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과적 관점에서의 섬유근통

        이윤나,이상신,김현석,김호찬,Lee, Yunna,Lee, Sang-Shin,Kim, Hyunseuk,Kim, Hocha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0 정신신체의학 Vol.28 No.2

        섬유근통은 피로, 수면장애, 기분변화, 인지장애 및 만성 전신통증을 핵심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섬유근통은 유전적 취약성, 통증 처리과정 및 스트레스 반응 체계의 변화 등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요인과 불안, 우울, 분노,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요인, 그리고 감염, 발열 질환, 외상 등의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핵심 병인으로 감각 자극이 인식되는 과정에서 증폭되어 통증이 증진되는 중추성 감작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가이드라인들은 개별 환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된 다원적 접근을 권고하며, 임상의는 충분한 교육을 통해 지적 이해의 틀을 제공하고 자기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섬유근통에서 정신건강 문제의 유병률은 일반인구집단의 7~9배로 유의하게 높으며, 특정 정신병리 및 수면장애와의 관련성도 제기되고 있다. 정신과적 상태는 섬유근통과 양방향성 상호작용을 하며 경과에 영향을 주고, 취약성을 공유하며 서로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동반질환을 면밀히 평가하여 보다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Fibromyalgia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core symptom of chronic widespread pain, along with fatigue, sleep disturbances, mood changes, and cognitive difficulties. The etiology of fibromyalgia involves a combination of biological factors, such as genetic vulnerability, alterations in pain processing and stress response system ;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ger, and perceived stress ;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infections, febrile diseases, and trauma. Central sensitization, which is amplified in the process of sensory stimulation, has been emphasized as a key etiological factor, as supported by enhanced wind-up, delayed aftersensation, decreased nociceptive flexion reflex threshold and functional imaging studies. Several guidelines recommend that a multimodal approach be used to treat fibromyalgia, including both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treatments, tailored to each individual, and that clinicians should provide an intellectual framework through sufficient education and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elf-management. The prevalence of mood disorders, anxiety disorders, and other psychiatric problems is 7-9 times higher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than in the general population ; moreover, the association between fibromyalgia and certain psychopathologies or sleep problems has also been suggested. Since psychiatric problems, with shared vulnerabilities and risk factors, interact with fibromyalgia bidirectionally and also affect the disease course, an integrated management approa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risk of comorbidities.

      • KCI등재

        우리나라 성인의 체중상태에 따른 식생활 특성

        이윤나(Yoon Na Lee),이행신(Haeng Shin Lee),장영애(Young Ai Jang),이해정(Hae Jeung Lee),김복희(Bok Hee Kim),김초일(Cho Il Kim)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6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11 No.3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weight status and food intake pattern, the Nutrition Survey results of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analyzed. Dietary intake data of Korean adults aged 20 to 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as used along with their demographic data.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ased on the BMI value of subjects: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and obese. For male adults, obese subject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intake of energy, protein, carbohydrates, and fat than normal subjects. In addition, obese male adults consumed more animal foods, especially more meats, than normal subjects. However, females obese subjects did not show higher intake of energy or fat. Although obese male adults showed higher energy intake, calcium and iron intake per 1000 kcal was lower than normal adults. Average calcium intake in females was low; about 70% of RDA regardless of obesity level. In addition, riboflavin and Vitamin A intake was lower in overweight and obese female than in normal females. Percentage of subjects with low fruit and vegetable intake (<400g per day) was also high in female subje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food and nutrient intake patterns of obese population wer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adults. These dietary intake patterns need to be considered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utrition policy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and control obesity. Moreover, the National Survey and monitoring system should be developed for continuous and effective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ietary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3) : 317~326, 2006)

      • SCOPUSKCI등재
      • KCI등재

        COVID-19 기간 대한췌장담도학회의 대면-비대면 학술행사에 대한 만족도 설문 조사

        이재민 ( Jae Min Lee ),이희승 ( Hee Seung Lee ),신석표 ( Suk Pyo Shin ),이윤나 ( Yun Nah Lee ),전형구 ( Hyung Ku Chon ),장성일 ( Sung Ill Jang ),이준규 ( Jun Kyu Lee ) 대한췌장담도학회 2021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6 No.1

        배경/목적: 본 연구는 증증급성호흡기증후군(COVID-19)의 확산에 따라 학술행사의 방식이 직접 참석에서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점차 변화되는 현재의 경향을 고려하여, 2020년 시행된 학술행사 참석자들의 만족도를 분석한 연구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비대면 온라인 학술대회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이상적인 학술대회를 준비할 수 있는 자료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0년 상반기에 서울에서 개최된 ‘IC-KPBA 2020’ 학술행사의 참석자를 대상으로 18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네이버 설문조사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결 과 :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학술행사에 대해서 학회 참석자들은 전반적으로 만족 혹은 매우 만족스럽다고 응답하였다. 온라인 참석자들은 네트워크 연결, 화면 및 음향 등의 각각의 항목에서 약 70-85%가 만족 혹은 매우 만족으로 응답하였으며, 직접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방역대책 및 현장의 화면, 음향 시설 등의 각각의 항목에서 약 80-90%가 만족 혹은 매우 만족으로 응답하였다. 향후 학회 참석방식의 선호도 조사에서는 가급적 온라인을 선택하겠다는 답변이 33%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학술행사의 방식이 점차 비대면 온라인으로 변화되는 추세에서 대한췌장담도학회 주관 하에 새로운 방식으로 개최한 국제학술대회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양호-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Background/Aim: The COVID-19 pandemic has changed the way of traditional conference and meeting. Since social distancing rule was important issue, many conferences across the world were cancelled or postponed indefinitely. In 2020,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IC-KPBA) was held as a hybrid online and offline conference. Here, we report the result of a national survey about online and offline medical conference in Korea. Methods: The survey was performed for both online and offline participants after IC-KPBA. The contents of survey included their way to access the hybrid online-offline confer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conference format. Results: Total of 78 participants answered the survey and there was no technical problem. Most offlin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the prevention measures at conference hall as follows; very satisfied-56%; satisfied-34%. The quality of video and audio were generally satisfactory in both conference hall and virtual conference. ‘Live online lectures’ is the most preferred method of lecture delivery and personal computer with LAN network is preferred to access online conference. Eighty seven percent of offline participants and 91% of online participants answered satisfied and very satisfied, respectively. Conclusions: Participants of IC-KPBA 2020 with hybrid online-offline conference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21;26(1):49-57

      • KCI등재후보

        소화기 ; 한국인 자가면역성 간염을 진단하기 위한 Simplified Scoring Criteria의 가치 및 유용성

        이윤나 ( Yun Nah Lee ),김영석 ( Young Seok Kim ),김상균 ( Sang Gyune Kim ),임재희 ( Jae Hee Lim ),정승원 ( Soung Won Jeong ),장재영 ( Jae Young Jang ),이세환 ( Se Hwan Lee ),김홍수 ( Hong Soo Kim ),김부성 ( Boo Sung Kim ),김희경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3

        목적: 자가면역성 간염(AIH)을 진단하기 위한 revised original scoring criteria는 지나치게 번거로워 임상에서의 적용이 쉽지 않았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2008년 Hennes 등 [19]에 의해 simplified scoring criteria가 발표되었다. 이에 저자 등은 이 criteria를 한국인에게 적용하였을 경우, 진단적 가치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Original revised scoring criteria에 의해 AIH이 진단된 22예와 자가면역 간염/원발성담즙 간경변증(autoimmune hepatitis/primary biliary cirrhosis, AIH/PBC) 중복증후군을 진단받은 5예, 그리고 대조군으로 독성간염 50예,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18예, 원발성담즙 간경변증(PBC) 11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AIH 중 20명(90.9%)과 AIH/PBC 중복 증후군 5명 모두가 simplified scoring criteria에 의해 AIH로 진단되었다. 그리고 PBC 중 3명인 27.3%에서 새로운 진단기준을 적용하였을 경우 위양성을 보였다. AIH 진단에 대한 simplified scoring criteria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90.9%와 96.2%였다. 결론: 한국인에게 simplified scoring criteria는 중복증후군을 포함한 자가면역성 간염을 진단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e diagnostic criteria for autoimmune hepatitis (AIH) were created and revised by the International Autoimmune Hepatitis Group (IAIHG) in 1999. Simplified scoring criteria based on four clinical components were recently propos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iagnostic value and usefulness of these simplified criteria in Korea. Methods: We applied the simplified scoring criteria to 22 AIH patients diagnosed according to the original revised scoring criteria proposed in 1999. Furthermore, in order to compare the predictive power of these two sets of diagnostic criteria, we included 84 patients with liver diseases [toxic hepatitis (n = 50),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 18), primary biliary cirrhosis (PBC) (n = 11), and PBC/AIH overlap syndrome (n = 5)] other than AIH. Results: Twenty (90.9%) patients with AIH and five (100%) with PBC/AIH overlap syndrome were diagnosed with AIH according to the simplified scoring criteria. Three (27.3%) patients with PBC were false-positive for AIH according to the simplified scoring criteria. Those patients diagnosed according to the simplified scoring criteria showed an increased frequency of ANA and/or SMA of ≥ 1:80 (p = 0.491) and an increased frequency of serum IgG levels at or above the upper normal limit compared to patients with PBC (p = 0.006).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simplified scoring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AIH were 90.9 and 96.2%,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simplified scoring criteria offer a reliable and simple method for excluding AIH; however, these criteria may have limitations in the diagnosis of patients with atypical features, especially those with low autoantibody and IgG levels. (Korean J Med 2011;81:340-350)

      • KCI등재후보

        모호한 담관병변의 진단: 경구 담도 내시경 및 초음파 내시경

        이윤나 ( Yun Nah Lee ) 대한췌장담도학회 2020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5 No.1

        모호한 담관병변은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영상 검사에서 관찰되지만, 조직병리학적으로 악성의 근거가 없는 경우로 정의되며, 주로 담관 협착 또는 담관 내충만결손의 형태로 확인된다. 담도 병변의 조직병리학적 확진을 위하여 ERCP 유도하 경유두적 겸자생검 또는 솔세포진 검사가 일차적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이들 검사의 정확도는 만족스럽지 못한 상태이다. 최근 경구 담도 내시경 검사(peroral cholangioscopy, POC)와 내시경 초음파(endoscopic ultrasonography, EUS)는 병변의 내시경 기기의 기술적 발전과 검사 중 조직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기반으로 모호한 담관병변의 진단에서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담관암 진단에 있어 EUS 검사는 병변의 국소적 침범 정도와 주변 임파선 전이 평가에 매우 유용한 검사이다. 9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20개의 연구를 분석한 meta-analysis에서 악성 담관 협착의 진단에 있어 EUS-FNA의 민감도는 80.0%였으나, 원인 질환 및 협착의 위치에 따른 진단율 차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인 상태이다. POC의 경우 극세경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이용한 직접 경구적담도 내시경 검사법(direct POC)과 SpyGlass 시스템(SpyGlass Direct Visualization System, Boston Scientific Corp., Marlborough, MA, USA)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악성 담관협착에 대한 POC의 육안적 진단은 기존 연구에서 85-100%와 84-91.7%의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보고된 바 있지만, 아직까지 악·양성 담관 협착의 정확한 내시경적 육안적 진단 기준이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조직생검없이 담관 협착을 확진하기는 어렵다. POC 유도하 겸자생검은 육안적으로 병변을 직접 관찰하면서 원하는 부위에서 조직 채취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모호한 담관병변의 진단에 최근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모호한 담관 협착에 대한 SpyGlass 시스템 유도하 겸자생검의 진단 민감도와 정확도는 76.5-88.0%와 77.0-90.0%로 보고된 바 있으며, direct POC의 경우 ERCP 유도하 겸자생검으로 악성이 진단되지 않은 3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조직 검사에서 92.3%의 민감도와 93.6%의 진단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POC의 경우, 원위부 담관 관찰 시 내시경의 위치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근위부 담관보다 관찰이 어려우며, 담관 협착의 원인이 담관 외부로부터 기원하였을 경우, 조직 검사의 정확도가 유의하게 낮아질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EUS와 POC는 모호한 담관병변의 감별 진단에 유용한 검사법으로, 검사 중 조직 채취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검사의 정확도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각 검사법의 장단점을 숙지하여 병변의 특징에 따라 적절한 검사법을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Traditionally, biliary lesions have been considered to be indeterminate when a diagnosis cannot be made after basic laboratory work-up, abdominal imaging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with biliary sampling. Although ERCP is a first-line diagnostic modality for indeterminate biliary lesions, the diagnostic yield of ERCP-based tissue sampling is insufficient. In a recent, peroral cholangioscopy (POC)-guided forceps biopsy and endoscopic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EUS-FNA) are evolving as reliable diagnostic procedures for indeterminate biliary lesions. In previous studies, EUS-FNA was sensitive and highly specific for diagnosing malignancy in biliary strictures. However, EUS-FNA has several limitations as a routine clinical procedure for all biliary strictures. Newly developed POC systems, such as the SpyGlass direct visualization system and direct POC using an ultra-slim endoscope, have led to excessive improvements in technical performance and diagnostic yields for biliary strictures. However, the performance of POC-guided target biopsy for distal bile duct strictures is technically difficult, and this approach has a limited ability to diagnose biliary strictures caused by non-intraductal, extrinsic compressed malignancies, such as a pancreatic cancer. Therefore, a tailored approach using optimized endoscopic modalities that are specific to the characteristics of a given biliary stricture is needed to achieve a high diagnostic yield for indeterminate biliary lesions.

      • SCOPUSKCI등재

        사례보고 : 만성 C형간염 환자에서 페그인터페론 알파 2b 치료 중 동시 발생한 당뇨병성 케톤산증과 자가면역 갑상샘염 1예

        이윤나 ( Yun Nah Lee ),정승원 ( Soung Won Jeong ),임재희 ( Jae Hee Lim ),유양선 ( Yang Seon Ryu ),전성란 ( Seong Ran Jeon ),김상균 ( Sang Kyun Kim ),장재영 ( Jae Young Jang ),김영석 ( Young Seok Kim ),김부성 ( Boo Sung Kim ),노미 대한간학회 2010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6 No.2

        Combined pegylated interferon and ribavirin therapy for chronic hepatitis C infection cause a wide range of side effects, including flu-like syndrome, hematological abnormalities, cardiovascular symptoms, gastrointestinal symptoms, pulmonary dysfunction, depression, and retinopathy. Interferon-alpha has been shown to b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autoimmune diseases, including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heumatoid arthritis, autoimmune thyroid disease, and type 1 diabetes mellitus (DM). Type 1 DM and thyroid disease respectively develop in 0.08~2.61% and 10~15% of patients treated with combined interferon-alpha and ribavirin for chronic hepatitis C. The coexistence of type 1 DM and autoimmune thyroiditis was rarely reported. We report a case of a 33-year-old female patient with chronic hepatitis C who simultaneously developed diabetic ketoacidosis and autoimmune thyroiditis after treatment with pegylated interferon-alpha 2b and ribavir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