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한식당 만족도 -일본인과 중국인 중심으로

        김진희,전민선,박대섭,김수민,백진경,홍완수,Kim, Jin-Hee,Jeon, Min-Sun,Park, Dae-Seop,Kim, Soo-Min,Paik, Jin-Kyung,Hong, Wan-Soo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5

        Korean Food Globalization has been launched as a tool of civil ambassador and the high value-oriented industry. According to department of statistics in 2012, the trend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from international visitors of Chinese and Japanese has grown. Hence, this study is purposed to identify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based on their food-related lifestyl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403 Chinese and Japanese visitors who have experienced Korean foo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3 parts of demographic information, food-related lifestyle, and satisfaction of Korean restaurant. As factor analysis results, 3 factors were yielded for the food-related lifestyle factors-a eat-out preferred group, a health preferred group, and a taste preferred group, and 3 factors were generated for Korean restaurant satisfaction-hygiene and service, menu, and food quality. For cluster analysis, 3 clusters were identified as follows: high interested in food itself, health interested, and taste interested. Female appears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3 clusters than male. Nationality shows that Chinese consumers showed a high interest in food itself whereas Japanese consumers were high interested in health. With regard to Korean restaurant satisfaction, service appeared to be important in Chinese consumers while Japanese consumers showed a higher mean value on serving size, price, and nutrition. The findings concluded that by understanding the nature of food-related lifestyle of international visitors, marketing strategies can better meet visitors' expectations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Korean restaurants.

      • KCI등재

        외식업체 종사자의 조미료 및 감미료 사용에 대한 인식 조사

        이진실,이나영,박대섭,홍정연,황혜선,백진경,권용석,최승균,홍완수,Lee, Jin-Sil,Yi, Na-Young,Park, Dae-Seop,Hong, Jeong-Yeon,Hwang, Hye-Sun,Paik, Jin-Kyung,Kwon, Yong-Seok,Choi, Seung-Gyun,Hong, Wan-Soo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2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8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the foodservice industry workers in regard to the use of seasonings and sweeteners in the restaurant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902 foodservice workers of various restaurants. Participants were questioned on their perceptions of both natural and artificial seasonings & sweeteners. Furthermore,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questions regarding the need of public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seasonings and sweeteners, along with the demographic infor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65.7% of respondents used both the artificial seasoning and artificial sweeteners, while 9.9% of respondents used only natural seasonings and sweeteners. The restaurant employees answered that they have tried to reduce the use of artificial seasonings and sweeteners(3.69/5 point). Some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ve tried to increase the used of natural seasonings and sweeteners(3.54/5 poi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on the seasonings and sweeteners by the restaurant type(p<0.05).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safety of artificial seasonings and sweeteners(3.71/5point) 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natural seasonings(3.75/5 poi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ondents' perceptions on the need for education of the seasonings and sweeteners by the restaurant type. Th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 regarding the use of artificial seasoning and artificial sweeteners, as well as cooking methods that use natural seasonings, is needed to reduce the use of artificial seasonings and sweeteners in restaurants.

      • 드론관제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스템 아키텍쳐 설계방안 연구

        고진현(Jin-Hyun Ko),박대섭(Dae-Seop Park),박종훈(Jong-Hoon Park),이동열(Dong Yeol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드론은 영상자료의 실시간 취득과 저장을 통해 촬영지역의 시각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GPS 등의 신호체계를 통한 촬영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현재 지자체를 포함한 국가기관과 산업체 등을 중심으로 드론을 활용하여 영상정보의 취득과 분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드론을 활용한 관제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통합적인 실시간 정보의 취득과 도시, 이후 분석을 위한 데이터 저장방안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 피해지역의 드론의 영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비행중인 지역의 위치정보 등을 수집하여 통합적인 관제시스템에서 현장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의사결정지원 체계의 지원 방안으로 드론관제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연재난피해 현장에서 피해에 대한 초기 대응이 마무리된 후, 피해지역에 대한 상황파악과 피해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드론의 영상 및 위치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화면에 도시하여 의사결정권자의 상황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드론관제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시간 드론관제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드론에서 수집되는 영상을 상용망, 인터넷망 등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여 화면에 도시하는 기능과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저장 기능, 다양한 드론 중 원하는 드론에 대한 영상정보의 수신 등 다양한 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행정안전부에서 운영중인 NDMS와 연계방안을 고려하여 권한이 부여된 담당자에 한해 해당 시스템에 접속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드론관제시스템은 추후 다양한 지자체와 관련기관의 연결을 통해 자연재난은 물론 다양한 재난 피해지역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비만도와 외식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김진희 ( Jin Hee Kim ),전민선 ( Min Sun Jeon ),박대섭 ( Dae Seop Park ),김수민 ( Soo Min Kim ),백진경 ( Jin Ktung Paik ),홍완수 ( Wan Soo Ho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5

        본 연구는 부산지역 K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고 각 집단과 외식선택속성과 비만도와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PASW Statistic 18.0(Predictive Analytics Software)을 이용하여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t-test, x^2-test,비 계층적 군집분석과 ANOVA을 실시하였다. 남자 대학생들의 평균키는 175.59 cm, 체중은 69.53kg이고, 여자 대학생들의 평균키는 162.81 cm, 체중은 53.42kg으로 나타내었다. 남학생 체질량지수를 저체중이 1.7%, 정상체중은 64.6%, 과체중19.7%이고, 비만은 14.0%로 나타났다. 여학생 체질량지수는 저체중이 22.9%. 정상체중은 62.7%,과체중이 8.5%, 비만은 5.9%를 나타내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항목은 건강추구, 안전성추구,분위기추구, 미각추구, 서양음식추구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외식선택속성은 음식의 질과 서비스,합리적인가격, 접근성과 분위기, 먹어본 경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군집1은 [식생활 무관심형 집단] 군집2는 [건강지향형집단] 군집3은 [건강무관심형 집단]으로 군집 명을 부여하였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군집과 외식선택속성 요인간의 차이분석에서 군집1은 먹어본 경험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군집2는음식과 서비스의 질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군집3은 접근선과 이미지에서 높은 평균값을나타내었다. This study, targeting the students of "K" university in Busan City area, was performed to draw the groups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group`s attributes of selecting places to eat out and obesity index.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achieved by means of the PASW Statistic 18.0(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which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t-test, x^2-test,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ANOVA. It turned out that the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175.59 cm tall and weigh 69.53 kg on average. And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eir average height of 162.81 cm and weight of 53.42 kg. When examined by the body mass index(BMI), male students were composed of 1.7% of underweight, 64.6% of normal weight, 19.7% of overweight and 14.0% of obese. As for the female students, 22.9% were classified as underweight, 62.7% as normal weight, 8.5% as overweight and 5.9% as obese. The food-related lifestyle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health seeking type, safety seeking type, mood seeking type, taste seeking type, and western food seeking type. The four attributes of selecting places to eat out included quality of food and service, price reasonableness,accessibility and atmosphere, and experience to have eaten. With regard to food-related lifestyle, the groups were named by cluster 1 [careless diet group], Cluster 2 [health oriented group], and cluster3 [careless healthcare group].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lusters by food-related lifestyle and their attributes of selecting places to eat out, Cluster 1 had a high mean value in experience to have eaten, Cluster 2 quality of food and service, Cluster 3 accessibility and atmosphere.

      • KCI등재

        로칼푸드 운동과 외식산업의 협력적 발전방안

        홍완수(Wan Soo Hong),이종수(Jong Soo Lee),박대섭(Dae Seop Park)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2 호텔경영학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to explore the concept of local food,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local food movement, and to develop cooperative initiatives for local food and foodservice industries. Local food has emerged for social, agricultural and academic motivations since 1970s. In the United States, it has developed mainly for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asons. Local food movement has been spreaded out in Europe as a sort of community movement. In Korea, eight local governments have made local laws to assis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local foods. This study presented five policy alternatives for a cooperative development between local food and foodservice industry. First of all, local food has a high level of brand value for local production and resources. It may help foodservice industries to enhance their image for health and safety. Second, local food can be a good channel through which regional communities design a prosperous future. Thir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transportation system can be enhanced between farmers and consumers. This will be a good contribution for all the food ingredients. Fourth, restaurants in a certain region may be able to attract many visitors and tourists from other regions, using local foods. Fifth, local residents can use local foods for the movement of community building and restor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령친화식품 개발을 위한 한국 노년층의 조리 요구도 조사 -서울,경기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곽동경 ( Tong Kyung Kwak ),김현아 ( Hyun A Kim ),백진경 ( Jin Kyung Paik ),전민선 ( Min Sun Jeon ),신원선 ( Weon Sun Shin ),박기환 ( Ki Hwan Park ),박대섭 ( Dae Seop Park ),홍완수 ( Wan Soo Ho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3

        연구에서는 노년소비자의 고령친화식품에 대한 요구도 및 조리 요구도,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여성 297명(60.6%)과 남성 193명(39.4%)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노년층의 경우 식품을 구입하고, 준비하고, 또는 같이 식사하는 사람이 식생활에 있어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일반사항을 파악하였다(Nie C와 Wepeda L 2011). 본 조사에 응답한 노년층의 경우 대부분 한 달에 6만원에서 15만원 정도를 식품을 구입하기 위한 비용으로 소비하고 있으며, 식품 구입에서부터 식사 준비까지 본인 또는 배우자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80% 이상의 응답자가 배우자 또는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한다고 답하였는데, 이는 젊은 층의 경우 친구들과의 식사 빈도가 높은 반면 노년층의 경우 사회 구조가 핵가족화 되고 부부중심의 가족생활을 선호함에 따라 부부위주의 식사가 주를 이룬다고 하였던 선행연구(Kim CS 2010, Yu HK 2008, Sun YH와 Morrison AM 2007)의 결과와 일치한다. 하루 끼니별 식사 섭취 방법은 모든 연령층과 성별에서 아침, 점심, 저녁을 일반 가정식으로 먹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한식위주의 식습관에 길들여지고 가정식을 선호하는 노인들의 성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Yu HK 2008, Jo KJ 2005). 예전의 노인 세대에 비해 오늘날의 노인들은 육체적으로 더 건강하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다. 또한 노인들에게 있어 기름진 음식은 만성질환을 가져오는 식습관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며 그 선호도가 낮다(Lee SS 1998). 본 연구 결과에서도 이에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개발이 요구되는 고령친화식품의 조리법에 대한 질문에서 연령과 성별의 구분 없이 구이, 볶음, 지짐, 튀김과 같이 주로 기름을 사용하는 건식조리법보다 찜, 끓인 요리, 삶은 요리, 데침, 조림과 같이 습식조리법을 사용한 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습식조리법으로 조리된 식품에 대한 요구도가 더욱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찜과 데침 요리에 대한 여성의 선호도가 높았다. 이는 식품 구입에서부터 준비까지 여성 배우자의 참여도가 높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구매력이 있는 여성 노인들을 타깃으로 한 습식조리 고령 친화식품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고령친화식품에 요구되는 맛에 대한 질문에서는 짜지 않은 식품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맵지 않은 식품, 쓰지 않은 식품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였다. 노인들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식생활 연구(Kim KY 2007)에서 짠 음식과 쓴 음식이 매운 음식과 단 음식에 비해 이용도와 선호도 면에서 모두 낮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으며, 노인들의 맛에 대한 기호도 조사(Lee & Lee, 1995)에서 또한 많은 노인들이 강한 짠맛의 음식을 싫어한다고 답하였다. 따라서 노인들은 대체적으로 짜지 않은 식품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Lee SS(1998)의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단음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나, 짭짤한 음식, 매운 음식에 대해서는 싫어하지 않는 정도의 선호도를 보여 본 연구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노인의 미각과 관련된 선행연구(Schiffman & Gatlin, 1993)에서는 노화, 질병 등에 의해 미각이 변할 수 있으며, 특히 60대 초에 시작되어 70내 이후에는 급격한 감소를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토마토 주스를 이용하여 짠맛에 대한 노인들의 기호도를 조사한 연구에서는 노인들은 젊은 사람들보다 약 0.4%가 높은 소금농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ittle & Brinner, 1984). 한편, 설탕의 단맛에 대한 선호도 연구(Dye & Koziatek, 1981)에서 단맛의 농도 증가에 따른 청년과 노인의 기호도 변화 경향은 같았으나 가장 선호하는 설탕 농도는 노인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한국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미각 연구에서도 노인들이 맛을 감지하는 데 있어 여대생에 비해 더 높은 단맛농도와 짠맛농도를 요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Won HS 1997). 그러나 본 연구와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많은 노인들이 짜고 간이 강한 식품을 선호하지 않는다고 답한 것과는 달리, 젊은 사람들과 비교하였을 때 더 높은 농도의 맛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스스로가 적당하다고 느끼는 맛의 농도와 실제 적절한 농도와의 차이로 인하여 나타난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건강에 관심이 높은 현대의 노인들이 건강하게 식품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가 답변에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고령친화식품의 종류 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는, 부식류의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식류 중에서도 김치류, 육류, 해산물의 개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실버세대의 외식 메뉴 선호도를 분석한 선행연구(Lee SS 1998)에 따르면 채소 및 과일류에 있어서 선호도 차이를 보였으며, 실버소비자의 가정배달급식 시 제품 요구도 조사(Jang YJ 2010)에서도 죽류, 반찬류, 샐러드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본 연구와 차이가 있다. 연령별 개발 요구도에 대한 분석에서는 60세 이상의 노인들과는 달리 59세 이하의 젊은 노인들은 죽류 식품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저작연하 또는 소화능력 등 신체적 노화에 따른 연령 간 차이점을 보여주는 결과로 추측된다. 주식류와 부식류의 경우 성별 간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으나, 간식의 개발에 관련하여 남성의 요구도가 높았다. 현재 우리나라는 캔음료 형태의 고령친화식품 이용실태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노인 소비자들은 실질적으로 음료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간식 및 기호식 보다는 직접적인 식사가 될 수 있는 주식과 부식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 최근 노인세대는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른 요구도를 보이고 있으며, 건강에 관한 높은 관심으로 인해 기름이 많이 사용되거나 간이 강한 음식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김치와 같은 우리나라 전통 음식이나 전형적으로 노인이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진 육류에 대한 요구도 또한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죽과 같이 부드러운 음식의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령친화식품 개발의 시작점은 오늘날 노인 세대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인 소비자의 다양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메뉴개발을 통해 다양한 소비 확대 전략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건강하고, 건강에 관심이 많은 노인들을 위해서는 그들에게 익숙한 우리나라 전통 식재료로 기름을 적게 이용하는 조리법과 담백한 양념을 사용하여 조리한 음식을 개발하거나, 연령 또는 건강 상태로 인해 소화·흡수가 어렵거나 저작이 곤란한 노인층을 위해서는 씹기 쉬운 정도를 단계별로 구분한 음식을 개발한다면 보다 다양한 특성을 보이는 현대의 노인 소비자를 위한 맞춤형 고령친화식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집단표본추출 방법이 편의표본추출에 의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한정되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미각과 관련하여 노인들이 적당하다고 느끼는 맛의 농도와 실제로 적절한 농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노인들의 요구도를 기준으로 바람직한 노인식 개발에 대한 명확한 제언을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연구표본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기존의 익숙한 편의식을 기준으로 하여 노인들의 선호도가 높으면서 건강을 고려한 노인식을 개발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 consumers` food-related lifestyle and to investigate their demand for menu development of senior` friendly food products. An one-to-one survey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90 senior participants who are over 55 years-old living in Seoul and Kyunggi a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participants usually spend from 60,000 to 150,000won on food a month, and the female participants played a decisive role on food purchasing and preparation. They preferred home meal for their three regular meals to bread, convenience food, or eating-out. For menu development of senior-friendly food products, the demand for food products using moist-heat cooking method was higher than those using dry-heat cooking method. Also, the respondents did not like strong taste such as salty, spicy, or bitterness in senior-friendly foods, and wanted to have a variety of noodle, kimchi, meat, seafood meals.

      • KCI등재

        주부 소비자의 쌀 가공제품 이용실태 및 요구도 조사

        김수민 ( Soo Min Kim ),이진실 ( Jin Sil Lee ),한정아 ( Jung A Han ),김영식 ( Young Sik Kim ),백진경 ( Jin Kyung Baik ),황혜선 ( Hye Sun Hwang ),이나영 ( Na Young Yi ),박대섭 ( Dae Seop Park ),홍완수 ( Wan Soo Ho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는 쌀 소비 촉진 및 쌀 가공제품 개발을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주부를 대상으로 쌀 가공제품의 이용실태와 쌀 가공제품에 대한 상품화 의견 및 구매의도, 쌀 활용 교육에 필요한 홍보방안 등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쌀 가공제품에 관한 이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업주부는 92명(55.8%), 취업 주부는 71명(52.6%)이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직장유무와 무관하게 전체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인 163명(54.0%)이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주부를 대상으로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이유를 복수응답으로 분석한 결과, 전업주부(61명, 80.3%)와 취업 주부(41명, 75.0%)의 경우 모두, 쌀 가공제품은 몸에 좋은 건강식품으로 메뉴가 다양하고 소화가 잘되며, 맛이 있어서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주부를 대상으로 쌀 가공제품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를 복수응답으로 분석한 결과, 쌀 가공제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71명, 40.6%) 특히 쌀가루를 포함한 쌀 가공제품을 이용한 조리법이 부족하기 때문(67명, 38.3%) 이라고 응답하였다. 3. 쌀 가공제품 사용 시 불편한 점에 관하여 복수응답으로 분석한 결과, 쌀가루를 포함한 쌀 가공제품 조리 레시피의 부족(84명, 34.0%)과 보관 시 변질우려(68명, 27.5%), 메뉴의 다양성 부족(42명, 17.2%) 등으로 나타났다. 4. 개발이 필요한 쌀 가공제품에 대하여 주식류, 부식류, 간식 및 기호식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주식류의 개발 필요성은 쌀떡류(3.86점)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식류의 개발 필요성은 쌀장류(3.64점), 쌀식초(3.15점) 순으로 나타났고, 간식 및 기호식의 개발 필요성은 쌀 과자류(3.89점)의 점수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한편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주부(3.97점)가 경험이 없는 주부(3.72점)에 비해 쌀 떡류의 개발 필요성에 더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p<.01) 5. 쌀 활용 교육 시 효과적인 매체에 대해 분석한 결과, 쌀 가공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와 쌀 가공제품 경험이 없는 경우 모두 인터넷사이트(홈페이지 운영)가 129명 (43.0%)으로 응답을 많이 하였으며, 그 외에도 요리 시연회 (조리법 시연회)가 88명(29.3%), 팜플렛ㆍ리플렛 35명(11.7%) 등으로 나타났다. 쌀 활용 조리법 시연회 교육에 대한 참여 의사를 분석한 결과, 쌀 가공제품에 대해 경험이 있는 군(59.5%)이 경험이 없는 군(44.5%) 보다 참여의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전업주부의 경우도 98명(59.4%) 으로 나타나 취업 주부의 60명(44.4%) 보다 쌀 활용 조리법 시연회 교육에 참여의사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e and the demand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by full time and working housewives in a metropolitan area. Out of 330 questionnaires distributed, 300 were analyzed (90.9% response rate). It was revealed tha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54.0%) had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regardless of their occupation. Most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used rice food products because of the variety of the products, digestibility and the taste. The development necessity for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was analyzed, showing that rice cake (3.86), rice sauce (3.64), and rice cookie(3.89) had the highest score in each category. The average demand for education and promotion of rice food products was 3.89; among 7 items, menu recipe using rice flour was highly demanded (4.18) by the respondents. Approximately 43.0% of the respondents agreed that the interne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learning about rice flour cooking, and the respondents who have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59.5%) were more likely to attend education programs compared to housewives who have not used processed rice food products (44.5%)(p<.05). Full time housewife (59.4%) had a greater tendency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program than working woman (44.4%) (p<.001). The findings suggested that various processed rice flour products with convenience to use and prolonged shelf-life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