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Interrelationship of of Matrix metalloproteinase-13 and Elastase Expression in Human Gingiva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박현규,이재목,Park, Hyun-Kyu,Lee, Jae-Mok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6 No.2

        치주질환은 치아 지지조직의 파괴로 튿정 지어지는 감염성 질환으로서 이것은 주로 조직의 교원질 성분을 분해시키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여러 연구에서 당뇨병과 치주질환의 심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으며 당뇨병이 치주염을 포함한 구강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며 역으로 만성 치주염의 염증성 매개물질에 의해 인슐린 작용이 방해받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치주염 환자와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병리 기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두 단백질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북대 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의 비당뇨 환자의 정상 치은 부위,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각각 8개의 변연 치은을 채득하여 액화 질소에 급속 동결시켰다. 모든 조직 샘플에서 동량의 단백질을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하여였고,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ANOVA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분석에서 MMP-13은 제 2형 당뇨를 가진 환자의 염증성 조직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성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elastas는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 없이 유사한 양상으로 발현되었고, 염증성 조직에서도 당뇨병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편 조직내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MMP-13은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의 치은 염증초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조직과 당뇨를 동반한 환자의 염증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양상은 큰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

        심미적인 부위에서의 외과적 정출술

        박현규,박진우,서조영,이재목,Park, Hyun-Kyu,Park, Jin-Woo,Suh, Jo-Young,Lee, Jae-Mok 대한치주과학회 2007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7 No.2

        As a general treatment modality of subgingival tooth defect in aethetic area, implant or crown and bridge therapy after extraction of affected tooth can be used. But as more conservative treatment, crown lengthening can be considered and not to lose periodontal attachment and impair aethetic appearance, surgical extrusion can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of choice. In this case report, 3 cases of surgical extrusion was represented and appropriate time for initiation of end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ost-surgical tooth mobility was investigated. In 8 patient who has subgingival tooth defect in aethetic area, intracrevicular incision is performed and flap was reflected with care not to injure interproximal papillae. With forcep or periotome, tooth was luxated and sutured in properely extruded position according to biologic width with or without $180^{\circ}$ rotation. 8 cases show favorable short and long term results. In some cases, surgical extrusion with $180^{\circ}$ rotation can minimized extent of extrusion and semi-rigid fixation without apical bone graft seems to secure good prognosis. In 8 cases, endodontic treatment started about 3 weeks after surgery. This time corresponds with the moment when mobility of extruded tooth became 1 degree and this results concide with other previous reports. If it is done on adequate case selection and surgical technique, surgical extrusion seems to be a good treatment modalilty to replace the implant restoration in aethetic area.

      • KCI등재

        TEOS/염기 및 MTMS/산 혼성 용액으로 제조한 반사방지 코팅막의 특성

        박현규 ( Hyun-kyu Park ),김효섭 ( Hyo-sub Kim ),박주식 ( Chu-sik Park ),김영호 ( Young-ho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9 공업화학 Vol.30 No.3

        반사 방지(anti-reflective; AR) 코팅막의 광학 특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tetraethylorthosilicate (TEOS)/염기 및 methyltrimethoxysilane (MTMS)/산 혼성 용액의 혼합비를 변화시키며 다양한 AR 코팅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AR 코팅막은 UV-Vis, 접촉각 측정기, AFM, FT-IR 및 연필 경도 시험을 통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MTMS/산 용액의 함량이 10 wt%인 혼성 용액으로 제조한 AR 코팅막에서 유리 기판은 매우 우수한 광학 특성(97.2%의 투과율), 우수한 내오염성(121°의 물 접촉각 및 90°의 CH<sub>2</sub>I<sub>2</sub> 접촉각), 중간 정도의 기계적 강도(4 H의 연필 경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우수한 내오염성은 기판의 표면 위에서 혼성 용액 내 소량의 MTMS/산 용액으로부터 유래된 메틸기(-CH<sub>3</sub>)의 고른 분산에 기인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연필 경도 시험 결과로부터, AR 코팅막의 기계적 강도는 MTMS/산 용액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improv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and antifouling of anti-reflective coating (AR) films, various AR coating films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mixing ratio of tetraethylorthosilicate (TEOS)/base and methyltrimethoxysilane (MTMS)/acid hybrid solution. Prepared AR coating films were characterized by UV-Vis spectroscopy, contact angle analyzer, atomic force microscope (AFM), FT-IR and pencil scratch hardness test. In an AR coating film that prepared from the hybrid solution with a 10 wt% MTMS/acid solution, the glass substrate showed an excellent optical property (97.2% transmittance), good antifouling (121° water contact angle and 90° CH<sub>2</sub>I<sub>2</sub> contact angle) and moderate mechanical strength (pencil hardness of 4 H).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the good antifouling was due to the well dispersion of the methyl group (-CH<sub>3</sub>), derived from a small amount of MTMS/acid solution in the hybrid solution, on the substrate surface. From results of the pencil hardness test, the mechanical strength of AR coating film was improved as the content of MTMS/acid solution increased.

      • KCI등재

        투고논문 : 문순득 행적과 기록에 관한 차기(箚記)

        박현규 ( Hyun Kyu Park ) 동방한문학회 2012 東方漢文學 Vol.0 No.50

        본 논문은 조선 순조 연간에 일어났던 문순득과 그의 일행의 표류 행적과 기록에 관해 선행학자들이 다루지 않았거나 미진했던 몇 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전라도 牛耳島에 사는 문순득은 유구국에 표착한 이래 또 다시 여송국에 표착했다가 그 후 마카오, 중국 대륙을 거쳐 본국으로 귀환했다. 한문을 조금 할 줄 아는 문순득은 본국으로 귀환할 때 표류 과정을 담은 『路程記』를 가지고 있었다. 『노정기』는 훗날 丁若銓이 『漂海始末』을 편찬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이도 관할지 羅州牧이 기술한 문순득 표류담을 보면 현존 유일본 『표해시말』과 다른 내용이 일부 들어가 있어 또 하나 판본의 『표해시말』이 있었음이 분명하다. 『표해시말』에 기술된 장강 일대의 여정은 지명이 잘못되거나 앞뒤가 뒤섞여 있어 오류가 많다. 문순득 표류건은 국제적인 사건답게 당시 동북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여러 국가(마카오를 관장한 포르트갈 포함)가 관련되어 유구국 통사의 경우처럼 많은 사람들이 널리 인지하고 있었다. 문순득이 표류한 경험담은 조선 조정에게 교류가 힘든 다른 국가의 정보를 제공해주었고, 또한 실학자에게 해양 문화와 세계 인식을 촉발시켜 시야를 크게 넓혀주었다. 앞으로 조선의 대유구, 여송국, 마카오(포르트갈 포함)의 교류사, 유구국과 여송국의 풍속과 발음, 중국의 대여송국 이민사 등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믿어진다. This article is a academic writing that concentrates on a few matters concerning the drifting activities of Moon Sundeuk(文淳得; 文順得; 文順德) and his company in the reign period of Sunjo of Joseon dynasty, in which previous scholars did not notice or did incompletely. Moon Sundeuk who lived in Ui Island drifted on the coast of the Kingdom of Liuqiu(琉球; Okinawa) and then onto the Kingdom of Luzon(呂宋國; Philippines). Later on, he returned to his own coutry through Macao and China. Returning to his own country Moon Sundeuk who could understand a little Chinese took with him a book Lojeong ji(『路程記』) which recorded the course of drifting. It is estimated that later Jeong Yakjeon(丁若銓) might have utilized the book as basic raw material. The narrative of Moon`s drifting experience has provided to the court of Joseon useful pieces of information about other countries which were difficult to exchange and stirred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to realize the existence of marine culture and the world and then enhance their vision. I believe that this document will be utilize as very important material to research on the history of exchange between Joseon and the Kingdom of Liuqiu, Luzon, and Macao including Portugal; the custom of the Kingdom Liuqiu; the history of Chinese emigrant into the Kingdom of Luzon.

      • KCI등재
      • 「唐无染禪院碑」잔편 소개와 新羅人 金淸의 활동 의의

        박현규(Park, Hyun-kyu)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3 한국고대사탐구 Vol.14 No.-

        无染禪院은 산동반도 동단 昆?山 남쪽 기슭 무염사풍경구에 소재한 사찰이다. 무염선원에는 唐 光 化4년(901)에 세운 「唐无染禪院碑」가 있었다. 근자 무염원 일대에 군영이 생겼을 때 「唐无染禪院碑」가 파괴되었지만, 다행히도 최근에 파괴된 「당무염선원비」를 보완해 줄 유물 두 종이 나왔다. 하나는 중국 국가도서관에 소장된 탁본 「당무염선원비」이다. 탁본 「당무염선원비」는 기존 문헌 기록을 보완할 수 있는 비명과 비음기(측면과 후면)가 포함되어 있어 자료 가치가 매우 높다. 다른 하나는 무염선원 유지에서 발견된 원 비석 「당무염선원비」에서 쪼개진 잔석이다. 현재 발견된 잔석은 모두 5편이다. 「당무염선원비」에는 신라 국적을 가진 押衙 金淸의 활약상을 엿볼 수 있는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김청은 張保皐의 후예답게 신라인이 형성해놓은 산동-절동-한반도로 잇는 해상 네트워크를 십분 활용하여 물자 교역으로 커다란 부를 축적했다. 무염선원은 적산 법화원과 더불어 나·당 양국 우호교류를 상징하는 사찰이다. 무염선원 중창 역사에 나·당 양국의 지역 수장과 유력자가 참여했다. 최근 무염선원이 무염사풍경구 안에 조그만 규모로 새로 중건되었다가, 아쉽게도 불과 몇 년 만에 다시 폐쇄되었다. 앞으로 조만간에 국내외 관계자들이 다 같이 힘을 보태어 무염선원이 예전의 활기찬 모습을 되찾고 「당무염선원비」가 복원되어 다시 세워지기를 기대한다. Temple of Wuran is located at the southern foot of Kunyu Mountains(昆?山), East of Shandong(山東) Peninsula. There was a tombstone established in 901 in Temple of Wuran. The tombstone was destroyed recently when a military camp was built nearby. Fortunately, two artifacts which would supplement the disappeared tombstone were excavated there. The one is a rubbed copy of the tombstone in possess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The value of the rubbed copy of the tombstone as materials is high in that it includes an epitaph which can complement existing documentary records. The other is a broken pieces of the tombstone found in the ruins of Temple of Wuran. The total number of the pieces are five. The tombstone include a record which shows the activity of Kim Cheong with Silla nationality. Kim Cheong accumulated wealth through trade taking the advantage of maritime network linking Shangdong, Eastern Zhejiang(Zhedong: 浙東) and Korea, which was formed by Silla Koreans. Temple of Wuran is a temple symbolizing the exchange of friendship between Silla and Tang China. The local readers and men of power in the two nations took part in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Recently, Temple of Wuran was newly rebuilt in small scale in the Scenic District of Temple of Wuran. I expect that Temple of Wuran will recover its former lively look and the tombstone to be reerected.

      • KCI등재

        논문(論文) : 대만(臺灣) 이일도(李逸濤) ≪춘향전(春香傳)≫의 텍스트 출처와 특징 - 일본(日本) 高橋佛焉 ≪춘향전(春香傳)の경개(梗槪)≫와 비교를 위주로

        박현규 ( Hyun Kyu Park )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The Textual Source and the Distict Features of the Chunxiang zhuan(≪春香傳≫) of Li Yitao(李逸濤) Edition in Taiwan:Focusing on Comparing It with Takahashi Futsuyen(高橋佛焉)`s Shunkoden no gogai(≪春香傳の梗槪≫)Chunxiang zhuan of Li Yitao`s edition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 Hanwen(漢文) Taiwan ririxinbap of Taiwan in 1906 is the earliest Chinese edition published in Chinese cultural areas. It was based on 16 pages` woodblock edition(A) of Chunhyang jeon(≪春香傳≫; 京版16章(가)), 16 pages` woodblock edition(B)(京版16章(나)), 17 pages edition(京版17章), 23 pages edition(京版23章), and 20 pages edition in Anseong(安城版20章) and Takahashi`s Shunkoden no gogai. But Chunxiang zhuan of Li`s edition contain so many scenes which does not appear in Chunhyang jeon or Takahashi`s Shunkoden no gogai. In other words, Li broke from the level of literal translation of text or simple adaptation to add many newly created contents and made it a kind of adaptation which is closed to creative work. There are three element forming the background that Li could adapt drastically Chunhyang jeon. First, there were many rooms for newly adaptation because the text of Shunkoden no gogai is an abridged translated edition. Second, the author changed it into a Taiwan style with China-centered notion. Finally, he introduced a new technique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new nowel. I think Li`s Chunxiang zhuanh is worthy of notice in the light of the extention of Korean traditional novel and study on it`s pedigree of overseas editions.

      • KCI등재

        1621년 조선·명 海路使行의 媽祖 사적과 기록 분석

        박현규(Park, Hyun-Kyu)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 No.40

        본 논문은 17세기 초반 조선 사은사, 진위사와 명 등극조사가 함께 첫 번째 해로사행에 나서면서 마조와 관련된 사항을 찾아보고 분석한 글이다. 마조는 원래 湄洲島와 그 일대에 바다를 보호하는 신이다. 훗날 조정의 비호와 관방의 관심 아래 국가의 제전으로 승격되었다. 해로 사행과 관련된 마조 사적은 국가 제전으로 발전하고 신앙을 전파하는데 중대한 매개체로 활용되었다. 1621년(광해군 13; 천계 1)에 조선과 명나라는 뜻하지 않게 이백년 동안 중단되었던 해로 사행을 다시 열었다. 첫 번째 중국행 해로사행은 조선 사신과 명나라 사신이 조선 조정에 제공한 선박을 타고 평안도 安州에서 산동 登州까지 들어갔다. 이번 해로사행에 일어났던 마조 기록과 일화는 사행자의 심리 변화와 廟島列島의 마조 현황과 발전 과정을 알아보는데 좋은 자료이다. 명 등극조사 劉鴻訓은 묘도 마조묘의 募緣 책자에다 해로에서 두 차례나 체험한 마조 영험을 적은 募緣文을 남겼다. 타기도와 묘도에 각각 향불이 계속 타오르는 천비묘가 있었다. 묘도 천비묘가 타기도 천비묘에 비해 조금 크고 넓었으나 묘우 상태가 많이 퇴락하였다. 훗날 유홍훈의 마조 사적은 유홍훈 자신의 입장 변화와 조정에 상주하지 않았던 관계로 다른 송명 사신들의 마조 사적에 비해 후대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유홍훈과 함께 해로사행에 나선 조선 서장관 安璥은 중국으로 갈 때 마조에 대해 별다른 반응이 없다가, 귀국할 때는 많은 변화를 보였다. 안경은 해로 귀환의 험준함, 출항 시기의 부적합, 조난 사고에 대한 풍문, 뱃사람의 사기 진작 등은 안경으로 하여금 묘도 마조묘에 나가 향을 사르고 제문을 지었다. 안경 이후 등주노선으로 나가는 조선 사신과 뱃사람들은 묘도 천비묘를 참배하거나 마조 신앙을 신봉하는 행위를 보였다 Mazu(?祖) was originally a goddess who protected the sea in the region of Meizhou Island(湄洲島). Later she was promoted to be a national goddess under the patron of governmen. The historical sites conerning Mazu was utilized as an important media to elevate into a national festival and propagate belief. Joseon(朝鮮) and Ming(明) China reopend accidently the maritime route of envoy journey which had closed two hundred years. The first maritime journey of envoys of Joseon and Ming China was done starting from Anjoo(安州) of Pyongyang province(平安道) to Dengzhou(登州) of Shandong(山東) by ships which were provided by Joseon court. The records about Mazu and concerning anecdotes occurred during the first maritime journey are very good materials to study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popular anecdotes in the region of Jinjiang(晋江) later days. The anecdote of Mazu composed by Yang Daoyin(楊道寅), a Ming envoy, which was based on his own experience in the course of journey to Korean. The anecdote was spread widely among people around him. Later, the ancedote combined with the belief of Mazu while spread into the region of Jinjiang, his native place and transformed into a new form.

      • KCI등재

        중국 지역 한국학 고문헌 정리 현황과 수집 방향

        朴現圭 (Park, Hyun-kyu)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본 논문의 중국 지역은 중국 대륙과 대만, 홍콩, 마카오 지역을 지칭한다. 중국 지역은 예로부터 한국과 밀접한 교류 역사가 있어 한국학 고문헌이 매우 많이 소장되어있다. 지금까지 중국 지역에서 한국학 고문헌을 조사한 도서관의 숫자는 근 60곳이고, 한국학 고문헌의 전체 양은 3천 부 정도이다. 이와 관련된 서목이나 논문은 수십 편 정도이다. 한국학 고문헌을 조사한 도서관의 숫자는 중국 전체 중대형 도서관의 숫자에 비해 채 10%도 되지 않는다. 이 수치는 앞으로 우리가 조사해야할 도서관의 숫자는 매우 많이 남아있다는 현실을 대변해준다. 국내 기관이나 학자들이 중국 지역에서 한국학 고문헌을 효과적으로 조사하는 방안으로 각 지역별로 편찬한 연합 서목, 각 도서관의 서목, 전산검색시스템 내부 목록과 내부 관계자를 활용하고, 한국학 고문헌의 자료 해제와 서지 사항을 철저히 조사하며, 한국학 고문헌의 가치와 접근 방식에 대한 인식 변화, 그리고 중국 지역의 특수성을 파악하여 장기적인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In the present study, the Chinese region includes Chinese continent, Taiwan, Hong Kong and Macao. As the Chinese region has a long history of close interaction with Korea, an ample amount of ancient Korean literature has been collected. Currently, 60 libraries in the Chinese region have investigated ancient Korean literature and the collection is around 3000 works. There are about a dozen of catalogs and studies about ancient Korean literature. The number of libraries that have been covered in this study is less than 10% of the major ancient literature libraries. Thus, there are a lot of libraries that should be examined. An efficient methodology for the ancient literature examination for domestic institutes and researchers is utilizing regional union catalogs, catalogs of each library, electronic search system, and internal information that is closed to the public. Scrutinizing bibliographical introductions to ancient Korean literature, changing the perspective of the value of ancient Korean literature and the way of approach, and the long-term strategy considering the special characters of the Chinese region are also essential for studying ancient Korean literature in the Chines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