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일본 타마뉴타운의 사례중심으로 -

        염성진,청인,Yeom, Sung-Jin,Park, Chung-In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5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는 도시의 구조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공원녹지계획이 도시환경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계획의 대부분은 녹지의 양의 증대를 목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한정된 도시공간에서 공원녹지의 물리적인 확충은 토지의 확보가 어려워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원녹지와 녹지에 대한 이용자평가를 통해 향후 공원녹지계획상의 학문적 근거이론의 확인과 실무적 사례 구축에 기여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특성에 균등배치와 집약배치의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일본의 타마뉴타운의 두 지구를 선택하여 319명의 주민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검정, 요인분석, 중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가 다른 두 지구의 만족도평가요인은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각 지구내의 세부평가요인에 있어서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원녹지의 질, 주변녹지의 질, 접근성, 차도분리의 요인이 두 지구의 공통요인인 것이 확인되었다. 공원녹지가 집약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주변녹지의 질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공원녹지가 균등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보행공간의 차도분리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Parks and green spaces have various functions for improving urban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have been appli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rban environment. The most popular method for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is incrementing the quantity of parks and green spaces. However, it may not be possible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in a large cit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obtaining land. This study explores how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produces better quality urban environments without having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The study evaluates existing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This evaluation could be a useful tool for those planning urban parks and green space system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ama Newtown, Japan, within two districts with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ark systems: concentration and equality arrangement forms. For comparison, on-site questionnaires were used, with 319 residents in the area responding to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study fou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factors be tween the two districts. However, differences were found within each of the districts, depending on parks and green space components. For example, the quality of green spa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district with a planned concentration arrangement form of parks and green spaces, but, separation of the pedestrian and vehicular system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istrict with a planned equality arrangement form of park system.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spaces that were common between the two sites were: accessibility, quality of park, quality of green space, and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ular traffics.

      • KCI등재후보

        아프리카산 발톱개구리 이자의 초기발생과정에서 Sox9 억제가 Pdx1 발현에 미치는 영향

        병용(Byung Yong Park),이여광(Li Guang Li),최은혜(Eun-Hye Choi),정몽룡(Mong-Yong Jung),권기탁(Ki-Tak Kwon),정연호(Yeon-Ho Jeong),김종연(Jong-Youn Kim),김인식(In-Shik Kim),병건(Byung Keon Park),이영훈(Young-Hoon Lee)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1

        이자는 외분비샘과 내분비샘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체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기관이다. 발생과정 중에 이자는 앞창자 (foregut)의 등쪽과 배쪽에서 융기하여 형성되고 성장하여 하나의 기관으로 유합된다. 발생하는 이자에서 발현되는 초기 유전자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은 기관의 형성과 분화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자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중에서 Pdx1은 초기에 발현되고 이자발생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ox 단백질은 다양한 발생과정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이고 그중 하나인 Sox9는 발생중인 이자에서 발현되지만 아직까지 그 역할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Sox9의 hormone inducible inhibitory mutant를 이용하여 Sox9의 작용을 차단한 결과, 발생하는 아프리카산 발톱개구리의 이자싹(pancreatic bud)에서 Pdx1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Sox9는 아프리카산 발톱개구리 이자의 발생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ancreas is a mixed exocrine and endocrine gland involved in the control of many homeostatic functions. During embryogenesis, the pancreas arises from dorsal and ventral evaginations of the foregut, which ubsequently fuse into a single organ. The characterization of early genes expressed in the developing pancreas is critical to understand its spec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Pdx1 is one of the earliest markers of pancreatic development and a key molecule in its development. Sox proteins form a large class of transcriptional regulators implicated in the control of a variety of developmental processes. One member of this family, Sox9, is expressed in the developing pancreas,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function of Sox9 in the developing pancreas. We further investigated Sox9 function during pancreatic development in Xenopus. Using a hormone-inducible inhibitory mutant of Sox9, we found that Pdx1 expression was reduced in the ventral pancreatic buds in Sox9-depleted embryos. We suggest that Sox9 gene expression may be involved in pancreatic development in Xenopus.

      • SCOPUSKCI등재

        췌장암에서 p53 단백발현의 임상적 의의

        인서(In Suh Park),정재복(Jae Bock Chung),찬일(Chan Il Park),송시영(Si Young Song),이돈행(Don Haeng Lee),이우정(Woo Jung Lee),영년(Young Nyun Park) 대한소화기학회 199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0 No.1

        N/A Background/Aims: Alteration in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diverse human cancer. 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the p53 protein has been strongly correlated with rnutations in the p53 gene. Although p53 overexpression or mutation have been elucidated in a variety of cancers, there has been no study in pancreatic cancer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xpression rate of p53 protein in pancreatic cancer. In addition, we attempted to clarify the association between expression of p53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including survival. Methods: Using immunohistochemistry with monoclonal antibody to p53(Zymed Lab. Clone No. BP53-12), we exained 47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of pancreatic cancer(39 intraductal adenocarcinoma, 8 rnucinous adenocarcinoma) for overexpres- sion of p53 gene product. Results: Positive nuclear p53 immunoreativity was detected in 44.6% of pancreatic cancer. No cl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53-positive immunostaining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such as age, sex, tumor size, location, histologic type, differentiation of tumor cells and stage of tumnor, etc. The mean duration of survival was 8.6 months in the group of p53 positive and 9.6 months in the group of p53 negative and no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tation of p53 tumor suppressor gene may play a role in the pathogenesis of pancreatic cancer.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p53 over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 features or survival. (Korean J Gastroenterol 1997; 30:98 - 102)

      • KCI등재

        교원 헌신에 대한 권한강화의 효과 연구

        인심(Park In-sim) 한국교육행정학회 2006 敎育行政學硏究 Vol.24 No.1

        이 연구는 서울지역 초중등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교원 헌신에 대한 권한강화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초중등 교원의 권한강화와 헌신의 정도를 파악하고, 개인과 학교 배경변인 및 학교 환경요인의 권한강화와 헌신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교원은 자율성과 신뢰 차원의 권한강화를 높게 인식했고, 학교조직보다 교직에 대해 더 헌신적이었다. 교원의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고, 사립과 중등학교일수록 여교원 비율은 낮았고, 경력이 많고 남자일수록 공식적 권위는 높고, 고연령일수록 자율성은 낮았다. 자원유용성은 보통 이하였고 교장지도력은 더 높았다. 초등교원은 협력과 신뢰를 높게 인식했고, 중등교원은 학교조직에 더 헌신적이었다. 교장지도력은 권한강화 4차원 모두와 학교조직 헌신에 대해 효과적이었다. 교원권한강화는 그 차원에 따라 헌신에 대한 효과가 달랐다. 조직헌신에 대해서는 협력, 신뢰, 공식적 권위가 그리고 교직헌신에 대해서는 신뢰, 자율성, 공식적 권위가 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er empowerment on teacher commitment using survey data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For this purpose,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1) To what extent teachers perceive of empowerment and commitment? (2) Is there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background variables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3) Do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sidered have impacts on teacher empowerment and commitment? (4) Does teacher empowerment have impacts on teacher commitment?<br/> The survey instrument was made up of questions regarding teacher empowerment, teacher commitment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eacher empowerment was a 4-dimensional construct that consisted of formal authority, autonomy, collaboration, and trust. Using the affective aspect of Meyer and Allen's three-component commitment model, this study categorized teacher commitment into two of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The four teacher empowerment dimensions were measured by 17 items.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fessional commitment were measured by 7 and 6 items, respectively.<br/>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randomly distributed and 415 out of them were collected. Out of the respondents, male teachers were 35% and female teachers were 59%. More than 50% of the teachers were in their 30s, and 37% held a master's degree or higher one. About 39% of the respondents had 5 through 9 years of teaching experience.<br/> The rates of respondents by school level were 52%, 26%, and 15%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respectively. The national/public school teachers were 76% and private school teachers were only 17%.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employing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method, and main results are summarized below.<br/> First, Korean teachers felt most highly empowered in autonomy and trust, but most lowly empowered in formal authority. In addition, they were more committed to the teaching profession rather than to a school organization. Second, the older and more highly educated, the fewer female teachers there were. Private school teachers had less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an public school teachers did. Third, more experienced and male teachers felt more empowered in the formal authority dimens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more empowered in collaboration and trust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Unlik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significantly more committed to the school organization. In particular, principal leadership as a school environmental factor had significant impacts on all the four teacher empowerment dimensions and teacher commitment to organization. Finally, as far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teacher commitment is concerned, each dimension of empowerment had a differential effect on teacher commitment. For instance, for the impact on th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llabor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trust was the next, and formal authority was the least. For the teachers' professional commitment, however, trust was the most significant and autonomy was the next. While trust and formal authority had effects on both the organizational and professional commitment, collaboration had influences j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terestingly, formal authority had impacts on the teaching professional commitment in a negative way.<br/> In conclusion, teacher empowerment needs to be approached in a multiple way in order to facilitate teacher commitment as one proxy for effective schools. It is more urgently required to facilitate teacher commitment to a school organization than to the teaching profession. To do this, each school needs to improve teachers' collaboration, formal authority, and trust. In particular, teachers' collabor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key mechanism to facilitate tea

      • KCI등재

        맥종별 주산지와 재배한계지 수집종자의 활력, 초기생장 및 이차화합물 차이

        현화,국용인,Park, Hyung Hwa,Kuk, Yong In 한국작물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맥종별 주산지 및 재배한계지에서 수집한 종자에 대한 종자활력과 이들 수집종에 대해 다른 온도조건(25, 13℃)하에서 발아율 및 생장과 저온 조건(13℃)하에서 엽록소 함량, 광합성 효율, 이차화합물(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 라디컬 소거능력)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맥종에 상관없이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전기전도도 값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자간에는 전기전도도 값에 차이를 보여 종자활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5℃의 조건하에서 맥종별로 주산지와 재배한계지 수집종간에 발아율, 초장, 근장 및 지상부 생체중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저온조건하에서도 맥종에 상관없이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출현율, 초장 및 지상부 생체중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겉보리 수집종은 파종 후 5일째에 출현하였고, 맥주보리와 쌀귀리는 파종 후 7일에 출현하여 맥종별 차이를 보였다. 맥종에 상관없이 수집종간에 엽록소와 광합성의 효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맥종에 상관없이 주산지와 재배한계지간에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라디컬 소거능력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일부 수집종간에 차이를 보였다. 특히 맥주보리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강진>창원>해남=전주>나주 순으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기후 변화에 따른 겉보리, 쌀보리, 맥주보리 및 쌀귀리 등은 동일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종자활력 뿐만 아니라 생장 및 이차화합물의 함량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how changes in temperature affect germination rates and growth of hulled and dehulled barley, malting barley, and naked oat plants, and to measure chlorophyll content, photosynthetic efficiency, and secondary compounds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lants grown at 13℃ or 25℃). Various types of barley seeds were collected from areas with ideal conditions for barley cultiv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A, and also from areas where barley cultivation is more difficult due to lower temperatur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LTA. Seeds were tested for seed vigor.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values between seeds collected from certain specific a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evident between IA and LTA seeds, regardless of the type of barley seed. When plants were grown at 2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rmination rates, plant height, root length and shoot fresh weight between plants originating from IA and LTA.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asured parameters of some specific seeds. Similarly, under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 of 13℃, no differences in the emergence rate, plant height, and shoot fresh weight were evident between plants originating from IA or LTA, regardless of the type of barle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ome specific seeds. One parameter that did vary significantly was the emergence date. Hulled barley and malting barley emerged 5 days after sowing, whereas naked oats emerged 7 days after sow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hlorophyll content and photosynthetic efficacy, regardless of the type of barle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etween plants originating from IA and LTA, regardless of the type of barley.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ome specific seeds. In particular, for malting barley the total flavonoid content differed in the order of Gangjin > Changwon > Haenam = Jeonju > Naju. The results indicate that crop growth, yield and content of secondary compounds in various types of barley may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 KCI등재

        정상 및 저산소 배양에서 사람 태반융모이식편의 조직 생존에 대한 연구

        세나 ( Se Na Park ),이유선 ( Yu Sun Lee ),심인숙 ( In Suk Shim ),이수윤 ( Soo Yoon Lee ),미혜 ( Mi Hye Park ),김승철 ( Seung Cheol Kim ),수연 ( Soo Yun Park ),전선희 ( Sun Hee Chu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연구목적: 최근 자궁-태반 간 순환 감소로 인해 유발되는 만성적인 저산소증으로 인한 태반의 손상이 전자간증 또는 자궁 내 태아 성장 지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지면서 저산소 상태에서의 태반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 태반융모이식편을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 배양하고, 조직의 생존 여부와 그 정도를 평가하여 봄으로써 태반 저산소증에 대한 시험관내 (in vitro) 실험 연구에 있어서 사람 태반융모이식편을 이용한 배양 실험 기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원 산부인과에서 제왕절개술로 분만한 임신 37주 이상 정상 임산부의 태반 조직 9예를 대상으로 태반융모이식편을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 72시간 동안 배양 후 광학현미경 관찰, 배양 후 시간 간격 (0, 6, 12, 24, 48, 72시간)에 따른 젖산 탈수소효소 (lactate dehydrogenase, LDH) 측정에 의한 생화학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세포고사 (apoptosis)를 나타내는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ling (TUNEL) 분석을 실시하여 조직 생존 여부와 그 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H&E 염색된 절편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시간에 따른 배양 후 세포 통합성의 소실은 관찰되지 않았다. 젖산 탈수소효소 분석에 의해 측정 비교된 9개의 태반 이식편의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의 배양 후 시간 별 평균 조직 생존률은 52.3∼67.6%로 나타났으며,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의 태반융모이식편의 조직 생존률은 두 군 모두 배양 후 24시간까지는 61.2∼67.6%를 유지하다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세포고사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TUNEL 결과, 정상산소 상태와 저산소 상태의 두 군의 배양 후 시간별 모든 샘플에서 음성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론: 시험관내 실험 연구에 있어서 사람 태반융모이식편을 이용한 배양실험 기법은 전자간증, 자궁 내 태아 성장 지연, 조기 진통 등 태반의 저산소증과 관련된 산과적 질환의 발생 기전을 규명하는 데 유용한 연구 기법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의 조직 생존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Objective: In vitro study systems for research of placental hypoxia are needed, among which human placental villous explant culture technique under experimentally variable condition is commonly used. So we performed this study to assess the viability of placental villous explant in normoxic and hypoxic culture that can provide validity for that system. Method: Placental villous explant tissues obtained from 9 cases of normal term pregnancies were incubated in normoxic (20% O2) and hypoxic (2~5% O2) condition for 72 hours. The viability of tissue was evaluated morphologically by microscopic examination and biochemically by LDH assay at variable time interval (0, 6, 12, 24, 48, 72 hours). The apoptosis of the tissue was assessed by TUNEL assay. Result: By light microscope, all of H&E stained placental explant tissue sections in normoxic and hypoxic culture showed intact villous integrities without definitive syncytial sloughing and fibrinoid necrosis as time elapsed. Tissue viability of LDH assay during 6, 24, 48, 72 hours of placental villous explants showed over all 52.3~67.6% and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oxic and hypoxic culture. Tissue viability in both groups maintained 61.2∼67.6% for the first 24 hours and eventually decreased with time. TUNEL assay showed over all negative findings in normoxic and hypoxic culture at different time periods. Conclusion: In vitro human placental explant culture system can be a useful and feasible technique for research of placental hypoxia which is related to development of obstetrical complications such as preeclampsia, intrauterine fetal growth restriction and preterm labor and so on. But our in vitro placental explant system needs some modification in culture condition and technique for maximizing viability of the tissue.

      • KCI등재

        고가 선형공원의 녹지계획 사례연구

        청인 ( Chung-in Park ),이주영 ( Juyoung Lee ) 한국환경과학회 2019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8 No.2

        Elevated linear parks have the potential to support the ecological stability, city amenity, cultural opportunity, and health benefits of urban dwellers; these are increasingly becoming an integral part of the urban infrastructure.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in space, linear parks need to be planned to increase the value of green space. This study was aimed at advancing urban planning techniques for increasing the value of elevated linear parks, by comparing the Seoullo7017 with the Promenade plantee and the Highlin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se green space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physical planning factors, amenity values for users, and management systems. Field surveys and virtual tool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se parks, in addition to the literature survey. From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amenity values, and management in the three linear parks, following important recommendations were made in order to promote the values of these parks: (a) diversify planting design for increasing the diversity of green space in a narrow area; (b) bring in various forms of amenities to promote the quality of users' experience; and (c) establish community-based management systems for enhancing regional competitiveness and profit sharing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KCI등재

        수은(睡隱) 강항(姜沆)의 연작형(連作形) 제영시(題詠詩) 고찰

        세인 ( Se In Par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5

        본 논문은 睡隱 姜沆(1567, 명종 22~1618, 광해군 10)의 連作形 題詠詩인 <水月亭三十詠>과 <癡軒八詠>의 대비적 고찰 통해 睡隱詩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보고자 연구되었다. 수은의 문집 『睡隱集』에 수록된 14제 52수의 제영시 중 연작형 제영시는 이들 두 작품뿐이다.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은 누정 주변에 펼쳐진 자연 경관을 시적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7언절구로서 8연 이상의 연작시라는 형식적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감흥을 표현하는 방식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두 작품의 作詩 배경과 연작의 구성 방식 그리고 物象의 형상화 양상 등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수은의 연작형 제영시가 갖는 시적 지향까지 살펴보았다. 먼저, 수은이 水月亭과 癡軒을 대상으로 지은 <水月亭記>와 <癡軒記>를 통해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의 작시 배경을 고찰하였다. <수월정30영>은 정치적 실패를 경험하고 귀향한 수월정 주인 鄭渫의 상처를 위로하고 격려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그에 비해 <치헌8영>은 치헌의 주인이자 수은과 사돈 간인 丁鎔의 ``어리석은[癡]`` 삶의 가치와 자긍심을 드러내고자 창작되었다.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은 모두 八景歌型 연작 제영시에 속하지만, 가장 기본적 공통점인 소제명의 제명 방식에서부터 차이가 두드러진다. <수월정30영>의 소제명은 자연 경관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나, <치헌8영>은 상징적 의미가 유사한 경물을 단순히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있을 뿐이다. 연작의 구성에서도 <수월정30영>은 序(제1영)-本(제2영~제24영)-結(제25영~제30영)의 안정적인 3단 구성 안에 수월정 주변의 다양한 경관을 펼쳐 놓았다. 그러나 <치헌8영>은 本(제1영~제7영)-結(제8영)의 2단 구성을 통해 癡翁의 인품과 유관한 경물을 되풀이하고 마지막 8영으로 종결하는 방식이다. 수은은 이렇게 서로 다른 구성 방식을 통해 두 작품의 상이한 작시 의도에 따라 물상을 형상화하고 있다. <수월정30영>에서는 자연의 다기함을 활용하여 이상적 세계를 표현하였다. 이에 따라 시간의 순환적 질서를 통한 자연의 영속성과 불변성, 경물의 조화로움과 다채로움, 자연과 동화된 인간의 모습 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치헌8영>은 다소 단조로운 형상들을 보여주고 있다. 즉, 수은은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경물을 선택하여 치옹의 ``어리석고 우직한`` 삶의 ``정신적 우월함``을 반복해서 드러내고 있다. 한편, 수은과 수월정 주인 정설 그리고 치헌의 주인 정용에게서 ``버려짐[棄]의 상처``와 버려진 후에 ``자연으로의 귀의``라는 동일한 경험이 발견되고 있다. 수은은 일종의 동류의식을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작시 행위를 하고 있으며, <수월정30영>과 <치헌8영>을 통해 자연 속에서 상처의 치유를 통한 자존의 회복을 지향하고 있다. Examining Su-eun(睡隱) Gang Hang(姜沆, 1567~1618)`s <Suwalljung 30 Poems(水月亭30詠)> and <Chihun 8 Poems(癡軒8詠)>, this article aims to enlarge an understanding of Su-eun`s poetry. A Su-eun`s literary collection, 『Sueunjip(睡隱集)』 includes his poems on arbors(52 poems under 14 titles), the poems of whic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are only written as a series of poems. First, I examined the context in whic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were written by consulting Su-eun`s two essays, Suwalljung and Chihun. Su-eun wrote <Suwalljung 30 Poems> to encourage Jung Sul(鄭渫) the owner of Suwalljung, who had retired to the country after his political failure. Meanwhile, <Chihun 8 Poems> was written to emphasize an ironic value of ``silliness[Chi(癡)]`` in Jung Yong(丁鎔)`s life as honesty and sincerity, who was the owner of Chihun and Su-eun`s in-law. Although both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are a series of poems that contains a good deal of landscape,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ways in which poems in each series are titled. The titles of the poems in <Suwalljung 30 Poems> vividly describe the landscape of Suwalljung, but the titles in <Chihun 8 Poems> merely present natural objects that imply human nature. As for poetic forms, <Suwalljung 30 Poems> describes the landscape in a well-structured form: Introduction(Poem1)-Body(Poem2~Poem24)-Conclusion(Poem25~Poem30); however, <Chihun 8 Poems> consists of only 2 parts, Body(Poem1~Poem7) and Conclusion(Poem8), in which the described natural elements mirror Sir. Chi(癡翁)`s life. Then, I looked into poetic styles. <Suwalljung 30 Poems> creates an ideal world that embodies the eternity and constancy of nature, harmony and variety, and human life close to nature. Meanwhile, <Chihun 8 Poem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silly yet honest life`` in a simple description of natural elements that symbolize fidelity and honor. Finally, I examined poetic vision of <Suwalljung 30 Poems> and <Chihun 8 Poems>. Su-eun, Jung Sul and Jung Yong, all of them suffered from ``abandonment`` and returned to ``nature`` after abandonment. Thus, Su-eun composed the poems for both Jung Sul and Jung Yong in empathy with them and tried to recover his self-esteem by healing his wounds in nature.

      • KCI등재

        주민의 공원녹지의식에 따른 도시공원녹지확충 연구 : 수원시의 공원녹지사례 중심으로

        청인(Park Chung-In)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도시공원녹지의 확충에 대하여 수요자인 주민의 공원녹지에 대한 의식을 반영한 계획이 모색될 수 있도록 기초적 자료구축에 목적이 있다. 기초적 자료는 주민이 공원녹지에 대한 기본적 개념, 이용행태, 정책참여의사등으로 도시공원녹지 전반에 대한 주민의 평가를 분석함으로서 구축되었다. 학문적으로는 공원녹지계획의 상향식 계획의 요인과 도시공원녹지에 대한 이용자 특성 연구의 근거이론 구축에 부가적 목적을 두고 있다. 수원시를 연구대상지로 하여 총 733인의 표본의 추출로 면접조사가 이루어진 결과, 아래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얻었다. 수원시공원녹지는 산책과 휴식을 위하여 가족이용자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이용되는 시설은 근린공원과 체육시설지로 분석되었다. 공원녹지에 대한 평가는 도시전체의 환경적 질의 관점이 아니라 주민의 개개인의 삶의 질의 관점에서 평가하였고, 정책당국의 공원녹지정책에는 경제적 참여보다는 행동적 참여를 더 지지하였다. 결론적으로 공원녹지의 확충은 주민의 의견이 반영되는 상향식 의사결정에 의한 방법이 더욱 더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ground theory and database for expansion of urban park and green belt based on residents’ attitude. The residents’ attitude of park and green belt was evalua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basic concept of park, usage pattern, participation in city government policy. For this study, The interview method was applied to 733 individuals who were collected as the study samp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s. Most of urban residents use neighborhood parks and sports complex for relaxation and strolling. The urban residents evaluated urban park and green belt by not a holistic thought of urban environment, but individual view of quality of life. The urban residents prefer to political and participational surport rather than financial support for city government policy of urban park and green belt. In conclusion, the expansion of urban park and green belt should be received a down-up decision making system for reflecting urban residents’ opinions.

      • KCI등재

        율곡의 정심공부에 관한 고찰

        현인 ( Park Hyun In ) 한국교육사학회 2020 한국교육사학 Vol.42 No.4

        이 글의 목적은 율곡의 교육 사상 중 일상생활에서 인간의 마음에 대한 이해와 표출 관계를 들여다보고, 공동체 안에서 사람다움을 지향하는 공부 방법을 다루고자 함이다. 마음을 바르게 한다는 뜻의 정심은 함양과 성찰로 그 공부 방법을 나눈다. 그리고 그 원리는 경건이다. 율곡은 경건의 시작을 수렴, 끝을 정심이라고 보았다. 일상에서 자신의 언행을 의식하며 살아간다는 것은 급하고 경박하지 않은 삶의 방식을 가지게 한다. 숙고할 수 있는 마음의 공간이 있을 때, 공부한 것으로 자신을 채워나갈 수 있게 된다. 말은 마음의 소리이고, 몸은 마음과 세상을 잇는 통로이다. 경건함과 숙고함은 언행에서 비롯되는데, 이것이 정심공부의 준비과정이다. 함양은 어떤 사건이나 사물이 자신에게 들어오기 전, 일상에서 마음을 기르는 일이다. 함양은 마음을 고요하게 하여, 잡생각이 일어나 않으나, 정신이 또렷한 상태이다. 맑은 거울이나 잔잔한 물과 같은 상태로 마음이 보존되는 것이다. 성찰은 일이 일어난 후, 이치에 맞게 그 일을 마음속에 있는 잣대에 따라 잘 처리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잣대를 잘 세우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앎의 체득인 궁리이다. 율곡에게 정심은 지(知)공부가 아니라, 행(行)공부이다. 율곡은 마음을 이해해야 할 영역으로만 본 것이 아니라, 행동주체로 여긴다. 마음은 몸의 주인이다. 마음은 명확한 행동 주체로 능동성을 가진다. 몸은 마음이 시키는 대로 일상생활 속 이치를 표현하는 도구적 역할을 한다. 마음은 드러나지 않지만, 행(行)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래서 마음공부[正心]의 층위에 따라 일상과 삶의 모습은 달라진다. 따라서 생활 속 정심공부의 실천은 개인의 자족과 사회적 역할 속 자족이 조화를 이루며, 사람답게 살아갈 수 있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true self of humanity as a way of life in the time of domination of human mind by the material civilization. This study especially will cover a few educational thoughts of Yulgok - the understanding of a human mind in one’s daily life and look into expression relation, and the study method which pursues human nature in communities. JeongShim, which means to reform the mind, is divided into ①Hamyang [Cultivation of mind] and ②Seongchal [Self-examination·Reflection] for the way of study. And the principle is Gyonggunn. Yulgok saw the beginning ofGyonggunn as Suryeom [Correcting the words and attitudes], and the end as JeongShim. Suryeom, which means to collect, gather, means the correction in attitude and posture. Being aware of one’s speech and behavior allows a way of life in which is not impatientand frivolous. When there is space in mind for deliberation, one is allowed to fill oneself by studying. The speech is the sound of the mind, and the body is a gateway to the world from the mind. Reverential and deliberation begins in speech and behavior;and this is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study of JeongShim. ①Hamyang is a way to grow the mind in one’s daily life before an incident occurs or an object comes in possession. Hamyang calms the mind, does not arouse trivial thoughts, but keeps lucid state. The mind is preservedlike a clear mirror or calm water. Thus, when an incident occurs, one can reflect on Doli and Seongchal. ②Seongchal is an ability which allows well-handled process following the standard in one’s mind according to Yiqi after an incident occurs. The way to study Seongchal is to avoid cunning, and through faithfulness, followYiqi and react by understanding one’s feelings. Here, Yiqi means the standard of the mind, and to right this is Gungli [accumulation of knowledge]. To Yulgok, JeongShim is not Ji [Knowledge], but Haeng [Doing]. Yulgok saw the mind as not something to be understood, but main body of action. The mind owns the body. The mind has audience activity as clear main bodyof action. The body acts as a tool to express Yiqi in one’s daily life as the mind makes orders. The mind cannot be seen, but carries out a role as Haeng. Thus, depending on the horizon of mind studying, one’s daily life and the life differs. Therefore, thepractice of studying JeongShim in one’s daily life balances ‘one’s self-sufficiency’ and ‘self-sufficiency in the role of society’, and allow one to live like a decent human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