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자녀간 유대의 효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송인한,박장호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6

        Adolescence is a pivotal period for establishing posi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s which can impact their adulthood health status for the entire life. Previous research have theorized that the parent-child bonding relationship is one of the core factors which impact on adolescence health behaviors, and self-efficacy impacts on health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ent-child bonding on adolesc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parent-child bonding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402 participants who were 2nd graders in middle schools were selected national-wide by using quota sampling from regional area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s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research model test were used. Additionally,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bonding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order words, parental bonding doesn't increase health promotion behaviors directly, but it increases indirectly through a variable, self-efficacy. The findings implies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adolescents' health behaviors, and health policy and education should be directed at considering parent-child relationship in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청소년기는 성인기 이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건강증진행동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청소년기의 건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소로서 부모-자녀간 유대관계의 중요성이 주장되었으며, 특히 자기효능감이 건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부모-자녀간 유대의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의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지역별로 유의할당추출된 중학교 2학년 청소년 40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분석과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Sobel test를 통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서, 자기효능감이 부모-자녀간 유대와 건강증진행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간 유대관계가 건강증진행동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기 보다는 자기효능감을 통해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건강증진행동 관련 정책이나 보건교육프로그램에서 부모와의 관계 증진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헤도니아와 유데모니아 차원에서 분석한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송인한,이경원,김은실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4

        The happiness of social worker's role in promoting the happiness of the people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ultimate value and meaning of eudaimonic happiness felt by social workers as a value-oriented profession, negative aspects such as work-related burn-out or hedonic happiness such as pleasure has been mainly focused so far. Happiness is a concept that must be met with both hedonia and eudaimonia,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both two dimensions of job satisfact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376 social worker's hedonic and eudaimonic job satisfaction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m by analyzing “Social Worker's Eudaimonia” dataset in which the Korean Version of Global Hedonic & Eudaimonic Job Satisfaction(K-GHEJS) scale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hedonia and eudaimonia were different so that hedoni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education, income and workload while eudaimonia was not. Based on these results, how to improve the hedonic and eudaimonic job satisfaction among social workers was discussed. 사회복지사가 국민 행복을 증진하는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경험하는 스스로의 행복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가치중심적 전문직인 사회복지사가 느끼는 궁극적인 가치와 의미의 유데모니아적 행복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에는 주로 소진과 같은 부정적 측면이나 즐거움 같은 헤도니아적 행복이 주로 다루어져 왔다. 행복은 헤도니아와 유데모니아가 함께 충족되어야 하는 개념으로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두 차원의 직무만족을 모두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판 전반적 헤도니아-유데모니아 직무만족(K-GHEJS) 척도를 사용한 ‘사회복지사의 유데모니아’ 자료를 분석하여 사회복지사 376명의 헤도니아 및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업무량이 작을수록 헤도니아가 높아졌으나, 유데모니아와는 통계적 관련성이 없는 것이 차별점으로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직의 헤도니아와 유데모니아적 직무만족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문가 지지, 근로희망과 경제적 자활의 관계: 자활사업 전문가 교육을 위한 제언

        송인한,박장호,김우식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2 No.-

        Although it has been known that professional support for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makes an important effect on successful economic self-sufficiency, there has been little empirical study on the subjec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 of the effect of professional support on economic self-sufficiency of the program participants, and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hope. For this purpose, data were driven from 454 participants selected from the self-sufficiency centers national-wide, multivariate regression was used to test the model, and Sobel test was used to analys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hope.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work hope fully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upport and successful economic self-sufficiency. That is, professional support does not directly increase successful economic self-sufficiency but it improves economic self-sufficiency by increasing participants’ work hope.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contents of professional support and work hope in the social work education program for job training center specialists. 자활사업 참여자를 위한 전문가 지지는 성공적인 경제적 자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미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전문가 지지의 영향력을 검증하고, 이 관계에서의 근로희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지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자 45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고, Sobel test를 통해 근로희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서, 근로희망이 전문가 지지와 경제적 자활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가 지지가 경제적 자활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기 보다는 근로희망 증진을 통해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자활사업 전문가에 대한 사회복지 교육에 있어, 전문가 지지와 근로희망을 강조한 교육내용의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송인한,김태형,김윤경,안상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29 No.-

        Although emotional self-sufficiency has been discussed importantly, recent research has mainly focused on economic self-sufficiency and the restrictive study of measuring emotional self-sufficiency being conducted. Therefore, by domestically appling the Employment Hope Scale(EHS), this study proposed the probability for measuring psychological self-sufficiency. And this study conducted exploratory study about factors affecting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For this purpose, data were driven from 458 participants selected from the self-sufficiency centers national-wide, multi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model. The study demonstrates that resilience, thinking about self-sufficiency and barrier to self-sufficiency affect on emotional self-sufficiency. That is, psycho-social resourc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increase emotional self-sufficiency.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grams of emotional self-sufficiency and education contents are need which are based on and employment hope to increasing effect of self-sufficiency. 정서적 자활에 대한 개념이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실제 연구에서는 경제적 자활의 차원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했으며, 정서적 자활을 측정하는 개념에 대한 연구도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용희망척도(Employment Hope Scale)를 국내에 적용하여 자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을 평가하는 틀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지역자활센터 458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서, 회복탄력성, 자활생각, 방해요인 등이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활 참여자의 심리 사회적 자원이 증가할수록 정서적 자활 수준이 높아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자활사업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정서적 자활의 중요성과 고용희망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용도와 사회적 위축간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가 가지는 매개효과 분석

        송인한,권세원,김성은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8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ow mobile phone use patterns affect sociality among adolescents because of the current serious condition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South Korea is urgently needed.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social withdrawal depending on the detailed mobile phone use purpose,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e purpose and social withdrawal.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2011 (2nd Wave) dataset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s 1st grade middle schooler data (N=2,021)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showed that, (1) mobile phone dependenc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use purpose. The more use with family members, the lower mobile phone dependency score. The more use with friends or for gaming, the higher mobile phone dependency score. (2) The more use with friends, there found less social withdrawal. (3) The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e purpose and social withdrawal. (4) The more use with family members, the less use with friends, and the less use for gaming or fun, social withdrawal was reduced through lower level of mobile phone dependency. The findings show that mobile phone use differently affects social withdrawal by detailed pattern of mobile phone use. The necessity of differential approaches to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and psychosocial problems considering the specific context was discussed. 우리나라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실태가 심각한 현재의 상황에서 휴대전화 사용 형태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생의 휴대전화 사용 용도를 세부적으로 나누고, 사회적 위축과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휴대전화의 사용용도에 따른 사회적 위축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 자료 중 2011년 2차년도 데이터(N=2,021)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사용 용도가 휴대전화 의존도에 영향을 미쳤다. 가족과 사용 정도가 많을수록 휴대전화 의존도는 낮았으며, 친구와의 사용하거나 게임, 오락으로 사용하는 정도가 많을수록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휴대전화 사용 용도가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은 친구와의 사용 유형만이 유의하여, 친구와의 사용 정도가 많을수록 사회적 위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사용 용도가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가족과의 사용정도가 많을수록, 친구와의 사용 정도가 적을수록, 게임이나 오락 사용정도가 적을수록 휴대전화 의존도를 낮춤으로써 사회적 위축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휴대전화 사용 용도의 세부적인 형태에 따라 청소년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음이 큰 의의이며, 이에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과 정서적 문제에 개입함에 있어서 구체적 맥락을 고려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검증 : 인권현안인식과 장애관련활동경험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송인한,이한나,이웅,정은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0 재활복지 Vol.14 No.3

        Perspectives on persons with disabilities(PwD) have changed from the charity level to human rights level. Based on this change of perspectives on Pw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non-PwD's attitudes toward PwD, and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disability-related activity experience. The nationalwide data consist of a sample of 477 non-disabled persons from targeted groups including public officers, teachers, health care providers, journalists, and people working in facilities for PwD as well as people in the general popu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factors on non-PwD's attitudes toward PwD.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er individuals, and individuals in the above targeted professional groups hav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wD, and that human rights consciousn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PwD.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i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disability-related activity experience on attitudes toward PwD. These findings support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rights-based analysis approach and imply that education on human rights and disability-related activiti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non-PwD's attitude toward PwD.

      • KCI등재

        청년층 실업과 우울의 관계에서의 음주의 조절효과: 성별 차이 분석

        송인한,이경원,정집훈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실업과 문제음주의 상호작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2017년 제12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중 19세에서 34세까지 청년층(N=2,173; 남성=998, 여성=1,175)의 고용형태, AUDIT, CES-D 변수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모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실업의 통계적 차이는 없는 반면, 남성이 더 높은 문제음주를, 여성이 더 높은 우울수준을 보고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남녀 모두 문제음주는 우울을 증가시킨 반면, 실업의 단독효과와 실업과 문제음주의 상호작용이 여성에서만 발견되었다. 결론: 고용상태에 따라 문제음주가 우울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여성에서 발견되었다. 음주행동과 우울의 관계에서 고용상태와 성별 차이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the interaction effect of unemployment and problematic drinking on depression. Methods: The employment status, AUDIT, and CES-D by gender of the youth group aged 19 to 34(N=2,173; m=998, f=1,175) derived from the 12th Wav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2017) were analyzed by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 gender difference in employment status, there found higher problematic drinking in male and higher level of depression in female. Controlling for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single effect of unemployment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unemployment and problematic drinking on depression were found only in female, while problematic drinking increased depression in both genders. Conclus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problem drinking on depression depending on employment status was found only in female. It is suggested that employment status and gender difference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behavior and depress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Analysis of the Natural Variation of Women's Depressive Mood Across the Menstrual Cycle

        송인한 한국여성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6 No.2

        Despite the widely known assumption that women's mood fluctuate across the menstrual cycle, the assumption has been poorly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and the effect of the menstrual cycle on women's depressive symptoms remains controversial and unknown.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paucity of evidence is the lack of scientific research devoted to a systematic examination of this phenomenon in a representative community-based sample of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women's depressive mood is associated with their menstrual cycles in a community-based sample that is systematically and randomly collected. Daily mood and symptom data and urine specimens data were derived from the Women's Wellness Study(WWS). 1,246 participants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between the ages of 13 to 55 who have menstruatio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fter controlling for age, marital status, income, education, employment status, and oral contraceptive use, a linear mixed model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cyclic changes of depressive moods across the menstrual cycl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for women's depressive symptoms across the menstrual cycle, and the symptom level during the premenstrual (late luteal) pha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ostmenstrual phas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pressive mood change across the menstrual cycle even though further studies ne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is mood change. The results imply that information on the menstrual cycle needs to be considered for research and clinical purposes in promoting women's mental health when measuring women's mental health parameters. Assessments of women's mental health without considering menstrual cycle information may result in inappropriate diagnostic dec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