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획 화재 시 벽면 재료 특성과 헵탄의 질량유속 상관관계 실험

        박정욱,신연제,김정용,유우준 한국화재소방학회 2019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3 No.1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wall and the fuel mass flux in compartment fire. The fire resistant board (fire-board) and steel plate compartments are constructed with a 0.3 m width, 0.5 m height and3.0 m length. To obtain the mass loss rate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fire origin in compartment, experiments of aheptane pool fire are performed with a combustion area of 0.01 ㎡ and 0.0225 ㎡. The results show that the initial massflux of heptane, 0.0087 kg/㎡·s, is increased to 0.166 kg/㎡·s for fire board and 0.019 kg/㎡·s for steel plate. It meansthat the fire-scenario should be considered with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properties and geometric shapesof the compartment to predict fire propagation accurately in a compartment space. 본 연구에서는 구획 화재 시 벽면을 구성하고 있는 재료 특성과 질량 유속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내화보드와 철판 각각을 사용하여 폭 0.3 m, 높이 0.5 m 그리고 길이 3.0 m의 한 쪽 면이 밀폐된 구조물을 제작하였으며, 헵탄 풀 화재 실험을 수행하여 연소면적 0.01 ㎡과 0.0225 ㎡ 각각에 대해서 화원의 위치 변화에 따른 질량감소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헵탄의 질량 유속은 연소 초기 0.0087 kg/㎡·s에서 내화보드 구조물의 경우 최대 0.166kg/㎡·s로 증가하였으며, 철판 구조물의 경우 최대 0.019 kg/㎡·s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획 공간에서 화재 확산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열적 특성과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하여 화재시나리오가구성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암반공동 열에너지저장소 주변 암반의 열-수리-역학적 연계거동 분석

        박정욱,류동우,신중호,박의섭,Park, Jung-Wook,Rutqvist, Jonny,Ryu, Dongwoo,Synn, Joong-Ho,Park, Eui-Seob 한국암반공학회 2015 터널과지하공간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TOUGH2-FLAC3D 연계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암반공동에 고온의 열에너지를 30년간 저장하는 경우 주변 암반에 야기되는 열-수리-역학적 연계거동을 살펴보았다. 열에너지저장에 따른 암반의 거동 특성 및 환경 영향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제어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저장소 주변 암반에서 발생하는 열-수리 흐름과 역학적 거동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본해석으로서 결정질 암반 내 원통형 공동에$350^{\circ}C$의 대용량 열에너지를 저장하는 경우를 모델링하였으며, 열에너지저장소의 단열성능은 고려하지 않았다. 암반 내 열전달의 주요 메카니즘은 암반의 전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암반의 역학적 거동은 수리적 요소보다는 열적 요소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반과 지하수 가열에 따른 유효응력 재분포 양상과 열팽창으로 인한 암반 변위 및 지표 융기를 검토하였으며, 주변 암반에서의 전단파괴 위험도를 정량적인 수치를 통해 제시하였다. 암반 가열에 따른 열팽창으로 인하여 지표면에서 수 cm의 융기가 발생하였으며, 저장공동 상부에 인장응력이 크게 발달하면서 전단파괴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thermal-hydrological-mechanical (T-H-M) behavior of rock mass surrounding a high-temperature cavern thermal energy storage (CTES) operated for a period of 30 years has been investigated by TOUGH2-FLAC3D simulator. As a fundament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and control technologies for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rock mass behavior associated with CTES, the key concerns were focused on the hydrological-thermal multiphase flow and the consequential mechanical behavior of the surrounding rock mass, where the insulator performance was not taken into account. In the present study, we considered a large-scale cylindrical cavern at shallow depth storing thermal energy of $350^{\circ}C$.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dominant heat transfer mechanism was the conduction in rock mass, and the mechanical behavior of rock mass was influenced by thermal factor (heat) more than hydrological factor (pressure). The effective stress redistribution, displacement and surface uplift caused by heating of rock and boiling of ground-water were discussed, and the potential of shear failure was quantitatively examined. Thermal expansion of rock mass led to the ground-surface uplift on the order of a few centimeters and the development of tensile stress above the storage cavern, increasing the potential of shear failure.

      • KCI등재

        만성 긴장형두통 및 편두통 환자들에서 세로토닌 수송체 다형성과 위해 회피 인성차원

        박정욱,김중석,김영인,이광수 대한신경과학회 2005 대한신경과학회지 Vol.23 No.2

        Background: Serotonin transporter protein (5-HTT) is a key modulating protein in synaptic serotonergic neurotransmission. Among serotonin gene-linked polymorphism, the promoter, located in the regulatory region of the 5-HTT gene linked polymorphic region (5-HTTLPR), has two alleles with different transcriptional efficiencies. The harm avoidance (HA) personality dimension, estimated by a self-administered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TPQ), has been postulated to be heritable and associated with serotonergic neurotransmitter activity. We therefore investigated 5-HTTLPR and HA in patients with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and migraine. Methods: We amplified the 5-HTTLPR by mean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performed genotype polymorphism analyses and investigated the serotonin related personality trait by evaluating the HA dimension in tridimensional personality questionnaire (TPQ) in 107 patients with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CTH) and in 115 patients with migraine without aura (MWOA) and in 100 healthy controls. Results: We found an excess frequency of the short allele and a different genotype distribution in patients with CTH. S/S genotype frequen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CTH (76%) than in those with MWOA (61%) and controls (59%; P=0.18). TPQ questionnair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 scores in both CTH (21.4±6.3) and MWOA (21.3±7.2) compared with controls (16.31±6.1). Conclusions: This suggests a serotonergic activity might be involved in development of CTH and MWOA and 5-HTTLPR might be one of the genetically contributing factors,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TH through presence of the S allele.

      • KCI등재
      • KCI등재

        척추 수술에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의 유용성

        박정욱,정남수,서현석,임오경,전창훈 대한척추외과학회 201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0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prophylactic antibiotics in spinal surgery for the occurrence of postoperative surgical site infection (SSI) and host immune reactions depending on various administration regimens and protocol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superiority of one regimen or protocol of prophylactic antibiotics over others for SSI in spinal surgery has not been clearly demonstrated. We designed a controlled clinical trial to compare the occurrence of SSI with the changes of hematologic results depending on prophylaxis regimens and protocol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7 and February 2011, two hundred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thoracolumbar/lumbar surgery for degenerative or traumatic disease were included. Postoperative protocol was altered for each group of fifty consecutive patients; 1st generation cephalosporins for 5-days (group A), 2nd generation cephalosporins for 5-days (group B),1st generation cephalosporins for 3-days (group C), and 2nd generation cephalosporins for 3-days (group D). Preoperative antibiotic prophylaxis was administrated within 1 hour prior to surgical incision with the same trial antibiotics. Intraoperative bacterial culture was performed from the surgical site. The occurrences of SSI were evaluated as either incisional or organ/space SSI. Serial changes in hematologic inflammatory markers (WBC, ESR, CRP) and DIC markers (fibrinogen, FDP, D-dimer) were compared until postoperative 2weeks. Results: The study groups were homogeneous regarding age, sex, body mass index, estimated blood loss, diabetes mellitus, smoking,diagnosis, baseline laboratory values, and type of surgery including instrumentation. Overall, 13 cases of incisional SSI (6.5%) and 3cases (1.5%) of organ/space SSI occurr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incisional and organ/space SSI among the 4groups (P=0.690, 0.799). Laboratory results revealed that postoperative changes in hematologic inflammatory markers and DIC markers were not influenced by prophylaxis regimens and protocols (all P>0.05). Conclusions: The occurrences of SSI and host immune responses were not influenced by postoperative antibiotics regimens and protocols. Hematologic investigation revealed that host immune responses did not depend on the type of prophylactic antibiotics. 연구 계획: 후향적 비교 연구. 목적: 수술 후 예방적 항생제의 투여 기간의 차이에 따른 수술부위감염의 발생률을 비교하고, 숙주의 면역 반응 변화나 조직 손상 정도를 반영하는 혈액학적 검사의 추적을 통해 수술 후의 상태 차이를 관찰하여, 항생제 투여 기간 절감의 유효성에 대한 면역학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수술 전 정맥주사를 통한 예방적 항생제의 사용은 수술부위감염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척추 수술 영역에서도 그 유효성이입증되었다. 그러나 예방적 항생제 제형에 따른 차이나 수술 후 투여 기간 연장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본원에서 흉요추부 및 요추부의 퇴행성 질환 또는 외상성 질환에 대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연속적인 2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연구를 계획하였다. 시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1세대 cephalosporin 계열을 5일간 사용한 환자군을 A그룹, 2세대 cephalosporin 계열을 5일간 사용한 환자군을 B그룹, 1세대 cephalosporin 계열을 3일간 사용한 환자군을 C그룹, 2세대 cephalosporin 계열을 3일간 사용한 환자군을 D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예방적 정주항생제는 수술 부위 절개 1시간전에 사용하였으며, 수술 중 수술 부위에 대한 세균 배양 검사를 시행하였다. 각 대상 환자들의 성별, 나이,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흡연, 당뇨병 여부, 혈중 알부민 수치와 임파구 수치, 수술 전 진단명 등의 환자 정보와 수술 시간, 수술 종류, 유합 분절,예상 출혈량(estimated blood loss, EBL) 등 수술 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술 부위 감염의 발생은 절개 부위 감염(incisional SSI)과 장기/강 부위 감염(organ/pace SSI)을 모두 포함하여 평가하였다.혈액학적 감염 표지자(Hematologic inflammatory marker)로 백혈구 수(WBC), 적혈구 침강 속도(ESR), C-반응단백질(CRP)를 수술 후 2주간 반복 확인하였으며,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의 표지자인 섬유소원(fibrinogen),섬유소 분절물(FDP), D-이합체(D-dimer)를 반복 확인하였다. 결과: 각 그룹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예상 출혈량, 당뇨 유무, 흡연 유무, 수술 진단, 수술 전 혈액학적 검사 수치, 수술 술기 등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13례의 환자에서 절개 부위 감염이 발생하였고(6.5%), 총 3례의 환자에서 장기/강 부위 감염이 발생하였다(1.5%). 각 그룹간 감염의 발생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690, 0.799). 또한 수술 후 혈액학적 감염 표지자 및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 표지자의 변화는 예방적 정주항생제의 종류나 사용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all P>0.05). 결론: 수술 부위의 감염은 수술 후 사용한 예방적 정주항생제의 종류나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혈액학적 표지자들의 추적 관찰을 통해 확인한 숙주의 면역반응 역시도 예방적 정주항생제의 종류나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 KCI등재

        Comparative Genome Analysis of Rathayibacter tritici NCPPB 1953 with Rathayibacter toxicus Strains Can Facilitate Studies on Mechanisms of Nematode Association and Host Infection

        박정욱,이평안,이현희,최기혁,이선우,서영수 한국식물병리학회 2017 Plant Pathology Journal Vol.33 No.4

        Rathayibacter tritici, which is a Gram positive, plant pathogenic, non-motile, and rod-shaped bacterium, causes spike blight in wheat and barley. For successful pathogenesis, R. tritici is associated with Anguina tritici, a nematode, which produces seed galls (ear cockles) in certain plant varieties and facilitates spread of infection. Despite significant efforts, little research is available on the mechanism of disease or bacteria-nematode association of this bacterium due to lack of genomic information. Here, we report the first complete genome sequence of R. tritici NCPPB 1953 with diverse features of this strain. The whole genome consists of one circular chromosome of 3,354,681 bp with a GC content of 69.48%. A total of 2,979 genes were predicted, comprising 2,866 protein coding genes and 49 RNA genes. The comparative genomic analyses between R. tritici NCPPB 1953 and R. toxicus strains identified 1,052 specific genes in R. tritici NCPPB 1953. Using the BlastKOALA database, we revealed that the flexible genome of R. tritici NCPPB 1953 is highly enriched in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abolic processes for diverse substrates. Furthermore, many specific genes of R. tritici NCPPB 1953 are distributed in substrate-binding proteins for extracellular signals including saccharides, lipids, phosphates, amino acids and metallic cations. These data provides clues on rapid and stable colonization of R. tritici for disease mechanism and nematode asso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