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 성과 예측요인 규명

        오성은,이정민,조보람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 성과 예측요인으로 학업적효능감, 협력적효능감, 사회실 재감을 상정하고 예측력을 규명함으로써,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들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지원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A 대학의 수업을 듣는 학부생 42명을 대상으로 총 8주간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을 진행하였다. 학습활동이 끝난 후 학업적효능감, 협력적효능감, 사회실재감과 학습만족도설문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 성과 중 만족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는 학업적효능감, 사회실재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적효능감은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도는 사회실재감만이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페이스북을 활용한 프로젝트학습설계전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group efficacy, and social presence on project-based learning outcomes(learning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rough Facebook. In order to examine this purpose, 4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through Facebook during 8 weeks. After the instruction, they responded surveys regarding academic self-efficacy, group efficacy,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ook academic achievement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as a data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 self-efficacy a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 learning satisfaction, however group efficacy did not. second,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predicts learning achievement, however, academic and group efficacy did not.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instructor or instructional designers should focus on promoting social presence when design or implement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through Facebook.

      • KCI등재

        미국 화학물질 규제행정의 체계와 법제

        오성은,윤혜선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가천법학 Vol.9 No.1

        Chemicals provide many benefits to humans, but they also present risks. This double nature obliges governments to regulate the chemical risks to secure safety in order to protect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Moreover, regulation of chemical risks obliges them to view the global trend toward modernization of chemical management. This is because the market for industrial chemicals is global, and chemical releases can cross borders. Regulation of industrial chemicals is in a period of global maturation. In 2002, the United Nations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established the goal that “by 2020, chemicals are used and produced in ways that lead to the minimization of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To this end, for decades, nations around the world have been updating their regulatory programs. Canada. European Union, Japan, China, Korea, to name a few, are running in this race. Meanwhile, the U.S. Congress has been slow to modernize the Toxic Substances Control Act of 1976 (TSCA), despite a broad consensus that the current design of TSCA is outmoded. Due to this passive attitude of the federal government, U.S. states, prominently California, have enacted new and upgrading programs aimed at assessing and reducing the potential for adverse effects from chemical exposur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current U.S. chemical safety law and regulation.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the Korea enacted and has just began implementing the new and advanced regulatory program, this examination is practically, economically and industrially meaningful. It is because the U.S. is the number one producer and trader of chemicals and chemical products in the world. Accordingly, this article first overviews the general chemical regulatory system and governance, and then examines TSCA and 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 in details. It further addresses the new and prominent California Proposition 65 and lastly concludes with some implications. 화학물질은 인간의 삶에 필수적이며 큰 유익을 제공한다. 그러나 화학물질은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중대한 위해를 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정부는 유익과 리스크라는 양면성을 가진 화학물질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야 할 책임이 있다. 한편, 화학물질 안전규제는 필연적으로 국제적 조화가 요청된다. 산업화학물질의 시장은 전 세계로 확대되었고 자칫 화학물질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국경은 무의미하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관점에서 산업화학물질에 대한 규제는 성숙기에 있다. 2002년 국제연합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정상회담은 “2020년까지 화학물질의 이용 및 제조 방식을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대한 중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유인한다”는 목표를 수립하였는데, 캐나다와 유럽연합을 시작으로 일본, 중국, 우리나라 등 주요 화학물질 산업국가들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규제체계를 개선하였다. 한편, 화학물질 규제체계의 개선이라는 국제적 조류 속에 세계 최대 화학물질 산업국인 미국은 다소 어긋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이미 1976년에 유해물질관리법(Toxic Substance Control Act of 1976, TSCA)을 제정하여 화학물질을 관리하여 왔는데 현재까지도 당시의 규제체계의 기본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연방정부의 이러한 소극적인 태도로 인하여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 주(州)를 필두로 하여 주(州) 단위에서 화학물질 노출 악영향을 평가하고 저감하기 위한 새로운 제도들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는 화학물질 안전규제를 둘러싸고 주요 화학물질 산업국들이 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느린 행보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의 화학물질 규제행정의 체계와 법제상황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록 우리의 신규 화학물질 규제체계가 미국 연방의 그것에 비해 제도적으로 선진적이라고 할지라도, 현실적·경제적·산업적 이유에서 미국의 화학물질 규제체계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미국의 화학물질 규제행정의 체계 및 법제의 연혁과 현황을 개관하고, 미연방의 화학물질 규제법제를 유해화학물질관리법(TSCA)과 소비자제품안전개선법(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 CPSIA)의 주요제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TSCA는 “화학물질”의 규제에 있어서 일반법적 지위에 있으며, CPSIA는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제품” 규제에 있어서 핵심적인 법률이다. 나아가 본고에서는 연방법보다 더 엄격하고 선진적인 화학물질 규제법제로 평가받고 있는 캘리포니아 주(州)의 California Proposition 65의 주요 내용을 살핀 후에 글을 마무리하였다.

      • KCI등재

        근로장애인의 다차원적 자아존중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Korman의 일치성 이론을 중심으로

        오성은,김서희,김아란,최지원,신성만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1 장애와 고용 Vol.3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을 Korman(1970)의 일치성 이론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4차조사 데이터에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직업능력, 자기효능감, 주업무특성만족도 문항에 모두 응답한 1,562명의 임금 근로장애인의 자료를 사용하여, Korman의 일치성 이론에 근거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자아존중감, 직업능력, 대인관계는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긍정적 자아존중감, 직업능력,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였을 때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자기효능감을 매개했을 때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이는 Korman(1970)의 이론적 모형 및 이를 지지하는 선행연구결과와는 상이한 결과로,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을 위한 개입 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characteristics as self-esteem,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workers with disabilities using Korman’s Consistency Theory(1970). Method: The study used the second wave data from the fourth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et based on Korman's Consistency Theory. We analyzed the data of 1,562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answered questions regarding their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vocational ability,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Results: Initial findings indicated that positive self-esteem, vocational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positive self-esteem, vocational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en self-efficacy is mediated. In addition, negative self-esteem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when self-efficacy was mediated,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are different from Korman’s theoretical model and the previous studies supporting it, so the suggestions for intervention and follow-up research regarding job satisfaction among 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19가 시각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

        오성은,허수연,이유신,박정미,박재홍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3 한국장애인복지학 Vol.62 No.62

        This study aims to examine impacts of the social disaster of COVID-19 on the social exclusion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who are vulnerable to disasters. Specifically, we aim to determine whether COVID-19 h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clusion in the economic, employ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domains. To empirically verify this, we conducted a panel logit analys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Disability Employment Panel, utilizing the data from the second wave (2017), fourth wave (2019) collected prior to the occurrence of COVID-19, and the sixth wave data (2021) collected after the pandemic.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 likelihood of exclusion in both the economic and employment domains decreased compared to 2019 (pre-COVID), the likelihood of exclusion in the social participation domain was higher in 2021 compared to 2019.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conomic and employment exclusion of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has decreased, albeit slowly, even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The alleviation of exclusion in the economic and employment domains can be attributed to the effects of policies such as emergency disaster support funds and the mandatory employment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exclusion in the domain of social participation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who face difficulties in utilizing visual information and experience challenges in independent mobility, are more prone to isolation and struggle to cope with social disasters such as COVID-19 compared to non-disabled individuals.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that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are not excluded and can overcome such disaster situations, it is proposed that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social environment that enables them to act autonomously.

      • KCI등재

        목민심서에 나타난 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 탐색

        오성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7

        Objectives Youth unemployment rate is larger than past and the ratio of job seeker to be official is increasing in south korea. New Government of 2017 is going to prepare to plan to increase 12,000 official. That help job seekers role to find a job in private enterprise in labor market of south korea. Government is going to prepare both quantity and quality. Korea Government should prepare to plan to recruit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retirement system of official in the view of quality in vocational ethic in official.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n researching the vocational ethic in Mok-min-sim-su which is Jeong Yak-Yong written about admonitions on governing in Joseon Dynasty period in 1762-1836. Results First. the book of Mok-min-sim-su is researched Official to be diligent in front of people. Second, The book of Mok-min-sim-su is researched Official to be honesty in performing their duty. Third, The book of Mok-min-sim-su is researched Official to be sincerity to do work. Fourth, The book of Mok-min-sim-su is researched Official to be volunteer mind in the job. Fifth, The book of Mok-min-sim-su is researched Official to be responsibility to the task. Sixth, The book of Mok-min-sim-su is researched Official to promote law-abiding spirit to follow people. Seventh, The book Mok-min-sim-su is researched Official to observe the vocational etiquette. Conclusions Vocational Ethic in Mok-min-sim-su is developed a basic competency of official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o The Curriculum in Vocational Ethic in Mok-min-sim-su was taught in college and government HRD Certer, action learning Corse in prepare to be office etc. Finally, The Vocational Ethic in Mok-min-sim-su in south korea government is going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in other government in the world.

      • KCI등재

        복부대동맥류 벽 전단변형률 측정에 관한 연구

        오성은,이계한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0 의공학회지 Vol.21 No.2

        동맥의 일부분이 팽창하는 동맥류는 파열로 인한 높은 사망률을 야기한다. 동맥류의 발생 및 파열에는 혈관벽의 구조적 약화와 혈류에 의한 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류에 의해 혈관벽에 가해지는 전단응력은 간접적으로 혈관벽 구조를 변화시키고, 직접적으로 혈관벽에 응력을 가하므로 동맥류 파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혈류역학적 인자이다. 동맥류가 자주 발생하는 복부대동맥류 모델을 제작하여 정상류와 맥동류 유동에서 광색성 염료를 이용한 유동가시화 방법으로 벽 전단변형률을 측정하였다. 벽전단변형률은 동맥류 내부에서 감소하여 음의 값을 가지며, 동맥류 최대확장부 후부에서 다시 증가하여 확장부가 끝나는 위치에서 동맥 벽에 비해 약 1.5배 정도의 큰 전단변형률 값을 가졌다. 동맥류 최대확장부 후부에서는 벽전단변형률의 방향의 바뀌며, 위치에 따른 전단변형률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맥동류 유동에서는 동맥류의 위치에 따라 시간에 따른 벽전단형률 파형이 측정되었다. 동맥류 내부에서는 전단변형률의 크기가 작고 그 방향이 시간에 따라 변화가 심하였으므로 혈관벽의 구조변화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으로 지목된다. 동맥류 최대 확장부 후부는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전단변형률의 변화가 심하며, 혈관벽 응력이 최대값을 갖는 지역이므로 동맥류의 파열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으로 예측된다.

      • KCI등재

        신약성서에 나타난 예수의 직업관 고찰:4복음서 중심으로

        오성은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3 로고스경영연구 Vol.21 No.4

        As The workplace environments is changing faster than ever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I. It play something out labor and management problem conflict between regular permanent position and temporary position. the team spirit was weaken in the worker and the worker realized job as a lucrative occupation only. The Send of Vocation were urgently need at this time. So this study explore Jesus life and Vocational View in bible. and find work ethic, career direction in human . Jesus occupation is a carpenter. he instructed and discipline religion leader, politician, follower neighbor in his work and life.. the calling is honorable in workplace. He emphasized honest poverty and vocational ethics in work. and vocational education is not for human but for poor and weak person. it is necessary for reconciliation forgiveness with love, responsibility with grape farm owner of bible, prohibition on gender discrimination. He showed us modesty, frugal, dignified attitude. so modern people consider Jesus vocational view to career development in their life.

      • PEMFC 고분자 막의 Radical 제거제로서 후코이단과 보조제의 상승효과 연구

        오성은,김영숙,추천호,박권필 한국공업화학회 2020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20 No.-

        후코이단은 음이온 전하를 띄는 고분자로 항암효과 및 항산화 효과가 있고 주로 다시마와 미역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미역귀에 높은 함량을 나타낸다. 후코이단의 구조는 후코스(Fucose)라는 기본당과 황산기가 결합되어 있으며 후코스의 구조 중 OH기가 radical과 반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adical 제저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보조제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라디칼 제거 효과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상승효과 확인을 위해 보조제로서 구연산, 말레인산, 인산 등을 후코이단과 혼합해 Fenton 반응을 진행하였다. 후코이단은 210분 열수 추출하였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분리하여 분말화하였으며 저분자화로 산처리 방법을 이용하였다. Fenton 용액(과산화수소+FeSO4 10 ppm)에 후코이단, 보조제와 Nafion 211을 첨가하여 70°C, 400 rpm에서 3시간 교반한 후 용액을 채취하여 불소 이온 농도를 확인하였다. 후코이단은 미역귀 100g 당 평균 8.26g 추출되었다. 후코이단에 구연산과 같은 보조제를 첨가하면 Radical 제거 효과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Malformin A1 Stimulates the Ethylene Production in Primary Roots of Maize (Zea mays L.)

        오성은,홍성현,김건우,김순영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47 No.2

        The purified malformin A1 stimulated ethylene production in the primary root segments of maize. Andthis stimulatory effect of malformin A1 was significant in the presence of 0.1 mM IAA. Especially, 10uM malformin A1 increased the ethylene production about 60% of control. Further, malformin A1stimulated the activity of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oxidase (ACO), which is thekey enzyme in the ethylene production pathway. And another enzyme in the ethylene productionpathway such as ACC synthase (ACS) was not affected by the malformin A1. Therefore, the increasedethylene production by malformin A1 might be due to the increased in vivo ACO activity in corn ro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