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한문학 전공 강의의 교수학습방법론과 대중화 방안

        김종민 우리한문학회 2024 漢文學報 Vol.50 No.-

        지금까지 한문학 또는 한문고전의 대중화를 논의할 때, 한문학을 가르치는 사람의 입장에서 그 방안을 모색하는 사례가 많았다. 본고에서는 한문학의 대중화와 대학 강의 현장에서의 교수-학습이 어떻게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가를 논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그간 한문학계의 학회나 고전문학계의 학회들이 한문학 연구의 대중화, 한문 고전의 현대적 활용 등의 기획주제를 통해 학회 차원에서 개최한 학술대회를 돌아보았다. 한문학 전공 강의에서의 대중화 방안으로 1) 대중의 기호에 맞는 번역 모색, 2) 현토 낭송의 활성화, 3) 문자콘텐츠 제작 – 리라이팅, 4) 영상콘텐츠 제작, 5) 한문고전 선정과 리뷰의 디지털 아카이빙 등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한문학 대중화의 관건은 한문 번역이므로 대중의 기호에 맞는 번역을 모색해야 한다. 학습자가 한문에 익숙해지기 위해 현토를 해서 낭송하는 방법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한문고전의 리라이팅은 교수자의 지도 하에 원문과 기존번역을 숙독하고 참신한 재창조를 위해 노력하여 나만의 작품을 제작한다는 성취감과 희열을 학습자에게 줄 수 있다. 한편, 한문고전 영상콘텐츠에서도 적절히 자막을 넣는 작업이 매우 중요한데, 오류 없이 핵심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은 한자한문의 소양을 통해 길러진다. 전공 강의 수강생들도 문화콘텐츠의 제작이 한문학 대중화의 첩경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므로 그 주체의 한 축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 대학 전공강의에서 교수자는 한문고전 독후감을 과제물을 효율적으로 아카이빙해야 하며 이 리뷰 대상 도서 선정에도 공정한 안목으로 임해야 할 것이다. Until now, when discussing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or Chinese classics, there have been many cases of seeking a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a teacher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 this paper, we discussed how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teaching-learning in the university lecture field can be effectively linked. To this end, first, academic conferences held at the academic level by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societies and classical literature societies through planning topics such as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research and the modern use of Chinese literature classics were looked back. As a way to popularize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lectures, five things were suggested: 1) seeking translation that fits the public's preferences, 2) activating recitation to the local area, 3) producing text content - rewriting, 4) producing video content, 5) selecting Chinese literature classics, and digital archiving of reviews. Since the key to popularizing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s the translation of Chinese characters, it is necessary to find a translation that suits the public's preferences. In order for learners to become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it is also necessary to actively introduce a method of reciting them with the local language. Rewriting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 university lectures deserves to bring to learners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joy that they have produced their own work by reading the original Chinese characters and existing translations, contemplating for cre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very important to properly add subtitles in video content of Chinese classics, and the ability to provide core information without errors is cultivated through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Major lecture students also recognize that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is the cornerstone of popularizing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so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it as one of the main pillars of the subject. In university lectures, instructors should efficiently archive the assignments of Chinese literature classics and should also make a fair eye on selecting books to be reviewed.

      • KCI등재

        20세기에 진단한 한국 한문학의 실태 –일제강점기 기고 글을 중심으로

        김보성 우리한문학회 2024 漢文學報 Vol.50 No.-

        인문학의 위기는 꾸준히 거론되었다. 21세기를 처음으로 맞이할 무렵, 인문학자들은 과학과 공학의 위상이 높아진 상황에서 사이버문화에 필요한 인문학 연구를 모색하거나, 새로운 문학서비스 패러다임을 구축할 것을 권고했다. 20여 년이 흐른 현재에는 인공지능(AI) 시대에 걸맞은 인문학으로 거듭나기 위해 인문학과 과학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디지털인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개척된 것이다. 한문학은 한문으로 된 문학을 다루는 분야이자 한문으로 된 문헌을 이야기하는 학문이다. 즉, 한문학은 문학이라는 하나의 정체성을 넘어 여러 분야를 포괄하는 인문학의 성격도 지닌다. 따라서 한국 한문학의 과거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한국 인문학의 미래를 읽어내는 길이 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과거’는 한국 한문학의 위기를 처음 공개적으로 선언한 20세기 초반과 해방 전후 나라의 기틀이 신설되기 시작한 20세기 중반을 가리킨다. 20세기 초반에는 ‘한문학’과 ‘신문학’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1914년 6월 매일신보 에 실린 윤상현의 「한문학의 쇠퇴」는 한국 한문학의 가치와 효용을 설파했다. 그는 신문학을 제대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한문학에 정통해야 하며, 언론·사회·학계 등이 힘을 합쳐 청소년이 한문을 배우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해 7월 매일신보 에 실린 청엄의 「한문학 쇠티론을 읽고」는 윤상현의 글을 전면으로 반박했다. 인신공격에 가까운 비방이나 그중 서양인이 동양 서적을 수입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냉철히 분석하여 참조할 만하다. 20세기 중반에는 ‘한자’와 ‘한글’을 두고 의견 대립이 팽팽했다. 정래동의 「고전연구의 제문제」와 「한문교육에 관한 관견」은 ‘조선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연구’와 ‘조선의 사실을 정리하는 연구’의 장단점을 파악하여 절충할 것, 중학교 한자교육의 체계를 정비할 것 등 한국 한문학 연구·교육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상의 20세기 초중반 글에는 현재에도 생각해볼 만한 화두와 적용해볼 만한 방안이 없지 않다. 한 세기 전에 이루어진 한국 한문학 담론을 거울삼아 21세기 한국 한문학이 나아갈 길을 꼼꼼하게 살피는 작업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The crisis of humanities has been consistently discussed. As the world entered the 21st century, scholars in the humanities recommended exploring humanities research necessary for cyberculture or establishing new literary service paradigms amid the increased prominen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Now, over 20 years later, efforts are actively made to transform humanities into a discipline suited for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by actively attempting to integrate humanities and science. This has led to the emergence of a new field called ‘digital humanitie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韓國漢文學) refers to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nd the study of document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Thus,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ncompasses various fields beyond the realm of literature, embodying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humanities. Therefore,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may offer insights into the future of Korean humanities. Here, 'the past' refers to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crisi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as first publicly declared and the mid-20th century when the foundation of the nation began to be established before and after liber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as a debate betwee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new literature.’ Yoon Sang-hyun’s “The Declin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aeil Shinbo in June 1914, criticized the value and utilit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e argued that to properly accept new literature, one must be proficient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at the media, society, and academia should join force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youth to lear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n the same year, Cheong Eom’s “Reading the Theory of the Declin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the Maeil Shinbo in July refuted Yoon Sang-hyun’s article entirely. It provided a thorough analysis of the reasons why Westerners import Eastern books, which could be considered a near-personal attack or defamation. In the mid-20th century, there was a fierce debate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Hangul.’ Jung Rae-dong’s “The Core Issues of Classical Studies” and “Observations o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presented the direc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and education, acknowledg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tudies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Korea and those organizing Korea’s facts. The discussions in the early to mid-20th century still present topics worth considering and avenues worth exploring today. It is essential not to overlook the task of meticulously examining the pa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ll take in the 21st century by using the discourse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from a century ago as a mirror.

      • KCI등재

        대학교(大學校) 교양한문(敎養漢文) 강의(講義)에 대한 소고(小考) - 홍익대학교교양한문(弘益大學校敎養漢文)(초급(初級)) 강의(講義)를 중심(中心)으로 -

        趙赫相 ( Cho Hyuk-sa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2 No.-

        본고는 현재 대한민국의 각 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교양한문 및 기초한문 과목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2013년 제1학기부터 2019년 하계계절학기까지 총 7년간 홍익대학교에서 본 연구자에 의해 교수된 ‘교양한문(초급)’ 과목의 교육과정을 소개함과 동시에, 2학점에서 3학점으로 이수학점이 변경되면서 아울러 이루어진 교육내용의 변화양상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해당 강의 교재 및 교보재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수업진행방식과 시험방식·성적산출방식에 대해서도 차례대로 논하였으며, 현재 홍익대학교 교양한문 과목의 교육현황을 드러내는데 그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 시점에서 교양한문의 발전방안을 논해본다면, 첫 번째, 교양한문 수업에 있어서 한자쓰기 과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유념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부여해야 한다. 두 번째, 교양한문 강의 내용의 범주를 단순한 낱글자의 뜻이나 텍스트 내용 전달에 국한시켜서는 안되고, 영화나 만화 등 현대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반적인 문화학 범주의 강의들로 변모시켜야 한다. 세 번째, 외국인 학생들이 교양한문을 수강할 경우 교육과 평가에 유념을 해야 한다. This paper explores what constitute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for teaching students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and basic Chinese characters(Gyo-yang han-mun, Ki-Cho han-mun) in universities of the Republic of Korea. First of all, I explain the teaching materials and grades, focusing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School of Liberal Arts and literature courses in HongIk University from 2013 to 2019. Based on this, if we are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Gyo-yang han-mun at this time,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first Chinese character writing task is essential for the Gyo-yang han-mun class. Second, the categories of Gyo-yang han-mun lectures should not be limited to simple letter interpretation or text messaging, but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ose of the overall cultural categories that actively utilize modern media such as movies and cartoons. Third, foreign stud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education and evaluation when they take Gyo-yang han-mun classes.

      • KCI등재

        일본 식민지기 한국의 한문교육 -2차 조선교육령기 『普通學敎漢文讀本(보통학교한문독본)』,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을 중심으로-

        정세현 ( Sehyon Jeong ) 우리한문학회 2015 漢文學報 Vol.32 No.-

        동아시아의 文語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漢文은 근대기 한국과 일본에서 한문 폐지론, 한문교육 폐지론 등의 여론이 일어나 학문으로서 사멸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었다. 明治維新 이후 서양화 일변으로 가던 일본에서 敎育勅語가 발표되고 다시금 유교의 정신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면서 한문과 동아시아 고전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기 시작했다. 한문이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동아시아의 사상과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부각되면서 한때 위기에 처했던 한문교육은 공교육 과정 속에서 계속 이어질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근대기 한문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검토하고 조선총독부의 교과서정책이 한문교과서에 끼친 영향과 교과서의 구성과 특성을 검토한다. 특히 2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총독부가 간행한 『普通學校漢文讀本第五學年用』 『普通學校漢文讀本第六學年用』 그리고 『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권1~권5를 통해 조선총독부의 교과서 간행 방침과 실제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2차 조선교육령기 한문교과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도록 한다.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East Asia was an era of change in which new philosophy and scholarship, technologies and culture entered the region. There were movements to both reject and protect the values and traditions of the pre-enlightenment era. Japan, which had begun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movement first, brought in legal and government systems from the West. These systems quickly influenced education. Scholarship in East Asia consisted of memorization and reci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importation of Western academics greatly changed this paradigm. In this social milieu, the meaning of a Confucian education was brought into question, with some dissenters even claiming that it impeded the progress of society. Debates culminated in the advocacy of elimination of classical Chinese altogether. In this paper I will be focusing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s compare with education polic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22~1938).

      • KCI등재
      • KCI등재

        2007年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에 관한 硏究 -中學校 漢文科 敎育課程 解說書를 중심으로-

        송병렬 우리한문학회 2008 漢文學報 Vol.18 No.-

        Many researchers have questioned about several issues of 7th National Curriculum. Two major issues were system of the contents and grammar described in it. Hierarchy is the main issue about the system; it is unreasonable that classical Chinese comprises practical words in daily lives. They insist, therefore, the system be reorganized based on 'function' and 'comprehension'. Grammar had three major issues. As for sentence element, range of complement was uncertain. As for sentence pattern, one identical sentence could be figured in many different patterns. Lexical category was not mentioned at all, making it impossible how to classify the category. Every field was revised in the new edi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ommentary book. As for 'character' and 'objective' fields, knowledge in Classical Chinese took priority over reading comprehension and practical words. In 'contents system', considering scientific characteristics, 'classical Chinese' field consists of linguistic, literary, ideological, and cultural comprehension, while newly organized 'knowledge in Classical Chinese' field, consider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consists of grammatic comprehension. In 'contents', 'Classical Chinese' and 'knowledge in Classical Chinese' fields have their equivalent contents for each part. Lexical category is added to the grammar part. As for 'sentence element', the range of object has expanded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difference between object and complement. An element following ‘有·無’ is defined as an object, rejecting former definition of complement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s for 'teaching learning method' and 'assessment', concepts with wrong definition were corrected with accurate definition or new examples. In consequence, the new curriculum is not a supplement but a total revis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여러 연구자들이 제7차 교육과정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서 문제제기를 하였다. 이 때 제기된 문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교육과정 내용체계이고, 다른 하나는 교육과정에 서술된 문법이다. 내용체계에 대한 문제제기는 주로 위계성을 두고 제기되었다. 언어 생활의 한자어가 한문의 내용체계에 끼어 있는 것이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능’과 ‘이해’라는 두 개의 축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하였다. 문법에 대한 문제제기는 주로 문장성분과 문형의 개념과 품사의 분류에 대한 기준을 두고 문제제기 되었다. 문장성분은 주로 보어의 범위의 애매성과, 문형은 동일한 문장을 두고 여러 개의 문형으로 판단되는 것이 문제였다. 품사는 아예 거론되지 않아서 품사의 분류를 어떻게 할 지 모르겠다는 문제였다. 그러나 새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성격’ ‘목표’ ‘내용체계’ ‘영역별 내용(한문 문법 포함)’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 전 분야에 걸쳐 개정하였다. ‘성격과 목표’에서는 한문지식에 대한 학습을 우선하고 그 하위에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의 활용을 하도록 하였다. ‘내용체계’는 학문적 성격을 고려하여 한문에 대한 언어적, 문학적, 사상적, 문화적 이해 전반을 ‘한문’ 영역으로 설정하였고, 한문 과목의 언어적 특질을 고려하여 한문에 대한 문법적 이해 측면을 별도로 ‘한문지식’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영역별 내용’에서는 각 내용을 ‘한문’과 ‘한문지식’ 영역에 맞게 하였으며 문법에서는 품사론을 삽입하였으며, 성분론에서 목적어와 보어의 개념의 혼란을 정리하기 위해서 빈어라는 용어를 새로 사용하였다. 7차에서 ‘有 · 無’ 뒤에 오는 성분을 보어로 규정한 것을 새 교육과정에서는 빈어로 하였다.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는 명칭과 다르게 정의되었던 개념을 용어에 맞게 개념 정의를 달리하거나 예시를 바꾸었다. 따라서 새 교육과정은 부분을 보완한 것이 아니라, 제7차 교육과정을 전면적인 개정으로 체계화를 시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전통적 지식 서술과 근대적 기술 포착의 공존장-「南洪量傳」을 중심으로-

        한의숭 우리한문학회 2023 漢文學報 Vol.48 No.-

        This paper corresponds to an approach to the aspect and perspective of the incorporation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through Chinese novels, focusing o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For example, this paper noted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which seems to have been crea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is characterized by the active use of authentic precedent and the use of various Chinese style styles, which is highlighted as a characteristic of Chinese novels in the 19th century ente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At the same time, it is confirmed that the pattern of modern external stimuli is introduced into the work and reflects some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customs. Of course,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alone cannot fully explain the detailed aspects and perspectives of competition and conflict over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in Chinese literature novel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owever, starting with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it is intended to take one aspect of the embedded perspective on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inherent in the works created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 the end, this point leads to confirming from what perspective the situation surrounding literature- oriented traditional knowledge and material-oriented modern technology is incorporated and reflected in the genre of fiction. This is confirmed not only in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but also in the case of <Kimcheongnammongyurok(金靑楠夢遊錄)>, which is determined as a work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attitude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times can be confirmed in the novel by using machine-related vocabulary referring to modernization. However, in the perspective inherent in the work, it is seen that while acknowledging the reality of modernization represented by machines, there is a fear of the power of modern machines in both ways. At this level, it is worth noting that a group of Chinese long-length novels from th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ies, including 「Namhongryangjeon(南洪量傳)」 serve as a coexistence field where traditional knowledge and modern technology are combin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co-existence refers to a text that emphasizes openness to engage in various discussions using the genre of fiction that can be imagined away from the form and norm-oriented unilateralism of the official text of the coll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narrative text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cluding the 19th century Chinese character novel, to use various Chinese style as writing methods to convey discussions away from the narrative-oriented genre of fiction. This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fact that Chinese novels are read in a way that responds to changes in the times, and that the author base, who can create Chinese-language novels, is willing to reorganize the text into a new writing field. This point is also a part that needs to be delicately and approached through a complex and multi-layered perspective that penetrates the author, reader, and era, away from the genre perspective, so I would like to highlight it in earnest through a later review. 본고는 근대이행기를 중심으로 전통적 지식과 근대적 기술이 착종되는 양상과 시각을 한문소설을 통해 접근한 것에 해당된다. 본고에서는 일례로 20세기 초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는 「南洪量傳」을 주목하였다. 「남홍량전」은 근대 이행기로 접어드는 19세기 한문소설의 특징으로 부각되는 전고의 적극적 사용과 다양한 한문 문체 양식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러면서도 근대적 외부 자극이 인입된 양상을 작품 속에 틈입시켜서 전통과 근대의 습합을 일정 부분 반영한 양상이 확인되기도 한다. 물론 「남홍량전」만을 가지고 근대 이행기 한문소설에서 전통적 지식과 근대적 기술을 둘러싼 각축과 갈등의 세부적 양상과 시각을 온전히 설명할 수는 없다. 다만 「남홍량전」을 필두로 근대 이행기에 창작된 작품 속에 내재된 전통 지식과 근대적 기술에 대한 착종된 시선의 일면 간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점은 결국 근대 이행기를 중심으로 문헌 중심 전통 지식과 물질 중심 근대 기술을 둘러싼 국면이 소설이라는 장르 속에 어떤 시각으로 습합, 반영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이 점은 「남홍량전」뿐만 아니라, 같은 20세기 초 작품으로 비정되는 「金靑楠夢遊錄」의 경우에도 확인되는 것으로 근대화를 지칭하는 기계 관련 어휘들을 사용함으로써 시대 변화에 반응하는 태도를 소설 속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작품에 내재된 시선 속에서는 기계로 대변되는 근대화의 현실을 인정함과 동시에 근대적 기계의 위력에 대한 공포가 양가적으로 존재하는 게 엿보이기도 한다. 이런 차원에서 「남홍량전」을 위시한 일군의 19~20세기 초 한문장편소설은 전통적 지식과 근대적 기술이 동시에 습합된 공존장의 역할을 하는 텍스트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때 공존장이란 문집이라는 공식적 텍스트가 가진 형식과 규범 지향의 일방성에서 벗어나 상상이 가능한 소설이란 장르를 활용해 다양한 의론을 펼칠 수 있는 개방성이 강조된 텍스트를 지칭한다. 따라서 19세기 한문장편소설을 위시한 근대 이행기 한문서사 텍스트에 대해서는 소설이라는 서사 중심적 장르 관점에서 벗어나 의론을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한문 문체 양식이 글쓰기 방식으로 활용, 구현된 텍스트로 관점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시대 변화에 한문소설이 대응하는 방식으로 읽힘과 동시에 특히 한문장편소설을 창작할 수 있는 작가층이 새로운 글쓰기의 장으로 텍스트를 재편하려는 의지가 투영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이 점은 비단 장르적 관점에서 벗어나 작가와 독자, 시대를 관통하는 복합적이고 중층적 시각을 통해 섬세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후고를 통해 본격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초기한문학에서의 전기(傳奇) - 「최치원(崔致遠)」의 경우

        정환국 ( Jung Hwan-kuk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4 No.-

        이 글은 한국 초기한문학에서의 傳奇의 성격과 역할을 따져 본 것이다. 그 대상은 「崔致遠」이다. 그동안 나말여초 전기는 주로 소설사에서만 다루어져 왔고, 한문학 일반과는 별개의 대상인 양 취급되어 왔다. 하지만 전기의 성립 자체가 唐代 한시문의 혁명인 근체시, 고문운동과 궤를 같이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한문학과 애초 분리된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전기는 한문학의 범주 안에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확장성을 담보하는 대상이었다. 그럼에도 한국 초기한문학의 경우 자료의 존재 양태가 불안정한 데다 종류도 다양하지 않다보니 대개 한시 위주로 재단되어 왔다. 이런 현실에서 나말여초 전기 작품인 「최치원」을 포함시켜보면 상황은 달라진다. 「최치원」은 산문과 운문을 교직하여 주인공의 내면심리와 서사의 흐름을 일신한 새로운 서사 장르였다. 특히 한시의 비중이 절대적인 작품이다. 당대 유행하던 근체시를 적극 활용하여 남녀 주인공의 교감을 극대화하는 한편 가행체 장편시를 마지막에 배치하여 전체 서사를 갈음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주인공들이 화답한 염정시편과 전체의 서사를 통관하는 장편시는 이 시기 일반 한문학에서는 볼 수 없는 한시분야의 새 국면이었다. 내용면에서도 주인공들이 추구한 지기에의 욕망은 당대 소수의 유가지식인, 다시 말해 초기한문학의 창작 주체들의 세계관적 기저와 맞닿아 있었다. 이 외에도 일반 한문학에서 원용되는 經史 典故와 그 연원이 다른 이야기(서사) 전고가 이 작품에서 시작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전고의 활용은 한문학 글쓰기에서 중요한 요소였던바, 일반 전고와는 다른 서사 전고의 출현은 이 시기 한문학의 또 다른 면모라 하겠다. 결과적으로 「최치원」은 형식과 내용 면에서 한국 초기한문학의 지평을 확장시킨 작품으로, 초기한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을 조정시킬 대상임이 분명하다. 향후 한문학사의 구도에서도 한시문과 한문서사를 함께 보는 안목이 필요한 이유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functions of Jeon-gi of Early Sino-Korean literature. The main subject is Choi Chiwon. Jeon-gi written in the period of Late Shilla-Early Corea has been recognized as a separate subject from the Sino-Korean literature while it being discussed merely in the history of novel until today. However, Jeon-gi could not be separated from Sino-Korean literature since it shares the ideas of the lineage of classical Chinese verse and the Movement of Ancient Chinese Prose in the Tang era. Thus, Jeon-gi is a subject that requires more attention besides the fact that it needs t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Sino-Korean literature. Moreover, the insufficiency of material has led the examination of Early Sino-Korean literature being focused mostly on Han-si(漢詩). Under these circumstances, including Choi Chiwon would change the paradigm. Choi Chiwon opened a new genre that had interwoven prose and poetry to create a meaningful change in the narration and the psychology of the main character. Han-si had been given the absolute role in the piece. The author had efficiently utilized the trending verses to maximi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while placing a long Cursive Song poem at the end of the piece to replace the whole narration. The harmonious poetry of the main characters and the long Cursive Song poem had opened a new phase in the field of Han-si. Further more, the desire to find a soul-mate was adjoining with the thoughts of the authors of Early Sino-Korean literature. The use of literary quotations[典故] from Confucian Classics and Shi-ji(史記) had also started with the piece. The utilization had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stituent in writing Sino-Korean literature as well. In conclusion, Choi Chiwon needs to be recognized as the piece that had widened the area of Early Sino-Korean literature and also a piece that has an impact on the understanding of it. This is also the reason why the poetry and the prose need to be discussed at the same level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 KCI등재

        벽초(碧初) 홍명희(洪命憙)의 한시(漢詩)에 대하여

        김진균 ( Jin Kyun Kim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4 No.-

        洪命憙(1886∼1968)는 근대사의 중요한 결절점에서 활동하였고 근대문학의 중요한 성과인 『임꺽정』의 작가인 것은 분명하지만, 한편으로는 17편의 한시가 남아 있는 한시작가이기도 하다. 그는 唱酬詩·輓詩와 같은 전통적 교양의 관습에 의한 한시도 지었고, 근대사를 관통하며 살아간 개인의 서정적 내면을 담은 한시들도 창작하여 근대매체에 게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근대인의 내면이 중세적 양식의 잔존인 漢詩로 형상화된 것은 다시 우리 근대문학에서 한문학의 문제를 재론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Hong Myeong Hee(1886∼1968) had activities in the important knotty terms of modern history and had a important position of modern literary history as the author of Lim-keok-jeong. However, he was a poet who composed Chinese character poems. There are remaining seventeen Chinese character poems written by him. He had written poetry in the form of questions and answers, and poetry in token of respect to the memory. That was the poerty of traditional customs. On the one hand, he had wrote poetry of modern Lyricism of the individuals in the static inner mind. He released his poerty for publication at modern media. That was a combination of modern lyric and medieval form. Sino-Korean literature of old civilization was alive in the period of early modern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