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 평]유사성에 대한 실증, 동아시아 문학사의 이례(異例) : 리둥메이, 『이광수와 저우쭤런의 근대문학론: 민족ㆍ문학ㆍ진화』, 소명출판, 2020

        이은지 ( Lee Eunj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민족문학사연구 Vol.76 No.-

        리둥메이의『이광수와 저우쭤런의 근대문학론: 민족ㆍ문학ㆍ진화』는 이광수와 저우쭤런의 행적, 민족성 개조를 위한 이론들, 근대적 문학 개념을 제시한 이론들을 나란히 비교한 책이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두 문인을 비교하는 작업과 두 문인에게 영향을 준 요소들의 추적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여, 결과적으로 두 문인의 유사성을 두 문인이 공통적으로 수용한 레퍼런스 목록으로써 실증적으로 뒷받침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 형성하는 이광수와 저우쭤런의 관계는, 직접적인 교류 내역은 없으면서도 행적, 문제의식, 레퍼런스 목록에서 놀라운 일치율을 보이는 매우 독특한 사례가 된다. 이러한 논의 방식은 풍부한 후속 논의의 가능성을 열어 준다. 우선 귀스타브 르 봉과 같이 이광수와 저우쭤런을 비교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레퍼런스들이 있다. 또한 이광수와 저우쭤런이 직접적인 교류 없이도 이토록 유사한 참조 목록을 지닐 수 있다면, 비슷한 대상들을 공통적으로 참조한 또 다른 인물이 있지는 않은가, 혹은 레퍼런스들‘끼리의’ 밀접한 관련성이 있지는 않은가 하는 질문을 바탕으로 추후 확장적 연구를 시도해 볼 수 있다. 이광수와 저우쭤런의 관계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면, ‘무관함’과 ‘높은 일치율’이 공존하는 이 사례를 동아시아 문학사 내에서 어떻게 의미화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질문이 제기된다. 한편으로 이 책에서는 두 대상의 유사성이 크게 부각되어, 두 사람 각각이 놓였던 맥락 및 그 차이점에 대한 의문이 남기도 한다. 가령 1920년경 이광수 문학론에 변화가 일어났음을 설명하면서, 저자는 그 무렵 이광수가 참조한 대상들을 성실히 소개하기는 하지만, 동인지 문인들과의 대립관계나 제1차 세계대전 및 3ㆍ1 운동의 여파 등 다른 중요한 맥락들은 비교적 소략하게 언급한다. 저우쭤런의 경우 ‘민족’보다도 ‘개인’에 대한 관심이 컸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이광수와의 사이에서 보이는 차이점도 실상 저자가 논한 것보다 더 많이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아닐까 한다. 두 사람 모두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이상주의적 흐름에 영향받았을 것을 고려하면, 저우쭤런은 동인지 문인들과 더 면밀하게 비교해 볼 만한 인물이라고도 생각된다. LI, Dong-mei’s A Study on the Modern Literature Theory of Lee Gwangsu & Zhou Zuoren: Nation·Literature·Evolution is a book which compares Lee Gwangsu’s chronicles, the theory of national reformation and the concept of modern literature with those of Zhou Zuoren.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this book is that it simultaneously performs comparing the two writers and track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m, thereby empirically suppor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writers by their commonly-considered references. Consequently, this book features the relation between Lee and Zhou as an unusual case which is not based o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but still bears striking similarity in their chronicles, theories and lists of references. This way of examination opens various ways for further research. First of all, some references turn out worthier of research as they are found in the list of commonly-considered references of the two writers. It also seems important to explore if there are any other writers who also commonly considered the references, or if there is any background that interconnects the references. In regard to the relation itself between Lee and Zhou, one can account for how we would signify this unprecedented relation of ‘irrelavance’ and ‘concordance’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literature. Since this book ris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two writers in prominence, however, several questions can be raised to require to address each writer’s social contex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For instance, when the author of this book explains the change of Lee’s theory of literature, she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references that Lee used thereabout, whereas she relatively briefly examines other important contexts, such as the confrontation with the writers of literary coterie, the First World War or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nd regarding that Zhou were also in the context of spread of Individualism at the time, there could be more differences between Lee and Zhou than what is described in this book.

      • KCI등재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이은지,정유숙,이세용,이선우,노지혜,심예린,홍진표,정영희,Lee, Eun Ji,Joung, Yoo-Sook,Lee, Se Yong,Lee, Sun Woo,Noh, Ji Hye,Shim, Ye Rin,Hong, Jin Pyo,Chung, Young Hee 대한불안의학회 2017 대한불안의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는 학교 기반, 교사 주도의 초등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인성함양에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학년에 따라 인성교육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base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 A total of 1,325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Pre-post changes in eight character virtues (self-esteem, self-regulation, honesty, sincerity, communication & caring, citizenship, justice, responsibility/cooperation) and student satisfaction were assessed.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Results :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4th and 5th grad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on all eight character virtues ; whereas, the 6th grad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on five character virtues. Conclusion : Despite the differences in effect based on the grade levels, the study results supported the effectiveness of a school-based socio-emotional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ould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닥나무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기반 InDel 마커의 개발

        이은지,김윤아,이미선,김주혁,최용규,김정성,신창섭,이이,Eun Jee Lee,Yoon A Kim,Mi Sun Lee,Ju Hyeok Kim,Young Kyu Choi,Jung Sung Kim,Chang Seob Sin,Yi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닥나무 속 식물에 대한 InDel 마커를 개발하였다. 전국의 닥나무 속 식물 22개체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닥나무 속 식물 중 6개체를 차세대염기서열 분석(NGS)을 실시하였다. NGS를 통하여 얻은 염기서열 정보를 기존에 발표되었던 닥나무 엽록체 서열과 비교하여 InDel 마커 후보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마커 후보를 수집된 닥나무 속 식물에 적용하여 마커의 특성 검정을 통해 총5개의 엽록체 기반 마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InDel 마커를 22개의 유전자원에 적용한 후 군집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5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마커들은 닥나무 속의 육종이나 종 판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근대기상관측 이후 장기기상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영향태풍의 강풍특성

        이은지,정우식,Lee, Eunji,Jung, Woo-Sik 한국환경과학회 2021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0 No.9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trong winds accompanying typhoons for a period of 116 years, from 1904 to 2019, when modern weather observations began in Korea. Analysis shows that the average wind speed and high wind rate caused by typhoons were higher over the sea and in the coastal areas than in the inland areas. The average wind speed was higher over the West Sea than over the South Sea, but the rate of strong wind was greater over the South Sea than over the West Sea. The average wind speed decreased by 1980 and recently increased, while the rate of strong winds decreased by 1985 and has subsequently increased. By season, the strong winds in autumn (september and october) were stronger than those in summer (june, july, and august). Strong winds were also more frequent in autumn than in summer. The analysis of the changes in strong winds caused by typhoons since the 1960s shows that the speed of strong winds in august, september, and october has increased more recently than in the past four cycles.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wind speed was evident in fall (september and october). Analysis of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stronger wind is due to the effects of autumn typhoons, and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strong winds.

      • KCI등재

        국내 대학 디지털도서관 e-서비스의 민첩성 역량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은지,이지연,Lee, Eun-Jee,Lee, Jee-Ye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3

        Rapid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forcing dramatic shifts in how business are conducted in various industry sectors. This pace of change is increasing all around the worl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libraries to provide the information services with agility, which emphasizes on the prompt reaction to the changes, which are almost impossible to predict. Especially, the digital librari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require more agility as their main mission is providing a wide range of cutting edge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and education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notion of 'agility' is examine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library's e-service measure evaluation factors and the capability, which is defined as agility, is explored. In addition, the impact of agility in user satisfaction is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ses, the factors to consider in managing digital librari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are suggested. 급속한 정보환경의 변화는 여러 산업에 걸쳐 비즈니스 패러다임을 급격하게 바꾸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그 확산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도서관에서도 예측 불가능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신속하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인 민첩성 역량을 이용하여 정보서비스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다. 특히 원활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돕기 위해 최신 정보와 방대한 범위의 정보 제공을 하고 있는 대학 디지털도서관에서의 민첩성 역량은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첩성 역량에 대해서 살펴본 뒤 대학 디지털도서관 e-서비스 측정 평가 요인과 민첩성 요인들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또한 민첩성 역량이 이용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 디지털도서관 운영 및 경영에 있어 고려해야할 사안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가족구조에 따른 중년기 건강행동의 성별 차이

        이은지,전혜정,Eun Jee Lee,Hey Jung Jun 한국가족학회 2015 가족과 문화 Vol.27 No.2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중년기 가족구조와 건강행동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가족구성원의 존재가 사회적 통제(social control)의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분 석에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1차(2006년) 년도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분석 대상은 45~64세인 중년기 남성 2,530명과 여성 2,953명이다. 종속변수인 건강행동으로는 규칙적 운동여부, 흡연여부, 음주태도의 세 가지 변수가 포함되었다. 독립변수인 가족구조는 혼인상태와 생존 자녀의 유무, 막내자녀의 연령을 이용하 여 6개의 형태로 나누어 더미변수로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인구학적 요인들과 건강관련 변수, 사회적 특성들을 통제하였다. 자료는 Mplus 7.3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성별 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e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음주태도와 규칙적 운동여부가 가족구조와 관계가 있다는 유의미한 증 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흡연여부는 가족구조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성 은 배우자가 없을 경우, 여성은 자녀가 없을 경우 흡연을 할 확률이 증가하였다. 즉 중년기의 건강관련 행동들이 모두 가족구조와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가족의 존재가 일부 건 강위해행위를 억제하는 사회적 통제의 효과를 가지며, 이에 대한 성차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년기 건강관리를 위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는데 있어 개인이 속한 가족 의 구조와 성별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control over marital relationships and parenthood by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tructure in midlife and health-related behaviors and whether gender differences existed within this relationship. The first wave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conducted in 2006 was used for analysis. The experimental sample included 2,530 males and 2,953 females who were middle-aged, ranging from 45 to 64 years old. Three kinds of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included as dependent variables—regular exercise, smoking, and binge drinking. The independent variable, family structure, was categorized into six groups by marital status, parenthood, and age of the youngest child and was dummy cod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s, and social traits that were kn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controlled for higher reliability of the results. Logistic regression using Mplus 7.3 was utilized, and multi-group analyses were done in order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evidence indicating that family structure was associated with regular exercise and binge drinking for both males and females. Smoking, however,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family structure; unmarried males and childless females were more likely to smoke. In other words, although family structure was not associated with all health-related behaviors, the presence of family members was found to have social control effects that restrained health-risk behaviors, and gender differences were shown to exist in the effects.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consider both family structure and gender of t he middle-aged when establishing policies and plans for healthcare in midlife.

      • KCI등재

        누적독성부하 산정을 통한 주민소산 전환시점 선정에 관한 연구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이은지,한만형,천영우,이익모,황용우,Lee, Eun Ji,Han, Man Hyeong,Chon, Young Woo,Lee, Ik Mo,Hwang, Yong Woo 한국안전학회 2020 한국안전학회지 Vol.35 No.6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hemical industry, the chemical accident is increasing every year, thereby increasing the risk of accidents caused by chemical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rovide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shelter-in-place or outdoor evacuation by material, duration of accident, and distance from the toxic substance leak.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transition point are not clear. Transition point mean the time that evacuation method is switched from shelter-in-place to outdoor evacua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lculate appropriate transition point by comparing the cumulative toxic load. Namdong-gu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as finally selected as the target area,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population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in 2016 and the statistical survey of chemicals in 2016. The target materials were HCl, HF, and NH<sub>3</sub>. Modeling was simulated by ALOHA and performed assuming that the entire amount would be leaked for 10 min. Residents' evacuation scenarios were assumed to be shelter-in-place, immediate outdoor evacuation, and outdoor evacuation at an appropriate time after shelter-in-place. Based on the above method, the appropriate transition point from residents located in A(800 m away), B(1,200 m away), C(1,400 m away) and D(2,200 m away) was identified. In HCl, appropriate transition point was after 15 min, after 16 min, after 17 min, after 20 min in order by A, B, C and D. In HF, appropriate transition point was before 1 min or after 16 min, before 4 min or after 19 min, before 5 min or after 20 min, before 14 min or after 26 min in order by A, B, C and D. In NH<sub>3</sub>, appropriate transition point at A was before 4 min or after 16. Others are not in chemical cloud. This study confirmed the transition point to minimize the cumulative toxic load can be obtained by quantitative method. Through this, it might be possible to select evacuation method quantitatively that cumulative toxic load are minimal. In addition, if the shelter-in-place is maintained without transition to outdoor evacuation, the cumulative toxic load will increase more than outdoor evacua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ctions to reduce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s in the room were necessary, such as conducting ventilation after the chemical cloud passed through the site.

      • KCI등재

        기프티콘 증여상황에서의 역할과 상호간 친밀도에 따른 선물 만족도

        이은지,Lee, Eunji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3

        선물 증여행위란 증여자와 수령자의 특수한 행동양태로, 선물 증여상황에서 발생되는 양자 간의 정서와 만족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은 선물 증여행위는 최근 모바일의 보급과 성장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도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기프티콘 (Gifticon)으로 불리 우는 모바일 선물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증여자 측면의 이용행태와 동기에만 집중하였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더 나아가 (1) 기프티콘 증여상황에서의 역할에 따른 정서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2) 역할과 상호간 친밀도가 선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령자의 경우에는 증여자보다 흥분, 짜릿함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더욱 높게 느끼고, 친밀도에 상관없이 높은 선물 만족도를 느꼈으나 증여자의 경우, 친밀도에 따라서 선물 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점점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새로운 선물 증여행위에 대한 심리적 고찰과 동시에 역할 및 친밀도에 따른 소비자의 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새로운 선물 시장에 실무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Gift-giving is a special behavior where both givers and receivers are interactively involved. Thus, emotion and satisfaction for both sides are core factors in gift-giving research. Recently, gift-giving expands to a mobile venue by the growth of the industries in Korea.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som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mobile gifts called 'Gifticon'. However, most of them focused on the phenomenon based on the usage patterns and motives from the perspectives of givers. This study aimed (1) to figure out the emotion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ction of giving Gifticons, and (2)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role and intimacy on the level of gift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recipients felt higher levels of positive emotions such as excitement and thrill than givers whereas givers had different levels of gift-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intimacies to the receiver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marketing strategies by providing psychological contemplations to a new form of gift-giving behavior, which is expanding toward a new mobile market. Further, it also suggests managerial implications by understanding the level of consumers' satisfaction from the role in Gifticon-giving situations and the intimacies between givers and recipients.

      • KCI등재

        $CO_2$ Snow Cleaning 적용 철제유물 표면 이물질 제거 연구

        이은지,조남철,이종명,유재은,Lee, Eun-Ji,Cho, Nam-Chul,Lee, Jong-Myong,Yu, Jae-Eun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1 보존과학회지 Vol.27 No.3

        Cleaning of foreign matter and corrosion products on surface among conservation treatment of iron artifacts is an important part for looking up a original form. The sand blaster is the most popular equipment when it removes the foreign matter and corrosion products on iron artifacts surface. Current foreign matter and corrosion products equipment, which mostly uses, is sand blaster. Glass dust which sprayed from sand blaster is harmful and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investigated the $CO_2$ snow cleaning that use a eco-friendly equipment to apply for cleaning foreign matter and corrosion products on surface of iron artifacts. It examined by using sand blaster and $CO_2$ snow cleaning to aged steel coupon and iron artifacts. In case of aged steel coup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sand blaster and $CO_2$ snow cleaning methods were similar to the degrees of cleaning foreign matter and corrosion products, through surface roughness, color measurement and SEM. $CO_2$ snow cleaning applied to aged steel coupons weren't worn out the surface in comparison with sand blaster by SEM. When applied to the iron artifacts, power nozzle of the $CO_2$ snow cleaning was an excellent cleaning effect that surface wern't worn out in comparison with sand blaster. And, it showed that internal structure change of metal was no found before and after cleaning by X-ray radiography. Consequently, we confirmed that cleaning of the sand blaster and power nozzle of $CO_2$ snow cleaning were similar to the effect. But, it's very careful to use this method because of high outlet pressure of power nozzle for applying to the iron artifacts. As a result of experiments, it could be found that the cleaning methods should be selected depending on internal state of the artifacts. 철제유물의 보존처리 과정 중 표면 이물질 제거는 유물의 원형을 찾아주는 중요한 단계이다. 현재 표면 이물질 제거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sand blaster (air brasive)의 경우, 분사되는 유리가루는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주요한 물질이다. 그러므로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타 산업분야에서 친환경세정장비로 많이 쓰이고 있는 $CO_2$ snow cleaning을 철제유물 표면 이물질 제거에 적용하여 비교·연구 하였다. 실험은 부식시험편과 철제유물에 sand blaster와 $CO_2$ snow cleaning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부식시험편의 경우, sand blaster와 $CO_2$ snow cleaning 방법 모두 이물질 제거 정도, 표면 거칠기, 색도 측정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SEM을 통해 $CO_2$ snow cleaning을 적용한 부식시험편은 sand blaster에 비해 표면을 마모시키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철제유물에 적용한 경우, $CO_2$ snow cleaning의 power nozzle은 sand blaster에 비해 표면을 마모시키지 않고 고른 표면을 유지하는 등 세정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X-ray촬영을 통해 이물질 제거 전과 후 금속 내부의 구조적 변화는 없음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sand blaster와 $CO_2$ snow cleaning의 power nozzle은 이물질 제거 효과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CO_2$ snow cleaning의 power nozzle을 철제유물에 적용하여도 sand blaster와 유사한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분사압력이 높을 경우 철제 유물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유물 내부 상태에 따라 적용여부를 판단해야 함을 본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