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Multiple Criteria Decision Analysis (MCDA) in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Review of Literature on MCDA Methodology and Decision Criteria

        이용주,김영주,박다진,Danny Liew,이용주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2017 보건의료기술평가 Vol.5 No.2

        Objectives: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round the globe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multiple criteria decision analysis (MCDA) in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TA). In this review, we assessed MCDA methodologies and decision criteria used in HTA. Methods: A total of 35 studies published from 2005−2015 that applied MCDA in HTA were selected and the following areas were reviewed: 1) Context of the decision making: decision making setting, level (e.g., micro, meso, macro), and the assessment target (e.g., healthcare policy, drugs, health program, medical test, medical device, treatment, or surgery), 2) MCDA methodology: type of MCDA technique, weighting method, criteria elicitation method, and the participants, 3) Decision criteria: feasibility, social/population impact, intervention related factors, patient/individual-centered values, budget impact, and quality of evidence, and 4) Transparency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e process was considered transparent if the study disclosed the weight of each criterion, the formula used to calculate the final score or if the weighting/calculation method was well explained to the level considered acceptable by the authors. Results: Of the studies reviewed, 63.9% used MCDA for decision making at a national level, and the type of HT being assessed was most often national/regional healthcare policy (44.1%). The most prevalent method of weighting was direct weighting using scales (40.0%). Most of the studies (80.0%) conducted group discussions for criterion selection, and among the criteria, intervention-related factors such as safety and efficacy (93.9%) were most often observed, followed by budget-impact (81.8%) and patient/individual-centered values (81.8%). Conclusion: Substantial demands for incorporation of patient-centered values into the current HTA process were observed. Additionally, MCDA may be a useful tool in incorporating such values to the HTA decision framework, but unresolved methodological issues remain. Further assessment on the application of MCDA in HTA should be conducted for Korea-specific settings.

      • 360VR 오디오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이용주,이태진,김휘용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 방송과 미디어 Vol.23 No.4

        최근 영화, 스포츠 중계, 게임 등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가 VR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는데, 이러한 360도 영상 서비스 환경에서 영상과 오디오를 더욱 실감나게 제공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디오의 경우 스테레오, 5.1 채널 오디오 등과 같은 채널 기반 오디오가 방송, 영화 등에서 주로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객체 기반 오디오, 장면 기반 오디오 기술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VR 서비스에서도 더욱 실감 있는 오디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러한 최신 오디오 기술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증강 현실 및 가상 현실에 활용될 수 있는 최신 오디오 기술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고, 최신 오디오 기술이 어떻게 VR 서비스에 적용이 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VR 서비스를 위한 규격 제정 측면에서 오디오 기술은 어떻게 진행이 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 KCI등재후보

        도서 구매동기 퍼소나 별 온라인 서점 추천서비스에 대한 UX research

        이용주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ok recommendation service on book purchase experience in online bookstores. Since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recommendation algorithm does not always enhance UX, it is necessary to measure satisfaction of book recommendation service to validate its enhancement. This study is approach in two step: 1) clustering users according to their purchasing motivation based on surveys; and 2)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attitude of recommendation service, which would help understand their persona and draw out persona-based scenario.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motivations, users could be divided into four groups: reading expert type, social trend-follower type, cost-saver type, and bestseller-follower type. Current utilization of the recommendation services is relatively high among reading expert and bestseller-follower personas, and low among trend-follower and cost-saver personas. When asked for potential use possibility upon service improvement, reading expert and cost-saver types showed limited intention on its use and expectation. This is because they make intrinsic decision making for the purchase hence put less value in need for the recommendation service. However, trend-follower and bestseller-follower personas, who are more likely to purchase books based on extrinsic motivation, showed positive response to potential use possibility depending on improvement of the recommendation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rend-follower and bestseller-follower personas in designing individual servic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found a difference in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book recommendation services depending on purchasing motivation for each book service user type. This study includes own recommendation of improving user experience, specific for each persona, which can be used as effective reference for prioritizing resources in designing the services. 본 연구는 온라인 서점의 도서 추천 서비스가 사용자의 도서 구매 경험에 실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추천 알고리즘의 기술적 고도화가 UX 향상에 즉결되는 것은 아니므로, 경험적 측면에서 도서 추천 서비스의 만족감을 측정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도서 구매 동기에 따라 사용자를 군집분석한 후, 추천서비스에 대한 추가적 정보를 얻기 위해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퍼소나와 행위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설계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온라인 도서 구매 동기에 따라 사용자를 독서 전문가형, 트렌드 팔로워형, 비용 절감형, 판매량 추구형 등 4가지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다. 추천 서비스에 대한 현재 활용도는 상대적으로 독서 전문가형 퍼소나와 판매량 추구형 퍼소나가 높고, 트렌드 팔로워형 퍼소나와 비용절감형 퍼소나는 낮은 편이었다. 추천 서비스 개선에 따른 추후 이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도서 선택 기준이 자기중심적인 독서 전문가형과 비용절감형은 도서 구매 목적 달성에 있어서 추천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 비중이 낮기에 서비스 개선 기대치와 잠재적 이용 가능성 모두 떨어졌다. 하지만 도서 구매 동기가 타인으로부터 파생되는 것에 가까운 트렌드 팔로워형과 판매량 추구형은 추천 서비스 개선에 따라 잠재적 이용 가능성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기에 해당 퍼소나들을 중심으로 개별 서비스 디자인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 별 도서 구매 동기에 따라 도서 추천 서비스의 효과성과 만족감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경험적인 측면에서 퍼소나 별 니즈에 특화된 개선안을 제언하면서, 서비스 디자인하는데 투입되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선택, 집중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SCIESCOPUSKCI등재

        Effects of Carbon Tetrachloride Administration on the Branched - chain Amino Acid Aminotransferase Activity in Rat Liver

        이용주 한국생화학회 1970 BMB Reports Vol.3 No.1

        The time course changes in the activity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2 oxoglutarate aminotransferase (EC 2. 6. 1. 6) has been studied in the rat liver given carbon tetrachloride. Subcellular distribution of the enzyme also determined. 1. The levels of isoleucine aminotransferase showed a marked increase up to 24 hours and followed by a very slow increase during the period of 24 to 48 hours after carbon tetrachloride treatment. Val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is always slightly lower than isoleuc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and these two aminotransferase activities showed a quite similar fluctuation during the course of 96 hours after poisoning. Leucine was catalysed slowest of the three branched-chain amino acids. 2. The activity of branched-chain ammo acid aminotransferase was mostly recoverd in the soluble fraction (50-60 per cent). Mitochondrial fraction contained the activity about 15 per cent; nuclear fraction, 25 - 30 per cent; microsomal fraction, 4 - 6 per cent of the organ s total activity. 3. The enzyme activity was increasingly recovered in the soluble fraction during the subsequent stage of the poisoning, and this is probably due to the preceding solubilization of enzyme in particulate fractions.

      • KCI등재

        사회경제적 특성과 도로망구조를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량 예측 오차 보정모형

        이용주,김영선,유정훈 한국도로학회 2013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5 No.3

        PURPOSES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road network structure with traffic growth patterns. The findings is to be used to tweak traffic forecast provided by traditional four step process using relevant socioeconomic and road network data. METHODS: Comprehensive statistical analysis is used to identify key explanatory variables using historical observations on traffic forecast,actual traffic coun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a multiple regression model is developed to predict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and road network attributes on traffic growth patterns. The validation of the proposed model is also performed using a different set of historical data. RESULTS :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sever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road network structure cleary affect the tendency of over- and under-estimation of road traffics. Among them, land use is a key factor which is revealed by a factor that traffic forecast for urban road tends to be under-estimated while rural road traffic prediction is generally over-estimated. The model application suggests that tweaking the traffic forecast using the proposed model can reduce the discrepancies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traffic counts from 30.4%to 21.9%. CONCLUSIONS : Prediction of road traffic growth patterns based on surrounding socioeconomic and road network attributes can help develop the optimal strategy of road construction plan by enhancing reliability of traffic forecast as well as tendency of traffic growth.

      • KCI등재

        유아의 도덕적 정서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공감과 동정심을 중심으로

        이용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6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적 정서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공감과 동정심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유아기 도덕교육 및 정서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인 및 부모변인에 따른 유아의 도덕적 정서(공감, 동정심)는 유아의 연령과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공감과 동정심은 사회적 유능성의 긍정적 상호작용, 유능성, 대인 행동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유아의 동정심은 사회적 유능성의 지도성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공감은 사회적 유능성의 긍정적 상호작용, 유능성, 대인 행동, 활동 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유아의 동정심은 지도성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만4, 5세 유아의 도덕적 정서(공감, 동정심)를 강화하는 것은 부분적으로 사회적 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분만 방법이 소아 알레르기질환의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이용주,지혜미,김병주,김효빈,유진호,이소연,김우경,손명현,김규언,홍수종,김경원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1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21 No.3

        Purpose:It has been suggested that caesarean section is a risk factor for allergic diseases under the ‘hygiene hypothesis’, but it remains controversial.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mode of delivery and development of allergic diseases. Methods:The Korean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8,404 elementary and middle-school students in Seoul between April and October 2008. We categorized children into a caesarean section group and a vaginal delivery group, and surveyed the prevalence of asthma, allergic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Results:No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wheeze ever” (P=0.418), “wheezing the last 12 months” (P=0.152), and “diagnosis of asthma ever” (P=0.382) were observed between the caesarean section group and the vaginal delivery group. The prevalence of “rhinitis ever” (P=0.609), “rhinitis the last 12 months” (P=0.788), and “diagnosis of allergic rhinitis ever” (P=0.700) was also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The prevalence of “itchy eczema ever” (P=0.065), “itchy eczema last 12 months” (P=0.381), and a “diagnosis of atopic dermatitis ever” (P=0.162) also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n subjects with a family history of allergic disease, the caesarean section group had the higher prevalence of “diagnosis of asthma ever” (11.3% vs. 9.2%, P=0.032) than that in the vaginal delivery group. Conclusion:We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mode of delivery and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asthma in children with a family history of allergic disease in Seoul, Korea. 목적:위생가설에 따르면 제왕절개 수술에 의한 분만은 알레르기질환 발병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지만, 아직까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만 방법과 알레르기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2008년 4월부터 10월까지 서울시내 8,404명의 초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ISAAC 연구와 동일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역학조사를 시행하였고, 대상자들을 제왕절개분만군과 질식분만군으로 분류하여, 천식,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의 유병률을 비교하였다. 결 과:제왕절개분만군과 질식분만군 사이에 ‘일생 동안 천명(P=0.418)’, ‘지난 12개월 동안 천명(P=0.152)’과 ‘일생 동안 천식 진단(P=0.382)’ 모두 유병률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생 동안 비염 증상(P=0.609)’, ‘지난 12개월 동안 비염 증상(P=0.788)’과 ‘일생 동안 알레르기비염 진단(P=0.700)’의 유병률 또한 두 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일생 동안 가려움을 동반한 피부염(P=0.065)’, ‘지난 12개월 동안 가려움을 동반한 피부염(P=0.381)’, 그리고 ‘일생 동안 아토피피부염 진단(P=0.162)’의 유병률 또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알레르기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대상자들의 경우, 제왕절개분만군이 질식분만군과 비교하여 일생 동안 천식 진단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11.3% vs. 9.2%, P=0.032)결 론:우리나라 서울 초,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분만방법과 천식, 알레르기비염, 아토피피부염 발생과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지만, 알레르기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제왕절개분만이 천식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