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량정보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최근 연구동향 분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정보관리학회지와 비교하여 -

        서은경,이원경,박은경,이옥성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3

        This study reviews articles in published in the The Journal of Korean Biblio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JKBSLIS) over 5 years from 2010 to 2014 for identifying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the recent research trends of the JKBSLIS. 300 articles of JKBSLIS are analyzed in terms of bibliometric factors, research theme, methodology, author keywor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comparing with 344 article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JKSLIS) and 283 articles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JKOSIM). In results, there is no differences between JKBSLIS and the other two journals, JKSLIS and JKOSIM regards on bibliometric factors. The domain research areas in the JKBSLIS are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and ‘Reading Educa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 most popular methods are ‘survey’ and ‘case study’ and that the main research areas in the shown intellectual structure are ‘public library & reading’, ‘academic library & collection management’, and ‘school library &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본 연구는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발표한 논문들의 계량서지적 특징과 연구패턴, 연구영역을 규명하고 문헌정보학분야의 또 다른 학술지인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정보관리학회지」의 논문들과 비교함으로써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학술적 특징과 최근 동향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2010에서 2014년까지 5년간 발행된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300편, 「한국문헌정보학회지」의 344편 그리고 「정보관리학회지」의 283편, 총 927편을 대상으로 계량서지학적 분석,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 분석, 저자키워드 분석, 그리고 지적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계량서지학적 분석에서는 「한국비블리아학회지」와 다른 학회지와 별 다른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다른 학회지와는 다르게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 주제는 정보서비스였고 그 다음은 도서관경영과 독서교육이었으며 서베이 방법과 사례연구를 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적구조 분석을 통하여 ‘공공도서관과 독서 영역’, ‘대학도서관과 장서관리 영역’, ‘학교도서관과 정보활용 영역’이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최근 핵심연구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내에서 간행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의 연구 동향 분석

        김민정,이혜은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nglish-language journals in Korean studies published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English journals in Korean studies indexed in A&HCI and SCOPUS. A total of 1,840 were selected, including 768 articles of the Korea Journal, 466 articles of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85 articles of the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and 321 articles of the Acta Koreana, in connection with content analysis, author analysis, author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In results, the domain research of Korean studies is Humanities, followed by Social Science, and Arts and Kinesiology. These three sectors have grown significantly in publishing numbers since 2000. The subject period of the study is in the order of the modern period,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Authors from domestic affiliations made up 73.34% of the total, but the proportion of authors belonging to foreign institutions continued to increase. As for author keywords, ‘Korea’(41), ‘Buddhism’(20), ‘Koreanwar’(18), and ‘Joseon’(18) were derived as top keywords. In topic modeling, six topics were identified; ‘Korean culture, cultural transmission,’ ‘Korean modern political history,’ ‘Korean social democratization process,’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n religious philosophy,’ and ‘Korean ancient history.’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interests in and research areas of the recent international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studies.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간행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A&HCI 및 SCOPUS에 등재된 한국학 분야 영문학술지 4종으로, Korea Journal 768편,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466편,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285편, Acta Koreana 321편 등 총 1,840편을 선정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내용 분석, 저자 분석, 저자 키워드 빈도분석,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학 연구는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학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세 영역 모두 2000년 이후 출판 논문의 수와 범위가 크게 성장하였다. 연구의 대상 시기는 현대, 조선 후기, 근대 일제강점기 순이었다. 논문 저자의 소속 기관은 국내 소속 기관의 저자가 73.34%였으나, 국외 소속 기관 저자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저자 키워드는 ‘Korea’(41번), ‘Buddhism’(20번), ‘Koreanwar’(18번) ‘Joseon’(18번) 등이 상위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토픽모델링에서는 ‘한국 문화, 문화 전파 현상’, ‘한국 현대 정치사’, ‘한국 사회 민주화 과정’, ‘일제강점기 시대상’, ‘한국 고유 종교철학’, ‘한국 고대사’ 등 총 6가지의 토픽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최근의 국제적인 한국학 학술 커뮤니티의 관심사와 연구영역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 사례 분석 연구

        박미영,안인자,남승주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오픈사이언스 정책의 일환으로 학문분야별 연구데이터 공유․활용에 관한 인식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27개 기관 데이터 업무담당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중 데이터 관리 면에서 우수기관 9개 기관을 선정하여 연구데이터 수집 및 관리현황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현재 출연연구기관의 연구데이터 수집․관리는 전반적으로 시범사업 단계이며, 데이터의 수집 구축 수준 또한 기관별로 상이하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수집을 시작하는 단계(KIOM), 수집․관리가 고도화되고 있는 단계(KIST), 공유․활용을 시작하는 단계(KRIBB, KRICT) 등으로 구분된다. As a part of the open science policy, this study compared the perception of research data sharing and utilization by academic field. Based on this, in -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to the data task managers of 27 government - 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mong them, nine excellent organizations were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data management and cases of research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were specifically presented. The State of the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research data by the participating research institutes is generally a pilot project stage, and the level of collection and establishment of data also differs by institution. In terms of institutions, they are divided into three levels: the level of collection and establishment of data(KIOM), the advanced level of it (KIST), And level of steps to start sharing (KRIBB, KRICT).

      • KCI등재

        사서의 문헌정보학분야 학술논문 출판 활동 현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를 중심으로 -

        신은자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4

        In addition to emphasizing practicality, as in some academic disciplines, LIS is also interested in the research activities and journal publishing of librarians. Despite the high interest, there are few Korean studies on librarian authors’ publishing.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status of librarians’ publishing and finding ways to activate their journal publishing. This study analyzed the papers of the librarian authors published from 2014 to 2018 i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ians who are publishing. As a result, librarians accounted for 15.56% of all authors. However, it is encouraging that the number of librarians’ authorship stabilized, and that many librarians are the main authors. Librarians who were energetically publishing were public or school librarians, and academic librarians were slightly behind. There were graduate student librarians who collaborated with the advisor. In order to increase the librarian’s publishing, it seemed to be necessary to improve not only the librarian’s efforts but also the recognition and assistance of his/her library. Both the librarian and his/her library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ublishing the journals, and should establish concrete plans such as resilience, compensation, and support. In this way, the librarian’s valuable practical experience will be published in research papers and widely shared among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실용성을 강조하는 여타 학문 분야처럼 문헌정보학은 실무자인 사서의 연구 활동과 학술논문 출판에 관심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직접 다룬 국내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 연구는 사서의 국내 학술논문 출판 데이터를 수집하여 현황을 분석하고, 사서의 학술논문 출판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에 수록된 사서 저자의 논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고, 출판한 사서의 특성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학술지 저자 전체에서 사서의 비중은 15.56%로 높지 않았다. 다만 사서 저자의 논문수 추이가 안정세였고, 공저 논문 가운데 사서가 주저자인 경우가 많다는 점은 고무적이었다. 활발한 출판을 보이는 사서는 공공 도서관과 학교 도서관 사서였고, 대학 도서관 사서는 다소 뒤져 있었으며, 지도교수와 공저하는 대학원 재학 사서도 있었다. 사서의 학술논문 출판을 활성화하는 데는 사서 개인의 노력뿐 아니라 소속 기관의 인식 개선과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사서와 도서관 모두 학술논문 출판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업무 시간의 탄력 적용, 보상, 지원 등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실천함으로써, 사서의 귀중한 실무 경험이 학술논문으로 출판되고 이를 타 연구자 및 사서가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초록집의 특성

        최성진 한국비블리아학회 199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7 No.-

        1984년에 발행된 本誌 第6輯에 필자는 당시의 한국초록서비스의 技術現況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금년에 필자는 다시 類似한 範圍와 內容의 조사를 행하여 한국초록서비스의 變化 또는 발전의 實相을 밝혀 보려고 한다. 금년 조사의 실제적 意圖는 초록서비스의 주요 道具인 이 나라 초록지의 발전과정을 10년이라는 비교적 긴 기간에 걸쳐서 觀察하고 그 持續的 특성이 어떤 것인지를 定義하려는 데 있다. 한 나라 초록지의 일반적 특성을 어느 해에 實行한 한번의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定義하기는 어렵다. 韓國抄錄서비스의 기술현황을 조사한 결과 부분은 금년 여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발표하였으므로(최성진, 1994) 여기서는 지난 10년 동안에 관찰된 한국초록지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서만 制限的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그러나 本稿의 論議가 대부분 위의 記事와 같은 資料에 根據한 것이므로 그것을 참고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硏究開發投資가 해마다 증가하여 최근 한국에는 많은 연구보고문헌 이 생산 축적되고 있지만 그것을 각분야 연구자와 기술자들에게 신속히 알려서 효과적으로 이용하게 해야 할 초록지는 그 種數도 적고 내용 또한 贊弱한 형편이다. 한국초록지의 내용을 충실히 하고 이용자 들에게 硏究速報媒體로서 더 유용하게 하려면 먼저 그 일반적 특성이 어떤 것이며 長點과 短點은 어떤 것인지를 定義할 필요가 있다. 本稿는 그러한 定義를 試圖하려는 것이다. 情報奉仕는 그것을 출현시킨 국가의 전통과 관습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모양으로 발전한다. 결과적으로 각국의 정보봉사나 그 도구인 초록지의 형태에도 多少間에 差異가 나타난다. 本稿는 그러한 觀點에서 世界의 普遍的 抄錄誌 形態에서 벗어나는 韓國抄錄誌의 特性을 밝히는 데 論議를 集中시키려고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som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bstracting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s evidenced in those published during last ten years. This purpose is achiev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two studies conducted by the author in 1984 and in 1994. Both studies were conducted to present the state of the art in the abstracting services in Korea. The major conclusions made in this paper are summarised as follows: (1)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working in a small number of subject fields are benefited by the abstracting journals, which provide current-awareness services of recent achievemen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Korea. Those in most of the fields have no abstracting journals of their own, and naturally they have no substantial abstract-ing services. Even many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in the fields that have some abstracting journals are not informed of research results in their fields because the abstracting journals are scattered in many narrow subjects and in many cases, the abstracting journals only cover publications in some specific forms and kinds. (2) Abstracting journals that cover more than two subject fields, which are supposed to be of more or less help to the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in the subject fields that have no abstracting journals published in their fields, have rapidly increased in number in the past ten years. Most of suh abstracting journals carry thesis and dissertation abstracts, and the rest, those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specific places, in specific forms, by specific institutions, and of reports of research projects sponsored by specific foundations. These abstracting journals are not of the kind that comprehensively provide researchers in related fields with current awareness of publications of research results in Korea. (3) Most of the abstracting Journals existing in Korea are Published by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s, and the rest, by commercial publishers, industrial firms, libraries, information centres, government agencies, research foundations, learned societies, etc. Those which publish many titles are small in number and those publish one or two titles are large in number. The former is largely made up of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s. (4) The abstracting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re classified by type into those of dissertations, research papers, journal articles, patent specifications in that descending order. The fact that Master; and doctoral dissertation abstracts ate dominating in Korea is due to the irrational practice of publishing those abstracts at many different institutions. (5) Most of the abstracting journals existing in Korea are published by national or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in order to publicise their own research outputs. Their coverage of literature is normally narrow, and naturally their value to users is limited. (6) Korean is the desirable language for the abstracting journals intended to be distributed within Korea. About half of the abstracting jornals published in Korea is printed in Korean and the other half, in foreign languages, and in Korean and in foreign languages together. All the abstracting journals in foreign languages are printed in English except one, which is printed in Japanese. (7) Some twenty per cent of the abstracting journals in Korea is published monthly, bimonthly, and quarterly. The others are published annually, biannually and irregularly. The latter may not function properly as a current-awareness tool due to long intervals between their issues. It is particularly undesirable that about half of the abstracting journals in Korea is published irregularly. Most of the abstracting journals published in Korea are distributed freely to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selected by the publishers. (8) The abstracting journals published by the use of computers increased drastically in the past ten years. The abstracting j

      • KCI등재

        국내 병원도서관 관련 기준 및 현황

        이혜영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국내 병원도서관 관련 기준 및 현황 파악을 위해 선행연구, 도서관법 그리고 한국도서관기준과 IFLA 가이드라인 비교 및 국내 병원도서관 제공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결과, 선행연구는 국외에 비해 매우 미흡한 수준이며 도서관법에서도 병원도서관에 관한 법과 기준이 명확하고 자세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도서관연감을 통해서 병원도서관 통계 및 실태를 파악할 수도 없는 상태이다. 한국도서관기준과 IFLA 가이드라인에 있어서도 구성 및 주요 요소에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병원도서관 제공 현황 조사 결과, 조사된 67곳 중 종합병원 49곳(1.3%), 병원 8곳(0.2%), 요양병원 5곳(0.1%), 어린이병원 4곳(0.1%), 군병원 1곳(0.0%) 순으로 병원도서관을 제공하고 있었다. 종합병원 49곳 중 42곳이 상급종합병원인데 이 중 17곳이 병원도서관을 제공하고 있었다. 병원도서관 제공을 위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도서관법, 한국도서관기준의 개정이다. 또한 병원도서관 제공의 의무화, 도서관계 잡지를 통한 홍보, 관련 연구 등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related study, Library Law, comparison of Korean Library Standards and IFLA guidelines and the status of domestic hospital library provision in order to grasp the regulations and status of domestic hospital library. As a result, the related study is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overseas, and the Law and Standards for hospital libraries are not clearly and in detail in the Library Law. It is impossible to grasp the statistics and actual condition of the hospital library through the Yearbook of the Korean Library. The Korean Library Standards and IFLA guidelines also show differences in composition and key elements. According to the survey, 49 hospitals (1.3%), 8 hospitals (0.2%), 5 nursing hospitals (0.1%), 4 children’s hospitals (0.1%), and 1 military hospital (0.0%) were among the 67 hospitals surveyed. Of the 49 general hospitals, 42 were advanced general hospitals, of which 17 were providing hospital libraries. The most urgent issue for providing hospital libraries is the revision of the Library Law and the Korean Library Standards, and the mandatory provision of hospital libraries, publicity through library magazines, and related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국내 문헌정보학의 이론 활용 연구 동향 분석 - 2010년-2014년 『한국문헌정보학회지』를 중심으로 -

        김성진,Kim, Sung-J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이론활용 관점에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의 특성을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성장과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에서 2014년까지 최근 5년 동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논문 344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1984년부터 2003년까지 조사된 과거 연구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종단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13.7%의 논문에서 평균 2.02회 이론을 활용하였다. 단순언급 수준으로 이론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그 다음 이론응용 수준으로 활용되었다. 교육과 정보이용/탐색 주제 영역에서의 이론 활용이 가장 활발하였다. 문헌정보학의 고유 이론은 31.9%, 사회과학 이론은 58.3% 활용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과거와 비교하면, 이론활용 연구가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지만 최근 연구일수록 이론을 깊이 있게 활용하는 양상이 두드러졌기 때문에 이론활용 연구가 질적으로 성장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문헌정보학의 고유 이론을 활용하는 비중은 줄고 사회과학 분야, 특히 교육학과 심리학과의 연관성이 강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만화 독서 프로그램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과 문화 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임여주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mic book reading program on Korean proficiency and acculturation of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by conducting a six-month reading program with five teenager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Ten comic books were selected from <Excellent comic book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published by School Library Journal, based on the themes - that are related to the lives of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 and interests of participating teens. According to the literacy skills test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ading program, the participating teens’ Korean proficiency has generally improved,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interpretation and vocabulary. In terms of writing, grammatically incorrect sentences, phrases, and expressions have declined. Most participants showed stable adjustment to Korean culture, but one participant who felt still insecure of her ethnic identity deeply empathized with one of the characters of the books, and shared the difficulties of living as an outsider of a society.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learned or rediscovered the joy of reading through this comic book reading program; at the end of the program, many of them expanded their interest in reading novels, books without any illustrations. 본 연구는 소수의 이주배경 청소년이 연구자와 함께 6개월간 10권의 만화책을 읽고 그에 관하여 토론하는 독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독서 프로그램의 참여가 이들의 한국어 능력과 문화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학교도서관저널 도서추천위원회에서 엮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권하는 주제별 좋은 만화책 365권> 중 이주배경 청소년의 삶과 연관 있는 주제를 다루거나 이주배경 청소년이 높은 흥미를 보이는 만화책 열 권이 독서 프로그램의 읽기 자료로 선정되었다. 독서 프로그램 전후로 실시한 독서 능력 평가 결과, 연구 참가자들의 한국어 능력은 대체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추론력과 어휘력 부문에서 큰 상승폭을 보였다. 쓰기 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비문이 줄고 문장 내에서 문법적 오류가 줄었다. 연구 참가자들은 대체로 한국 문화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고 있었으나, 통합적 민족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한 참가자의 경우 작품 속 인물과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문화적응의 어려움을 털어놓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만화책을 통하여 독서의 즐거움을 상기하였으며, 독서 프로그램이 끝날 때 쯤에는 이미지 없이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소설 형태의 읽기자료에까지 관심을 확장하게 되었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 교육의 MOOCs 활용 방안 연구

        장윤금,Chang, Yunkeum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4

        Online education in the field of LIS has continued to spread out in university curricula or with collaborative online programs through consortia among universities. Unlike the traditional online education, however, MOOCs (Massive Open Online Courses) with the recent advent and advances have risen as a new paradigm in education of the future in that these are massive online learner-centered courses, free and open to any person with no limit on enrollment. With no exception to this phenomenon, the LIS field centered by overseas iSchool universities has been offering MOOCs for core LIS courses. This research conducted a case study of utilizing a part of overseas LIS MOOCs in a core LIS course at domestic University-A, in order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utilizing overseas MOOCs in LIS education. The results of conducting a survey and a focus group interview to students discovered that MOOCs content was interesting and useful and many of them were willing to take other MOOCs in the future, despite some language barri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value, administering methods, ways to motivate students, and designing MOOCs by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S field, as ways to utilize MOOCs in LIS educ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주제영역의 계량적 분석연구

        최상희,Choi, Sanghee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4

        As the topics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become more diverse, it is not an easy task to identify the topics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visualize the topics of A university's general education courses using informetric analysis methods. 214 syllabi were collected and titles, course introduction, goals, and weekly plans were analyzed. 278 topic 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set and grouped into 8 clusters. In the network analysis, topic clusters were divided into two areas, personal and social. Personal area has 14 sub-topic clusters and social area has 11 sub-topic clusters. In personal area, 'language', 'science', and 'personality' were major topic clusters. In social area, 'multi-culture' cluster was the core cluster with connected to four other clusters. The topic network genera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library to enhance general education or to develop collections for gene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