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문(漢文)1에 실린 한시(漢詩)텍스트 수록 양상 분석 -제6차~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엄선용 ( Sun Yong Eu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2 No.-

        이 글은 제6차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문Ⅰ’에 실린 漢詩텍스트를 분석하여 그 현황을 형식별, 시대 및 작자별, 그리고 주제별로 분석하여 실태를 알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제6차~2009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한문Ⅰ’ 한시 텍스트에 수록된 한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현황과 시사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韓·中漢詩의 수는 197首가 총 273회가 실려 있다. 漢詩를 형식별로 그빈도수를 살펴보면 七言絶句는 72수가 110회로 가장 많고, 五言絶句는 69수가91회이다. 이 둘을 합하면 절구가 총 141수가 201회로 총 빈도수 가운데 73.6%나 차지해 지나치게 절구에 편중되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작품수가 많은 것은 인정하나 한문Ⅰ 텍스트에 다양한 한시의 형식들이 제시되어 학생들이 여러가지 한시 형식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마땅할 것이다. 둘째, 한시 형식별로 많이 실린 작품은 다음과 같다. 古詩는 도잠의 「四時」(3회) 이고, 五言絶句는 정몽주의 「春(興)」(12회), 맹호연의 「春曉」(7회)이고, 七言絶句의 정지상의 「送人(大同江)」(20회), 이옥봉의 「自述」(9회), 왕유의 「送元二使安西」(7회)이고, 五言律詩는 이이의 「花石亭」(10회), 두보의 「春夜喜雨」(7회)이고, 七言律詩는 두보의 「江村」(5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들은 문학적인 향취가 깊은 시들로 한시 교육에서 학습의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는 시이다. 한문교사는 이러한 형식별 작품들을 잘 알고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꼭 가르쳐야할 시 가운데 하나로 알아야할 것이다. 셋째, 한시 텍스트 속에서 한국의 경우 朝鮮時代의 작품 빈도수가 113회(63.5%)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중국의 경우 唐代의 작품 빈도수가 82회(86.3%)로 두 時代에 너무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무리 특정시대에 뛰어난 한시가 많다고 하더라도 교과서에서 작품을 실을 경우 시대별 안배가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한국의 작가 중에 가장 많은 작품이 실린 사람은 정지상(21회)이고, 그 다음이 정몽주(16회), 이옥봉(12회)이다. 중국의 작가 중에 가장 많은 작품이 실린사람은 두보(22회)이고, 그 다음이 이백(13회), 왕유(10회)이다. 한시의 작가는 매우 많지만, 그 많은 작가 가운데 어떤 작가의 작품을 교과서에 선정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唐詩를 대표하는 시인으로는 이백과 두보를 최고로 인정하듯이 가능하면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와 작품이 선정되어야 한다. 다섯째, 한시 텍스트 속의 주요 주제는 ‘離別의 슬픔’, ‘그리움’, ‘봄비의 공덕 찬미와 가는 봄의 아쉬움’, ‘가을의 정취’를 표현한 내용들이 많았다. ‘사랑과 이별’은 가장 보편적인 문학의 주제이고 ‘봄과 가을의 정취’는 좋은 시의 제재이다. 하지만 너무 같은 주제의 시로 편중되게 교과서에 싣는 것보다 학생들에게 미래에 대한 希望이나 높은 포부를 심어줄 수 있는 다양한 주제의 시를 찾아 교과서에 싣는 것이 필요하다. 시인의 마음이 압축적으로 표현된 한시를 읽고 마음을 열어 시인의 삶과 그 시대적 배경을 살펴가며 상상의 날개를 펼치면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한시는 한자와 형식이라는 장벽을 넘어서면 시인의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바로 그 순간 한시는 우리에게 새로운 아름다움과 신선한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This study, which conducted analysis of Chinese poem texts published in high school ``Chinese Classics-Ⅰ`` curriculum from the 6th to 2009 revision as well as analysis of such state by form, period/author and theme, aimed to identify their substances, problems and eventually get the implications. Analysis result of Chinese poems published in ``Chinese Classics-Ⅰ`` during curriculum from the 6th to 2009 revision showed findings and implications as below. First, the number of published Chinese poems from Korea and China was 197 pieces with 273 appearances in total. In terms of form of Chinese poems,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had the largest number with 72 pieces and 110 appearances, followed by quatrain with five-word lines with 69 pieces/91 appearances. So these two forms comprized 141 pieces/201 appearances constituting 73.6% frequency in total, which tells us that this curriculum had too much quatrain. Therefore, the future curriculum must provide more various forms of Chinese poems in ``Chinese Classics-Ⅰ`` texts so that students can learn them. Second, the ranking of poems appeared by form of Chinese poems is as follows. In category of ancient poem, Tao Yan Ming`s Four Seasons ranked top (3 times), in quatrain with five-word lines Jeong Mong-Ju`s Spring (12) ranked top, followed by Menhaoran`s Springtime (7). While, quatrain with seven-word lines had Jeong Ji-Sang`s Songin (Daedong River, 20) on its top, followed by Lee Ok-Bong`s Jasu (9), Wangwei`s Songwoni-jeolansa (7), and verse with five-word line had Lee Yul-Gok`s Seokhwajeong (10) on its top, followed by Tu Fu`s Rain in Spring Night (7). Tu Fu`s Gangchon (5) topped verse with seven-word line. Third, in case of Korea, work-pieces during the Joseon Dynasty appeared with the largest frequency of 113 times (63.5%). In China, those during the Tang Dynasty had the largest frequency of 82 (86.3%). All together, the study found the poems were concentrated on these two periods. So, though there might be outstanding poems at a certain periods, publication in textbooks must consider allocation by the period. Fourth, the author with the largest publication among Koreans was Jeong Ji-Sang (21), followed by Jeong Mong-Ju (16), Lee Ok-Bong (12). Of Chinese authors, Tu Fu (22) marked the top, followed by Li Po (13) and Wangwei (10). Fifth, the main themes of Chinese poems comprized ``sorrow of parting``, ``missing``, ``praise of spring rain and missing pass of spring``, ``autumnal flavor``. However, considering young students who will lead our future society, publication in textbooks may need poems with themes to imbue hopes and high ambitions to them.

      • KCI등재

        漢文科 授業 批評과 方法에 대한 探索的 論意

        엄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This study insists that revitalizing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is necessary as a way of changing its instructional culture. Instructional culture of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is isolated and individualistic. So, communicative and productive comments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have not been made well. And observing classroom lessens of existing classes has not been helpful to improve these problems.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can attribute to improving the instructional culture of Sino-Korean teachers by providing information for class improvement together with depth-understanding on detailed instructions. The writer of this study illustrated concept of criticism, methods, and detailed cases etc for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nd made a proposal so that its criticism could do right function in our school class culture. First, this study expects that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can be processed to a voluntary culture movement by necessity of Sino-Korean teachers themselves instead of heteronomous interference. Second,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should not be understood such like evaluating the right and wrong of certain teacher because it intends to look into universal matters on Sino-Korean teachers through one teacher. Third, limitations of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re required to be recognized together with its possibility. Fourth, through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existing various instructions and variety of view points on them will be able to be experienced. Fifth, in order to revitalize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practices from curriculum meetings and dimension of Education Office are required accordingly. This study is a tentative discussion for establishing critic theories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nd it leaves tasks of having to set up criticism theologically while accumulating cases of criticism on the Chinese literature class afterwards. 본 논문은 한문과 수업 문화를 바꾸기 위한 한 방법으로 한문과 수업 비평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한문과 수업 문화는 고립적이고 개인주의적이다. 이로 인해 한문 수업에 대한 소통적이고 생산적인 이야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기존의 수업 관찰법은 이런 문제를 개선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한문과 수업 비평은 구체적인 수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한문교사의 수업 문화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필자는 한문과 수업 비평을 위하여 수업 비평의 개념, 방법, 구체적 사례 등을 예시하였고, 한문과 수업 비평이 우리의 학교 수업 문화 속에서 순기능을 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한문과 수업 비평이 타율적 간섭이 아닌 한문교사 스스로의 필요에 의해 하나의 자발적인 문화운동의 차원에서 전개되길 바란다. 둘째, 한문과 수업 비평은 한 교사를 통해 한문교사들의 보편적인 문제를 읽어내는 것이지 한 교사의 잘잘못을 평가하는 것으로 오해(誤解)해서는 안 된다. 셋째, 한문과 수업 비평의 가능성과 함께 그 한계(限界)도 같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한문과 수업 비평을 통해 다양한 수업이 존재한다는 점과 한문과 수업을 보는 관점(觀點)의 다양성을 체험(體驗)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한문과 수업 비평의 활성화를 위해서 한문 교과 모임이나 교육청 차원의 실천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한문과 수업 비평론 정립을 위한 시론적인 논의로 앞으로 한문과 수업 비평의 구체적 사례 축적과 함께 비평론을 이론적으로 정립해야 하는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특히 한문교과만이 가질 수 있는 ‘한문과 수업 비평’의 독자성, 개별성이 무엇인지 더욱 고민하여 한문과 수업 비평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 고혈압 환자의 건강행태와 생활습관 실천정도

        엄선옥 ( Sun Ok Eum ),이인숙 ( In Sook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care status and healthy life practices among hypertensive patients in our South Korea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hypertension. Methods: The data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11 (KNHANES V-2) was utilized to analyze the state of hypertension management of 1,932 adults who were at the Western age of 19 and up and suffered from hypertension in order to identify what factors were related to their health care status and healthy life practices. IBM SPSS/WIN Statistics 20 software was employed, and frequency analysis and a x2-test were carried out.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variable income, while health status and healthy life practices were not significant in town. Furthermore Depression, alcohol dependency, and walking were significant in hypertension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hypertension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database on hypertension management. Furthermore,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should be taken for efficient and effective care for hypertension patient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하늘나리와 날개하늘나리의 줄기 신장 억제와 개화율 향상을 위한 생장억제제의 이용

        엄선,박경일,오욱,김규원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0 화훼연구 Vol.18 No.1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하늘나리(Lilium concolor var. parthneion)와 날개하늘나리(L. dauricum)를 소형 분화 로 개발하기 위해 생장억제제의 줄기 신장 억제 및 개화 촉진 효과를 구명하였다. 조직배양으로 얻어 포장에서 1차 비대시킨 후 생체중이 각각 5-7g과 3-4g인 인경을 각각 0, 25, 50과 100mg·L-1의 ancymidol, diniconazole 과 uniconazole 수용액으로 침지, 분무 또는 관주처리 하였다. 하늘나리에 있어서는 uniconazole 침지처리가 초장을 가장 크게 감소시켰는데, 그 농도에 따라 10.2- 18.5cm로 대조구에 비해 60.7-78.3% 억제되었으며, 개화율은 농도에 관계없이 100%였다. 날개하늘나리의 경우, diniconazole 침지처리에서 줄기 신장의 억제 효 과가 가장 커서, 초장은 농도에 따라 3.2-7.0cm로 대조구 에 비해 70.0-86.3%나 억제되었으며, 개화율은 대조구의 0%에서 8.3-18.2%로 향상되었다. 그리고 ancymidol 25-50mg·L-1의 관주처리도 날개하늘나리의 줄기 신장 억제와 개화 촉진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하늘나리와 날개하늘나리의 인경을 이용한 소형 분화 생산에는 각각 uniconazole 50-100mg·L-1 침지, 그리고 diniconazole 25mg·L-1 침지 또는 ancymidol 25mg·L-1 관주처리가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단, 본 연구에 사용된 날개하늘 나리의 인경은 크기가 너무 작아 분화로서 상품성이 없었기 때문에 좀더 큰 구근을 사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To develop Korean native lilies as mini-potted plants, the effects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inhibiting stem elongation and improving flowering rate were evaluated. Bulblets of Lilium concolor var. parthneion (5-7 g) and L. dauricum (3-4 g fresh wt) derived from in vitro culture and then enlarged by field culture were applied with 0, 25, 50, or 100 mg·L-1 ancymidol, diniconazole, and uniconazole through bulb dipping, foliar spray, and drench. In L. concolor var. parthneion, uniconazole dipping most effectively reduced plant height by 60.7-78.3% depending on concentration compared with control without decreasing flowering percentage. In L. dauricum, dipping into diniconazole solution significantly retarded the plant height by 70.0-86.3% and improved flowering percentage by 8.3-18.2% compared to control of 0%. Drench of 25-50 mg·L-1 ancymidol was also effective on inhibition of stem elongation and improvement of flowering rate. Therefore, dipping into 50-100 mg·L-1 uniconazole solution in L. concolor var. parthneion and dipping into 25 mg·L-1 diniconazole solutions or drench of 25 mg·L-1 ancymidol in L. dauricum can be useful to produce the mini-potted plants.

      • KCI등재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장치 가상화 기반 사물인터넷 제어 시스템 구현

        엄선,노혜진,김창수,이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oT control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Since the proposed system uses power lines to communicate with IoT devices,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ntrol network unlike most existing approaches generally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Fi. Also the proposed system has a feature that it controls various devices through a single interface without regard to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by abstracting those devices into common virtual devices. In our implementation, a control server creates and manages those virtual devices to control them. To deliver control messages among a server and real devices,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 new message protocol appropriate for power line communications. A user can access our server through a web interface to control devices and obtain various useful information. We have also implemented some applications based on the proposed system such as device power control, realtime monitoring of power consumption and so on. 본 논문에서는 서버와 장치 간 전력선 통신을 활용하여 사물인터넷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전력선 통신을 기반으로 하므로 Wi-Fi 등 무선 통신 기술을 주로 활용하는 기존의 시스템과 달리 별도의 제어 네트워크 구축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제안 시스템은 추상화된 사물인터넷 가상장치를 통해 실제 장치를 제어하므로, 장치의 종류와 특성에 구애받지 않는 동일한 제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가 이러한 가상장치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실제 장치를 제어하도록 구현하였다. 그리고 서버와 실제 장치 간의 제어 메시지 전달을 위해서는 전력선 통신 기반의 프로토콜을 새롭게 설계 및 구현하여 적용하였다. 사용자가 서버에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하여 장치들을 제어하고 각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장치 전원 제어, 실시간 전력 소모 모니터링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제안 시스템의 기능을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