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기반한 감각조절기능 평가항목 개발

        이미지,유은영,정민예,박혜연,이재신,이지연,이미지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tems used to measure the sensory modulationfunction bas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reschoolers. Methods: The first step was to select the area of daily activity and collect data for the development ofpreliminary items. The second step was to select the question items through expert verification, in which atotal of 21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experience in pediatric setting were selected. A Delphi survey wascarried out three times. A final survey was used as a check of the level of parental understanding regardingthe contents of the preliminary items and compositions. Results: The results of the data collection and Delphi survey showed seven areas of development for dailyactivities (sleeping and waking up, wearing clothes, eating, using the bathroom, washing, dressing up, andmoving) and 105 preliminary question items. Finally, the average content validity ratio of the Delphi surveyresults was .89; the stability, 0.13; and the consensus, 0.81, which are regarded as high scores.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sensory modulation problemsof preschoolers based on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usefulness of theevaluation items will be confirmed. They will then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in a clinical setting.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기반한 감각조절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영역을 선정하고 항목 개발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아동작업치료 5년 이상 경력의 전문가 패널 21명을 대상으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가 패널에게 각 평가항목의 적절성 여부를 평정하게 한 후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평가항목의 내용과 평가지 구성에 대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자료 수집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영역은 7개로 구성하였고(잠자기 및 일어나기, 옷 입기, 식사하기, 화장실 사용, 씻기, 단장하기, 이동하기) 총 105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델파이 조사의 평균 내용타당도 비율은 0.89, 안정도 0.13, 합의도 0.81로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 : 학령 전 아동의 일상생활영역에서의 감각조절문제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항목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향후에는 각 평가항목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평가도구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임상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Using Q-methodology : 일반 초등교사가 인식한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Q-방법론을 활용하여

        김라경(Rah-Kyung Kim),이정은(Chung-eun Lee),이미지(Mi-Ji L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20 職業再活硏究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교사가 생각하는 장애인 초등교사에 대한 능력, 역할, 교사 자질에 대한 인식과 이미지를 탐구한 연구로써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사용하여 일반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 초등교사의 이미지 유형 및 유형별 특성을 알아보았다. 일반교사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고, 초등교사의 역할과 자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일차적으로 약 300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수 3인에게 모집단의 적절성과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40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40개의 Q-표본 진술문은 총 30명의 일반교사에 의해 분류되었다. 일반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장애인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학생을 위해 헌신적이나 제한된 교육자원을 가짐’, 제 2유형은 ‘스스로 전문성 개발을 추구하나 행정업무의 한계가 있음’, 제 3유형은 ‘교실을 안전하게 유지하려고 하나 다양한 학생 관계에 어려움을 겪음’, 4유형은 ‘다문화·세계문화 감수성을 함양하나 학부모 관계에서 미흡함’으로 명명되었다. 네 가지 유형의 가장 긍정적 진술문과 부정문을 중심으로 하여 각 유형의 특성을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질적 자료를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유형을 대표하는 4명의 일반초등교사에게 추가 인터뷰를 요구하였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장애인 초등교사 고용증진을 위한 제언 및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 of the ability, roles, qualities, and expectation of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South Korea. Around 300 Q-sample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bout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an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of five general education teachers. Final 40 Q-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and administered to 30 general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The types of images of teachers with disabilities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of belief system; (a) showing commitment to students but shortage of educational resources, (b) purs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but a lack of classroom management, (c) keeping safe learning environment but limited communication with diverse students, and (d) cultivating muticultural and global interests but limited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explained focusing on the most positive and negative statements of the four types and In order to reinforce the qualitative data representative of each type, additional interviews were requested from four general teachers representing each of the four type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mplications for employment issues for hiring elementary teachers with disabil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태국 2021 코로나19 위기 속 출구 없는 정치대립과 사회구조적 난제

        이미지 한국동남아학회 2022 동남아시아연구 Vol.32 No.1

        태국의 2021년은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및 백신 수급을 둘러싸고 정치적 공방이 가열된 한 해였다. 4월부터 시작된 델타 변이의 확산이 제 3차 대유행으로 이어지면서 8월에는 하루 신규 확진자수가 약 2만 3천명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창궐 이후 최악의 상황을 맞이했다. 2월 말부터 백신 접종이 시작되었지만, 초기 정부의 백신 수급은 순조롭지 못했다. 이러한 정부의 감염병 위기관리 능력을 비판하며 2021년 2월과 8월에 야당은 쁘라윳 총리와 주요 장관에 대한 불신임 결의안을 의회에 제출했지만, 결과적으로 두 번 모두 부결되었다. 한편, 2020년부터 민주화를 요구하는 학생을 중심으로 전개된 반정부 운동은 코로나19 위기의 대혼란 속에서도 8월에 재개되어 정부와 무력 충돌했다. 정부는 시위대의 요구를 일단 수용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며 헌법개정에 대한 심의를 개시했지만, 현행 선거제도 및 왕실 개혁에 대한 정부의 기본적인 입장은 매우 소극적이다. 이처럼 2006년 탁씬 정권에 대한 쿠데타 발발 15년째를 맞이한 2021년 태국 정치는 여전히 출구가 보이지 않는다. 경제면에서는 델타 변이의 급속한 감염 확대에 대응하여 정부가 방콕 및 수도권을 포함한 29개주에 대해 록다운(도시 봉쇄) 조치를 취하는 등 경제활동을 엄격하게 규제했다. 이에 회복세에 있던 경제성장률은 3분기에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태국 정부는 확산세가 진정됨에 따라 방역지침을 완화하여 11월부터 백신 접종자를 대상으로 무격리 입국을 허용하는 등 본격적으로 국경을 개방했다. 관광산업을 촉진시켜 침체된 경기를 회복시키기 위한 결정이었지만, 오미크론 변이가 출현하면서 국가 개방 2개월 만에 무격리 입국을 잠정 중단했다. 한편 대외관계에서는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국제 정세 속에서 중국은 이른바 ‘백신외교’를 통해 태국과의 우호적 관계를 재확인시켰다. 코로나19로 위축됐던 태국 경제는 향후 빠른 속도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를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등 근본적인 사회적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현 정부가 야심차게 제시한 동부경제회랑(EEC) 개발과 같은 산업고도화 정책도 최근 몇 년간 크게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정치대립의 근본적인 원인인 경제 양극화 및 지역별, 산업별 소득 불균형도 풀리지 않는 난제로 남아있어, 향후 정부가 단기적으로 어떠한 정치적 대응을 한다고 해도 중장기적으로 정치적 불안정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고려시대 民間之語 연구

        이미지 한국중세사학회 2018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55

        On his birthday in 1195 the crown prince of the Goryeo dynasty paid respects to his father. The king Myeongjong (reigned 1170~1197) got down to a small talk asking what interesting gossips were going on among the common people. It is clear that the king who was the symbol of the dynasty itself, who resided the top place of the ruling system of Goryeo had a keen interest on the rumours among the lowest strata. Even more interesting thing is that the crown prince immediately brought up the funny nickname which the common people used when calling himself, “老太子” (meaning possibly ‘the good old crown prince’ or ‘the aged crown prince’). The crown prince, as the king, lived in the secured and secluded palace separa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common people. Any single member of the royal family was neither a consumer nor producer of the rumours going around the commoners. Nevertheless the supreme ruling class as like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were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rumours and hearsay of the people and they actually talked about the gossip on them. Taking the episode of the king Myeongjong and the crown prince as an inspiring departure of further discussion, this paper collected the examples of rumours of the Goryeo dynasty and tried to categorize them by certain criteria. Several intriguing points that help to understand what kind of fake news the Goryeo people feared most and how they muddled through the chaos were introduced as a result of the analyzation.

      • KCI등재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구직장애인의 고용서비스 요구 수준 유형 및 특성 탐색

        이미지,지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0 장애와 고용 Vol.30 No.2

        Purposes: This study explore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eeds for career support servic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latent class analysis(LCA).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1240 participants who answered their needs for career support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atent class analysis(LCA) was conducted to examin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class. Result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five latent classes: (a) low service needs class, (b) average service needs class, (c) intellectually and socially focused needs class, (d) physically and emotionally focused needs class, (e) high service needs class. And, degree of disability and current employment status were significantly proven to predict high service needs for career support service. Implication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user-based designs and applications of career support servic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하여 구직장애인의 고용서비스 요구 수준 유형 및 특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구직장애인 1240명을 대상으로 구직장애인 고용서비스 요구 수준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여 구직장애인의 고용서비스 요구 수준별 잠재계층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구직장애인의 고용서비스 요구 수준별 잠재계층은 총 5개로 분류되었다. 잠재집단 1 ‘저수준요구형’, 잠재집단 2 ‘평균수준요구형’, 잠재집단3 ‘인지사회관계집중요구형’, 잠재계층4 ‘신체정서집중요구형’, 잠재계층5 ‘고수준요구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고용서비스 요구 수준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장애정도, 장애등급, 취업여부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사점: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요자 중심의 구직장애인 고용서비스의 설계 및 적용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성인에서 Relative Fat Mass 공식의 적용

        이미지,김영혜,김진구,이선영,김규남,김종우,백정기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2

        Background: Body mass index (BMI) has limitations in determining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fat distribution, and causes misclassification of bodyfat-defined obesity. As high body fat percentage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an accurate assessment of body fat percentage is considered clinicallyimportant. Recently, Woolcott and Bergman reported a relative fat mass (RFM) equation which calculated the body fat percentage using the heightand waist circumferences. However, as RFM has been studied only in European-, Mexican-, and African-Americans, an assessment in Asians wasneeded.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RFM in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7,733 adults who visited a Sanggye Paik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from May 1, 2016 to November 12, 2018. BMIand RFM were calculated by measuring height,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The total body fat (TBF) percentage was measured by bioelectricalimpedance analysis. We compared the BMI, RFM, and TBF percentage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RFM in Korean adults. Results: RF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BF percentage in both male and female (male: β=0.808, R2=0.653, female: β=0.766,R2=0.587, P<0.001). In the Bland-Altman plot, RFM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TBF percentage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Conclusion: The RFM equation can be used to predict TBF percentage in Korean adults. 연구배경: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는 체지방률 및 체지방분포를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체지방률로 정의하는 비만의 분류 오류를 일으킨다. 높은 체지방률은 여러 질환 및 사망과 관련이있기 때문에 체지방률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최근 미국의 Woolcott과 Bergman은 키와 허리둘레로체지방률을 계산하는 relative fat mass (RFM) 공식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RFM은 유럽계, 멕시코계,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아시아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성인에서 RFM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6년 5월부터 2018년 11월 12일까지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7,733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키, 체중, 허리둘레를 측정하여BMI, RFM을 계산한 뒤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로 측정한 체지방률과 비교하여 한국인에서 RFM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남녀 모두에서 RFM은 total body fat (TBF) percentage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남: β=0.808, R2=0.653, 여: β=0.766,R2=0.587, P<0.001). Bland-Altman plot에서 RFM은 TBF percentage와95% limits of agreement 내에서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결론: 한국 성인에서 RFM 공식은 TBF percentage를 예측하는 도구로써 이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성인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 자극에 대한 인지 재평가와 억제 기제의 사용 및 효과

        이미지,김소연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1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w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namely, cognitive reappraisal and expressive suppress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the effects of these two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tested and the intrapersonal factors related to the effects of these strategies were explored. The participants included 60 female college students. In Study 1, 4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two different strategy groups, i.e., a between-subject design was employed. In Study 2, 20 participants were asked to use both strategies to regulate their emotion, i.e., a within-subject design was employed.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ffectively reduced negative emotion of emotional stimuli. However, the use of emotion regulation assessed with a questionnaire was not matched to the actual usage of regulation strategies examined with a task. Finally, the use of a suppression strategy was related to the extroversion psychological adaptive variabl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the use of a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may not be the same as the actual use of a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Furthermore, we demonstrated that when participants have an option to use both strategies, the cognitive reappraisal is more functional than expression suppression. This concurs with the previous findings on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본 연구는 정서조절 설문지와 정서조절 과제를 사용하여, 정서조절 전략인 재해석과 억제에 대한 경향성과 사용이 일치하는지 탐구하였다. 또한, 성격특성,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정서조절의 효과성과 관련이 있는 개인 내 변 인들을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60명의 여자 대학생으로, 연구 1에서는 40명을 집단 간 설계로 재해석과 억제 집단 에 각각 20명씩 무작위로 할당하였고, 연구 2에서는 실험 1에 참가하지 않은 여자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집단 내 설계로 재해석과 억제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조절 과제를 통한 재해석 전략과 억제 전략의 사용은 부정적인 정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제를 통해 측정된 정서조절의 사용과 자가보고 설 문지를 통해 측정된 정서조절 경향성은 일치하지 않았다. 셋째, 억제 전략의 사용은 성격 특성의 외향성과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사용하는 전략과 정서조절 전략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억제에 비해 재해석이 기능적이라고 주장하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 KCI등재

        아동의 우울과 얼굴자극검사(FSA) 반응 특성의 관계

        이미지,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5 美術治療硏究 Vol.2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Face Stimulus Assessment(FSA) response between depressed and non-depressed children and FSA test as a discriminant tool for depression was investigated. The subjects were 201 students from fourth to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Ci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and FSA test was conducted and depressed and non-depressed groups were separated by depression score 19. Cross-tabulation test(Chi-square test)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FSA response difference. On stimulus drawing I,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realism, development level, line quality, emotional contents, and space using. The assessment items of the FSA drawing I showed a total discriminant power of 67.7%. On stimulus drawing II,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prominence of color, color fit, implied energy, developing level, details of object, and space using. The assessment items of the FSA drawing Ⅱ showed a total discriminant power of 66.7%. On stimulus drawing III, color fit, implied energy, and details of objects were significant variables and the discriminant power was 56.2%. This paper suggests that FSA can be used as an assistance to discriminate children depression. 본 연구는 우울 아동과 비우울 아동의 FSA 반응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FSA검사가 우울 변별도구로서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2년 10월-11월에 걸쳐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아동 우울검사(CDI)와 FSA(Face Stimulus Assessment) 검사를 실시하였다. 우울 점수에서 19점을 기준으로 우울 집단과 비우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은 교차분석과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FSA 자극그림 1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색칠정도’, ‘색의 적절성’, ‘내포된 에너지’, ‘사실성’, ‘발달 단계’, ‘선의 질’, ‘그림의 정서적 내용’ ‘그림의 공간 활용’이며, 이 변인들이 우울 아동과 비우울 아동을 예측할 수 있는 판별력은 67.7%였다. 자극그림 2에서는 ‘색칠 정도’, ‘색의 적절성’, ‘내포된 에너지’, ‘발달 단계’, ‘세부 사항’, ‘그림의 공간 활용’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이 변인들이 우울 아동과 비우울 아동을 예측할 수 있는 판별력은 66.7%였다. 자극그림 3에서는 ‘색의 적절성’, ‘내포된 에너지’, ‘세부 사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이 변인들이 우울 아동과 비우울 아동을 예측할 수 있는 판별력은 56.2%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의 우울을 변별하는데 사용되는 기존의 자기보고식 척도와 면접을 보완해줄 수 있는 투사적 그림검사로 FSA가 임상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