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아 고환에서 버팀세포의 미세형태학적 연구

        이태진,윤삼현,김미경,박언섭,유재형,Lee, Tae-Jin,Yoon, Sam-Hyun,Kim, Mi-Kyung,Park, Eon-Sub,Yoo, Jae-Hyung 한국현미경학회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2

        정상 성인 고환의 버팀세포(Sertoli cell)는 비분열세포이며, 정세관(seminiferous tubule)단면에서 비교적 불분명하게 관찰되고, 정세관 세포 성분의 $10\sim15%$를 차지하고 있다. 전자현미경적으로 버팅 세포는 특징적인 핵소체와 원형질막 및 세포질 소기관을 갖고 있다. 원형질막은 사춘기에 발달한 두 종류 즉 버팅세포와 버팀세포 및 버팅세포와 생식세포 사이의 세포연접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태이에서 버팅세포의 정확한 미세구조에 대한 기술은 드물다. 이에 본 저자는 태아 고환의 발생 제 14주부터 제27주 사이의 17예를 수집하여 정상 미세구조를 확인하고, 태아기 버팀세포의 분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태아기에서 버팀세포와 생식세포 및 버팀세포와 버팀세포 사이의 세포연접은 부착반점과 비슷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고, 이들은 관찰 대상인 태령 제14주부터 관찰되었다. 태아기 버팅세포의 세포소기관의 발달은 전반적으로 미약하였다. 비교적 풍부하게 사립체가 태령 제14주부터 관찰되었고, 무과립세포질세망이 소수, 그리고 과립세포질세망이 비교적 풍부하게 관찰되었다. 지방소포의 수는 비교적 일정하게 관찰되었고, 포도당입자는 발생 단계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다. 미세섬유와 Charcot-Bottcher의 결정소체는 본 연구대상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태아기의 버팀세포에서는 어른에서 관찰되는 특징적인 소견들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어른과는 다소 다른 전자현미경 소견을 나타냈다. 하지만 버팅세포의 분화양상을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태령 제27주 이후부터 사춘기까지의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Sertoli cells in the normal adult testis are nondividing cells, which are relatively inconspicuous on cross section of the seminiferous tubule and comprise about 10% to 15% of the tubular cellular elements. Ultrastructurally, Sertoli cells have characteristic nucleoli, plasma membrane, and cytoplasmic components. The plasma membrane has two types of intercellular junctions which are developed at puberty: junctions between adjacent Sertoli cells and Sertoli cell-germ ceil junction. However, the ultrastructural findings of Sertoli cells in human fetus is not fully elucidate yet. In the present study, human fetal testes ($14\sim27$ weeks) obtained from artificially induced abortions legally without gross malformation were studied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o make clear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Sertoli cells in human. In human fetal testes from 14 weeks to 27 weeks, the cell junctions of Sertoli-germ cells and Sertoli-Sertoli cells are desmosome like structure and not tight junction or desmosome. The Overall intracytoplasmic organelles of Sertoli cells are relatively sparse. The mitochondrias are relatively abundant but no developed cristae. And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i are abundant and smooth endoplasmic reticuli are sparse. The amount of lipid droplets are regularly observed in human fetal Sertoli cells. No microfilaments or Charcot-Bottcher's crystalloids are present. From the results, Sertoli cells in human fetal testes are somewhat different ultrastructural findings with puberty or adult. However, to make clear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Sertoli cells in human, further study for 28 weeks to puberty is required.

      • KCI등재

        목과(木瓜), 호장근(虎杖根) 및 유향(乳香) 추출물이 Raw 264.7 cell에서 LPS로 유도된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이태진,우경진,서성일,신상우,김상찬,권영규,박종욱,권택규,Lee, Tae-Jin,Woo, Kyung-Jin,Shu, Seong-Il,Shin, Sang-Woo,Kim, Sang-Chan,Kwon, Young-Kyu,Park, Jong-Wook,Kwon, Taeg-Kyu 대한동의생리학회 2006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ol.20 No.6

        In activated macrophage, large amounts of nitric oxide (NO) are generated by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resulting in acute or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s. In Raw 264.7 cells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to mimic inflammation, water extracts from the fruit of Chaenomeles sinensis, the root of Polygonum cuspidatum and Boswellia carterii inhibited the LPS-induced NO production in a parallel dose-dependent manner.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by which those extracts inhibits NO production, we examined the expression of iNOS and COX-2 in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We observ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iNOS expression between LPS alone and LPS plus those extracts-treated cells. However, water extracts from Chaenomeles sinensis, Polygonum cuspidatum and Boswellia carterii did not inhibit COX-2 expression which was induced by LPS treatment in Raw 264.7 cells. These data suggest that water extracts from Chaenomeles sinensis, Polygonum cuspidatum and Boswellia carterii can modulate anti-inflammatory immune response, which may be in part associated with the regulation of NO synthesis through the regulation of iNOS expression in mouse macrophage cells.

      • KCI등재

        MPEG-D USAC: 통합 음성 오디오 부호화 기술

        이태진,강경옥,김환우,Lee, Tae-Jin,Kang, Kyeong-Ok,Kim, Whan-Woo 한국음향학회 2009 韓國音響學會誌 Vol.28 No.7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들이 하나로 융합되어 가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음성 및 오디오 모두에 대해 우수한 음질을 제공하는 부호화 기술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부호화 기술에 대한 요구사항에 따라, MPEG에서는 2007년 10월 82차 회의에서 CfP를 시작으로 USAC 표준화를 시작하였고, 2009년 4월 88차 회의에서 WD3까지 완성되었다. MPEG-D USAC 기술은 최신 음성 부호화기인 AMR-WB+와 최신 오디오 부호화기인 HE-AAC V2를 융합한 기술로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코어 대역 부호화로 AAC, ACELP, TCX 등 다양한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부호화를 수행하고, 고대역 부호화 기술로는 SBR, 스테레오 부호화 기술로는 MPEG-Surround를 이용한다. USAC 기술은 음성과 음악 신호 모두에 대해 모두 우수한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 디지털 라디오, 모바일 TV 및 오디오 북등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As mobile devices become multi-functional, and converge into a single platform, there is a strong need for a codec that is able to provide consistent quality for speech and music content MPEG-D USAC standardization activities started at the 82nd MPEG meeting with a CfP and approved WD3 at the 88th MPEG meeting. MPEG-D USAC is converged technology of AMR-WB+ and HE-AAC V2. Specifically, USAC utilizes three core codecs (AAC ACELP and TCX) for low frequency regions, SBR for high frequency regions and the MPEG Surround tool for stereo information. USAC can provide consistent sound quality for both speech and music content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multi-media download to mobile device Digital radio Mobile TV and audio books.

      • KCI등재

        차량용 냉매 압축기의 성능 해석 프로그램 개발 및 대체 냉매 R1234yf에 관한 연구

        이태진,김기범(Ki Beom Kim),이승원(Seung Won Lee),이건호(Geon Ho Lee) 대한설비공학회 2011 설비공학 논문집 Vol.23 No.11

        The compressor’s efficiency affects on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because the compressors for car air-conditioning system are operated by engine-driven. Especially, the refrigerant is being changed recently from R134a to substitution refrigerant to protect environment pollution that people concerned about. However, that leads to lower efficiency of the car airconditioning system and wors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Thus,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methods for improvement of the compressor’s efficiency that affects on the fuel consumption of the vehicle by numerical analysis for compressor’s performance and the measurement of cylinder volume and pressure when the compressor is being operated.

      • KCI등재
      • 정신분열증 환자 치료에서 Risperidone과 Haloperidol의 사용시 치료 비용 비교

        이태진(Tae Jin Lee),김도훈(Do Hoon Kim)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연구배경 : 현재 risperidone과 같은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은 모두 양성 증상과 음성 증상을 포함한 정신분열병의 정신증적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며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에 비하여 부작용이 현저히 적어 정신분열병 치료의 일차 선택 약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에 비해서 가격이 고가인 관계로 치료비용이 증가되어 이로 인한 일부 사회적 논쟁이 일고 있다. 최근 외국의 몇몇 연구들이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했을 때 치료비용과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고했다. 그러나 외국과 의료전달 체계, 의료 보험 시스템, 치료환경 등의 차이가 있는 한국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이에 대한 국내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인 risperidone과 대표적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인 haloperidol을 사용한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치료비용에 대한 단순 비교조사를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Risperidone과 haloperidol의 약가는 2001년도 KIMS 판을 참조하였다. 한국에서 정신분열증 환자의 입원시 치료비용은 국내 대학병원 3개를 선택하여 환자 진료비 내역 6건을 이용하여 평균 일일 입원 비용을 구하였다. 일 대학병원에서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정신분열증 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 risperidone과 haloperidol을 사용한 22명의 정신분열증 환자의 평균 연간 추정 입원일수와 평균 추정 외래방문 횟수를 구하여 연간 기대 치료비용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 Risperidone 약값은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인 haloperidol이 보다 고가 임에도 불구하고 입원기간 및 재발률을 근거로 연간 및 5년 기대 치료비용을 추정해 보았을 때 haloperidol 보다 risperidone의 치료비용이 적었다. 전형적 항정신병 약물사용에 따른 부작용의 발현율과 그에 따른 보조 치료제의 사용, 외래 방문횟수의 증가, 전체적인 삶의 질적 저하 등의 변인 등도 함께 고려해 볼 때 정신분열증 치료에서 risperidone과 같은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시에 치료비용을 포함한 전반적인 치료효율은 고가의 약값을 상쇄하는 그 이상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다양한 변인이 통제된 전향적 무작위 대조 연구(randomized control study)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Risperidone, one of widely prescribed atypical antipsychotics,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of schizophrenia and to have less adverse effects than the typical antipsychotics. It has been, however, controversial to recommend the use of the atypical antipsychotic due to its higher cost compared to typical antipsychotics. Recently, the cost-effectiveness of atypical antipsychotics has been reported in several studies abroad, which might be different from Korean medico-social environments such as health delivery system, medical insurance system, and hospital environment. Therefore, cost analysis of atypical antipsychotics is necessary in Korea. In this study, we compared simply the cost of two drugs, risperidone, one of widely used atypical antipsychotics, and haloperidol, one of widely used typical antipsychotics. Method : The prices of both drugs were sought from KIMS published in 2001. The mean daily admission cost was calculated from admission costs of six randomly chosen schizophrenics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The annual expected treatment cost of both drugs was calculated from twenty-two schizophrenics who had been treated in the one university hospital by evaluating the mean expected admission days and the mean expected number of outpatient visits. Results and Conclusion : The five-year expected treatment cost of risperidone was lower than that of haloperidol when considered admission duration and recurrence rates in spite of its higher price. The cost of typical antipsychotics were even higher if its more frequent adverse effects, more use of adjunct drugs, increase in outpatient visiting frequency, and overall decrease in quality of life were considered. In the future, the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ight be necessary with controlling other affecting variables.

      • KCI등재

        공공성 개념에 기초한 의약품 생산 · 공급 체제의 유형화

        김선(Kim, Sun),김창엽(Kim, Chang-Yup),이태진(Lee, Tae-Ji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8

        의약품의 생산 · 공급은 의약품에 대한 접근, 나아가 건강의 중요한 결정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보건의료자원으로서 상품이 되고만 의약품의 특성과 그 생산 · 공급의 시장 주도성으로 인해 제대로 다뤄지지 못했다. 이용가능성, 물리적 · 경제적 접근용이성이라는 포괄적 의미의 의약품 접근성은 개발도상국에 한정된 문제로 인식되고, 고소득국가에서 의약품 접근성은 주로 신약에 대한 급여보장이라는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하지만 다국적 제약사의 공급 거부를 겪은 한국의 사례에서 보듯, 의약품 접근성은 고소득국가에도 상존하는 문제이며, 수요 · 소비에 앞서 생산·공급에 기인한다. 태국과 브라질의 경험은 국민국가 수준의 의약품 생산·공급 체제 공공성이 의약품에 대한 접근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의약품의 수요 · 소비 측면, 그리고 제약산업이라는 틀을 넘어, 공공성의 관점에서 의약품 생산 · 공급 체제의 다양성에 주목하였다. 공공성 이론을 기반으로, ‘의약품 생산 · 공급 체제 공공성’을 ‘의약품 생산 · 공급 체제가 공공가치를 제도화한 정도’로 정의하고, 의약품 생산수단의 공공소유(s), 의약품 지출의 공공 조달(p), 의약품 가격 및 지적재산권 통제(i)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파악하였다. 공공성의 세 가지 차원의 배열에 따라 의약품 생산 · 공급 체제의 8가지 이상형을 구축하고,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통해 주요 의약품 소비국 25개 국가를 각 이상형에 속하는 정도에 따라 유형화하였다. 분석결과, s*p*i 유형은 태국, s*~p*i 유형은 인도네시아, ~s*p*i 유형은 한국, s*p*~i 유형은 프랑스, s*~p*~i 유형은 폴란드, ~s*p*~i 유형은 독일, ~s*~p*~i 유형은 미국이 대표적인 국가로 나타났다. 서로 다른 유형의 의약품 생산 · 공급 체제를 발전시켜 온 배경에는 국가별로 처한 공공보건, 보건의료체계, 제약산업 맥락을 포함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맥락이 존재했다. 본 연구는 의약품의 생산 · 공급에 대해 체제라는 관점을 적용한 첫 시도로서, 국가별 체제의 다양성을 가늠하는 기준으로 공공성 개념을 활용하였다. 공공성은 다차원적 개념으로서, 국민국가 수준에서 체제의 가치, 제도 형태를 비교하기에 타당한 개념적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전 세계 자본주의 의약품 생산 · 공급 구조에도 불구하고 의약품 생산 · 공급 체제에 다양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각 국가가 주어진 맥락 하에서 의약품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어떤 형태의 의약품 생산·공급 체제를 발전시켜 나가야 할지에 대해 함의를 준다. Backgroun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global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which play a central role in ensuring access to medicines and health; the aim was to propose a typology based on ‘publicness’, to overcome demand and consumption-side access arguments and market-driven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Methods First, ideal types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were constructed, based on publicness. Second,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was carried out in 25 leading countries of pharmaceutical consumption. Third, typical countr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relative membership scores in each ideal types, and their experiences were reviewed to demonstrate the heuristic value of our typology. Results Based on publicness theory, ‘the Publicness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PPPR)’ was conceptualized as ‘the degree to which the public values are institutionalized in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PPPR was identified in three dimensions: the public ownership of means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s), the public funding of pharmaceutical expenditures (p) and the control of price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pharmaceuticals (ⅰ). Based on configurations of three dimensions of publicness, eight ideal types were constructed. The results of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were as follows: s*p*i type as a case of Thailand, s*~p*i type as a case of Indonesia, ~s*p*i type as a case of South Korea, s*p*~i type as a case of France, s*~p*~i type as a case of Poland, ~s*p*~i type as a case of Germany, and ~s*~p*~i type as a case of US. Different regimes showed different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cluding public health, health care system and pharmaceutical industry.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applies ‘regime’ approach to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We found out that ‘publicness’, as a multi-dimensional concept, is a valid and relevant instrument to compare values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of different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The diversity of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from a point of publicness,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further discussion of alternative pharmaceutical production and supply regimes to ensure universal and equitable access to medic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