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口誦되던 향가의 記錄과 그 변모에 대하여

        박재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This paper examined how hyangga as transcribed in Samguk yusa in the late 13th century differed from the original songs that were performed orally in the Silla Kingdom. Hyangga recorded in Samguk yusa contain not only the voices of the people of Silla, but also the language of the Goryeo people. In several works, written elements from Goryeo instead of Silla are found. Uido (矣徒) in “Pungyo,” gyogyeon (敎遣) in “Heonhwaga,” yeoha (如可) in “Cheoyongga,” and baekhoeun (白乎隱) in “Dosolga” are a few example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ral and literal characteristics of extant hyangga songs in Samguk yusa. As hyangga songs were incorporated into the text, editorial intervention filled the gap between the original songs and the transcription. Editors inserted comments into the songs or removed exclamations and expressed them through special phrases, such as hugu (後句), or erroneously altered certain characters during transcription 박재민, 2022, 구송되던 향가의 기록과 그 변모에 대하여, 어문연구, 196 : 111~146 본고는 13세기 후반 편찬된 三國遺事 에 ‘記錄’된 鄕歌와 원래 신라에서 ‘口誦’되던 향가의 차이를 고찰한 결과물이다. 시간적 거리 측면에서 살필 때, 삼국유사에 기록된 향가는 신라인의 목소리만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려인의 어법도 섞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지 않은 작품들에서 신라가 아닌 고려의 借字表記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風謠」의 ‘矣徒’, 「獻花歌」의 ‘敎遣’, 「處容歌」의 ‘如可’, 「兜率歌」의 ‘白乎隱’ 등이 본고가 지목한 고려 기록의 흔적들이다. 삼국유사 향가에 남아 있는 口述的 특성과 文字的 특성에 대한 고찰도 진행하였다. 구술이 문자로 정착되면서 작품과 정착 사이에는 거리가 생기게 되는데 그 틈에 편집자적 개입이 생겨남을 보았다. 그 개입은 노래 속에 주석을 넣는다거나, 감탄사를 없애고 後句 등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실행되었다. 또 기록 과정에서 문자들이 잘못 변질되기도 함을 확인하였다.

      • 천연응집제 활용 침전물의 인 재용출 특성 평가

        박재민,이원태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환경에 영향없이 조류를 제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실험은 황토, 지멘토스 등 다양한 천연응집제를 활용하여 수계에서 응집·침전으로 조류를 제거한 경우 발생되는 침전물에서 인이 재용출되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료에 인 0.5 ppm주입하고 지멘토스 1,000 ppm을 주입하여 Jar-test를 진행하고 용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간 변화에 따른 인 농도의 변화를 통해서 지멘토스에 의한 침전물의 인 재용출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지멘토스 침전물 상등액의 인 농도는 약 1달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1달 이후로 다소 증가, 또는 안정기에 드는 것을 볼 수 있었고 현재 4달가량의 실험이후에도 계속적인 실험을 통해서 장기 특성 파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굴봉정촬토(掘峰頂撮土)’ 행위로 본<구지가>의 성격에 대한 재고

        박재민 국문학회 2018 국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reconsiders of the characteristics of "Gujiga", a well known ancient song. "Gujiga" has been regarded as a spell or a labor song. It contains wishes and resulted in a magical phenomenon in fact, so it was considered as a spell. On the other hand, it was associated with labor songs because of the phrase, "gulbongjeongchwalto" in it. Based on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scholars interpreted the phrase as "to dig in the ground on the top of the mountain" or "to dig in the top of the mountain and to pile the soil". The act of digging in the ground or piling the soil got associated with work fields, so "Gujiga" could be regarded as a labor song. However, This paper made clear that "chwalto" is not to heap the earth in a big scale but to pile a handful of soil as a substitution of an incense burner, having no relationship with something to be called a labor. To prove this, I consulted various Chinese literature and investigated the idiomatic usage of "chwalto"(to pile a handful of soil), which was associated with "bunhyang"(to burn incense) and "giwon"(to pray), which exactly corresponds with the context of "Gujiga". Thus I conclude that "gulbongjeongchwalto" is not an evidence that proves "Gujiga" is a labor song but a motif associated with a spell. 본고는 상대가요의 하나로 잘 알려진 <구지가>의 성격에 대한 재론을 담고 있다. 그간 학계와 교육 현장에서는 <구지가>를 ‘주술요’로도 보고, 동시에 ‘노동요’로도 보고 있었다. 이 노래를 주술요로 본 것은 기원의 말을 담고 있고, 실제로 노래를 부른 이후에 신이한 일이 벌어진 까닭이고, ‘노동요’라고도 보는 이유는 배경설화에서 나온 ‘굴봉정촬토(掘峯頂撮土)’란 구절 때문이었다. 기존의 해석에 따를 때 이 구절은 ‘산꼭대기의 흙을 파다’ 혹은 ‘산꼭대기를 파고 흙을 모으다’로 해석되었다. 흙을 파거나, 흙을 모으는 행위에서 노동의 현장을 상정하였던 것이고 그에 기반하여 <구지가>가 노동요일 가능성을 제기해 왔던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촬토(撮土)’가 대규모의 흙을 쌓는 행위가 아닌, ‘향로를 대용할, 향로 크기의 한줌 흙더미를 모으는 행위’임을 밝혀 이 동작이 노동이라 부를 만한 것이 아니라 판단하였다. 이를 문증하기 위해, 중국의 여러 문헌에 나타난 “촬토(撮土, 한줌 흙더미를 모음)” + “분향(焚香, 향을 사름)” + “기원”(祈願, 기원의 말을 함)의 관용적 행위를 살폈고, <구지가> 또한 이에 정확히 부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굴봉정촬토(掘峯頂撮土)’가 <구지가>의 ‘노동요’적인 성격을 시사하는 행위가 아니라, 오히려 ‘주술요’임을 강화시키는 화소(話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민물검정망둑 Tridentiger brevispin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박재민,한경호 한국어류학회 2023 韓國魚類學會誌 Vol.35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arly life history of Trident goby (Tridentiger brevispinis) by observing their egg development and juvenile fish morphology. The average size of mature eggs was 1.13~1.41 (1.30±0.07) mm (n=30), and 0.70~0.86 (0.79±0.04) mm (n=30) in long diameter and short diameter, respectively. The incubation period at 24±1°C ranged from 167~228 h. The newly hatched larvae measured 2.31~2.78 (2.51±0.18) mm (n=30) in total length (TL), and their mouth and anus were not yet open. At 3 days after hatching, the preflexion larvae reached 2.84~3.10 (2.98±0.10) mm in TL, where in their yolk absorption was complete and their mouths began to open. At 19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reached the flexion stage, measuring 4.02~4.62 (4.36±0.19) mm in TL. The tip of their notochord was bent upward. At 30 days post-hatching, the larvae reached the postflexion stage, measuring between 5.04~6.36 (5.76±0.51) mm in TL, with the tip of the caudal fin bent at 45°. After 54 days, the larvae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measuring between 7.43~9.84 (8.48±0.90) mm in TL, and were differentiated by their constant number of fins (6 first dorsal, 12 second dorsal, 11 anal, and 10 ventral fins). This study found that T. brevispinis had larger fertilized eggs and a greater number of myotomes in hatching larva than similar species. Additionally, the distribution of melanophores in T. brevispinis was distinct from that in other similar species, making it easy to distinguish them morphologically. 본 연구는 민물검정망둑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그 특징을 근연종과 비교하여 분류학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정란은 부착사를 가진 전구형으로 크기는 장경 1.30 mm, 단경 0.79 mm였다. 난발생은 수온 23.0~25.0℃에서 부화까지 167~228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는 전장 2.31~2.78 mm였고, 난황과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화 후 3일 째는 전장 2.84~3.10 mm로 난황흡수가 완료되면서 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9일째는 전장 4.02~4.62 mm로 꼬리지느러미 끝이 위쪽으로 휘어지면서 중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0일째는 전장 5.04~6.36 mm로 척추 끝 미부봉상골이 45°로 휘어지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54일째는 전장 7.43~9.84 mm로 기조 수가 각 부위별 지느러미 기조 수는 제1 등지느러미 6개, 제2등지느러미 12개, 뒷지느러미 11개, 배지느러미 10개로 정수에 달하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연구결과 민물검정망둑은 검정망둑속 가운데 수정란이 크고 부화자어의 근절 수가 많은 것을 새롭게 확인하였고, 흑색소포 분포위치는 검정망둑속 어류들과 다르게 나타나 형태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Homogeneity of Sŏktok kugyŏl 釋讀口訣 and Hyangch’al 鄕札 and Principle of Hyangch’al Composition

        박재민,김진희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3 Acta Koreana Vol.26 No.1

        This study compares the hyangch’al 鄕札 of the Silla 新羅 Kingdom (57 BCE–935 CE) and the sŏktok kugyŏl 釋讀口訣 of the Koryŏ 高麗 (918–1392) dynasty. Both hyangch’al and kugyŏl incorporated borrowed characters (ch’aja 借字) from Chinese to phrase the Korean vernacular. Although hyangch’al is older than kugyŏl, materials written in hyangch’al demonstrate a similar usage of borrowed sinographs and analogous syntactic structures. This affinity between the two systems implies they were created in similar cultural contexts by a similar social class. Based on this, the paper reexamines a well-known principle of hyangch’al, called hunju ŭmjong 訓主音從, wherein word segments in hyangch’al consist of hunch’a 訓借 (sinographs borrowed as semantograms) and ŭmch’a 音借 (sinographs borrowed for their sound), which together comprise ch’aja 借字 or borrowed sinographs. However, the complications inherent to the differentiation of hunch’a and ŭmch’a have led to another crucial division between ch’aja and normal Sinitic being neglected, resulting in a misleading interpretation of hyangch’al. In kugyŏl, a word segment comprises normal Sinitic first followed by sinographs, a rule that also applies to hyangch’al. We call this hanju ch’ajong 漢主借從 (Sinitic leads, borrowed usage follows). This paper reclassifies the four categories of hyangch’al characters and applies this reclassification to the reading of hyangga 鄕歌 songs recorded in hyangch’al. This approach to utilizing findings from research into kugyŏl allows for a more accurate translation of hyangga songs.

      • SCOPUSKCI등재

        R&D활동에 대한 우리나라 혁신형 중소기업 지정제도의 효과 분석

        박재민,김선우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7 No.S

        우리 경제에서 중소기업의 경제적 기여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의 연구개발 활동은 미진한 것으로 보인다. 5인 이상 전체 중소제조업체의 18%만이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투자 규모에 있어서는 중소제조업 총 매출액의 0.61%에 지나지 않는다. 이 같은 양상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그동안 다양한 지원책을 도입한 바 있다. 그 중 경쟁력이 있는 중소기업을 기술혁신형 기업(Inno-Biz)이나 벤처기업으로 지정해 지원하는 전략은 중소기업 지원정책에서 한 축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이에 관한 효과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혁신형 중소기업 지정제도가 연구개발투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하여 입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정된 기업과 그렇지 못한 기업 간의 본질적인 특성 차이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Treatment Effect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혁신형 중소기업 지정제도는 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높이는 유의미한 설명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정기업들과 비지정기업들 사이의 선택편의가 강하게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정된 중소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기술수준이 높고, 매출액 대비 교육훈련비나 연구인력의 비중이 높았으며, 전기전자나 건설엔지니어링과 같은 지식집약 서비스산업으로 분류되는 기업들의 경우에 해당되었다. 그리고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 집약도는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지정기업이거나 고기술 기업군에 속할수록, 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고숙련 인력구조에 가질수록, 기술개발 전담요원이나 기술개발 성공요인 등이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흰줄납줄개(Rhodeus ocellatus)와 떡납줄갱이(Rhodeus notatus) 잡종의 초기생활사 특징

        박재민,한경호 한국수산과학회 202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56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axonomic differences in the early life history characteristics of Rhodeus ocellatus and Rhodeus notatus through an interspecific hybridization experiment. The hatching rates of the cross-bred eggs were 50% for the ON cross (R. ocellatus ♀×R. notatus♂) and 67% for the NO cross (R. notatus♀×R. ocellatus♂). Interestingly, the hatching time of the hybrids was longer than that of their parents. The newly hatched larvae exhibited distinct differences i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head of the adult fish protruded forward more than that of the ON cross. The pterygoid process was 45° for the ON cross and 90° for the NO cross. Furthermore, the tail shape of the ON and NO crosses closely resembled that of R. notatu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