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정된 대한췌장담도학회 총담관결석 진료 가이드라인: 난치성 담관결석의 내시경 치료

        조은애,장동기,김성훈,김동욱 대한췌장담도학회 2024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9 No.4

        내시경 유두부괄약근 절개술 후 통상적인 내시경결석제거술로 제거가 어려운 거대총담관결석에 대한 치료로 일차적으로는 소절개 내시경 유두부괄약근 절개술 후 내시경 유두부 큰풍선확장술을 권고한다. 내시경 유두부괄약근 절개술과 내시경 유두부 큰풍선확장술 후에도 제거가 어려운 거대총담관결석의 경우에는 담도내시경하 전기수압쇄석술 또는 레이저쇄석술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일시적 담관 스텐트 삽입술을 권고한다. Billroth-II 수술, Roux-en-Y 문합술 등 해부학적 변화로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이 어려운 총담관결석 환자에서는 소장내시경 또는 경피경간적 담도내시경을 통한 담석제거술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초음파내시경 유도하 중재 시술도 최근 시행되고 있다. 재발성 총담관결석에 대한 일차 치료로는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이 추천된다. Difficult common bile duct (CBD) stones are difficult to remove using conventional stone clearance methods such as endoscopic papillary sphincterotomy. In this guideline, we present several recommendations and relevant information on the endoscopic treatment of difficult CBD stones. For the primary treatment of large CBD stones in patients without distal bile duct stricture, we recommend limited endoscopic sphincterotomy followed by endoscopic papillary large balloon dilation. For large CBD stones that are difficult to remove with conventional endoscopic treatment methods, we recommend electrohydraulic or laser lithotripsy under cholangioscopy. Short-term biliary stenting is recommended in patients with CBD stones that are difficult to remove by these methods. Finally, endoscopic treatment via small bowel enteroscopy or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scopy may be an option in patients with surgically altered anatomy.

      • KCI등재후보

        췌장낭성병변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초음파 내시경의 활용

        최진호,이상협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4

        EUS가 췌장낭성병변의 진단 및 치료에 점차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췌장낭성병변의 정확한 진단은 치료 전략이나 후속 조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데, 컴퓨터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에서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 혹은 악성 가능성을 평가해야 하는 경우에 EUS를 통하여 추가적인 정보를 얻는 데 활용한다. EUS-FNA를 사용하여 낭액에서 세포 검사, 화학 검사, 분자표지자 분석을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 및 악성 여부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 CH-EUS는 종양성 낭성병변을 구분하는 데에 매우 정확하였고, 벽 결절을 구분하는 데 유용하다. 세침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내시경 검사는 준 세포 수준 영상을 통하여 실시간 진단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세침 경유 낭경과 세침 경유 조직 검사가 최근 요즘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그 효용성에 대한 근거는 부족한 실정이다.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에서도 EUS를 활용하고 있는데, 에탄올 혹은 항암제를 사용한 EUS 유도하 소작술은 췌장낭성병변에 대한 수술 혹은 경과 관찰이라는 이분법적 치료 방식의 간극을 메워주는 최소 침습적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제 치료 효과 또는 임상적 이익에 대하여 명확히 증명한 높은 수준의 근거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EUS 유도하 고주파열절제술도 새로이 시도되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췌장낭성병변의 진단 및 치료에 EUS는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된다. The accurate diagnosis of pancreatic cystic lesions (PCLs) is important because they determine the strategy of treatment or follow-up. Endoscopic ultrasound (EUS) has been widely used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PCLs. EUS can be used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case of an indeterminate cyst on computed tomography or magnetic resonance imaging, or in case of showing a worrisome feature. Contrastenhanced EUS showed highly accurate for differential diagnosing of non-neoplastic cysts from neoplastic cyst, and it also useful for distinguishing mural nodules from mucin. E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can be used to analyze cytology, chemistry, and molecular markers in cystic fluid if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for the diagnosis by non-invasive modalities. Needle-based confocal laser endomicroscopy allows real time diagnosis of PCLs with good accuracy during EUS-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by subcellular level imaging. Through-the-needle cystoscopy or through-the-needle forceps biopsy are also attempted in these days but the evidence for its effectiveness is insufficient. EUS-guided ablation procedures are emerging as a minimally invasive therapeutic methods for unmet needs in dichotomous treatment policy for PCLs. Large long-term follow-up observation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EUS-guided ablation for PCLs with ethanol or in combination with chemoagent. Further study for the actual treatment effects or real clinical benefit would be needed. The use of EU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CLs is expected to make much progres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췌장낭성종양의 수술적 치료대상과 수술 후 추적관찰

        이재훈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4

        췌장의 낭성종양은 영상 검사의 보급과 발달에 따라 그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 낭성종양의 특징을 잘 이해하고 악성으로 진행할 여지가 있는지에 대한 판별은 중요하다. 내과, 영상의학과 그리고 췌장외과 간의 협력 및 논의를 통하여 종양에 대한 평가와 치료 결정이 적절하다. 특히 종양에 대한 검사 해석이 부적절 시 불필요한 수술까지 초래하기 때문에 세심한 검사와 정확한 해석이 중요하다. 췌장낭성종양의 특징과 경과에 대한 고려를 통하여 개별 환자에게 알맞은 적절한 검사 및 수술 여부 결정을 하도록 해야겠다. The increasing discovery of pancreatic cystic neoplasm is a recent trend because of the widespread use and development of imaging techniques. Physicians have to recogniz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cystic neoplasms so that a determination may be selected regarding the potential for malignancy. Appropriate evaluation of pancreatic cystic lesion include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volving gastroenterologists with experience in endoscopic ultrasound, radiologist, and pancreatic surgeons. The selective approach is important in management of this neoplasm with minimizing incorrect diagnosis and unnecessary surge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pancreatic cystic neoplasm, the clinical decision should be tailored according to needs and conditions of the individual patients

      • KCI등재

        비알코올 지방췌장질환의 최신 지견

        전한규,정민규,이재민 대한췌장담도학회 2023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8 No.4

        비알코올 지방췌장질환은 최근 관심 받고 있는 질환 중 하나로 비만 및 대사증후군과 연관된 췌장 지방축적으로 정의된다. 진단은 주로 영상학적 검사로 이루어지나 아직까지 명확한 표준 검사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임상적 결과로써 대사증후군, 2형 당뇨병, 췌장 외분비 기능 부전, 급성 췌장염, 췌장 누공, 췌장암 및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등과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치료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과 비슷하게 식이요법과 체중 감량 및 운동을 통하여 췌장 지방축적을 최소화하는 전략이 도움이 될 수 있다. Nonalcoholic fatty pancreas disease (NAFPD) is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accumulation of excess fat in the pancreas, commonly occurring in individuals with obesity.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NAFPD is mostly composed of image tests, but it is still less standardized. NAFPD is closely linked to metabolic syndrome, type 2 diabetes, pancreatic exocrine insufficiency, acute pancreatitis, pancreatic fistula, pancreatic cancer,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se relevant clinical consequences. In terms of treatment, strategies aimed at minimizing pancreatic fat accumulation through dietary modifications and regular exercise, similar to the management of NAFLD, may be beneficial.

      • KCI등재후보

        췌장낭성종양의 병리진단에 관한 최신 지견

        장기택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4

        췌장낭성종양의 병리진단에서 분자병리 검사의 활용은 통상적인 세포 또는 조직 진단이 어려운 경우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포 또는 낭액에서 검사 결과에 필요한 충분한 디오시리보핵산(DNA)이 확보된다면 특정 유전자 변이를 확인해서 췌장낭성종양의 감별 진단이 가능하며 대표적인 유전자 변이에는 KRAS, GNAS, CTNNB1, VHL 변이 등이 있다. 하지만 분자병리 검사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임상-영상의학적 소견을 참고하여 기본적인 병리진단을 한 후에, 이를 뒷받침하는 자료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세대염기순서분석 검사는 소량의 세포 또는 조직으로 다수의 유전자 변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사용되는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적절한 정도 관리를 거치지 않으면 위음성의 결과로 보고될 위험성이 있으며 병리의사의 정도 관리를 거친다고 하더라도 30% 내외의 실패율을 보일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Pancreas cystic neoplasm is a relatively common disease. However, its’ pathologic diagnosis is not easy. The most frequent problem is low cellularity when compared to another organ cytology or biopsy material. Considering the procedure and anatomic difficulty, it is not uncommon to observe a low cellular smear or scanty volume of cells in the biopsy specimen. In this case, the molecular pathology test, includ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may be helpful. If pathologist can identify some mutation in cells or cystic fluid, differential diagnosis of cystic neoplasm may be possible. These are KRAS and GNAS, VHL, and CTNNB1 mutation in mucinous cystic neoplasm, intraductal papillary-mucinous neoplasm, serous cystic neoplasm, and solid pseudopapillary neoplasm, respectively. The next-generation sequencing is an emerging molecular test that can detect multiple biomarkers for diagnosis, including pancreas cystic neoplasm. It has been reported that next-generation sequencing test can be applied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pancreas cystic neoplasm. However, these molecular pathology tests were not all-around; it needs to be properly managed with pathologist’s quality control.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even if it goes through quality control, it may show a failure rate of around 30%. Despite the advances in molecular methods of high techniques,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athologic diagnosis of pancreas cystic neoplasm is an endoscopist’s skill and pathologist’s expertise those provide adequate specimen and accurate diagnosis.

      • KCI등재
      • KCI등재

        고식적 화학 요법 후 완전 관해된 췌장암 1예

        이재진,정한택,배준화 대한췌장담도학회 2023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8 No.4

        췌장암은 항암화학요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예후가 좋지 않으며, 5년 생존율은 13.9%에 불과하다. 저자들은 61세 여성 환자에서 고식적 항암화학요법 후 췌장암에 대한 완전관해가 이루어진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1개월 동안의 소화불량과 2 kg의 체중 감소 증상을 호소하여 내원하였고,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에서 췌장 머리 부위에 18 mm 크기의 종괴가 확인되었다. 혈액검사 결과에서 간 기능 검사는 정상이었으나, CA 19-9 및 CEA 수치가 각각 3,965 U/mL와 38.2 ng/mL로 상승되어 있었다. 조직 획득을 위해 내시경초음파 유도 세침흡인조직검사를 시행하였고, 병리학적 검사 결과 췌장선암으로 확인되었다.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및 췌장 자기공명영상을 포함한 추가적인 평가를 통해 간의 6번째 분절과 복막하부 림프절에 전이성 종괴가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환자는 4기 췌장암으로 진단되었다. 환자에게 보존적 화학요법으로 폴피리녹스 투여하였고, 치료 1년 후 잔여 종양은 사라졌다. 이후 수술 치료를 시행하였고, 현재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중이다. 전이성 췌장암에서 항암화학요법으로 완전관해를 이룬 사례는 매우 드문 증례이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prognosis for pancreatic cancer is still poor with a 5-year survival rate around 10%. We report a case of complete remission after palliative chemotherapy for pancreatic cancer in a 61-year-old-female. She presented with indigestion and weight loss. A computed tomography scan revealed a 1.8 cm mass in the pancreatic head. Carbohydrate antigen 19-9 (CA 19-9)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levels were elevated. The patient underwent endoscopic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biopsy (EUS-FNB) and the pathologic examination showed adenocarcinom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he pancreas showed a metastatic nodule in the S6 segment of the liver and a metastatic portocaval lymph node. The final diagnosis was stage IV pancreatic cancer. The patient received 24 cycles of palliative FOLFIRINOX regimen. Response evaluation demonstrated disappearance of all the lesions. She underwent pyloruspreserving pancreatoduodenectomy (PPPD). The 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surgical specimen showed complete remission of the pancreatic cancer. The patient is currently undergoing adjuvant chemotherapy.

      • KCI등재

        경증 고중성 지방혈증을 가진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에서 발생한 급성 췌장염

        조은애,박창환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2021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6 No.2

        고중성 지방혈증은 잘 알려진 급성 췌장염의 원인 중 하나이다. 당뇨병성 케톤산증, 고중성 지방혈증 및 급성 췌장염이 연관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으나, 이 세 가지 질환의 연관성이 어떠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는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보통 중성지방이 1,000 mg/dL 이상으로 상승하였을 때 급성 췌장염의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저자들은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에서 중성지방이 200 mg/dL 미만임에도 급성 췌장염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Hypertriglyceridemia (HTG) is a well-established cause of acute pancreatitis (AP). Diabetic ketoacidosis (DKA) leads to lipolysis and HTG, and can result in AP. Triad of AP, DKA, and HTG is rare and not fully understood. Usually AP is associated with severe HTG with serum triglyceride (TG) level over 1,000 mg/dL. However, we experienced two cases of AP in DKA with mild HTG with TG level less than 200 mg/dL. Herein, we report these unusual cases and provid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bout the triad of DKA, HTG, and AP.

      • KCI등재

        개정된 대한췌장담도학회 총담관결석 진료 가이드라인: 개발 목적과 과정

        고성우,이동욱,이진 대한췌장담도학회 2024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9 No.4

        2013년 본 학회에서 총담관결석 진료 권고안이 발간된 이후, 최신의 치료 기술을 반영하면서도 국내 의료 환경을 고려한 임상진료지침 개정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이에 대한췌장담도학회는 최근까지 발표된 국내외의 총담관결석과 관련된 중요 문헌을 수집, 분석 및 고찰 후,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시행, 임상진료지침을 개정하였다. 개정된 임상진료지침은 1) 총담관결석의 진단, 2) 총담관결석의 내시경 치료, 3) 난치성총담관결석의 내시경 치료 3개 분야로 작성되었으며, 총 13개의 권고사항과 그 근거를 제시하는 형태로 기술하였다. Common bile duct (CBD) stones carry a risk of complications including biliary obstruction, acute cholangitis and pancreatitis.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is regarded as the standard of treatment for CBD stones nowadays. However, ERCP can cause severe adverse events such as bleeding, post-ERCP pancreatitis and perfo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practical guideline to manage CBD stones for clinicians. The Korean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KPBA) established the first Kor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BD stones in 2013. Taking together the recently developed techniques for CBD stones and evidence newly obtained, the committee of the KPBA decided to perform an extensive revision of the guidelines. These revised guidelines were developed based on consensusbased guideline using Delphi methods. The main topics of these guidelines fall under the following topics: 1) diagnosis, 2) endoscopic management, 3) endoscopic management for difficult CBD stones. The specific recommendations are presented with the quality of evidence and classification of recommendations.

      • KCI등재후보

        췌장결석의 치료 알고리즘

        장동기,이준규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2019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4 No.3

        만성 췌장염에 동반된 췌장결석은 심한 통증을 유발하여 환자들의 삶의 질을 매우 저하시킨다. 특히 주췌관을 막고 있으며 통증을 유발하는 췌장결석은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먼저 췌장결석이 머리나 몸통에 위치하고, 크기가 5 mm미만인 경우에는 바로 내시경 제거를 시도해볼 수 있다. 5 mm 이상의 경우에는 먼저 ESWL을 시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가로 내시경 제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에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췌관경을 이용한 쇄석술이나 수술을 고려해야 하고, 가교치료로 췌관스텐트 삽입을 이용할 수 있다. Pancreatic calculi associated with chronic pancreatitis lead to severe abdominal pain,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Pancreatic calculi, especially those that obstruct the main pancreatic duct and cause abdominal pain, are considered to be treated. First, if pancreatic calculi are located in the head or body and the size is less than 5 mm, endoscopic removal can be attempted. If the size is greater than 5 mm, extracorporeal shockwave lithotripsy may be performed first, and subsequent endoscopic removal may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results. If such treatment fails, pancreatoscopic lithotripsy or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Pancreatic duct stenting may be used as a bridge therapy during this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