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품질 한우 생산 유전자 연구에서 환경 요인을 보정한 통계적 모형 제안

        장지은,이제영,오동엽,Jang, Ji-Eun,Lee, Jae-Young,Oh, Dong-Yep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5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6 No.6

        Individual phenotype is mostly influenced by genetic factors as well as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adjustment of environmental factors are needed in order to see more clearly the effects of genetic factors that we are interested in gene screening study related to Hanwoo's economic tra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new statistical model that was adjusted environmental factor and identify adjustment effect in a superior gene marker screening study for producing high quality Hanwoo. First, statistical model including both genetic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establishes and adjusted value of economic trait find by removing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age, breeding farm. Finally, we identify superior gene marker combination and compare accuracy by applying MDR to data of before and after adjustment. Economic trait is used C18:1, SFA, MUFA, MS, CWT, BFT and SNP marker is used 6 markers of LPL that were identified as more excellent SNP marker than the others among 49 markers through fatty acid composition and economic trait performance test. 개체의 표현형은 대부분 유전적인 요인의 영향과 환경적인 요인의 영향을 모두 받는다. 따라서 한우의 경제적인 특성과 연관이 있는 유전자 마커 선별 연구에서도 관심이 있는 유전적인 요인의 효과를 좀 더 정확히 보기 위해서는 환경적인 요인의 보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품질 한우 생산을 위한 우수 유전자 마커 선별 연구에서 환경적인 요인이 보정된 새로운 통계 모형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먼저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을 모두 포함한 통계모형을 구축한 뒤, 환경적인 요인인 도축일령과 사육농가의 효과를 제거하여 보정된 경제형질의 값을 구한다. 그리고 다중인자차원축소 방법을 보정 전 후 데이터에 각각 적용하여 우수 유전자 마커 조합을 선별하고 정확도를 비교한다. 사용된 경제형질은 C18:1, SFA, MUFA, MS, CWT, BFT이며 사용된 유전자 마커는 49개 LPL 유전자 마커 중 지방산 조성 및 경제 형질 능력 검정을 통해 나머지에 비해 더 뛰어난 유전자 마커로 선별된 6개 (g.6960 A>T, g.6974 G>A, g.21604 G>A, g.22488 G>T, g.22649 G>A, g.25670 C>T)이다.

      • KCI등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락타이드 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지지체조성에 따른 염증 완화 효과

        장지은(Ji Eun Jang),김혜민(Hye Min Kim),김형석(Hyeong Seok Kim),전대연(Dae Yeon Jeon),박찬흠(Chan Hum Park),권순용(Soon Yong Kwon),정진화(Jin Wha Chung),강길선(Gil Son Khang) 한국고분자학회 2014 폴리머 Vol.38 No.2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는 골 전도가 우수하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임상에서 골이식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함유한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지지체를 제조하였으며 생체 내/외의 실험을 통하여 골 이식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PLGA 지지체는 0, 10, 20, 40 및 60 wt%의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기계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압축강도, SEM,FTIR을 측정하였으며 MTT, RT-PCR, FACS, 조직학적 염색(H&E, ED-1)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함유한 PLGA 지지체에서 염증 반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골 이식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Hydroxyapatite has osteoconductivity, biocompatibility and noninflammatory, and it has been used clinically as artificial bone. In this study, we prepared hydroxyapatite/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scaffolds using 0, 10, 20, 40 and 60 wt% of hydroxyapatite. We analyzed compressive strength, SEM analysis and FTIR for mechanical prop-ertyof 3D hydroxyapatite/PLGA scaffolds. For biocompatibility tests, cell proliferation and viability were measured via MTT assay and SEM. We analyzed RT-PCR, FACS, histology (H&E, ED-1) for anti-inflammatory effect. This study showed that hydroxyapatite hybrid scaffolds have low inflammatory reaction compared with the PLGA. This result hasa potential for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bone graft material.

      • KCI등재후보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에 따른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관탄성도의 변화

        장지은(Ji-Eun Jang),유용권(Yong-Kwon Yoo),이병훈(Byung-Hoon Le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는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통해 신체조성과 혈관탄성도의 변화를 확인하고 향후 노인 건강 증진을 위한 운동프로그램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노인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대조군과 운동군으로 분류하여 운동군은 1회 60분씩, 매주 3회 총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실시하였다. 신체조성에서는 골격근량(p<.01)과 체지방률(p<.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체지방량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관탄성도에서는 수축기 혈압(p<.01)과 말초 동맥압(p<.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이완기혈압과 대동맥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은 노인 여성의 신체조성과 혈관탄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vascular flexibility check according to Pilates Mat exercise in elderly Women and in future, Exercise programs for seniors health promotion as evidence when tried to utilize. Female 30 elderly patients classified in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ercise group, who was conducted Pilates Mat exercise was gradually intensity applied for 60 minutes, three times per 1week, a total of 12 weeks. The following were result the study. Body composi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d(p<.01) in skeletal muscle and body fat rates was decreased(p<.01),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fat mass. Vascular flexibility showed systolic press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p<.01) and peripheral pulse pressu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p<.01),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 in diastolic pressure and aorta pulse pressure. As a result of all these, it was judged that a positive effect for body composition, and vascular flexibility after pilates mat exercise in 12 weeks.

      • KCI등재

        PLGA/피브린 지지체가 늑연골 세포의 부착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장지은(Ji Eun Jang),이동원(Dong Won Lee),강길선(Gil Son Khang),송정은(Jeong Eun Song),이유정(Yu Jung Lee),이윤미(Yun Me Lee),조선아(Sun Ah Cho) 한국고분자학회 2013 폴리머 Vol.37 No.2

        Poly(lactide-co-glycolic acid)(PLGA)는 좋은 기계적 성질과 생분해성으로 약물전달시스템 또는 조직공학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낮은 세포 부착률을 가지고 있어 피브린을 첨가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지지체는 트롬빈과 피브리노겐, 그리고 세포을 혼합시킨 후 PLGA 지지체 위에 도포시켜 제조하였다. 세포의 부착 및 증식률을 측정하고자 PLGA/피브린 지지체에 늑연골 세포를 파종 후 1, 3일 및 7일 후 SEM과 MTT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세포외기질 형성에 미치는 피브린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세포를 파종 후 누드마우스에 이식하여 GAG 및 콜라겐 합성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브린이 혼합된 PLGA 지지체가 생체내·외 환경에서 세포의 부착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PLGA/피브린 지지체가 기존의 PLGA 지지체와 비교하여 탁월한 세포 성장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oly(lactide-co-glycolic acid) (PLGA) has been widely used in the drug delivery and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because of its good mechanical strength and biodegradation profile. However, cell attachment to the scaffold is low compared with that on fibrin although cells can be attached to the polymer surface. In this study, PLGA scaffolds were soaked in cells-fibrin suspension and polymerized with dropping fibrinogen-thrombin solution. Cellular proliferation activity was observed in PLGA/fibrin-seeded costal cartilage cells (CC) on 1, 3, and 7 days using the MTT assay and SEM. The effects of fibrin on the extracellular matrix (ECM) formation were evaluated using CC cell-seeded PLGA/fibrin scaffolds. The PLGA/fibrin scaffolds elicited more production of glycosaminoglycan (GAG) and collagen than the PLGA scaffold. In this study, fibrin incorporated PLGA scaffolds were prepar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ibrin on the cell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in vitro and in vivo. In this result, we confirmed that proliferation of cells in PLGA/fibrin scaffolds were better than in PLGA scaffolds. The PLGA/fibrin scaffolds provide suitable environment for growth and proliferation of costal cartilage cells.

      • KCI등재

        여성주의 실천 전략으로 바라본 공동체 미디어

        장지은(Jang, Ji-Eun)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1

        본 연구는 여성 활동가들이 운영과 참여를 하고 있는 대구와 경산지역의 공동체 미디어를 분석하여 여성주의 실천 전략이 어떻게 지역에서 실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대구와 경산지역 공동체 미디어 실천 활동은 다음의 세 가지 지점에서 여성주의 실천 전략으로 유의미했다. 첫 번째 도시에서 새로운 공간을 생산하다는 점이다. 도시 사회의 정의는 사람들이 서로 얼마나 가까이 있는가, 얼마나 마주침의 공간을 담고 있는가이다. 특히 ‘도시의 공적 공간’에서 차별받아왔던 여성, 장애인, 성 소수자는 공간의 생산과 점유를 해야 하는 실천적 과제를 가지고 있다. 두 번째는 미디어 실천 활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이 머무르고 있는 일상과 경험을 이야기하며, 개인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배제되어 왔던 사람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 담론이 형성되고 공론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공동체 미디어는 도시에서의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공존하게 하는 전략을 펼친다. 공동체 미디어는 사람과 사람의 마주침, 온라인과 오프라인, 미디어 공간과 도심 공간의 접목을 통해 ‘마주침의 정치’를 생산해내는 여성주의 실천 전략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community media viewed from the perspectives of Feminist strategies in the areas of Daegu and Gyeong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ty media is creating new spaces in the urban space. In particular, women, disabled individuals, and sexual minoritie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have the practical task of producing and occupying new space. Second, community media contains details of women’s daily lives. This corresponds with the right to participation for all citizens, and participation and practical actions constitute an intimate relationship. Finally, people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conversation in the past can obtain the opportunity for discourse formation and public discussion with their voices. Public spheres are formed through media, which is a force that can influence the symbolic mediums of power and politics. Community media allows for a strategy to recognize differences in the urban and harmonize various voices. Media from the feminist community produces “the politics of the encounter” through the convergence of people, the online and the offline, and media and urban spaces.

      • KCI우수등재

        마을박물관활동의 평생교육적 의의

        장지은(Jang, Ji Eun) 한국교육학회 2018 敎育學硏究 Vol.56 No.3

        본 논문은 최근 확산되고 있는 마을공동체활동 가운데 마을박물관활동을 분석하였다. 중고령자들이 개인이나 마을의 기억을 수집하여 사회적 기억을 조직화하는 문화 활동이 중고령자의 인지적, 문화적, 사회적 성장에 기여하는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마을박물관활동에 마을큐레이터로 참여한 주민들의 경험을, 근거이론에 기초한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2017년 4월과 2018년 7월에 인천의 토지금고 마을박물관을 견학하고 기관 활동 자료를 고찰하고 나아가 6명의 마을큐레이터를 인터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박물관의 기억 문화 활동은 기억의 성과의 관람이나 문화콘텐츠에 대한 학습과는 다르다. 기억 문화 활동은 고령자가 마을에서의 경험과 기억을 활용하여 ‘전시’라고 하는 교육적 성과물을 만들어 가면서 기억에 대한 미션,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실행하는 실천이다. 이러한 활동은 신체적·사회적·심리적으로 계속된 상실의 불안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에 미래의 관점에서 기억을 인식한다고 하는 독특한 관점을 창조하며 고령자의 폭 넓은 인지적, 문화적, 사회적 활동을 자극한다. 본 사례연구의 성과는, 마을 박물관활동이 성인 및 고령자의 인지능력의 개발 및 문화적 사회적 능력제고에 기여한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준다. This study analyzes museum activities, one of the recent trends in community activities. The study demonstrates how cultural activities that promote social memories based upon community and individual reminiscing can contribute to the cognitive, cultural, and social growth of the elderly. Adopting the grounded theory framework,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community museum activities as curators. The data were drawn from multiple visits to a community museum located in Incheon in April 2017 and July 2018. Institutional activity records were reviewed and interviews with six community curato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ultural reminiscing activities carried out in community museums differed from those that involved viewing memory achievement performances and learning cultural contents. By engaging in museum activities, elderly participants utilized and demonstrated their experiences and reminiscences of the community. In so doing, they discovered memory-related missions and meanings while making educational progress. Their achievements stimulated broader cognitive, cultural, and social activities while creating unique perspectives that recognized memories from future viewpoint of the elderlys. This study provides educational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importance and contribution of community museum activities in developing the cognitive abilities of the elderly.

      • KCI등재

        연구논문 : 질적연구방법론을 이용한 여성노인의 식품선택 속성 및 제공 식사(편이식) 요구도 조사

        장지은 ( Ji Eun Jang ),김지나 ( Ji Na Kim ),박수진 ( Soo Jin Park ),신원선 ( Weon Sun Shin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9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consumption, and acceptability of convenience mealsin low-income female elderly attending a lunch program at a community well fare center. Using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11 elderly females (62.5±11.2y) living in Seoul. Participants tried to eat various foods in small-portionsat home, although they ate out what they were offered. Elderly females preferred lunch box-type meals containing a bowl of rice served with toppings, gruel, or Bibimbop due to the growing unavailability of cooking or preparing a meal. Side-dish type convenience mealswere also preferred among elderly females since boiled rice can be easily prepared according to individual preferences. In addition, participants preferred healthy foods. Convenience meal planning and production, appropriate kinds of foods, cooking methods, menus, and packaging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elderly`s functional atrophy in chewing, swallowing, digestion, and metabolic diseases. Furthermore, food preferences and comfort foods among the elderly need to b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Therefore, more information, including bite size, cutting size, and food texture, should be provided to understand and develop convenience meals for the elderly.

      • 여행지의 맛집 사진이 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지은(Ji-Eun Jang),오종열(Jong Ryul Oh),이지훈(Ji-Hun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5

        본 연구는 여행지의 맛집 사진과 관련하여 소비자 심리에 대해 개념정리를 하고, 더 나아가 여행지의 맛집 사진과 소비자 심리와의 관계성을 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음식이라는 문화를 사진을 통해 맛집 콘텐츠로 적용될 수 있는 마케팅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따라서 여행 만족도 1위인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제주의 음식인 고기국수 및 흑돼지 수제 햄버거 사진을 통해 심리적 여행 의도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황국곡자 투여가 지방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장지은(Ji Eun Jang),최혜란(Hye Ran Choi),이정현(Jung-Hyun Lee),인재평(Jae Pyung In),이정미(Jeong Mi Lee),김성필(Sung Pil Kim),진중현(Joong Hyun Jin),박탁현(Tack Hyun Park),최명준(Myeong Jun Choi),이태범(Tae Bum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5

        본 연구에서는 Asp. terreus를 접종하여 제조한 황국곡자를 이용하여 지질대사와 관련 조절유전자 및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고, 고지혈증 개선에 미치는 황국곡자의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SD rat을 사용하여 8주 동안 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황국곡자 0.5, 2 g을 경구투여 하였다. 그 결과 간조직에서 황국곡자 투여군은 총 지질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황국곡자가 콜레스테롤 배출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간조직내 LDL 및 HDL 관련 유전자 발현 확인 결과, 콜레스테롤 합성의 가장 중요한 기작인 HMG-CoA reductase, LDL receptor와 SREBP2 발현에서는 고콜레스테롤군보다 유의적으로 모두 증가하여 체내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조직의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해본 결과 황국곡자 투여군이 고콜레스테롤군에 비해 간 손상의 정도가 현저히 감소되어 있으며 간세포 내 작은 공포 모양의 지방구가 현저히 줄어들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황국곡자를 투여한 군 모두 지방세포 침윤과 같은 지방간 병변의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황국곡자는 체내의 지질대사에 영향을 끼침에 따라 고지혈증의 개선을 위한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ice contatining Aspergillus terreus (Hwangkuk, HK) on lipid metabolism in male Sprague-Dawley (SD) rats fed a high-cholesterol diet (HCD) for 8 weeks. SD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Negative Control (HCD), Positive Control (lovastatin)], [HK 0.5 g/kg and HK 2 g/kg]. Hepatic total lipids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treatment with rice contatining Asp. terreus. Furthermore, this treatment led to higher expression levels of HMG-CoA reductase, LDL receptor and SREBP2 mRNA in the liver compared with the HCD group. In addition, histopathologic evaluation showed that feeding rats with rice containing Asp. terreus suppressed hepatic steato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ice containing Asp. terreus may be able to regulate of cholesterol synthesis and prevent hyperlipidemia.

      • KCI등재

        지역자산의 관점에서의 지역공동체 학습 과제 - 지역사회적경제공동체를 중심으로-

        장지은(Jang, Ji Eun) 한국평생교육학회 2018 평생교육학연구 Vol.24 No.3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시행된 이후 지역사회에서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과제를 해결하고 수익의 안정을 도모하는 사회적경제공동체가 확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지역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학습과제를 지역자산의 관점에서 찾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경기도의 우수지역사회적경제공동체 5개 기관을 견학하고 인터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서 연구자는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공동체의 사업 활성화에 기여한 학습요인과 그 성과로서 얻은 지역자산의 특징을 밝히고 향후 지역자산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평생교육의 과제를 도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사회적경제공동체의 활성화에는 사람, 참여적 집단활동, 지역협력구조, 자율성, 그리고 기술교육과 사회적경제 및 공동체의 이해라고 하는 학습요인이 관련되어있었다. 또한 지역자산의 유형으로서는 지역환경과 지역문화를 포괄한 지역창조형과, 자율경영능력과 실행능력을 제고하는 역량강화형 등의 유형, 무형자산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지역공동자산형성에 필요한 사회적경제공동체의 교육과제로서 혁신적 관점, 로컬지와 과학적 지식의 융합능력 그리고 지역공동자산을 창조하고 관리하는 공동체능력개발을 분명히 하였다. Since the enactment of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in 2007, social economic communities have expanded to address local issues and stabilize business activity profits in local communities. This study seeks to address learning projects with regard to the sustainability of these communities from the community assets perspective. Field interviews that were drawn from five outstanding social economic community institutions located in Gyeonggi-do were used for the study. Learning factors that contributed to communities and revitalization with regard to solving local issues and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ons that led to achievements were identified. Suggestions for future lifelong education projects required from the community assets perspective were also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community asset achievements generated by social economic communities were related to people, participatory group activities, local cooperation structure, autonomy as well as learning factors such as technical educa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social economies and communities. Moreover, community assets were found to comprise tangible assets, such as local creativity involving the local environment and culture, as well as intangible assets, such as competency developments relevant to autonomous management and execution capabilities.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future social economic community educational projects necessary for joint asset 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innovation, the ability to converge local and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ompetence with regard to creating and managing community ass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