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머 헐버트의 한국 민속연구와 영역 설화집으로서의 『THE KOREA REVIEW』

        이유정 ( Yu Jung¸ L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이 논문의 목적은 근대 초기 교육학, 역사학,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 연구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는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가 발간했던 영문 잡지 The Korea Review를 영역(英譯) 설화집 연구의 주요 자료로 살펴보며, 이 잡지에 수록된 한국 설화 목록을 작성하여 소개하는 것이다. 근대 초기 서양인들에 의해 영역된 한국의 고소설, 설화를 중심으로 진행된 최근 연구들은 단행본으로 출판된 영역 설화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경향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선행 연구들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근대 잡지, 특히 The Korea Review를 통해 소개되었던 영역 한국 설화의 목록을 작성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이 잡지는 Hulbert의 주도적인 편집으로 한국 감리교 출판부(Methodist Publishing House)에서 1901년부터 1906년까지 발행되었으며, 이 잡지에 소개된 설화의 상당 부분이 Hulbert에 의해 수집, 채록, 영역된 것으로 확인된다. 정기 간행물로서 매달 고정적으로 작품이 소개되고 있기 때문에 이야기의 수와 다양성에 있어서는 개화기부터 일제 식민시기에 영역된 어떤 설화집보다도 다수의 목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Korea Review에 수록된 설화들의 목록을 정리하기에 앞서, 본문 1장에서는 The Korea Review의 전체적인 구성, 창간 경위, 목적, 주요 필자, 독자층, 편집 의도 등에 대해 살펴보고, 2장에서는 Hulbert의 민속학 연구에 대한 시각과 설화 수집 방법에 대하여 검토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The Korea Review에 수록된 설화 목록을 작성하여 향후 영역 설화 연구의 주요 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Korea Review, an English magazine published from 1901 to 1906 in the early modern Korea by Homer B. Hulbert. He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Korean Studies in the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history, and linguistics; however, this paper pays more attentions to him as a folklorist or a collector of Korean folktales. In doing so, it aims to introduce the list of Korean folktales included in this magazine. Recently, many scholars have studied Korean folktales collected and translated by foreigners during the early modern Korea, including the collections of Horace Allen and James Gales, but they have not dealt with the collections of folktales in The Korea Review.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I explore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magazine, focusing on its founding process, purpose, and readership, content composition, and editorial intent. In the second section, I will review Hulbert’s perspectives on folklore studies and the method of collecting stories of the time. Finally in the third section, I will introduce the list of folktales in the magazine.

      • KCI등재

        연극제작 과정에서 나타나는 치료적 효과에 관한 연구

        이유정 ( Lee Yu Jung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7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7

        이 논문에서는 개인의 자전적인 공연을 통한 변화와 특정 집단의 공동작업을 통한 변화를 통하여 연극예술이 가지는 고유의 치료적 효과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개인의 자전적인 공연은 필자의 무대미술대학원의 졸업 작품으로 만들게 된 “It"s my birthday today"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개인이 숨겨오고 억눌렀던 과거의 비극적인 경험을 다양한 상징적 이미지와 언어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공간에 신화적 구조인 여행의 틀을 사용하여 만든 공연이다. 예술가로서 자신에게 이슈가 되는 내용을 하얀색의 다양한 물건을 통한 상징과 사회적인 약속이 되어있는 도로 표지판의 상징등을 사용하여 과거의 기억을 고스란히 드러낸 작품이다. 필자는 이 작품의 공연제작과정과 공연을 통하여 비극적인 감정의 고통이 덜어지고 고통스러운 순간의 기억이 긍정적으로 승화되는 치료적인 효과를 가지게 된 것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 다른 연구 재료는 김천 소년교도소의 15세에서 22세까지의 재소자 20여명과 함께 한 뮤지컬 공연 제작이다. 6개월 동안 일주일에 한번씩 3시간의 연극 수업을 통하여 그들의 정서적인 변화와 집단의 관계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 공연의 제작과정에서는 개인의 기억을 소환하고 집단의 소망을 함께 이미지로 만들고 몸으로 표현하며 음악을 통해 자신들의 생각을 전달하는 공연 제작의 전 과정에서 이들 청소년들은 개인의 변화 뿐만 아니라 집단 구성원간의 관계의 변화도 감지할 수 있었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치료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지 않은 예술 창작활동이 어떻게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상징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어떻게 참여자들의 감정을 치유로 이끄는 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특히 김천소년교도소의 경우 함께한 연구자가 대상관계 이론에 기초한 설문을 완성하여 미약하나마 참가자들의 변화를 수치로 담아낼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study the inherent therapeutic effect of the theatrical arts through the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and the group work for the performance. The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is a work called "It" s my birthday today." which was made as graduation work of my graduate school. This work is a performance created by using the mythical structure of a journey in one space using diverse symbolic images and languages from past tragic experiences that individuals have hidden and suppressed. As an artist, this is a work that reveals the contents of an issue by using symbols of various objects in white and symbols of road signs which is a social promise. I described how the performance itself and it's process relieved the suffering of tragic emotions and had a therapeutic effect in which the memories of painful moments were subsided positively. Another research material is the production of a musical performance with about 20 inmates from 15 to 22 years old in Gimcheon juvenile prison. During the 6-month period, they were able to see their emotional changes and group-related changes through three hours of theater classes once a week. Though the production process of this performance, each participant recalls the memory of his own, expresses the wishes of the group together, expresses them through body, and conveys their thoughts through music through out the whole process. We could also detect changes in the relationship. In this paper, I described how artistic creative activities that do not have a therapeutic purpose can act positively for participants, and how various methods using symbols lead to healing of participants' emotions.

      • KCI등재

        이미지를 활용한 ‘자전적 치유공연’ 연구

        이유정(Yu Jung Lee)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이미지 구성을 활용하여 자전적 치유공연을 만들어가는 과정과 공연 후에 생겨나는 개인의 변화에 관한 연구이다. 언어 중심의 대본 구성을 하지 않고 이미지 구성을 통해 공연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치유와 그 이미지의 활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미지라는 것은 인간의 사고에서 언어 이전에 나타나는 본능적인 생각의 상태이므로 이미지를 통하여 개인의 상태가 잘 표현될 수 있다. 먼저 개인의 현재 상태를 다양한 미술 재료를 활용하여 평면 이미지인 ‘2D 꼴라주’로 만들고 그것을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감상하고 가장 중요하다고 느껴지는 부분에 집중한다. 다음 단계는 개인이 일상에서 선택한 다양한 재료들로 입체물을 구성하여 ‘3D 꼴라주’를 만든다. 이 ‘3D 꼴라주’를 하나의 예술품을 감상하듯이 다각도로 보고, 만져보고 자신의 여러 감각들을 통하여 수용하여 본인에게 어떤 감정들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한다. 이후로 이 입체물을 자신의 몸으로 조각상처럼 표현해 보고 향후에 그 조각상의 이전, 이후 모습을 표현하면서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이렇게 찾아낸 몸 이미지는 꼴라주를 만들면서 활용했던 이미지들과 결합되어 공연되는 한 장면으로 혹은 장면의 이미지로 구축되면서 점차 소리, 움직임, 대사로 구성되며 공연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이 연구의 대상인 J는 몇 년 동안의 우울과 무력감의 실체를 이미지로 발견하고 그것을 다시 공연으로 만들어 관객 앞에서 명확하게 보여주며 그 상태를 벗어났다고 이야기한다. 참여자는 스스로 그 무력감의 거대한 무게에 관하여 이야기했으나 실제 만들어진 이미지들이 가진 놀라운 반전의 모습 즉, 가볍고 별것 아니며 쉽게 벗어날 수 있는 이미지를 자신도 모르게 만들고 그 우울감과 무력감의 실체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이성적인 생각과 진술로 이루어지는 무게감에 비해 가볍고 별것 아닌 재료들로 구성되는 무의식적인 선택에서 오는 이미지들을 통해 실제 자신의 고민이 스스로 벗어날 수 있는 가벼움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후 공연까지의 제작 과정과 공연을 통해 새로운 인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자전적 치유공연의 만들기 방법 중, 무의식적인 선택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이미지 중심의 사고 과정을 구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진술 과정과는 다른 방식의 공연 만들기를 제안한다. 그것은 관습적이며 문자 중심적인 사고에서는 발견해 내지 못하는 무의식의 발현을 재수용하여 자전적 치유공연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며 참여자가 스스로 성장과 발전을 이루어 낼 수 있는 치유적 과정으로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 of creating an ATP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by utilizing the image composition of the individual's current status and the change of the individual that occurs after the performance. We investigated the use of image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performances through image composition without a language-centered script composition. An image is a state of instinctive thought that appears before language in human thinking, so the state of an individual can be well expressed through the image. First, the current status of the individual is made into a flat image "2D collage" by utilizing various art materials, and it is viewed with other participant and concentrated on the part that is felt to be the most important. The next step is to create a "3D collage" by compos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with various materials that an individual chooses on a daily basis. After making this, all of participants see "3D collage" from multiple angles as if appreciating a piece of art, and check what emotions you feel. After that, he try to express this three-dimensional object with his own body like a statue, and creating a natural movement while expressing the front and back of the statue. The body image found in this way is a scene that is combined with the image used while making a collage, or it is constructed with the image of the scene, and it is gradually composed of sounds, movements, and dictions to make the form of the performance. Participant say that he discovered the substance of melancholy and helplessness for several years as an image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performance, made it a performance again, showed it clearly in front of the audience, and got out of that state. The participant himself talked about the enormous weight of that feeling of helplessness, but he unknowingly created an image of a surprising reversal of the actually created images, that is, an image that is light, insignificant, and easily escaped, and came into contact with the reality of that feeling of depression and helplessness for the first time. Compared to the weight of rational thoughts and statements, he discovered that through images made up of light and insignificant materials through unconscious choices, he found that his real troubles were light enough to escape by himself. In this study, I propose to make a performance different from the rational and logical statement process by using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 image-centered thinking process that continuously requires unconscious choices among various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making techniques. It is a process of creating an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by re-accepting the manifestations of the unconscious, which cannot be found in conventional and text-oriented thinking, and can be well utilized as a healing process in which participants can achieve their own growth and development.

      • KCI등재

        식군전산세대의 ‘조국(homeland)’: 「공화국 찬가」에서 「조국찬가」로

        이유정 ( Lee Yu J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比較文化硏究 Vol.55 No.-

        이 논문은 미국의 ‘또 하나의 애국가’라고 불리는 「공화국 찬가 (Battle Hymn of the Republic)」가 한국전쟁 이후 산업화, 근대화 과정을 겪으며 한국의 「조국찬가」로 불리는 일련의 과정을 추적하며, 이 곡이 정치, 사회, 국가적 경계를 넘어 새로운 문화적 상황과 청중들과 조우하는 과정에서 변용(transformation), 전용(appropriation), 혼용(hybridization)되어 새로운 의미의 텍스트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 곡이 미국이라는 경계를 넘어 한국의 컨텍스트로 넘어오는 과정에서의 음악적 수행의 변화를 비교ㆍ문화적인 맥락에서 연구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일본 식민지시기 태어나, 해방, 미군정, 전쟁, 분단, 산업화의 시간의 접경을 건너온 한국의 식군전산(植軍戰産)세대**에게 ‘조국’의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해본다. 이 논문은 음악이 문화, 사회, 역사적인 맥락, 특히 국가, 민족 정체성의 형성이나 국가 건설의 과정에서 갖게 되는 의미와 그 역할을 모색하는 음악인류학 연구의 한 사례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and adaption of the song “Battle Hymn of the Republic” known as the second American national anthem, as a way to assess how the act of music-making, is closely linked to nation-building in Korea. The notion and symbolism of the home/homeland is imagined, constructed, and performed through music. A closer look at this specific song reveals the influential role of music, in shaping a hegemonic notion of the homeland and national identity, by drawing a clear boundary with the o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new dimensions for consideration in the analytic discourse of the homeland and music, by tracing the transformation and adaptation of the song through ethnomusicological research.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society, and the meaning of music in a society, have been a central focus of ethnomusicological studies, as well as investigation relative to national identity. Drawing on this scholarship, this paper explores how “Battle Hymn of the Republic” has been positioned as an ideologically-ridden song in the process of Korean modernization, since the notion of the homeland and home emerged as significant symbols of Korea since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 체질진단 및 치료기기 최신 특허동향 분석

        이유정(Yu-Jung Lee),이전(Jeon Lee),김종열(Jong-Yeol Kim)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3 No.2

        In this paper. We tried La analyze the patent trend on constitution diagnosis and treatment related technologies. For this, constitution diagnosis and treatment related technologies divided into 16 sub-technology by the advisory committee. And we analyzed patents applied in Korea, Japan, U.S.A., China, and Europe. The 16 sub-technology consist of pulse analyzer, skin diagnosis. tongue analyzer, face and body detector, face analyzer, voice analyzer, intelligence ontology, meridian diagnosis, infrared thermography, electric stimulation, laser. high and low frequency. physical, magnetic, and ultrasound therapy. As a result we found that patents of constitution diagnosis and treatment in Korea has been growing steadily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since 1980s. The number of patent the pulse analyzer and low frequency therapy are larger than others. But applied relevant international patents, marketability of the patent and Cites per Patent (CPP) index are shown to be very low. In conclusion, to occupy Ley original technologies of the Oriental medical device, we need to apply more patent of the whole related technology and international patents.

      • KCI등재

        ‘죽음’을 주제로 한 ‘자전적 치유공연(ATP)’ 연구

        이유정(Lee, Yu Jung)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5

        본 논문은 ‘죽음’을 주제로 한 ‘자전적 치유공연’에 관한 연구이다. 참여자들이 ‘죽음’을 주제로 한 공연을 경험함으로써 ‘죽음’을 제대로 직시하고 생의 전환점으로 만들 수 있는 행동들을 어떻게 발견하는지, ‘죽음’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바뀌는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것을 위하여 죽음의 의미와 그것을 담아내는 개인 공연의 형태 그리고 의례적 기능이 어떻게 자전적 치유공연(APT)으로 완성되는지 살펴보았다. 현대사회에서 ‘죽음’은 과학 기술로 무장한 병원 안에서 물리쳐야 할 ‘악한 대상’으로 삶과 분리되어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죽음’을 제대로 직시할 수 있고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그것은 죽음에 관한 ‘의례’로서 존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대적인 ‘의례’가 필요한 상황에서 ‘죽음’을 주제로 한 ‘공연’의 제작을 제시하고 개인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는 의례적 기능을 가진 예술 활동으로 ‘자전적 치유공연’ 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자전적 치유공연(ATP)’은 현대연극의 특성 즉, ‘자기(self)의 발견’과 ‘의례(ritual)의 발견’을 통해서 발전되어온 개인의 치유와 성장을 목표로 하는 공연이며 동시에 미학적 완성도 또한 갖추고 있는 완결된 예술 형태이다. 이러한 예술활동으로 ‘죽음’을 주제로 한 ‘자전적 치유공연’을 현대적인 ‘의례’의 기능으로 만들기 위하여 실제 ‘죽음 의례’에서 발견한 고유의 치유방식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죽음 의례’의 치유적 구성요소로 발견한 가장 중요한 방식은 바로 ‘보이지 않는 세계의 현현’이다. 사람들은 그 세계 안에서 다양한 행동과 소통의 방식들을 생생하게 경험하면서 이를 통해 ‘의례’ 이전과 이후 인식과 행동의 변화가 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보이지 않는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를 ①의례의 구조 ②상징의 사용 ③공간의 설정으로 상정하고. 이 요소들을 활용하여 현대의 의례이기도 한 자전적 치유 공연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공연의 의례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내용적으로 참여자들은 각자의 처한 상황(애도, 개인의 성장, 트라우마의 극복, 무기력에서의 회복)에 따라 ‘죽음’을 다루었으며 회복과 치유의 효과도 함께 경험할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해 ‘죽음’을 사유하며 ‘상징적인 죽음’을 자신에게 적용하며 치유의 효과를 다양하게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결국 ‘죽음’을 주제로 한 ‘자전적 치유공연’은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수행할 수 있는 예술 활동과 치유 활동으로, 어디에서나 실행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오랜 시간 우리 곁을 지켜왔던 ‘죽음 의례’가 주는 치유성을 현대 사회의 일상 안에서 회복시키는 방법이기도 하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ow participants could face death properly and discover behaviors that could make them a turning point in life, and how the perception of death changes by experiencing a performance on the theme of death . For this study, I first examined why the thought of ‘death’ is necessary in modern society. ‘Death’, which has been accepted as another name for life in human history, has come to exist separately from life as an ‘evil object’ to be defeated in a hospital arm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Therefore, an opportunity to properly face and accept ‘death’ must be provided, and it needs to exist as a ‘rite’ about death. In a situation where such a modern rite is necessary, it is an artistic activity with a ritual function that can present the production of a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and contain the story of an individual s death . was studied. Performances that can tell the story of the individual, that is, self , can be found in the unique form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f experimental theater. I figured out how to tell the story of in modern theater, discovery of self presented a new form of performance by revealing the actor himself to the audience, and accompanied the growth of the actor himself.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itual ,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 of modern theater, is also a basic element that helps the fundamental occurrence of healing in performance.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is a performance that aims for personal healing and growth develop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heater, namely, discovery of self and discovery of ritual ,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esthetic perfection. It is a complete art form equipped with. And in order to make the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as a function of a modern ‘rite’, the original healing method found in the actual ‘death ritual’ was applied. The most important method discovered as a healing component of the ‘Ritual of Death’ is ‘The Appearance of the Invisible World’. As people vividly experience various ways of behavior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world, they discovered that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and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rite came through it. And, it was confirmed that what constituted the ‘invisible world’ here was not the shaman’s contact or magical abilities, but clearly structured performance elements.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invisible world’ are assumed to be ① the structure of the ritual, ② the use of symbols, and ③ the setting of space. Using these elements, an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which is also a modern ritual, could be produced, and the ritual elements of the performance could be identified based on this. In terms of content, the participants dealt with ‘death’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s (mourning, personal growth, overcoming trauma, and recovery from helplessness), and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the effects of recovery and healing together. Through this, participants thought about ‘death’, applied ‘symbolic death’ to himself,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having various healing effects. Through all these research processes, the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applies the invisible world as its healing component to bring about change and growth of participants and changes in their attitude toward death. It was found that it could perform the function of a modern rite of death .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is an artistic activity and healing activity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and perform, and has the potential to be practiced anywhere.

      • KCI등재

        종합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이유정(Yu-Jung Lee),오준걸(Joon-Gul Oh)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5

        과거 병원은 치료만 목적으로 하여 최소한의 공용공간을 확보하여 계획되었지만, 현대 병원은 치유환경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공용공간이 늘어나고, 환자와 보호자와 의료진을 고려하여 계획된다. 또한 로비형태가 홀형에서 발전하여 스트리트형이나 컨코스형으로 계획되면서 공용면적이 증가했다. 과거병원과 다르게 접수, 대기, 수속공간에서 발전하여 현대병원은 상업,취미,문화공간으로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의 치유환경 요소를 선행연구에서 도출하여 치유환경 평가방법을 분석의 틀로 세워, 병원 로비공간의 치유환경을 로비 평면형태를 중심으로 분석, 평가한다. 병원 로비는 여러 행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공간으로, 병원 로비 평면타입별 각 3개의 사례를 비교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로 스트리트형이 홀형보다 로비치유환경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접근성, 옥상정원, 휴게공간의 분석결과는 비슷하다. 이는 사례대상이 대형종합병원이기에 충분한 공간이 계획되어 로비형태와 크게 관련 없는 요소로 사료된다. 스트리트형 중에서도 아트리움이 선형인 사례가 4면형 아트리움보다 오픈체적비가 크기에 로비의 공간감과 자연채광 유입효과가 크다. 또 로비평면이 홀형일 때, 단면이 중정형이면 오픈체적비가 큰 것을 보아 로비의 평면 형태도 중요하지만, 단면형태도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In the past, hospitals were planned with a minimum of public space for the sole purpose of treatment. On the other hand, modern hospitals have more public space as the importance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creases and are plann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patients, guardians, and medical staff. In addition, the lobby shape is developed from a HALL type and planned as a STREET type or CONCOURSE type, increasing the public area. Unlike past hospitals, which were used as reception, waiting, and procedure spaces, modern hospitals are used as commercial, hobby, and cultural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healing environment of the hospital lobby based on the shape of the plane surface by deducting the elements of general hospitals" healing environment from preceding studies as a framework. The hospital lobby is an important place where many actions occur. Therefore, 3 types of case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plane for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REET type showed a better healing environment than the HALL type, but the accessibility, roof garden, and resting place showed similar results. Because the case was based on a large general hospital, which had sufficient planned space, the factor has little to do with the style of the lobby. Among the STREET types, the linear atrium showed a better result in terms of the sense of space and inflow effect of natural lighting than the four-sided atrium because the linear atrium has large open volume ratio. When the lobby plane is the HALL type, a cross section of the courtyard had a large open volume ratio. Therefore,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is as important as the plane form of the lobby.

      • 초음파 분석을 이용한 촌관척 위치별 현관의 특성연구

        이유정(Lee Yu-Jung),이전(Lee Jeon),이혜정(Lee Hae-Jung),유현희(Ryu Hyun-Hee),최은지(Choi Eun-Ji),김종열(Kim Jong-Yeol) 한국한의학연구원 2007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3 No.3

        The study aims to measure and analyze the thickness and depth of blood vessel on the pulse diagnosis locations and the blood velocity through the use of ultrasonic waves (LOGIQ5PRO, GE Medical, U.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pulse diagnosis locations. The subjects included 44 healthy men and women(22.28±2.62age) considered normal in terms of Body Mass Index(BMI). The thickness and depth of the blood vessel and the blood velocity were measured three times on CHON, KWAN and CHUCK to obtain the average value. Results showe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ariables measured on CHON, KWAN and CHUCK.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was also observed. This explains why an oriental medical doctor can tell the difference in puls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CHON, KWAN and CHUCK.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ressure between CHON and KWAN was higher than that in pressure between KW AN and CHUCK. The findings explain why oriental medical doctors take pulses by dividing CHON, KWAN and CHUCK in the short length of the three fingers. It can be used to develop a pulse diagnosis device enabling accurat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lood vessel structure based on where the pulse is taken. Furthermore,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pulse diagnosis simul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