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gnosis of Unrepaired Ascending Aorta after the Surgical Replacement of Bicuspid Aortic Valves

        신홍주,김완기,김동규,김호진,김준범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 202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56 No.4

        Background: The surgical threshold for bicuspid aortic valve (BAV)-related aortopathy is a matter of debate due to its uncertain etiology and prognos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gnosis of unrepaired BAV aortopathy in patients undergoing surgical aortic valve replacement (SAVR).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from 720 patients (age, 60.8±11.5 years; 246 women) who underwent SAVR for BAV disease without aortic repair between 2005 and 2020 at Asan Medical Center. The clinical endpoints were defined as occurrences of sudden death, aortic dissection or rupture, and elective aortic repair. To estimate postoperative changes in the dimensions of the unrepaired aorta, the individual annual aortic expansion rate was calculated.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valuate the risk of aortic expansion. Results: The mean ascending aortic diameter was 39.5±4.6 mm, and 299 patients (41.5%) had a baseline ascending aorta diameter >40 mm. During 70.0±68.3 months of follow-up, the mean annual aortic expansion rate was 0.39±1.96 mm/yr, no aortic dissection or rupture was observed, and sudden deaths were reported in 12 patients (0.34% per person-year).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baseline ascending aortic diameter and postoperative aortic expansion (R2=0.004, β=-0.84, p=0.082). Conclusion: In selected patients undergoing SAVR for a BAV (<55 mm), the risk of adverse aortic events was very low. As this observation contradicts current practice guidelines advocating for proactive aortic replacement in dilated ascending aortas measuring >45 mm, the study results need further validation by studies involving larger populations 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저작권의 관점에서 본 생성형 인공지능의 저작자성과 창의성에 대한 고찰

        신홍주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70

        이 연구는 인공지능 관련 저작권에 대한 법적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생성형 인공지능의 예술적 활용에 나타난 저작자성(authorship)과 창의성(creativity)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인간과 도구의 관계를 제시한‘창작-생성 스펙트럼(Creation-Generation Spectrum)’을 통해 인공지능 창작물의 범위와 저작권 성립에 대한 논의에서 창작과 생성에 대한 연속적 관점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현행 저작권법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은 ‘인간 창작자’가 아니므로 저작자성을 인정받지 못하지만, 창작물에서 인공지능을 공저자로 공표하는 사례는 윤리적 차원에서 저작인격권을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생성형 인공지능의 산출물이 인간의 산출물과 구분되지 않는다면 튜링테스트를 통과한 것에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저작권의 보호대상이 최종 결과물의 창작성인 이상저작권 성립에 인간 창작자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는지 재검토가 필요하다. 미국 저작권법에서 독창성(originality)이 작품에 대한 저작자의 기여인 반면창의성은 작품 그 자체의 성격이라는 점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창작물의 창의성을 저작자성과 분리시켜 논의할 가능성이 열린다. 또한 독창성과 창의성은 저작권의 성립에 있어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창작-생성 스펙트럼에서 인공지능의 자율성이 강해지며 인간의 독자적 개입이 줄어들수록 결과물에 나타난창의성의 기준을 더 엄격히 판단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처럼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은 인간의 저작물을 전제로 한 저작권법 체계와 인공지능의 예술적 자율성 및 창의성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제기하며, 저작권법의 입법 목적인 문화 및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한 문화기술적 리트머스 시험지로 기능하고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critically review legal discussions on copyright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authorship and creativity in the artistic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irst, by utilizing the ‘Creation-Generation Spectrum’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ools, this study establishes the importance of adopting a continuous perspective on creation and generation in discussions surrounding the scope and copyright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ons. Under the current copyright law,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s not a ‘human creator’ and therefore its authorship is not recognized. However, case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nnounced as a co-author in a creative work can be seen as recognition of moral rights from an ethical perspective. Moreover, if the output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s indistinguishable from human creations, akin to passing the Turing Test, it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human creators should remain a prerequisite for copyright establishment. Given that copyright protection primarily centers on the creativity manifested in the final product, such considerations become imperative. Under U.S. copyright law, creativity pertains to the inherent qualities of the work, while originality is attributed to the author’s contribution to the work.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discuss the creativity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ons separately from authorship. In addition, since originality and creativity are inverse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in the establishment of copyright, as the autonomy of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es stronger in the Creation-Generation spectrum and independent human intervention decreases, this suggests the need to more strictly judge the standards of creativity shown in the results. Consequently, the emergenc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prompts fundamental inquiries into the copyright framework rooted in human creations, alongside considerations regarding the artistic autonomy and creativ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phenomenon functions as both a cultural and technological litmus test, aligning with the legislative intent of Korean copyright law aimed at fostering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KCI등재

        식도암에 있어서 식도 절제술 및 재건술 후 문합 위치와 방법에 따른 문합 부위 누출과 협착

        신홍주,김종욱,박순익,김용희,김동관,박승일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3

        배경: 식도암 수술에 있어서 문합 부위 합병증의 발생은 문합 방법이나 위치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식도암으로 식도절제 및 식도재건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문합 방법 및 위치와 누출 또는 협착 발생과의 연관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8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식도암으로 식도재건술을 시행 받은 3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문합 방법, 문합 위치, 합병증의 발생에 대해 조사하였다.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64.5 4.9세(37∼94세)였고, 성비는 남자 300명(93.5%), 여자 21명(6.5%)이었다. 결과: 문합부위의 누출은 7예(2.2%)에서 발생하였다. 부위별로는 경부 문합에서 3예(4.1%), 흉부 문합에서 4예(1.6%)로 문합 위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문합 방법은 stapler 봉합을 한 경우에서 4예(1.6%), semi-stapler 봉합을 한 경우에서 3예(9.1%), 수봉합한 경우는 0예(0.0%)로 문합 방법에 따른 누출의 차이가 없었다. 문합 부위의 협착은 52예(16.2%)에서 발생하였고, 부위별로는 경부 문합에서 2예(2.7%), 흉부 문합에서 50예(20.2%)로 문합 위치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0.001). 문합 방법별로는 stapler 봉합이 49예(20.0%), semi-stapler 봉합 1예(3.0%), 수봉합 2예(4.7%)로 stapler 봉합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결론: 식도암 환자의 식도재건술에 있어서 문합 방법은 문합 부위 누출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문합 부위의 협착과 관련하여 stapler 봉합은 semi-stapler 봉합 및 수봉합보다 높은 빈도로 협착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stapler 문합 시 협착을 줄이기 위해서는 문합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하대정맥, 우심실에 연장된 정맥내 평활근종증의 성공적 절제

        신홍주,송광재,함시영,송명근,김영탁,서준범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6

        Abdominal tumors that can grow through vascular lumen and spread to the right heart are rare. Intravenous leiomyomatosis is a rare tumor that originates from the uterus and spreads through the vessels. Although histologically benign, tumor extension with mechanical obstruction of the inferior vena cava, right cardiac cavities, or even the pulmonary artery, may occasionally result in fatal outcome. The best treatment is complete surgical resection of the entire tumor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and total circulation arrest. We report a case of intravenous leiomyomatosis of the uterus that showed intravascular growth up to the right atrium. The patient underwent successful resection of the tumor by one-stage cardiotomy with laparotomy. 복강내 종양이 혈관을 통해 전이될 수는 있으나 우심장까지 침범되는 경우는 드물다. 자궁에서 기원하는 정맥내 평활근종증은 매우 드물며 조직학적으로는 양성이지만 임상적으로는 하대 정맥, 우심장 또는 폐동맥의 폐쇄를 동반함으로써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질환이다. 치료 방법은 심폐 순환기를 통한 완전 순환정지하에 종괴를 완전절제하는 것이다. 자궁에서 기원한 정맥내 평활근종증을 개복술과 개심술을 이용해 일차 수술로 성공적으로 치유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승모판막 성형술 후 재발의 원인에 대해 술기와 판막 요인에 대한 분석

        신홍주,유동곤,이용직,박순익,주석중,송현,정철현,송명근,이재원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2

        Background: Mitral valve repair (MVP) is the optimal procedure for mitral regurgitation (MR), however, failure and subsequent reoperations are the limitations. The current study assessed the procedure in relation to the primary valve related causes of recurrent MR. Material and Method: MR was treated in 493 patients undergoing MVP from January of 1994 to January of 2002. The causes of MR were degenerative (n=252, 51.5%), rheumatic (n=156, 31.6%), and others (n=85, 16.9%). Surgery comprised 446 ring annuloplasties (90.5%), 227 new chordae formations (46%), 125 quadriangular resections (25.3%), 28 chordae transfers (5.7%), and 8 Alfieri’s stitches (1.6%). The mean follow up was 29.04±22.81 months. Result: There were 5 early (1.01%), and 5 late deaths (1.01%). The reoperation rate was 1.42%. There were 45 (9.1%) recurrent MR (grade III or IV). Of these, 24 were procedure related including incomplete repair (n=14), discordant new chordae length (n=8) and others (n=2). In 21 patients, the cause was valve related including rheumatic disease progression (n=10), recurrent chordae elongation or prolapse (n=5) and others (n=6). Severe MR was higher after incomplete repair (p<0.001), and valve related failure strongly correlated with rheumatic progression (p<0.05). Conclusion: Since completeness of operation is the prime risk factor that determine the repair durability, intra-operative assessment of the initial repair with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is essential. 배경: 승모판막 성형술은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에서 적절한 치료이지만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재발과 그에 따른 재수술이 제한점이다. 본 연구는 승모판막 성형술 후 재발의 원인에 대해 술기와 판막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으로 승모판막 성형술을 받은 4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원인으로는 퇴행성이 252예(51.5%), 류마티스성이 156예(31.6%), 다른 원인이 85예(16.9%)였다. 성형술은 링을 사용한 판막륜성형술이 446예(90.5%), 신건삭 재건술이 227예(46%), 사각 절제술이 125예(25.3%), 건삭 전이술이 28예(5.7%), Alfieri 방법이 8예(1.6%)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29.04 22.81개월이었다. 결과: 5예의 조기 사망(1.01%)과 5예의 만기 사망(1.01%)이 있었다. 재수술율은 1.42%였다.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재발은 45예(9.1%)에서 있었다. 24예에서 술기와 동반된 재발이 발생하였는데, 불완전한 성형술로 인한 재발이 14예, 신건삭 길이의 부적합으로 인한 재발이 8예, 기타 원인으로 인한 재발이 2예 있었다. 21예에서 판막 요인에 의한 재발이 발생하였는데, 류마티스성 질병 진행으로 인한 재발이 10예, 건삭의 연장이나 탈출로 인한 재발이 5예, 기타 원인으로 인한 재발이 6예 있었다. 심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은 불완전한 성형술 후 많이 나타났으며(p<0.001), 판막 요인에 의한 재발은 류마티스성 진행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승모판막 성형술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위험 인자로 수술의 완전성이 가장 중요하므로, 초기 성형술 후 수술장에서 경식도 초음파로 검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 KCI우수등재

        <트루먼 쇼>와 <프리 가이>의 캐릭터 연구 : 인공적 세계에 속한 캐릭터의 위계구조와 존재양상을 중심으로

        신홍주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68

        This article compares and analyzes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ontological status of characters in the artificial worlds in <The Truman Show>(1998) and <Free Guy>. The characters of ‘The Truman Show’, a television reality show of <The Truman Show>, form a vertical unipolar system according to their relationship and importance to Truman, the only one whose role and existence coincide. On the other hand, non-player characters(NPCs) who assist players in the online digital game of <Free Guy> are in a relationship of mutual influence horizontally while performing their roles in the game. In ‘The Truman Show’, the Truman-centered unipolar system collapses in the process of revealing the flatness of minor roles. On the other hand, in 'Free City', NPCs who stayed at the periphery of the game subvert the order of the virtual world by acquiring three-dimensionality. On the other hand, the above two works reveal differences in the ontological status of the characters belonging to the artificial worlds. The digital characters of 'Free City' are composed of arbitrary combinations of immaterial attributes in cyberspace, and the boundary of each character is also flexible accordingly.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s of ‘The Truman Show’ maintain a fixed substantiality as individuals occupying the physical space of reality, even though their identities as actors and natural persons are dualized. Exceptionally, Truman is reborn as a true individual with subjectivity in the process of colliding and conflicting with the attributes and combinations of identities artificially set by the production team. These differences in ontological status are also reflected in the private lives and gazes of the characters. Unlike in ‘The Truman Show’ where privacy is excluded from all characters, including Truman, the characters in ‘Free City’ are not entirely infringed upon by players and enjoy a private life that is not reduced to a role, revealing their uniqueness as autonomous individuals. However, the duality of the physical real world and the digital virtual world is highlighted in that they lead content lives as objects of gaze in the virtual world of digital games.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e narrative principle of how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ontological status that characters construct in the real world and the digital world respectively act as key strategies to maintain the artificial worlds built inside another artificial world of cinema. 이 글은 영화 <트루먼 쇼(The Truman Show)>(1998)과 <프리 가이(Free Guy)>의 인공적 가상세계에 나타난 캐릭터의 위계구조와 존재양상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트루먼 쇼>의 텔레비전 리얼리티 쇼인 ‘트루먼 쇼’의 캐릭터들은 배역과 실존이 유일하게 일치하는 트루먼(Truman)과의 관계 및 중요도에 따라 수직적 일극체계를 이룬다. 반면, <프리 가이>의 온라인 디지털 게임인 ‘프리 시티(Free City)’에서 플레이어를 보조하는 NPC(non-player character) 캐릭터들은 게임 속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수평적으로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다. ‘트루먼 쇼’에서 트루먼 중심의 일극체계는 조역 및 단역의 평면성이 폭로되는 과정에서 무너져 내린다. 반편, ‘프리 시티’에서는 게임의 주변부에 머물던 NPC들이 인공 생명체로 진화해가는 가이(Guy)를 중심으로 입체성을 획득해가며 가상 세계의 질서를 전복시킨다. 한편, 위 두 작품은 인공적 세계에 속한 캐릭터의 존재양상에서도 차이점을 드러낸다. ‘프리 시티’의 디지털 캐릭터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비물질적 속성의 자의적 조합으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개체의 경계 또한 유동적이다. 반면, ‘트루먼 쇼’의 캐릭터들은 배우와 자연인으로서의 정체성이 이원화되었을지언정 물리적 현실 공간을 점유하는 개별자로서 고정적 실체성을 견지한다. 예외적으로, 트루먼은 제작진이 인위적으로 설정한 정체성의 속성 및 속성의 조합과 충돌하고 갈등하는 과정에서 주체성을 지닌 진정한 개별자로 재탄생한다. 이러한 존재양상의 차이는 캐릭터들의 사생활과 시선에도 반영된다. ‘트루먼 쇼’에서 트루먼을 포함하여 모든 캐릭터에게서 사생활이 배제된 것과 달리, ‘프리 시티’의 NPC들은 플레이어에게 침해받지 않고 역할로 환원되지 않는 사생활을 누리며 목적적 존재로서의 자율성과 고유함을 드러낸다. 그러나 이들은 디지털 게임의 가상세계에서 시선의 대상으로 자족적 삶을 살아간다는 점에서 물리적 현실 세계와 디지털 가상 세계의 이원성을 부각시킨다. 이 글은 영화라는 인공적 세계 안에 다른 겹으로 구축된 인공적 세계에서 캐릭터들이 각각 실재 세계와 디지털 세계 내에서 구성하는 위계구조와 존재양상이 인공적 세계를 유지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작용하는 서사적 원리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AESOP 3000을 이용한 흉강경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

        신홍주,김희중,주석중,송현,정철현,송명근,이재원 대한흉부외과학회 2005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8 No.7

        Open heart surgery via right thoracotomy can be accomplished in atrial septal defects, and mitral valve diseases. Recently, thoracoscopic atrial septal defect closure, mitral valve repair, Maze operation, and minimal invasive direct coronary artery bypass (MIDCAB) are accomplished with AESOP 3000. However, there is no report of thoracoscopic aortic valve replacement in Korea. We report a successful thoracospic aortic valve replacement assisted with AESOP 3000 in a 31-year-old female patient. 우측 개흉술을 통한 개심술은 심방중격 결손증, 승모판막 질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최근에 본원에서는 AESOP 3000을 이용하여 흉강경적 심방중격 봉합술, 승모판막 성형술, Maze 수술, 최소침습적 관상동맥 우회술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흉강경을 이용한 대동맥 판막 치환술에 대해서는 현재 국내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본원에서는 31세 여자 환자에게서 AESOP 3000을 이용한 흉강경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한 그래픽 노블의 창작과 저작권 논쟁에 대한 고찰 <새벽의 자리아>를 중심으로

        신홍주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을 통한 그래픽 노블의 창작과 저작권 논쟁을 <새벽의 자리아(Zarya of the Dawn)>를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인공지능이 예술의 영역에서 제기하는 저자성(authorship) 및 창의성의 의미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새벽의 자리아>는 텍스트와 이미지가 어우러지는 그래픽 노블 내지만화의 형식적 특성이 생성형 인공지능과 이루는 길항 관계를 입체적으로 드러낸 사례다. 우선 작품 창작에 활용된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미드저니(Midjourney)’에 대해 검토한 후, 작품의 창작 과정을 프롬프트(prompt) 에 초점을 맞춰 논의했다. 뒤이어, <새벽의 자리아>의 저작권과 관련하여 미국 저작권청과 작가 사이에 오간 공식 서한을 중심으로 저작권의 범위에 대한 논쟁을 작품의 텍스트, 이미지와 텍스트의 선택과 편집, 칸 각각의 이미지라는 세 범주로 나누어 고찰했다. 저작권청은 작품의 텍스트, 그리고 이미지와 텍스트의 선택과 편집에서는 작품의 독창성과 저자성에 기반하여저작권을 승인했다. 특히 저작권청이 만화적 연출의 핵심인 이미지와 텍스트의 선택과 편집을 작가의 창의적 선택의 결과로 인정했다는 사실은 스토리 및 개별적 이미지와 변별되는 만화 고유의 예술 형식을 법적 보호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한편, 미드저니를 통해 생성된 각 칸의 이미지는 생성 과정에서 작가의통제력이 제한되고 생성 결과를 예측할 수 없으므로 창작자의 주체적 자율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저작권이 취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이 입력과 출력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블랙박스 시스템이라는사실에 기인한다. 그러나 인간 예술가의 창작 과정 또한 다분히 예측 가능성과 통제 범위가 제한된다는 반문 역시 가능하다. 이러한 질문은 생성형 인공지능의 종류와 예술의 장르에 관계없이 유효하며, <새벽의 자리아>의저작권 논쟁이 작품성을 떠나 예술계에 남긴 공헌이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creation of a graphic novel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while exploring the intricacies of copyright disputes, with a primary focus on <Zarya of the Dawn>. The research aims to dissect questions of authorship and creativity that emerge in the context of artificial intelligence's involvement in the realm of art. We review the AI tool 'Midjourney,' used in the novel's creation, and discuss the creative process, focusing on prompts. Examining copyright disputes, we center our discussion on correspondence between the US Copyright Office and the author. We analyze copyright coverage for the Work's text,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images and text, as well as the individual images. The Copyright Office granted copyright protection based on the work's originality and authorship, extending it to both the textual content and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images and text. Notably, the Copyright Office recognized the latter as a result of the artist's creative choices, underscoring the unique artistry inherent in graphic novels. In contrast, the copyright for individual images generated through Midjourney was revoked due to the lackness of the creator's autonomy. This limitation stemmed from the artist's restricted control over the creation process and the unpredictability of the outcomes—a characteristic of artificial intelligence, often likened to a 'black box' system. Nevertheless, it is worth considering that questions of predictability and control also apply to the creative processes of human artists, irrespective of the medium. These inquiries remain pertinent across various types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 genres. The copyright controversy surrounding <Zarya of the Dawn> contributes a unique perspective to the art world, transcending its artistic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