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聞 記事를 바탕으로 살핀 韓國語敎育의 흐름 -1880년부터 2012년까지의 新聞 記事를 中心으로-

        고경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1 No.1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crucial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newspaper articles that have been reported for the past one hundred years, and to conduct a time-series analysis of articles with the same topics to use these trends as objective indicato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Thus far,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have been difficult to find accurate criteria for the division of periods. Though it may be still tough to look back on the entire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it would be possible to examine its tendencies for the past periods and look for factors to change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not being focused on searching news articles and grouping them for a statistical analysis, or news articles themselves, this study is to use them as standard data for correctly seeing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ltimately, it would help to briefly sum up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이 硏究는 지난 100년간 신문에 실린 記事를 통해 韓國語敎育의 중요한 흐름을 살피고, 이러한 흐름이 韓國語敎育史의 객관적인 指標가 될 수 있도록 같은 주제의 記事를 묶어 시기별로 살피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그동안 韓國語敎育史 硏究는 시대구분의 문제에 있어 정확한 基準을 찾기 어렵다는 難題를 안고 있었고, 그로 인해 연구자에 따라 시대를 살피는 기준이 다를 수밖에 없었다. 전체 韓國語敎育史를 되짚어 보는 일은 아직 어렵겠지만 지난 시대를 살피고, 그 안에서 韓國語敎育의 변화 要因을 살피는 작업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新聞 記事를 中心으로 論議를 진행하고 있다고 해서 記事를 통계화하거나 목록화한 것은 아니다. 통계적인 수치를 산출하기보다는 韓國語敎育의 흐름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준거 자료로 記事를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지난 시기 韓國語敎育史의 변화와 발전을 간략하게나마 정리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아요’는 왜 ‘-았-’ 뒤에 나타나지 않는가

        이용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2

        In this paper, we examine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the reason why ayo doesn't appear after -ass-. This problem is brought from experience in the education field up. I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out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history, prefinal ending marker -ass/əss- was formed by grammaticalization of combination of ending marker -a/ə and existence verb iss-. Because -ass- has the historical information of iss- even after grammaticalization, -ass- needs -əyo, when it combines with ayo/əyo. In addition to these explanation, the reason why nappayo appears, not nappəyo, is explained, focusing on the vowel harmony and vowel system. Then we deal with the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explanation. For this purpose we arranged the existing study and the case for grammar in Thonbury(1999), and then try to connect it with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basic problems which are relat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about Korean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discussed. 이 글에서는 韓國語敎育에서 韓國語史 知識이 有用할 수 있는지를 ‘-아요’가 ‘-았-’ 뒤에 나타나지 않는 理由를 中心으로 살펴보았다. 이 問題는 現場에서의 經驗을 土臺로 提起된 것으로 한국어교육의 현장에서 效率的 說明을 위해서는 때로 韓國語史에 대한 知識을 필요로 한다. 韓國語史에서 보면 ‘-았/었-’은 語尾 ‘-아/어’와 存在詞 ‘잇-’의 결합이 文法化하여 형성된 것이다. 文法化된 이후에도 ‘-았-’은 ‘잇-’의 素性을 가지기 때문에 ‘-았-’ 뒤에서도 ‘-어요’가 結合하는 것이다. 또한 ‘나뻐요, 바뻐요’가 아니라 ‘나빠요, 바빠요’로 나타나는 것을 母音造化와 母音體系의 變化를 中心으로 說明해 보았다. 그런 다음에 이러한 記述을 토대로 韓國語敎育에서 韓國語史 知識의 必要性이나 有用性을 다루어 보았다. 이를 위해 旣存에 論議된 것과 더불어 Thonbury(1999)의 文法敎育의 必要性을 정리하고 이것을 韓國語敎育에서 韓國語史 知識의 必要性이나 有用性과 連結해 보았다.

      • KCI등재

        국어(國語) 음운론(音韻論) 지식(知識)과 한국어(韓國語) 발음(發音) 교육(敎育)의 상관성에 대하여-모음(母音), 자음(子音)의 기술(記述)을 중심으로-

        박기영 ( Park Kee-yo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1

        이 論文은 韓國語 敎材를 통해 學習者에게 노출된 한국어 발음 관련 내용과 체계가 國語 音韻論 知識과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가를 살피는 데에 그 目的이 있다. 本考에서는 특히 子·母音體系의 提示 與否 및 樣相, 子母音의 提示 順序, 發音 記號의 사용 등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의 한국어 교재들을 分析, 記述하였다. 기존의 한국어 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우선 모음체계와 관련해서는 母音四角圖를 제시한 교재들이 많았으나, 국어 음운론 지식과의 관련성을 염두에 둘 때 母音體系圖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더 效果的임을 주장하였다. 자·모음의 제시 순서에 관해서도 기존의 교재는 字素를 기준으로 한 배열을 보여주었는데, 이것이 발음 교육과 직접 연관성을 갖기 위해서는 音價를 기준으로 하는 제시 순서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發音記號 표시에 있어서도 국어 음운론의 지식과 一貫性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of Korean phonology and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foreigners. For the purpose, we will analyze the description of pronunciation in Korean language texts especially concerning vowels and consonants. We will focus on (1) phonological system, (2) presentation order of Korean alphabet and (3) the use of phonetic symbols. There are various descriptions in Korean language texts which can make confusions. The major conclusion from this Korean language text analysis is as follows. (1) In case of vowels, Korean vowel trapezium is not enough to show distinctive feature [round]. So it is more helpful to presents both vowel system chart and vowel trapezium to Korean language learners. (2) Most Korean language texts present vowels and consonants on the basis of grapheme. But phonetic value based presentation order is needed for ideal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3) In terms of pronunciation symbol, we need more consistency with phonological knowledge.

      • KCI등재

        외래어(外來語) 사용(使用)의 긍정적(肯定的)·부정적(否定的) 측면(側面)과 그 수용(受容) 방안(方案)

        최경봉 ( Choi Kyeong-b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5 No.1

        본고에서는 外來語 使用의 肯定的·否定的 側面을 살펴보면서 이를 根據로 國語政策과 國語敎育的 次元에서 외래어를 受容하는 方案을 모색해 보았다. Ⅱ장에서는 국어순화 이데올로기의 문제점을 指摘하고, 국어생활을 풍요롭게 한다는 관점에서 외래어 문제에 接近할 것을 提案하였다. Ⅲ장에서는 外來語 사용의 兩面性을 확인하고, 국어의 소통체계를 합리화한다는 관점에서 外來語 사용과 飜譯語의 생산을 균형 있게 조절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Ⅳ장에서는 외래어의 수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국어정책적 방안으로는 ‘基本外來語의 選定과 교육’,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어휘의 조사와 평가’, ‘우리말에서의 의미 기능을 파악하는 外來語 실태 조사’, ‘기존의 語義를 확대하는 방식의 飜譯語 생산’ 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국어교육적 방안으로는 ‘外來語의 용법에 대한 교육’, ‘外來語의 使用 脈絡에 대한 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f the use of loan words and to propose a plan for the language policy and the language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evaluated the policy of language refinement firstly. In chapter Ⅱ, I pointed out the ideological problems of the language refinement movement. Historically the policy of language refinement payed no attention to linguistic aspects because the policy of the language refinement was the political movement. In this circumstance, though loan words increased in our language we couldn't prepare for education of loan words, because loan words was the language forms that had to refine. In chapter Ⅲ, I examined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he use of the loan words. The positive effect was the expansion of language expressions and the negative effect was the inefficiency in communication. In chapter Ⅳ, I proposed the plan for the language policy and the language education. The plans for the language policy were ‘the choice and education of basic loan words', ‘the survey and evaluation of international expressions', and ‘the survey of loan words in Korean'. The plans for the language education were the semantical and pragmatical education for the exact use of loan words.

      • KCI등재
      • KCI등재

        동유럽 大學의 韓國語學의 現況과 發展 方向 -루마니아·헝가리·불가리아의 大學을 中心으로-

        김훈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2

        My paper aims to discuss situa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Korean Studies of Babes-Bolyai University in Romania, Eötvös Lorand University in Hungry, Sofia St. Kliment Ohridski University in Bulgaria. For this study, concretely compared situation of lectures, Students, Pro- fessors in Korean Studies managed by these Universities. After addressing them in depth, suggested realistic improvements of problems which these Universities have in common. Especially in order to complement insufficient lectures of Korean Studies in these Universities, using the CEEPUS(Central European Ex- change Programme for University Studies) actively which is operated by some of Universities in Eastern Europe is one of good methods and more need to expand the CEEPUS for developing Korean Studies in this area. And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Studies suitable for local situation, local experts in Korean Studies and experts related fields in Korea need to highly cooperate with each other. As a final suggestion,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major of Korean Studies in Foreign Universities need to be a not only concern and support of Korean Institutions but also those of Korean Companies made a foray into local markets. 본 硏究는 동유럽의 大學 중에서 韓國語學을 專攻으로 運營하고 있는 루마니아의 바베쉬-보여이대학, 헝가리의 엘테대학, 불가리아의 소피아대학을 中心으로 이 地域 한국어학의 現況과 發展 方向에 대해 論議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이들 대학에서 運營하고 있는 한국어학 전공의 講座 現況, 在學生 現況, 그리고 敎授陣의 狀況 등을 具體的으로 比較 檢討하였다. 논의를 통해 드러난 세 대학의 韓國語學科가 共通的으로 가진 問題點을 짚어 보고, 그에 대한 現實的인 改善策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現地에 맞는 한국어학 관련 敎材 開發과 관련해서는 국내의 관련 專門家와의 積極的이고 有機的인 協力을 提案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외 대학의 한국어학 전공 維持 및 發展을 위해서는 韓國政府機關의 持續的인 關心과 支援뿐만 아니라 현지에 進出해 있는 한국 企業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도 필요한 時點이라는 것을 言及하였다.

      • KCI등재

        국어(國語) 지식(知識) 교육(敎育)의 현실과 혁신적 개선(改善) 방안(方案) 연구

        이도영 ( Lee Do-yo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4

        현재의 國語 知識 敎育을 革新的으로 개선하려면 국어 지식의 內包와 外延을 넓혀야 한다. 즉 국어 지식에 國語 使用 知識도 포함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國語知識을 體系的으로 습득하게 하고 國語에 대한 認識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實生活의 國語 生活에서 국어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하고 학생들 나름의 국어 지식을 창조하게 하여 國語 生活을 풍요롭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國語 知識 敎育은 規範 위주의 국어 지식 교육을 탈피할 수 있고, 現實感이 있는 교육 내용을 大幅 受容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언어 놀이, 언어게임 등 국어 지식 창조에 초점을 맞춘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實生活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 자료와 활동 중심으로 敎科書 구성 방식을 바꾸면 國語 知識 敎育은 지금의 국어 지식 교육보다 한결 나은 모습을 보이게 될 것이다. If we improve reformatively present Korean knowledge education, we must extend the connotation and denotation of Korean knowledge. That is, Korean knowledge should include necessarily its usage and Korean knowledge education let students learn systematic Korean knowledge, raise the recognition of Korean language, make the most of Korean knowledge in real life, and create Korean knowledge. If those plans are accomplished, Korean knowledge education can cast off prescriptive Korean knowledge education, and accept widely its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in putting emphasis on the creation of Korean knowledge. Also, if we change the present textbook system into the actual language material and practical activity, Korean knowledge education will be better than present Korean knowledge education.

      • KCI등재

        국외(國外) 학습자(學習者)를 위한 실시간(實時間) 화상(畵像) 한국어(韓國語) 교육 방안 연구

        류선숙(柳善淑) ( Ryu Seon-suk ),김민경(金珉京) ( Kim Min-kyung ),이아름(李아름) ( Lee Ah-reum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이 연구는 국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시간 화상 한국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화상회의 플랫폼인 Zoom과 Webex를 활용하여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화상 한국어교육의 실태를 면밀히 고찰하였다. 그 결과 실제 화상 한국어 수업의 전체구조는 대면 교육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비대면 온라인 플랫폼의 특성에 맞춘 교육의 경량화(輕量化)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환경을 고려한 언어 지식과 언어 수행의 이원화가 필요하며, 학습 과제 및 피드백 역시 차별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외 학습자를 대상으로 화상 한국어 교육의 특성과 강점을 살린 교육프로그램 모형을 제안하는 데 초점을 두고, 이러한 모형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급별 교육 목표와 운영 체계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of real- time video conferencing for overseas Korean learners. For this purpose, we narrowly examined the re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video conferencing from a group of experts who was teaching Korean using Zoom or Webex, the most representative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currently used. As a result, we found the overall system of video classes didn’t depart from the face-to-face education much, but it was needed to be downsized and focused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lso, it was confirmed that dualization on language knowledge and language performance was necessary, and tasks and feedback needed to be differentiated, considering the onlin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proposing a program model for overseas Korean learn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video conferencing and proposes grade-specific educational goals and an operation system for the model to apply it possibly to the actual educational sites.

      • KCI등재

        베트남 대학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要求分析 연구 –H대학의 한국어 發表 교육 과목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김참이,응우옌티하이쟝,백승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2

        김참이·응우옌티하이쟝·백승주, 2023, 베트남 대학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어문연구, 198 : 519~549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대학 내 한국어 학과의 發表 교육 과정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 H대학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예비 조사를 시행 후 본 조사에서는 學習者와 敎授者를 대상으로 焦點集團面接을 진행하였다. 예비 조사 결과 H대학 한국어 전공생들은 2021년도부터 ‘한·영 프레젠테이션 전략’이라는 전공 필수 과목을 통해 한국어와 영어의 發表 기술을 통합하여 학습하고 있었다. 敎授者는 학습 자료를 직접 제작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교수 요목 설계부터 자료의 활용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조사 결과 學習者는 한국어 發表 교육의 수강이 현재의 한국 기업 근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원어민 敎授者 및 실제적인 한국어 표현이 추가되기를 요구하였고, 敎授者는 현지 사정에 맞는 맞춤형 發表 교재 개발 및 제작의 필요성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조사 내용을 종합 후 4장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 과정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초 연구로 삼아 한국인 敎授者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외부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교재를 개발한다면 실제성 있는 한국어 發表 교육 내용을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實態調査에 根據한 多文化家庭 女性 學習者의 韓國語敎育 方案

        문금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0 No.4

        This paper discusses the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t inves- tigates their language environments and language capabilities, and then presents concrete teaching methods based on that results. In chapter 2, it conducts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ir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usage, Korean language capabilities(by language skills, areas of Korean language, language groups, and period of residence). It analyzes the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chapter 3, it suggests the direction and policy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n chapter 4, it builds learning contents depending on discourse situations(in public institutions, in conversation with their husbands, in telephone conversation) based on the survey data. It also presents concrete learning methods and various learning activities(TV drama, news, cooking programs, internet, telephone, newspaper, magazine, print media etc). 본고는 결혼을 위해 한국으로 移住하여 다문화가정을 이룬 女性 學習者들의 韓國語敎育 방안을 논의한다. 특히 그들의 언어 환경과 언어 능력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결혼을 위해 移住한 女性 學習者들의 韓國語敎育 현황 파악을 위해서 그들의 한국어 사용 환경과 한국어 사용 능력(언어기능별, 언어영역별, 언어권별, 거주 기간별)에 대한 實態調査 결과를 분석한다. 3장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혼 移住 女性 學習者들의 韓國語敎育 방향과 정책적으로 필요한 과제를 파악한다. 4장에서는 實態조사 결과에 기반한 학습 내용을 담화상황별(公共機關에서, 남편과의 對話에서, 電話對話에서)로 구축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 방법을 다양한 학습 활동 위주(TV 드라마나 뉴스, 요리프로그램, 인터넷, 전화, 신문, 잡지 및 인쇄매체를 활용한 활동)로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