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사노동과 자녀돌봄의 분담에 대한 부부의 공정성 인식과 배우자 만족도

        노혜진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4 한국가족복지학 Vol.7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가사활동 분담의 공정성에 대한 부부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 공정성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며, 공정성 인식이 배우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족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부부 1,404쌍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사활동 분담의 공정성은 아내보다 남편이 더 우호적으로 인식하였고, 가사활동 영역 중 자녀돌봄에서 부부간 공정성 인식의 차이가 가장 컸다. 또한 맞벌이 남편이 가장 공정하다고 인식하는 반면, 맞벌이 여성이 가장 불공정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분담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아내의 가사노동시간이나 근로시간 비중이 클수록 가사 분담 공정성이 감소했다. 또한 가사활동을 부부가 똑같이 하지 않고 남편이나 아내 등 1명이 주도할 때 공정성 인식이 감소했다. 그 외에도 여성, 결혼기간이 길수록, 일가족 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분담의 공정성 인식이 감소했다. 셋째, 분담의 공정성 인식이 증가할수록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의 사용기간 확대,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공정성을 다룬 부부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couples’ perceptions of fairness in the division of household activitie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fairnes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fairness perception on spous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1,404 couples were analyzed using the raw data of the Family Surve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irnes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activities was perceived by the husband as more favorable than that of the wife, an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fairness between the husband and wife in the area of household activities was the largest in the area of child care. There was a greater gender gap in perceptions of fairness between working couples thansingle-earner coupl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fairness of the division, the fairness of the division of household activities decreased as the proportion of the wife’s housework hours or working hours increased. In addition, when housework is not shared equally by the husband and wife, the perception of fairness decreases. In addition, women, the longer they were married, and the higher th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the lower their perception of the fairness of the division. Third, as perceptions of the fairness of division increased, satisfaction with spouses in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o extend the period of use of the system for shortening working hours during child-rearing and to develop a couple’s education program that deals with fairnes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 KCI등재

        제도별 복지인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기초연금, 청년배당, 무상급식, 보육료지원을 중심으로

        노혜진,이현옥,김윤민 한국사회보장학회 2018 사회보장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가장 논쟁적인 대표적 사회복지정책인 기초연금, 청년배당, 무상급식, 보육료지원제도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복지인식과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복지확대에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보수적인 경향을 보였다. 고학력에 비해 저학력인 경우, 그리고 제도의 수급 경험이 있는 경우 복지확대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제도를 중심으로 복지인식을 설명하는데 있어 복지지위론의 설명력이 높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국가의 책임인식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파악되었던 복지인식이 특정 제도별로 세분화될 때 복지인식의 정도와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복지인식의 격차를 드러내는 원인과 현상을 제도별로 심층적으로 규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elfare perceptions and influential factors on basic pension, youth dividend, free school meal, and free childcare policy which are the most controversial representative social welfare policies in Korean society. For the analysis, we used data on public awareness about social welfare syste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Women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of welfare expansion than men and showed a tendency to be more conservative as the age increased. They wanted to expand welfare policies when they had lower education levels than those with higher education, and when they had experience in receiving the system. In this study, we can confirm that welfare status theory has a high explanatory power in explaining welfare perception centered on specific system.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welfare perception and influential factors when welfare perception, which was previously integrated, was subdivided into specific sys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o deeply investigate the cause and phenomenon that reveal the gap of welfare perception by system.

      • KCI등재

        저소득청소년 진로·발달지원사업 참여자의 변화과정: 행위주체성의 증가

        노혜진,남기철,박미희,이봉주,이성학,이신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연구 Vol.31 No.3

        This study interviewed 11 adolescents in order to examine the outcomes of the three-year Vision Plan project, which was designed to support the careers and development of low-income adolescents.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was used as our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interviews, we analyzed the specific experiences, changes undergone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Vision Plan project and elucidated the meaning which the project held for these participant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core experiences and achievements of youth through the Vision Plan are an increase in “agency”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determining one’s career. For young people, the Vision Plan project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an increasing sense of agency in designing careers by expanding the range of resources available for them to choose from, based on a variety of experienc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number of support systems, including psycho-emotional support, increased employment security for social workers, and long-term support in the low-income youth career support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청소년의 진로와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3년간 진행된 희망플랜 사업에 참여했던 청소년들이 어떠한 과정을 경험하였고, 그것을 통해 구체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경험했으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이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실제 사업에 참여하였던 11명의 청소년을 인터뷰하였고,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업에 참여하는 동안의 구체적인 경험과 변화과정, 의미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들은 가족의 경제적 어려움과 입시위주의 공교육체계, 강한 사회저거 표준이 존재하는 한국사회에서 다양한 압박감을 경험하며 희망플랜에 참여하게 되었다. 참여하는 과정에서 자유로움 속에서 느슨해지기도 했고, 희망플랜 자체가 또 다른 압박을 주는 요소가 되기도 하는 어려움과 한계를 경험하였다. 그러나 꿈에 집중하며 스스로를 조이기도 하고 희망플랜의 전방위적 지원을 받으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청소년들이 희망플랜을 통해 경험한 변화와 성과는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 자원의 범위와 ‘행위주체성(agency)’, 즉 상황에 대한 통제력이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청소년들에게 희망플랜은 다양한 경험을 기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자원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진로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행위주체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저소득청소년 진로지원 프로그램 운영과정에서 심리정서적 지원의 병행, 담당인력의 고용안정성 보장, 장기적 관점의 진로지원사업 운영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성찰, 성취동기 및 사회적지지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노혜진,김윤지,김효민,오평은,이한들,이효정,정인서,김소희 경북대학교 간호혁신연구소 2024 경북간호과학지 Vol.28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elf-reflec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160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6.0 program. Results: Achievement motivation, self-reflection, and satisfaction on major significantly predicted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accounting for 57% of the variance. Conclusion: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should focus on enhancing achievement motivation, self-reflection, and satisfaction on major.

      • KCI등재

        퇴근 후 다시 일하는 근로자는 누구인가?

        노혜진 한국사회보장학회 2023 사회보장연구 Vol.39 No.1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work and home, and it has become a daily routine to perform work even during non-working hours. In this regard, this study utilized three data use survey(1999, 2009, 2019)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and trends of wage workers who returned to work after wor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percentage of workers who go back to work after work is on the decline, the percentage of males, those in their 40s and 50s, those with a high degree of education, and professional management and sales service workers is relatively large and showing an increasing trend. Second, the average time to return to work after work was 89 minutes per day, and it was relatively long for those with graduate school or higher and management professions. In recent years, the reworking hours of sales and service workers have been getting longer. Third,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turning to work after work are those in their 30s or older, with a high degree of education, professional management and sales service jobs, and jobs with guaranteed regular holidays. Lastly, reworking after work has been a factor that has consistently increased workers' lack of time over the past 20 yea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s efforts to regulate working hours that go beyond the discourse of working hours reduction, recognize working hours for after-work work, and improve awareness of workers' basic rights.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일과 가정 영역간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비근로 시간에도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일상이 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생활시간조사 3개 자료(1999년, 2009년, 2019년)를 활용하여 퇴근 이후 다시 일하는 임금근로자의 실태와 추이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근후 다시 일하는 근로자의 비율은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남성, 4-50대, 고학력자, 관리전문직과 판매서비스직 종사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고 증가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퇴근 이후 다시 일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89분이었고, 대학원 이상과 관리전문직에서 상대적으로 길었으며, 최근으로 오면서 판매서비스직 종사자의 재노동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셋째, 퇴근후 재노동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은 30대 이상, 고학력, 관리전문직과 판매서비스직, 정기휴일이 보장된 일자리에 종사할 경우 재노동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퇴근후 재노동은 지난 20년간 지속적으로 근로자에게 시간부족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근로시간 단축 담론을 넘어서는 근로시간 규제 노력, 퇴근후 노동에 대한 근로시간 인정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생애사를 통해 본 경제위기 20년

        노혜진,이현옥,김성욱 한국사회보장학회 2019 사회보장연구 Vol.35 No.4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icro impact and the long-term process of the IMF financial crisis over 20 years ago on individuals and households based on the life History.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ven who perceived the IMF as having an effect on changing their path of life, such as bankruptcy, unemployment, family breakup, and career changes. Lif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1-2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Mandelbaum’s life history analysis framework. As a result, the common points of the participants in the area of ​​life were ‘family, relationship, labor and social security system’, and the change in life was centered on three areas of IMF financial crisis, individual and social change. The financial crisis in individuals and families required their rapid adaptation, but in the process they were exposed to disease, anxiety and marginalization experiences. Even in the contemporary financial crisis, different experiences have occurred depending on generation, class, gender, and labor market status, and these differences have been structured cumulatively over the long term. The individual’s micro experiences were different, but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the financial crisis 20 years ago was the beginning of an unstable life with a mixture of failures, attempts, and adjustments, and lasted for gener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과정 접근에 기반해 20여년 전 IMF 경제위기가 개인과 가구의 삶에 끼친 영향과 장기적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경제위기의 현재적 의미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파산이나 실직, 가족해체, 진로 변경 등과 같이 IMF가 삶의 경로를 바꾸는데 영향이 있다고 인식한 7명으로, 1-2회 심층인터뷰를 통해 생애자료를 수집하였고 만델바움의 생애사 분석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영역에서 참여자들의 공통된 지점은 ‘가족, 관계, 노동, 사회보장제도’였고, 전환점은 ‘청천 벽력같은 IMF, 원하는 대로 살 수 없음을 받아들임, 막대한 투자 없이는 이길 수 없는 각자도생 사회가 됨’ 등 3개가 도출되었다. 개인과 가족에게 나타난 경제위기 상황은 이들의 빠른 적응을 요구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이들은 질병, 불안정, 주변화 경험에 노출되었다. 동시대의 경제위기라도 세대, 계층, 성별, 노동시장의 지위에 따라 다르게 경험되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장기간에 걸쳐 누적적으로 생애과정에서 구조화되었다. 개인의 미시적 경험은 달랐으나 개인과 가족에게 20년전 위기는 실패와 시도, 적응이 혼재된 불안정한 삶의 시작이었고, 세대를 넘어 지속되고 있었다.

      • KCI등재

        여성 행위주체성(agency)에 관한 생애단계별 고찰 - 빈곤개념의 확장

        노혜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여성연구 Vol.82 No.-

        This study raises a question about existing concept and measurement of poverty focusing income because it cannot include aspects of female poverty seriously. So this study defines and measures poverty focusing agency that means the level of access and control to resource as the process of poverty. The results show the degree of women’s agency is 0.45 and by life course, women initially experience agency poverty when they have preschool children. Throughout object, the characters of spouseless,small family members are related to high agency. And when the level of economic dependency to husband is high and working hour of husband is very short or long, agency of women decreases. This study considers mechanism of female poverty quantitatively as focusing agency that is the process of income poverty. Therefore,the study suggests that the effective antipoverty policy should be intervened from the period with preschooler because women’s agency start to decrease at that time. 본 연구는 자원의 획득에 기초하여 소득을 중심으로 정의하던 기존의빈곤 개념과 측정이 여성빈곤의 양상을 심층적으로 담아내지 못하는 부분에대해 문제제기하였다. 그로 인하여 빈곤을 야기하는 과정적 속성으로서자원에의 접근과 통제를 의미하는 행위주체성을 중심으로 빈곤을 개념화하고 수량적 측정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들이 경험하는 행위주체성의 정도는 0.46점으로서 평균에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고, 생애단계를 중심으로 볼 때, 1차적으로 미취학자녀를 둔 시기에 행위주체성 빈곤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와가족 특성 등 가족의 규정성을 중심으로 행위주체성의 영향요인을 분석한결과, 부모와 동거를 하는 경우, 그리고 미취학자녀를 둔 시기를 기준으로노년기에 행위주체성이 감소하고 자녀가 없거나 아동기, 청소년기 자녀를둔 시기, 그리고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 증가하였다. 더불어 가구원 수가많고 남편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남편이 시간제근로나초과근로를 할 경우 여성의 행위주체성이 감소하였다. 소득빈곤을 야기하는 과정적 측면인 행위주체성에 주목함으로써 본 연구는 여성빈곤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수량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본 연구는 여성에 대한 효과적인 탈빈곤정책은 돌봄으로 인하여 여성의행위주체성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미취학 자녀를 둔 시기부터 시작되어야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