민’의 형성(1) -

        신명직 ( Shin Myoung-jik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동아시아에서 화교의 탄생은 동아시아의 국경을 넘어선 시민 곧 초국적 시민의 탄생을 의미한다. 근대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한 식민의 형성과정에서 생겨난 동아시아의 화교는 따라서 동아시아 최초의 초국적 시민이었지만 ‘동원’된 그리고 ‘배치’된 초국적 시민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들은 식민지 본국과 거주국 그리고 중국 사이를 넘나들며,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는데, 그 결과 제한적일 수밖에 없던 이들의 초국가성은 변해가기 시작했다. 초국가성에 초점을 맞추어 화교화인의 변모과정을 살펴볼 경우, 크게 3가지 유형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식민형, 동화(同化)형, 중화(中華)형이 그것이다. 화교화인의 지위는 이들 3가지 유형이 변모하는 과정에 따라, 중간자적, 피지배적, 지배적인 형태로 변모되어 갔다. 그 최초의 유형에 해당되는 식민지 시기 화교화인의 ‘식민형’ 초국가성이 화교화인의 중간자적 지위로 이어지게 되는 배경에는, 서구 식민자들의 분할통치구조가 존재한다. 로마동맹에 참가했던 고대 로마시절의 라틴 시민들에게 분할통치를 목적으로 주어졌던 ‘중간 시민’으로서의 지위와 유사한 지위와 권한이 화교화인들에게 주어졌기 때문이다. 반(半)식민지 중국에서 화교화인을 ‘동원’해낸 서구 식민자들은 이들을 통해 동아시아의 선주민들을 분할통치할 목적으로 화교화인에게 중간시민으로서의 지위와 권한을 배분,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초국가성은 반식민지로부터 동원된 것이자 분할통치를 목적으로 배분·배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구 식민지 시기 이후 화교화인의 초국가성은 상실되었고, 이들의 지위는 중간자적 지위에서 피지배적 지위로 변모되었다. 이들의 지위변화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일본이 서구를 대신한 새로운 식민자로 등장하면서, 선주민들을 반(反)서구 반(反)중국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중간자 곧 화교화인 수탈과 학살에 동원했기 때문이며, 또 다른 하나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냉전형 개발독재와 계급독재 체제가 초국가성 대신 선주민을 중심으로 한 국가와 국민 만들기에 전념했기 때문이다. 식민지 시기가 끝나자 화교화인들은 실제로, 거주국의 개발/계급독재 세력으로부터 거주국의 ‘국민’이 될 것 -‘동화’를 끊임없이 강요 받았고, 그 결과 많은 ‘동화형’ 국민이 생겨났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거주국의 완전한 ‘국민’이 된 것도 아니었다. 이들은 ‘국민 아닌 국민’ 곧 ‘유사시민’의 지위로 전락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화교화인도 마찬가지여서, 냉전을 토대로 한 개발독재가 진행되는 동안 화폐개혁과 토지소유금지법, 서울도심재개발 사업 등을 거치면서 화교화인들은 해외로 도피하지 않을 경우 ‘시민 아닌 시민’의 생활을 영위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동남아시아 역시 반공 민족주의 정책에 기반한 부미푸트라 우선정책(말레이시아), 농어촌 화교상인 상업활동 금지정책(인도네시아) 등으로, 밀우관계를 통해 유사자본을 형성한 소수 화교화인이 아닌 대다수의 화교화인들은 ‘시민 아닌 시민’의 지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배화(排華)정책과 화폐개혁, 재산 몰수 등으로 많은 화교화인-보트피플을 만들어냈던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라오스, 캄보디아 등 계급독재를 진행했던 인도차이나 국가의 화교화인의 지위 역시 개발독재 하의 화교화인의 지위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동아시아의 화교화인은 식민기, 개발/계급 독재기, 그리고 중국의 개혁개방이후, 각 시기별 유형은 다르지만 국경을 넘어선 시민 ‘동아시아 시민’으로 형성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 가운데 특히 식민기의 식민형 ‘중간시민’으로서의 화교화인이 어떻게 개발/계급 독재기의 동화형 ‘유사시민’으로 변모되어갔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spread of overseas Chinese around the world has been a result of historical,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both in China and in the host countries. The present research discusses the concept of overseas Chinese as ‘intermediate citizen’ in lands under colonial governance, especially in Southeast Asia under European and Japanese rule. It proposes that in both eras, the ruling governments had a 'divide-and-rule' social policy such as had been used in the Roman Empire, in which one group of residents received special rights and privileges in order to separate them from the general populace in order to maintain control. However, overseas Chinese under Japanese rule began to lose the rights that they had had under the Europeans and instead local residents began to play a similar role as intermediate citizens. But the transnationality of overseas Chinese began to be lost, and their status began to be changed from the intermediate to the oppressed. After the colonial period, actually overseas Chinese was forced to be the ‘nation’ of the country of residence - assimilation, by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class dictatorship. But they didn't become to the true ‘nation’ of the country of residence. They had to fall the status of ‘nation but not nation’ that is ‘ersatz citizen’. Overseas Chinese in the Korea had to flee abroad or had to live as a ‘citizen but not citizen’, because the currency reform, the prohibitional law of landholding, and the redevelopment work of Seoul, during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status of overseas Chinese in the Indochinese Peninsula that performed the class dictatorship as like Laos, Cambodia, and Vietnam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nation under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Vietnam had produced numerous ‘boat people’, namely overseas Chinese injured from the overseas Chinese exclusion, the confiscation of property, and the confiscating poverty. Overseas Chinese in the East Asia has been shaped as the each other transnational citizen namely ‘East Asia citizen’, according to the era of colony, developmental/class dictatorship and after the Chinese Reform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from ‘colonial intermediate citizen’ to ‘assimilated ersatz citiz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