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PA 브랜드의 BI 색채 적용 현황과 사용자 선호도 조사

        박한나 ( Park Han Na ),백진경 ( Paik Jin Ky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8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7 No.2

        국내 의류 시장에서 SPA(Speciality Store Retailers of Private Label Apparel) 브랜드에 대한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A 브랜드들의 개별적인 특성과 BI 시스템 안에서 각각의 색채 시스템이 어떠한 방식으로 제안되고 있는지 분석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파워와 판매도 순위,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국내에 매장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SPA 브랜드 중 국내매출순위 1~4위의 브랜드를 8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하여 브랜드의 정보적 요인 중 BI(Brand Identity) 및 내부 사인시스템, 패키지 등의 색채특성과 환경적 요인 중 건물 외관 및 간판, 매장실내 디자인의 색채와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 브랜드의 선호도에 관하여 2,30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BI의 색채 적용 관련 조사 결과, 4개의 브랜드가 적색 계열의 로고를 사용하였으나, 브랜드마다 아이덴티티의 차별화를 적용시켜 톤이 다른 적색 색채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개의 브랜드 경우에서는 흰색과 검은색의 흑백 계열이나 짙은 남청색과 같은 무채색과 1가지의 주조 색을 사용하여 브랜드의 특성을 살리는 BI 디자인을 적용시키고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로 브랜드 이미지 결정 요인 중 브랜드 로고 및 색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것으로 드러났으며, SPA 브랜드에서 BI 색채의 비중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차별화와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BI 색채 선정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Sales for SPA brand names of private label apparels are on the rise in the domestic clothing marke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 brands and how each color system is proposed within the BI system. In this study, 8 brands were selected as the most popular SPA brands in Korea and abroad with stores based on brand power and sales and preference by consumers. Therefore, among information factors such as brand identity (BI) and color characteristic. sign system, package, and environmental factors, buildings facade and interior design of eight brands were investigated. Research into color application of BI revealed that four brands used red colors with different tones with different identity differentiation. For the other four brands, the company applied BI designs that gained the brand's character such as a black-and-white or dark blue one. Thus,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select BI color in order to differentiate and enhance preferences in brand identity.

      • KCI등재

        안전표지의 시인성 및 판독성 연구

        박우근(Park, Woo-Keun),김현정(Kim, Hyeon-Jeong),백진경(Paik, Jin-Ky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0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8 No.1

        도로상의 안전을 보장하는 안전표지의 주 역할을 하며 도로상에 표지판으로 설치되는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등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을 통해 도로환경의 복잡도와 안전표지의 형태 그리고 안전표지의 내용 등 세 가지 요인을 체계적으로 변화시켜 계획하고 그 영향관계를 검토하였다. 실험은 총 2단계로 구성되며, 첫 번째로 도로환경의 복잡도와 안전표지의 형태 변화에 따른 시인성 실험이 실시되고, 두 번째로 안전표지의 형태와 내용 변화에 따른 판독성 실험이 실시된다. 각 실험의 결과를 통해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인지적 관점으로 고찰ㆍ검토하였다. ㆍ 도로환경의 복잡도가 증가 할수록 안전표지에 대한 시인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시인율의 감소폭이 줄어드는 현상을 통해 복잡도(정보의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인지율 차이는 크게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ㆍ 안전표지의 형태에 따라 안전표지에 대한 시인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안전표지의 형태별 시인율은 원형, 삼각형, 역삼각형, 사각형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형태지각의 초기단계에 있어서 동화현상(assimilation phenomenon) 및 대비현상(contrast phenomenon)이 발생한 것으로, 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선분은 도로주변 간판과의 동화현상이, 원형, 삼각형, 역삼각형은 대비현상이 작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ㆍ 안전표지의 형태에 따라 내용에 대한 판독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삼각형과 역삼각형 안전표지의 판독율이 사각형과 원형의 안전표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음과 모음이 좌, 우의 조합관계인 [나,라,바]에 비해 상, 하의 조합관계인 [도,모,오,구,수,주] 등의 내용이 삼각형과 역삼각형의 표지에서 판독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도,모,오]에 비해 [구,수,주]의 판독율이 역삼각형에 비해 삼각형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Warning signs, restriction signs, and directional signs to be installed along the road and functioning as a safety sign to ensure road safety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Tests were conducted by systematically varying three factors such as complexity of road conditions, shape of safety signs, and content of safety signs, and their relationship of influence was examined. The tests consisted of two steps; one was about visibility depending on the complexity of road conditions, shape of safety signs, and the other was a readability test depending on shape and content of safety signs. From the findings of these tests, relationship of influence among factors was examined cognitively. ㆍ It was found that the more complex the road conditions became, the smaller visibility ratio of safety signs was ㆍ The shape of safety signs resulted in different visibility ratio of safety signs, and visibility ratio of safety signs by shape decreased in the order of circle, triangle, inverted triangle, and rectangle. ㆍ The shape of safety signs made a difference in readability of their contents, and readability of triangular and inverted triangular safety signs was found to be lower than rectangular and circular ones.

      • KCI등재

        고령친화식품 개발을 위한 한국 노년층의 조리 요구도 조사 -서울,경기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곽동경 ( Tong Kyung Kwak ),김현아 ( Hyun A Kim ),백진경 ( Jin Kyung Paik ),전민선 ( Min Sun Jeon ),신원선 ( Weon Sun Shin ),박기환 ( Ki Hwan Park ),박대섭 ( Dae Seop Park ),홍완수 ( Wan Soo Ho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3

        연구에서는 노년소비자의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요구도 및 조리 요구도,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여성 297명(60.6%)과 남성 193명(39.4%)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노년층의 경우 식품을 구입하고, 준비하고, 또는 같이 식사하는 사람이 식생활에 있어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일반사항을 파악하였다(Nie C와 Wepeda L 2011). 본 조사에 응답한 노년층의 경우 대부분 한 달에 6만원에서 15만원 정도를 식품을 구입하기 위한 비용으로 소비하고 있으며, 식품 구입에서부터 식사 준비까지 본인 또는 배우자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80% 이상의 응답자가 배우자 또는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한다고 답하였는데, 이는 젊은 층의 경우 친구들과의 식사 빈도가 높은 반면 노년층의 경우 사회 구조가 핵가족화 되고 부부중심의 가족생활을 선호함에 따라 부부위주의 식사가 주를 이룬다고 하였던 선행연구(Kim CS 2010, Yu HK 2008, Sun YH와 Morrison AM 2007)의 결과와 일치한다. 하루 끼니별 식사 섭취 방법은 모든 연령층과 성별에서 아침, 점심, 저녁을 일반 가정식으로 먹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한식위주의 식습관에 길들여지고 가정식을 선호하는 노인들의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Yu HK 2008, Jo KJ 2005). 예전의 노인 세대에 비해 오늘날의 노인들은 육체적으로 더 건강하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다. 또한 노인들에게 있어 기름진 음식은 만성질환을 가져오는 식습관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며 그 선호도가 낮다(Lee SS 1998). 본 연구 결과에서도 이에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개발이 요구되는 고령친화식품의 조리법에 대한 질문에서 연령과 성별의 구분 없이 구이, 볶음, 지짐, 튀김과 같이 주로 기름을 사용하는 건식조리법보다 찜, 끓인 요리, 삶은 요리, 데침, 조림과 같이 습식조리법을 사용한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습식조리법으로 조리된 식품에 대한 요구도가 더욱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찜과 데침 요리에 대한 여성의 선호도가 높았다. 이는 식품 구입에서부터 준비까지 여성 배우자의 참여도가 높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구매력이 있는 여성 노인들을 타깃으로 한 습식조리 고령 친화식품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고령친화식품에 요구되는 맛에 대한 질문에서는 짜지 않은 식품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맵지 않은 식품, 쓰지 않은 식품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식생활 연구(Kim KY 2007)에서 짠 음식과 쓴 음식이 매운 음식과 단 음식에 비해 이용도와 선호도 면에서 모두 낮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으며, 노인들의 맛에 대한 기호도 조사(Lee & Lee, 1995)에서 또한 많은 노인들이 강한 짠맛의 음식을 싫어한다고 답하였다. 따라서 노인들은 대체적으로 짜지 않은 식품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Lee SS(1998)의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단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나, 짭짤한 음식, 매운 음식에 대해서는 싫어하지 않는 정도의 선호도를 보여 본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노인의 미각과 관련된 선행연구(Schiffman & Gatlin, 1993)에서는 노화, 질병 등에 의해 미각이 변할 수 있으며, 특히 60대 초에 시작되어 70내 이후에는 급격한 감소를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토마토 주스를 이용하여 짠맛에 대한 노인들의 기호도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노인들은 젊은 사람들보다 약 0.4%가 높은 소금농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ittle & Brinner, 1984). 한편, 설탕의 단맛에 대한 선호도 연구(Dye & Koziatek, 1981)에서 단맛의 농도 증가에 따른 청년과 노인의 기호도 변화 경향은 같았으나 가장 선호하는 설탕 농도는 노인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미각 연구에서도 노인들이 맛을 감지하는 데 있어 여대생에 비해 더 높은 단맛농도와 짠맛농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Won HS 1997). 그러나 본 연구와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많은 노인들이 짜고 간이 강한 식품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답한 것과는 달리, 젊은 사람들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은 농도의 맛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스스로가 적당하다고 느끼는 맛의 농도와 실제 적절한 농도와의 차이로 인하여 나타난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건강에 관심이 높은 현대의 노인들이 건강하게 식품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가 답변에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고령친화식품의 종류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는, 부식류의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식류 중에서도 김치류, 육류, 해산물의 개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실버세대의 외식 메뉴 선호도를 분석한 선행연구(Lee SS 1998)에 따르면 채소 및 과일류에 있어서 선호도 차이를 보였으며, 실버소비자의 가정배달급식 시 제품 요구도 조사(Jang YJ 2010)에서도 죽류, 반찬류, 샐러드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본 연구와 차이가 있다. 연령별 개발 요구도에 대한 분석에서는 60세 이상의 노인들과는 달리 59세 이하의 젊은 노인들은 죽류 식품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저작연하 또는 소화능력 등 신체적 노화에 따른 연령 간 차이점을 보여주는 결과로 추측된다. 주식류와 부식류의 경우 성별 간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으나, 간식의 개발에 관련하여 남성의 요구도가 높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캔음료 형태의 고령친화식품 이용실태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노인 소비자들은 실질적으로 음료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간식 및 기호식 보다는 직접적인 식사가 될 수 있는 주식과 부식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 최근 노인세대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른 요구도를 보이고 있으며, 건강에 관한 높은 관심으로 인해 기름이 많이 사용되거나 간이 강한 음식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김치와 같은 우리나라 전통 음식이나 전형적으로 노인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육류에 대한 요구도 또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죽과 같이 부드러운 음식의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령친화식품 개발의 시작점은 오늘날 노인 세대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인 소비자의 다양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메뉴개발을 통해 다양한 소비 확대 전략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건강하고, 건강에 관심이 많은 노인들을 위해서는 그들에게 익숙한 우리나라 전통 식재료로 기름을 적게 이용하는 조리법과 담백한 양념을 사용하여 조리한 음식을 개발하거나, 연령 또는 건강 상태로 인해 소화·흡수가 어렵거나 저작이 곤란한 노인층을 위해서는 씹기 쉬운 정도를 단계별로 구분한 음식을 개발한다면 보다 다양한 특성을 보이는 현대의 노인 소비자를 위한 맞춤형 고령친화식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집단표본추출 방법이 편의표본추출에 의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한정되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미각과 관련하여 노인들이 적당하다고 느끼는 맛의 농도와 실제로 적절한 농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노인들의 요구도를 기준으로 바람직한 노인식 개발에 대한 명확한 제언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연구표본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기존의 익숙한 편의식을 기준으로 하여 노인들의 선호도가 높으면서 건강을 고려한 노인식을 개발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 consumers` food-related lifestyle and to investigate their demand for menu development of senior` friendly food products. An one-to-one survey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90 senior participants who are over 55 years-old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participants usually spend from 60,000 to 150,000won on food a month, and the female participants played a decisive role on food purchasing and preparation. They preferred home meal for their three regular meals to bread, convenience food, or eating-out. For menu development of senior-friendly food products, the demand for food products using moist-heat cooking method was higher than those using dry-heat cooking method. Also, the respondents did not like strong taste such as salty, spicy, or bitterness in senior-friendly foods, and wanted to have a variety of noodle, kimchi, meat, seafood meals.

      • KCI등재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의 이해도와 중요도-수행도 분석 -서울,경기지역의 식품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곽동경 ( Tong Kyung Kwak ),정명섭 ( Myung Sub Chung ),박시은 ( Si Eun Park ),백진경 ( Jin Kyoung Paik ),홍완수 ( Wan Soo Ho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food allergy labelling for the arrangement of improvement plans. Survey was done as a quantitative research targeting food industry employees with 399 random workers in Seoul and Gyonggi a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s (ver. 12.0)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factor analysi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food allergen labelling were divided by 15 items. Only 43.1% of the workers understood the operation allergic food labels. The first improvement on allergic food labels was “using boldface for food allergen labes”. The importance of all of these fact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The selection attributes with relatively low the performance but high importance(2 quadrant) were“consumer education for allergic food labels”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counselors on food allergy”. Therefore, the factors to be improved through the IPA were consumer education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counselors. With this research and extended efforts for revision of laws, reliability of food industry and accuracy of food labelling would improve, thereby boosting the productive·commercial activities in labelling code.

      • KCI등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식당 만족도 -일본인과 중국인 중심으로

        김진희,전민선,박대섭,김수민,백진경,홍완수,Kim, Jin-Hee,Jeon, Min-Sun,Park, Dae-Seop,Kim, Soo-Min,Paik, Jin-Kyung,Hong, Wan-Soo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5

        Korean Food Globalization has been launched as a tool of civil ambassador and the high value-oriented industry. According to department of statistics in 2012, the trend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from international visitors of Chinese and Japanese has grown. Hence, this study is purposed to identify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based on their food-related lifestyl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403 Chinese and Japanese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Korean foo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 parts of demographic information, food-related lifestyle, and satisfaction of Korean restaurant. As factor analysis results, 3 factors were yielded for the food-related lifestyle factors-a eat-out preferred group, a health preferred group, and a taste preferred group, and 3 factors were generated for Korean restaurant satisfaction-hygiene and service, menu, and food quality. For cluster analysis, 3 clusters were identified as follows: high interested in food itself, health interested, and taste interested. Female appears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3 clusters than male. Nationality shows that Chinese consumers showed a high interest in food itself whereas Japanese consumers were high interested in health. With regard to Korean restaurant satisfaction, service appeared to be important in Chinese consumers while Japanese consumers showed a higher mean value on serving size, price, and nutrition. The findings concluded that b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food-related lifestyle of international visitors, marketing strategies can better meet visitors' expectations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Korean restaurants.

      • KCI등재

        논문 : 체성분분석기 검진결과지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정보시각화 분석

        박유빈 ( Yu Bin Park ),백진경 ( Jin Kyung Pai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2

        오늘날 고령화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헬스케어 문화가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간단한 방법으로 비만 및 건강 진단이 가능한 체성분분석기 시장규모 또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성분 건강검진 후 제공되는 결과지가 사용자에게 어떤 방법으로 정보시각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국내 체성분 분석기 대표 회사 3곳(바이오스페이스, 자원메디칼, 주원메디칼)의 체성분검진결과지 샘플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구성요소 및 디자인에 대한 전문가 인터뷰 자문을 통해 사용자 반응 조사를 위한 설문 요소를 도출했다. 체성분분석기 사용 경험이 있는 스포츠재활치료사 15명, 수검자 30명의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체성분 검진결과지의 사용성과 선호하는 정보시각화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스포츠재활치료사는 결과지 이해도가높았으며 자주 접하는 결과지의 정보시각화 선호도가 높았다. 반면 수검자는 어려운 전문용어로 인해 결과지 이해도가 낮았으며, 크고 선명하게 보이는 글자체와 알아보기 쉽게 구성된 도표의 정보시각화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비교결과 50대 이상 사용자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결과지 이해도가 낮았으며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는 우선순위로 열람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결과지가 구성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보시각화에 입각한 검진결과지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Today, the increase in interest regarding aging, quality of life improvement and health has contributed to a rapid growth in the health care culture, and also the market for body composition analyzers capable of diagnosing obesity and health through simple methods is growing as well. To that end, this study was purposed i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methods through which the results summary after a body composition health examination provides information visualization services to the user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body composition health examination result summary samples of the 3 representative domestic Korean manufacturers of body composition analyzers (Biospace Co. Ltd, Jawon Medical and Juwon Medical)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rough which, questionnaire elements for a response study were derived through interview consultation by experts regarding the composition elements and design were obtained.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s administered on 15 sports rehabilitation therapists, who have experience in body composition analyzers, and 30 screening subjects, the usefulness of body composition result summary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seen that the sports rehabilitation therapists showed high levels of understanding of result summaries and also showed a preference for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result summaries they frequently encounter. In contrast, the screening subjects displayed low levels of understanding due to difficult terminologies, and they showed high preference levels for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easy-to- understand diagrams and large size and clear fonts. As a result of comparison by age group, the users older than 50-years of age showed lower levels of understanding of result summaries a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and they were not satisfied. As for the common elements, it was expressed that the result summary be configured centered around elements that are viewed in the order of priority. As for the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directions of design guide regarding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examination result summaries will b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