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응표면 분석법에 의한 흑마늘 추출물이 첨가된 간장의 제조 조건 설정

        심혜진,강민정,김경민,이창권,김정환,신정혜,Shim, Hye-Jin,Kang, Min-Jung,Kim, Gyeong-Min,Lee, Chang-Kwon,Kim, Jeong-Hwan,Shin, Jung-Hy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2 No.3

        Purpose: The central composition design was used to optimize the mixture conditions of black garlic extract. Methods: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carried out from concentr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X_1$) and the amount of the black garlic extract ($X_2$)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alts ($Y_1$), reducing sugars ($Y_2$),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Y_3$)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Y_4$) as dependent variables. We confirmed the conditions that salinity was minimized and reducing sugar,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d maximum values through the response surface analysis. Results: All results had saddle points in originally set up conditions hence, ridg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narrowing the experimental area. The minimum salt concentration was 16.03% at black garlic extract concentration of $14.84^{\circ}brix$ and contents of 9.26%. Reducing sugar content had maximum of value 7.30 g/mL at $24.58^{\circ}brix$ and contents of 8.08%.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d maximum values at black garlic extract concentration of 20.33 and $25.02^{\circ}brix$.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 of black garlic extract contributed to increased reducing sugar, phenolic compounds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oy sauce, but the salt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RSM, the optimum ranges of addition conditions for lowering the salt concentration and, increasing the sensory and functional ability of soy sauce were as follows: black garlic extract concentration of $15-25^{\circ}brix$ and content of 7.8-9.3%.

      • KCI등재

        외식업체 브랜드 자산과 확장 브랜드 HMR 제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

        심혜진(Shim, Hyae-Jin),서선희(Seo, Sun-Hee) 한국외식경영학회 2016 외식경영연구 Vol.19 No.6

        최근 여성의 사회 활동 및 1인 가구 증가 등의 인구 사회적 변화로 인해 국내외 에서 HMR 제품의 소비 및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HMR 소비 증가에 따라 외식 업체는 기존의 외식 사업 운영 뿐 만 아니라 HMR 제품 개발 및 출시를 통해 사업의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 외식 브랜드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확장을 통해 출시된 HMR 제품의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레스토랑 브랜드의 자산이 확장 브랜드 HMR 태도 및 행동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2016년 4월 레스토랑 브랜드에서 출시한 HMR 구매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총 380개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레스토랑 브랜드 자산 개념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레스토랑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연상 이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충성도 4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모든 연구개념의 신뢰성 분석결과 신뢰도는 확보되었다.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레스토랑 브랜드 자산(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연상 이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충성도) 중지각된 품질만이 확장 브랜드 HMR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장 브랜드 HMR 태도는 행동의도인 구매의도, 추천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레스토랑 브랜드 자산 중 지각된 품질이 확장브랜드 HMR 태도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레스토랑 브랜드 자산과 확장 브랜드 HMR 태도 관계에 대해 연구 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외식 산업이 더 이상 레스토랑에서 식사하는 것 뿐만 아니라 HMR로 확장되고 있는 시점에, 외식 업체에서 HMR 제품 개발에 있어 실무적인 마케팅 전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HMR(Home Meal Replacement) consumption, restaurants tend to promote the diversification of busi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HM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restaurant brand equity, attitudes toward extended branded HMR, and behavior inten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consumers who had experiences of purchasing HMR launched by restaurant brands in April, 2016.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Brand equity were derived four dimensions of brand awareness, brand association image, perceived quality, brand loyalty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und that only perceived quality in brand equity had positive influences on attitudes toward extended branded HMR. Attitudes toward extended branded HMR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urchas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implication regarding extended brand product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도함수의 과정-대상관점 형성

        심혜진(Hye Jin Shim),신인선(In Sun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고등학교 미적분I의 도함수 지도에서 공학적 도구를 활용했을 때 학생들이 도함수의 과정관점과 대상관점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측면의 개념을 포함하는 도함수 이해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하고 있다. 현행 미적분I 교과서에서 도함수가 과정-대상 관점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한 결과와 사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한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4차시의 교수실험을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명에게 수행하였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 관찰, 교수실험 활동지, 인터뷰 자료들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도함수의 과정관점을 형성하여 도함수를 정의할 수 있게 되었고 다양한 도함수의 그래프를 그려보면서 도함수에 대한 대상 관점을 형성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다양한 표상의 전환이 가능한 공학적 도구의 활용이 학교 현장에서 도함수 지도를 위한 접근법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teaching implications for high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derivative in various views by analyzing how they form the process-object perspective of derivative using technological instruments.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we analyzed how the derivative is handled on the process-object perspective in the current highschool calculus I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we designed and conducted a teaching experiment using technology consisted of four classes to four 2nd graders. We found that students could define the derivative by forming a process perspective of derivative and formed an object perspective of derivative while drawing the graph of various derivatives. W e expect that technological instruments which provides concrete experience and allows conversion of various representations are offered in the classroom.

      • KCI등재
      • KCI등재

        꽁치(Cololabis saira) 과메기의 지질산화 및 biogenic amine 생성에 건조조건이 미치는 영향

        심길보 ( Kil Bo Shim ),임치원 ( Chi Won Lim ),이소정 ( So Jeong Lee ),정혜연 ( Hye Youn Jung ),심혜진 ( Hye Jin Shim ),윤호동 ( Ho Dong Yoon ) 한국수산과학회(구 한국수산학회) 201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4 No.5

        This study reviewed the effect of the drying conditions on the production of biogenic amines and lipid oxidation in semi-dried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or Guamegi.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uamegi ranged from 32.71±2.37 to 45.9±2.60 g/100 g. The respective ranges of the acid value (AV) and peroxide value (POV) were 1.39±0.40 to 15.79±0.47 mg KOH/g and 76.14±2.19 to 282.84±2.34 meq/kg on drying for 3 days. The AV and POV increased for up to 3 days of drying and the values diffe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sunlight and temperature. However, lipid oxidation was reduced in Guamegi manufactured using a cold-air drying method.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biogenic amine content in Guamegi during dryin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the drying method or drying date. The main saturated, monoene and polyene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 eicosenoic & erucic acids, and eicosapentaenoic & docosahexaenoic acids, respectively. At 16.67 to 71.89 mg/kg, the histamine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biogenic amines and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dry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ckaging and drying conditions of Guamegi products need to be improved to inhibit lipid oxidation and biogenic amine formation.

      • KCI등재

        문장 독립 화자 인증을 위한 세그멘트 단위 혼합 계층 심층신경망

        허정우,심혜진,김주호,유하진,Heo, Jungwoo,Shim, Hye-jin,Kim, Ju-ho,Yu, Ha-Jin 한국음향학회 2021 韓國音響學會誌 Vol.40 No.2

        Text-In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needs to extract text-independent speaker embedding to improve generalization performance. However, deep neural networks that depend on training data have the potential to overfit text information instead of learning the speaker information when repeatedly learning from the identical time series. In this paper, to prevent the overfitting, we propose a segment unit shuffling layer that divides and rearranges the input layer or a hidden layer along the time axis, thus mixes the time series information. Since the segment unit shuffling layer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input layer but also to the hidden layers, it can be used as generalization technique in the hidden layer, which is known to be effective compared to the generalization technique in the input layer, and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with data augmenta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distortio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unit size of the segment. We observe that the performance of text-independent speaker verification is improved compared to the baseline when the proposed segment unit shuffling layer is applied.

      • KCI등재

        교사 학생 심층신경망을 활용한 다채널 원거리 화자 인증

        정지원,허희수,심혜진,유하진,Jung, Jee-weon,Heo, Hee-Soo,Shim, Hye-jin,Yu, Ha-Jin 한국음향학회 2018 韓國音響學會誌 Vol.37 No.6

        원거리 발성은 화자 인증 시스템의 성능을 하락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학생 학습을 이용하여 원거리 발성에 의한 화자 인증 시스템의 성능 하락을 보상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교사 학생 학습은 미리 학습된 교사 심층신경망의 출력과 학생 신경망의 출력이 같아지도록 학생 신경망을 학습하는 기법이다. 여기서 교사 신경망에는 근거리 발성을, 학생 신경망에는 원거리 발성을 입력한 뒤, 두 신경망의 출력을 동일하게 만드는 과정을 통해 원거리 발성을 보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하지만 원거리 발성을 보상하는 과정에서, 근거리 발성에 대한 인식률이 저하되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발견하였다. 위와 같은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교사 심층신경망을 학생 심층신경망의 초깃값으로 사용하는 기법과 학생 심층신경망을 근거리 발성에 대해서도 학습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모든 실험은 원 음성을 입력 받는 심층신경망을 활용해 수행하였다. 동일한 발성을 각각 4 채널로 근거리와 원거리에서 자체적으로 수집한 문장 종속 데이터셋을 활용하였다. 동일 오류율을 기준으로 근거리 / 원거리 발성에 대한 화자 인증 성능을 평가한 결과 교사 학생 학습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2.55 % / 2.8 %, 기존의 교사 학생 학습을 사용할 경우 9.75 % / 1.8 %, 제안한 기법들을 적용한 경우 2.5 % / 2.7 %의 오류율을 확인하였다. Far field input utterance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performance degradation of speaker verification systems. In this study, we used teacher student learning framework to compensate for the performance degradation caused by far field utterances. Teacher student learning refers to training the student deep neural network in possible performance degradation condition using the teacher deep neural network trained without such condition. In this study, we use the teacher network trained with near distance utterances to train the student network with far distance utterances. However, through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 of near distance utterances were deteriorated. To avoid such phenomenon, we proposed techniques that use trained teacher network as initialization of student network and training the student network using both near and far field utterances.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deep neural networks that input raw waveforms of 4-channel utterances recorded in both near and far distance. Results show the equal error rate of near and far-field utterances respectively, 2.55 % / 2.8 % without teacher student learning, 9.75 % / 1.8 % for conventional teacher student learning, and 2.5 % / 2.7 % with proposed techniques.

      • KCI등재

        DINA 모형 하에서 MLE, MAP, EAP 능력 추정 방법의 분류 정확도 및 합치도 연구

        강태훈(Taehoon Kang),심혜진(Hye-Jin Shim)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DINA 모형 하에서 피험자 능력 모수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인 MLE, MAP, EAP 각각의 분류 정확도 및 상호 간의 합치도를 모의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문항의 질, 검사 길이, 능력 정도, 인지요소 간 상관 정도, 그리고 검사 성격 등의 다양한 모의실험 요인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 개별 인지요소를 추정할 때의 정확성은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도 모든 조건에서 약 7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인지요소를 모두 함께 정확 하게 추정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문항의 질이 좋지 않고 문항 수가적을 때에는 50% 초반까지 분류 정확도가 하락하였다. 능력추정 방법 간 결과를 비교해 보면, 개별인지요소를 추정할 때에는 EA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체 인지요소 모두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면 MLE/MAP를 선택하는 것이 나았다. 다음, 검사별 Q-matrix 구성에 따라서 능력 추정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검사 문항 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인지요소를 고려할 경우 분류 정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문항 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문항의 질이 좋을수록 분류 정확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특정 인지요소만을 측정하는 문항이 5문항 이상인 경우 문항의 질이 다소 하락하여도 높은 분류 정확도를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요소 간의 상관 정도는 능력 추정의 정확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imulation study, the classification and agreement of MLE, MAP, and EAP which are methods to estimate examinees’ ability parameters under the DINA model. For the purpose of ensuring differentiation from the previous studies, various simulation factors were considered such as quality of test items, test lengths, ability distributions, correlations among cognitive attributes, and natures of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of estimating each individual cognitive attribute was higher than about 75% in all conditions using any of three methods. It was relatively difficult, however, to accurately estimate all the cognitive attributes together. Especially, when the number of test items is small, the classification accuracy has decreased to the early 50%. It was better to use EAP when estimating individual cognitive attribute. If it was more important to accurately estimate mastery pattern, however, it is better to choose MLE/MAP. Next, the Q-matrix configuration appeared to affect the accuracy of ability estimation. As the number of cognitive attributes came to be relatively larger compared to the number of related test items, the classification accuracy tended to be lower. The higher the number of items and the better the quality of items, the higher the classification accuracy. Interestingly, if the number of items that measure a specific cognitive attribute were more than 5, the ability estimation accuracy could be kept relatively high even though the quality of items dropped somewhat. Also, the amounts of correlations among cognitive attributes appeared not to be related to the accuracy of ability estimation.

      • KCI등재

        가변 길이 입력 발성에서의 화자 인증 성능 향상을 위한 통합된 수용 영역 다양화 기법

        신현서,김주호,허정우,심혜진,유하진,Shin, Hyun-seo,Kim, Ju-ho,Heo, Jungwoo,Shim, Hye-jin,Yu, Ha-Jin 한국음향학회 2022 韓國音響學會誌 Vol.41 No.3

        화자 인증 시스템에서 입력 발성 길이의 변화는 성능을 하락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요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몇몇 연구에서는 시스템 내부의 특징 가공 과정을 여러가지 서로 다른 경로에서 수행하거나 서로 다른 수용 영역(Receptive Field)을 가진 합성곱 계층을 활용하여 다양한 화자 특징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연구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가변 길이 입력 발성을 처리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수용 영역에서 화자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선택적으로 통합하는 통합된 수용 영역 다양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통합 기법은 입력된 특징을 여러가지 서로 다른 경로에서 다른 수용 영역을 가진 합성곱 계층으로 가공하며, 가공된 특징을 입력 발성의 길이에 따라 동적으로 통합하여 화자 특징을 추출한다. 본 연구의 심층신경망은 VoxCeleb2 데이터세트로 학습되었으며, 가변 길이 입력 발성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VoxCeleb1 평가 데이터 세트를 1 s, 2 s, 5 s 길이로 자른 발성과 전체 길이 발성에 대해 각각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통합된 수용 영역 다양화 기법이 베이스라인 대비 동일 오류율을 평균적으로 19.7 % 감소시켜, 제안한 기법이 가변 길이 입력 발성에 의한 성능 저하를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예비 보육교사의 정서에 대한 인식 변화

        오새니 ( Oh Sae Nee ),심혜진 ( Shim Hye J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보육실습이 진행되는 일련의 과정 동안 예비 보육교사들의 정서 대한 인식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A시에 소재한 대학의 아동보육학과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메타포 설문을 통한 시각적 그림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비 보육교사들은 보육실습 전에는 변화하는 자신의 정서 상태나 원인을 살피지 않고 지나치는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보육실습을 경험하며 자신과 영유아의 정서를 명확하게 살피고, 영유아에게 끼칠 영향을 고려하여 정서를 조절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인식이 변화하였다. 또한 보육실습 전에는 자신의 정서 이해 및 표현, 안정적인 정서 상태 유지 등의 개인으로서의 정서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영유아 발달 및 보육의 질에 영향을 끼칠 것을 고려하는 보육교사로서의 정서를 인식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 양성과정에서 예비 보육교사를 위한 정서 관련 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이 개인의 안녕뿐 아니라 양질의 보육을 제공하는 보육교사 양성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changing the emotional percep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a series of childcare practices. For this purpose of study, visual drawing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a Metaphor survey to six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Child Care at a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before childcare practice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hildcare practice as excessive emotions without examining the changes in their emotional state or cause, but the perception changed as clearly examine their and infants’ emotions and express, adjust, and manage them depending on the childcare situation, after the practices. Also, in the “individual emotions” such as maintaining a stable emotional state, understanding and controlling emotions, the range of emotional perceptions as “childcare teachers’ emotions” that affect the quality of infant development and childcare has expanded. This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emotion-related education and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process of fostering childcare teachers can be an effective way to foste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at can provide quality childcare as well as individu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