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e 첨가에 따른 저온수성가스전이반응용 Cu/Zn 촉매의 활성 연구

        변창기(Chang Ki Byun),임효빈(Hyo Bin Im),박지혜(Jihye Park),백정훈(Jeonghun Baek),정정민(Jeongmin Jeong),윤왕래(Wang Ria Yoon),이광복(Kwang Bok Yi) 한국청정기술학회 2015 청정기술 Vol.21 No.3

        산화세륨의 첨가가 수성가스전이반응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Cu-ZnO-CeO₂촉매를 공침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일련의 Cu-ZnO-CeO₂ 촉매는 Cu 함량(50 wt%)을을 고정시키고 산화세륨(CeO₂ 기준으로, 0, 5, 10, 20, 30, 40 wt%)의 함량을 조절하면서 제조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GHSV 95,541 h<SUP>-1</SUP>의 기체 유량범위, 200~400 ℃의 온도범위에서 수성가스전이반응 촉매활성이 측정되었다. 또한, BET, SEM, XRD, H₂-TPR, XPS 분석을 통하여 촉매특성이 분석되었다. CeO₂가 첨가된 촉매는 구리 분산도와 결합에너지 같은 촉매특성의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10wt%의 CeO₂가 최적의 첨가량으로 판단되며 이때 촉매는 가장 낮은 온도에서 환원이 일어났으며 반응에서 가장 높은 촉매 활성을 보였다. 또한 CeO₂가 첨가된 촉매는 CeO₂가 첨가되지 않는 촉매와 비교하여 높은 온도영역에서 활성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최적 조성의 CeO₂첨가는 높은 구리 분산도, 낮은 결합에너지, 구리 금속의 응집 방지를 유도하여 높은 촉매활성을 유도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erium oxide addition, Cu-ZnO-CeO₂ catalysts were prepared using co-precipitation method for water gas shift (WGS) reaction. A series of Cu-ZnO-CeO₂ catalyst with fixed Cu Content (50 wt%, calculated as CuO) and a given ceria content (e.g., 0, 5, 10, 20, 30, 40 wt%, calculated as CeO₂) were tested for catalytic activity at a GHSV of 95,541 h<SUP>-1</SUP>, and a temperature range of 200 to 400 ℃. Cu-ZnO-CeO₂ catalysts were characterized by using BET, SEM, XRD, H₂-TPR, and XPS analysis. Varying composition of Cu-ZnO-CeO₂ catlysts led the difference characteristics such as Cu dispersion, and binding energy. The optimum 10 wt% doping of cerium facilitated catalyst reduction at lower temperature and improved the catalyst performance greatly in terms of CO conversion. Cerium oxide added catalyst showed enhanced activities at higher temperature when it compared with the catalyst without cerium oxide. Consequently, ceria addition of optimal composition leads to enhanced catalytic activity which is attributed to enhanced Cu dispersion, lower binding energy, and hindered Cu metal agglomeration.

      • KCI등재

        호박 흰가루병, 역병, 푸자리움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 선발 및 호박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난황유플러스와 pH교정황토유황합제의 효과 검정

        창기,김용기,영웅,박종호,한은정,고병구,김민정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8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2 No.5

        본 연구는 유기농 호박 재배시 문제가 되는 흰가루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난황유 플러스와 pH교정황토유황합제의 처리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50개 호박 품종을 이용하여 흰가루병, 역병, 시들음병에 대한 병저항성 정도를 검정한 결과, 공시한 대부분의 품종은 흰가루병에 대해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덩굴쪼김병에 대하여 저항성을 보이는 품종은 FR계통의 대목품종 8개였다.역병에 대해서는 대부분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3개(SP12, SP45, SP48)의 품종만이 중도 저항성을 보였다. 유기농 호박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0.3% COY(cooking oil and egg yolk mixture)보다 0.3% COY plus (cooking oil and egg yolk mixture plus 0.2% soluble CuSO4)나 1.0% PLS(pH adjusted loess sulfurmixture)를 사용하는 것이 흰가루병의 방제 지속 기간이 길고 효과적이었다. 또한 유기농 호박농가에서 0.3% COY plus나 1.0% PLS를 단독으로 처리할 경우 1주나 2주 간격으로 처리하는 것이 흰가루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이며 0.3% COY plus나 1.0% PLS를 조합으로 처리할 경우 3주 간격으로 처리할 경우 흰가루병 방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0.3% 난황 유플러스(COY plus)나 1.0% pH교정황토유황합제(PLS)를 조합으로 처리할 경우 흰가루병 방제 효과가 우수하여 방제 비용을 절감하여 매우 경제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reatments of cooking oil and egg yolk plus(COY plus) and pH adjusted loess sulfur mixture(PLS) to control effectively powdery mildew in organic squash cultivation. Using 50 varieties including root stock, pumpkin, and squash, the degree of disease resistance to powdery mildew, Phytophthora rot and Fusarium wilt disease was evaluated. Most of the varieties were susceptible to powdery mildew. Eight fusarium resistant varieties showed resistance to Fusarium wilt. Most of them were susceptible to Phytophthora rot, and only three(SP12, SP45, and SP48) varieties showed moderate resistance. The use of 0.3% COY plus or 1.0% PLS was more effective than 0.3% COY in the control of powdery mildew. In addition, 0.3% COY plus or 1.0% PLS treatment at 1-week-interval or 2-weeks-interval was the most effective in the control of powdery mildew. In addition,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0.3% COY plus and 1.0% PLS at 3-weeks-interval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powdery mildew control. Therefore, the use of 0.3% COY plus or 1.0% PLS is considered to be very economical because it reduces the cost of control.

      • 프로펠러 수차 간극과 피치각 변화에 따른 내부 유동 특성 비교

        순석(S.-S. Byeon),창기(C.-K. Hong),김윤제(Y.-J. Kim)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This article aims to nume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e flow from the blade tip platform. In addition, the another independent variable is considerable modification of the exit blade tip angles. Using the free vortex theory, and operating with a gross head from 3.5m, the effect of the exit blade tip angles was investigated. It further presented theoretical methodology to analyze the effects of design parameters like the exit blade tip angles and a tip clearance. This paper describes the blade design of an axial propeller hydraulic turbine, and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yout of the blade profile and the shaft power and efficie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it tip modification and tip clearance modification were decreased a significant drop of turbine efficiency about 3~13%.

      • KCI등재

        유기농 산란계에 Chlorella의 급여가 계란 품질과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창기,김용기,영웅,박종호,한은정,최근형,고병구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6 No.3

        본 연구는 클로렐라 건조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계란의 품질과 난황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유기 산란계 사료의 수분함량은 약 12.8%, 회분함량은 10.8%, 조단백질함량은 18.0%, 조지방 함량은 2.5%이었다. 사료에 첨가한 클로렐라분말의 수분함량은 약 1.54%, 회분함량은 6.53%, 조단백질은 54.56%, 조지방 함량은 2.45%이었다. 계란 난각의 색깔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해졌다. 파각강도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후, 10일까지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강하였다. 계란 난각의 두께도 클로렐라를 급여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두꺼웠다. 클로렐라 급여한 계란 난백의 높이는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계란 난백의 품질 기준이 되는 호유닛은 클로렐라를 급여한지 10일 후, 92.0 HU로 대조구(84.8 HU)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 난황의 황색도도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진한 황색을 나타내었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의 무게는 급여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7.5% 증가하였으며, 단백질함량은 급여 10일과 15일 후, 대조구에 비해 각각 11.9%, 10.7% 증가하였다. 클로렐라 급여에 따른 계란 노른자의 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바, 난황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 trans-linoleic acid, palmitic acid, α-linolenic acid, stearic acid, DHA, EPA, palmitoleic acid, heptadecano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Palmitoleic acid는 클로렐라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포화지방산은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보다 대조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보다 클로렐라를 급여한 계란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클로렐라 생균분말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해서 급여할 경우 계란의 품질 향상과 난황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chlorella dry powder added to the feed of laying hens influences on the egg quality and the composition of egg yolk’s fatty acid. Moisture content, ash content, crude protein content, and crude fat content were 12.8%, 10.8%, 18.0% and 2.5%,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hlorella powder added to the feed was about 1.54%, the ash content was 6.53%,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54.56%, and the crude fat content was 2.45 %. After feeding chlorella, compared to the control, the color of egg shell significantly became darker. The hardness of egg shell was increased for 10 days after chlorella feeding and was significantly strengthened. Thickness of egg shell was significantly thicker. The height of egg whites was increased. After 10 days of providing chlorella, the quality of egg white was 92.0 HU (Haugh Unit),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84.8 HU, the quality of the control. The color of egg yolk significantly revealed more yellow than that of the control. Egg weight was increased by 7.5% after 15 days of feeding chlorella. Protein content was increased by 11.9% and 10.7% after 10 and 15 days of feeding, respectively. The major compositions of fatty acid content of egg yolk fed with chlorella diet were oleic acid, trans-linoleic acid, palmitic acid, α-linolenic acid, stearic acid, DHA, EPA, palmitoleic acid, and heptadecanoic acid, respectively. Palmitoleic acid was decreased in the eggs fed with chlorella diet compared to the control. The Saturated Fatty Acid (SFA) content of the contro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ggs fed with chlorella.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UFA) was higher in egg yolks fed with chlorella than in the control. The ratio of UFA to Saturated Fatty Acid (SFA) was higher in egg yolks fed with chlorella than i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chlorella to the feed of the laying hens brings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egg quality and lowering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 of egg yolk.

      • KCI등재

        Water Gas Shift 반응에서 Pt/CeO2 촉매의 지지체구조에 따른 촉매활성 연구

        임효빈,권순진,변창기,안희성,구기영,윤왕래,이광복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14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25 No.6

        Nanorod and particle shape CeO2 were synthesized via hydrothermal process and precipitation method,respectively, and used as supports of Pt catalyst for water gas shift (WGS) reaction. Three different durations (12,48, and 96h) for hydrothermal process were applied for the preparation of nanorod type CeO2. 1.0 wt% of Ptwas loaded on the prepared supports with incipient wetness method prior to the catalytic activity tests that werecarried out at a GHSV of 95,541 h-1, and a temperature range of 200 to 360 oC. Varying duration of hydrothermalprocess led to the difference in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eO2 nanorods, such as aspect ratio, BET surface area,pore diameter, and pore volume. Consequently, the catalytic activities of Pt/CeO2 nanorods were affected by the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s and appeared to be in the order of Pt/CeO2(12) > Pt/CeO2(48) > Pt/CeO2(96). The comparison of the catalytic activities and results of the analysis (XPS, XRD, SEM, BET and TPR) for thesupports revealed that the activity of the catalysts depends on chemical states of the Pt and the support materialsin the temperature range that is lower than 280 oC. However, the activity is rather dependent on the physicalcharacteristic of the supports because the increased gas velocity limits the mass transfer of reactants in microporesof the supports.

      • 식생관리에 따른 고추 재배지 해충과 천적의 변화

        박종호,김용욱,영웅,한은정,창기,김민정,김용기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고추재배 시 농경지 관리를 통한 해충억제 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재배지 피복관리에 따른 해충과 천적의밀도를 조사하였다. 본 시험은 전북 완주군 내 국립농업과학원 유기재배 포장에서 이루어졌다. 한 시험구는 고추를정식하기 전에 녹비작물 3종(헤어리베치, 알파파, 크림슨)과 초화류 3종(백일홍, 메밀, 수레국화)을 파종하여 고추재배기간 생물피복을 유지하였고, 다른 시험구는 필름(비닐, 부직포)으로 토양을 피복하고 고추를 재배하였다. 시험포장의해충을 조사한 결과, 5월 중순부터 6월 하순까지 필름피복구에서 진딧물의 밀도가 생물피복구에 비해 월등히 높게나타났으며, 총채벌레는 발생이 높았던 6월의 경우 필름피복구가 생물피복구에 비해 밀도가 높았다. 포장내에서3종(거미, 무당벌레, 기생봉)의 천적을 조사하였는데, 종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다. 거미의 경우 생물피복구에서밀도가 높았으나, 무당벌레는 필름피복구에서 밀도가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