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기관지 내시경 이후 발생한 스트레스성 심근병증 1예

        김계연,옥경삼,송봉근,박이내,염호기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Tako-tsubo 심근병증으로 알려진 스트레스성 심근병증은 심혈관 조영술상 유의한 협착이나 폐쇄소견을 동반하지 않으면서 일시적인 좌심실심첨부의 저운동과 ballooning 소견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 질환은 감정적 스트레스 혹은 급성 내과적 질병 및 진단적 시술 및 수술을 포함한 치료적 시술과 같은 신체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내시경이나 기관지 내시경 이후에도 드물지만 스트레스 심근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이에 저자들은 기관지 내시경 이후 발생된 스트레스성 심근병증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1년 전에 본원에서 폐결핵을 진단받고 치료 받은 과거력 있는 68세 남자로 한 달 전부터 시작된 열, 기침, 가래, 좌상엽에 종괴 소견을 보여 내원하였다. 폐결핵의 재발 의심 하에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다. 기관지 내시경 시술동안 환자의 생체 징후는 비교적 안정적 이였고 특별한 증상을 호소하지 않았다. 기관지 내시경 후 잠깐의 의식소실이 있었고 흉부 불편감, 쥐어짜는 양상의 흉통, 심계항진(당시 HR: 101)을 호소하였고, 당시 시행한 심전도 상에서 V 1-6 에 ST분절의 저하를 동반한 동성빈맥 소견, 혈청 심근효소수치 상 CK MB: 26.7(정상치:< 4.9 ng/ml) &Troponin T:1.93(정상치:<0.1 ng/ml), Pro-BNP :2061(정상치<150 pg/ml)으로 상승된 소견을 보였다. 응급으로 시행한 경흉부심장초음파상 좌심실 구혈률은 40%, 경증의 좌심실 수축장애 소견을 보였고 심실 기저부와 중간심실 분절에서 심한 저운동 그리고 심첨부의과다운동소견이 관찰되었다. 스트레스성 심근병증은 전형적으로 좌심실 심첨부의 심한 저운동과 기저부의 정상 혹은 과다운동 소견이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환자에서는 기저부와 중간 심실부의 분절에서의 저운동 소견과 심첨부의 과다운동 소견을 보여 반전된 스트레스성 심근병증 소견을 보였다. 이후 흉통의 원인으로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배제하기 위해 관상동맥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심혈관 조영술 결과 유의한 협착이나 폐쇄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반전된 스트레스성 심근병증 진단하에 ACEI 와 베타차단제를 사용하며 보존적인 치료 시행하였고 이틀 뒤 시행한 경흉부 심장초음파 검사에서 정상의 좌심실 수축력과 심실벽 운동 소견을 보였으며 ST 분절 저하소견도 소실되었다.

      • KCI등재

        A Case of Ulcerative Colitis Patient with Colonic Stenosis and Enterocutaneous Fistula

        정성연,김유선,옥경삼,권선옥,김진남,문정섭,강윤경,홍성우 대한장연구학회 2012 Intestinal Research Vol.10 No.4

        Ulcerative colitis (UC) is one of the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 characterized by a diffuse mucosal inflammation limited to the colon. Complications of UC include stricture, colorectal cancer, and toxic colitis. UC patients rarely present with a stenosis or fistula, and strictures develop in less than 5% of patients with UC. We present a patient with UC, accompanied by unusual complications that involved not only a stricture but also a fistula and abscess. A 49-year-old female was presented with a left flank pain and fever that had begun two weeks before admission. She had received a diagnosis of UC 20 years ago and had it treated for 2 years in a local hospital. However, she arbitrarily stopped visiting the hospital and relied on home remedies. An abdominopelvic CT scan revealed luminal narrowing and extra-peritoneal fistula formation in the descending colon. Fistula was connected with a subcutaneous abscess in the left flank. She had undergone total colectomy and ileo-anal anastomosis. On the pathologic exam, the long standing UC with severe stenosis was observed without malignant change. It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at a correct therapeutic approach and an appropriate follow-up schedule are very important for patients with UC.

      • KCI등재

        Safety, efficacy, and response predictors of anticoagulation for the treatment of nonmalignant portal-vein thrombosis in patients with cirrhosis: a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정정화,김기현,이종호,옥경삼,장은선,정숙향,김진욱 대한간학회 201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20 No.4

        Background/Aims: Portal-vein thrombosis (PVT) develops in 10–25% of cirrhotic patients and may aggravate portal hypertension. There are few data regarding the effects of anticoagulation on nonmalignant PVT in liver cirrh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safety, efficacy, and predictors of response to anticoagulation therapy in cirrhotic patients. Methods: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nonmalignant PVT were identified by a hospital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called BESTCARE). Patients with malignant PVT, Budd-Chiari syndrome, underlying primary hematologic disorders, or preexisting extrahepatic thrombosi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reatment and nontreatment),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control patients. The sizes of the thrombus and spleen were evaluated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 Results: Twenty-eight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between 2003 and 2014: 14 patients who received warfarin for nonmalignant PVT and 14 patients who received no anticoagulation. After 112 days of treatment, 11 patient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response rates (complete in 6 and partial in 5) compared to the control patients, with decreases in thrombus size of >30%. Compared to nonresponders, the 11 responders were older, and had a thinner spleen and fewer episodes of previous endoscopic variceal ligations, whereas pretreatment liver function and changes in prothrombin time after anticoagul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Two patients died after warfarin therapy, but the causes of death were not related to anticoagulation. Conclusions: Warfarin can be safely administered to cirrhotic patients with nonmalignant PVT. The presence of preexisting portal hypertension is a predictor of nonresponse to anticoagulation.

      • KCI등재

        대장 게실증 임상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전향 연구

        김선영 ( Sun Young Kim ),김유선 ( You Sun Kim ),김현태 ( Hyun Tae Kim ),권선옥 ( Sun Ok Kwon ),오명기 ( Myoung Ki Oh ),차인혜 ( In Hye Cha ),옥경삼 ( Kyeong Sam Ok ),곽철훈 ( Cheol Hun Kwak ),김진남 ( Jin Nam Kim ),문정섭 ( Jeong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2 No.2

        목적: 평균수명의 증가에 따른 사회의 고령화와 식생활의 서구화 및 진단기법의 발전으로 우리나라 소화기관의 게실 빈도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대장 게실의 임상양상 또한 후천적 영향에 의해 서구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대장 게실증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대장 게실증에 영향을 미치는 후천적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5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에서 시행한 대장내시경검사에서 게실이 관찰되었던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대상군의 나이, 체질량지수, 복부둘레, 운동량, 지방 섭취 정도, 흡연 및 음주의 정도를 조사하여 대장 게실의 임상양상과의 연관성을 알아 보았다. 결과: 연구 대상은 총 200명으로 나이는 54.9±11.9세(범위17-79세)였고 대장 게실증의 남녀비는 2.2:1이었다. 게실의 위치는 우측 대장이 83%였고 게실의 평균수는 4.07±3.9개였다. 게실 위치와 연관성을 보인 인자는 나이였는데 고령일 수록 좌측에 위치하였고(p=0.001), 게실의 수는 허리둘레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r`=0.143, p=0.047), 대장 게실염은 나이가 적을수록 증가하였다(p=0.002). 결론: 대장 게실의 위치는 고령일수록 좌측에 호발하였으며 게실 수는 복부비만과 연관성을 보였다. Background/Aims: The prevalence of colonic diverticulosis in Korea is increasing in conjunction with the adoption of western dietary pattern, extension of lifespan, and advances in diagnostic modalitie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lonic diverticulosis seem to be gradually becoming similar to those of Western societies. Therefor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olonic diverticulosis in Korea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data of 200 patients diagnosed with colonic diverticulosis using colonoscopy between May 2010 and April 2012 at Inje University Seoul Paik Hospital (Seoul, Korea) were prospectively collected. Clinical parameters acquired through a questionnaire include ag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exercise, diet, smoking, drinking habits, etc.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diverticulosis were analyzed. Results: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4.9±11.9 (range 17-79) years and male to female ratio was 2.2:1. Most diverticula wer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olon (83%) and the mean number of diverticulum was 4.07±3.9. Factor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of diverticulum on the left side was age (p=0.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waist circumference and the number of diverticulum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r`=0.143, p=0.047). Diverticuliti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younger patients than in older patients (p=0.002). Conclusions: Colonic diverticulosis in older patients is found more frequently on the left colon, and the number of diverticulosis is associated with central obesity. (Korean J Gastroenterol 2013; 62:97-103)

      • KCI등재

        Ethanol Extracts of Rheum undulatum and Inula japonica Protect Against Oxidative Damages on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s through the Induction of ARE/NRF2-dependent Phase II ytoprotective Enzymes

        Ok-Kyung Yoo(유옥경),Yong-Geol Lee(이용걸),Ki-Hoan Do(도기환),Young-Sam Keum(금영)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진은 HaCaT-ARE-luciferase 세포를 이용하여 400 여개의 약용식물 에탄올 추출물 중 NRF2/ARE 유도효과가 있는 신규 추출물을 검색하였고 이를 통하여 종대황(Rheum undulatum)과 선복화(Inula japonica)의 주정 추출물이 HaCaT-ARE-luciferase 세포에서 ARE 활성을 강하게 유도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종대황과 선복화 에탄올 추출물은 HaCaT 세포에서 생존(viability)을 증가시켰고 NRF2/ARE에 의존적인 phase II cytoprotective 효소인 heme oxygenase-1 (HO-1)와 NADPH:quinone oxidoreductase-1 (NQO1)의 전사 및 단백질 발현을 강하게 유도하였다. 또한 종대황과 선복화 추출물은 HaCaT 세포에서 TPA로 유도한 세포 내 활성 산소 및 이를 통하여 생성되는 스트레스 마커인 8-hydroxydeoxyguanosine (8-OH-dG)과 4-hydroxynonenal (4HNE)의 발생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본 연구는 종대황과 선복화의 에탄올 추출물이 인간 피부 세포주인 HaCaT 세포에서 NRF2/ARE에 의존적인 유전자 발현의 유도를 통하여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Mammalian cells control cellular homeostasis using a variety of defensive enzymes in order to combat against environmental oxidants and electrophiles. NF-E2-related factor-2 (NRF2) is a transcription factor that, in response to an exposure to oxidative stress, translocates into the nucleus and modulates the inducible expression of various phase II cytoprotective enzymes by binding to the antioxidant response element (ARE).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acquired 400 ethanol extracts of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and attempted to find out possible extract(s) that can increase the NRF2/ARE-dependent gene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s. As a result, we have identified that ethanol extracts of Rheum undulatum and Inula japonica strongly activated the ARE-dependent luciferase activity in HaCaT- ARE-luciferase cells. Exposure of ethanol extracts of Rheum undulatum and Inula japonica increased the viability and activated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f NRF2-dependent phase II cytoprotective enzymes in HaCaT cells, such as heme oxygenase-1 (HO-1) and NAD[P]H:quinone oxidorecutase- 1 (NQO1). In addition, ethanol extracts of Rheum undulatum and Inula japonica suppressed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reby inhibiting the formation of 8-hydroxyguanosine (8-OHG) and 4-hydroxynonenal (4-HNE) in HaCaT cells.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ethanol extracts of Rheum undulatum and Inula japonica exert anti-oxidant effects via the induction of NRF2/ARE-dependent gene expression in human keratinocy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