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구성활동 내용 분석

        이으뜸(Eu Ddeum Lee),박수진(Su Jin Park),유리화(Rhee Hwa Yoo),홍수장(Su Jang Hong)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구성활동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체계적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한국녹색문화재단에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운영한 총 24개 프로그램을 수집하여 각각의 사례별로 대상, 내용, 구성 등을 1차 분석하고, 각각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활동 113개를 도출하여 영역, 목표, 주제, 활동장소, 실시주체 및 난이도 등 총 6가지의 기준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구성활동은 주로 심리?정서적 안정을 치유 목표로 진행하는 사례가 많았으며, 산림치유 프로그램 대부분이 숲해설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산림치유 프로그램에는 강의 등 학습활동이 포함되는 사례가 많았으며, 혼자 할 수 있는 활동 보다 전문가가 개입하여 진행하는 활동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일정은 대부분 단순히 활동명만 제시되어 있거나 활동명과 함께 추상적이고 포괄적n치유의 목표가 제시되어 산림치유로서의 치유적 개입에 대한 내용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향후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계획단계에서 참여자에 대한 뚜렷한 분석을 통해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위한 구성활동을 도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및 구성활동에 대한 대상별 효과성 평가 연구를 통해 보다 전문성 높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forest healing programs of the futur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in Korea. The specific programs analyzed are the forest healing programs, operated by the Korea Forest Foundation, from the years 2008-2010. Twenty four programs were collected during the three years, each analyzing target, content and composition. These programs were then sorted into one hundred and thirteen activitie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which consists of six standards: Field, aim, subject, place, participation and level. As a result, it is apparent that firstly, the activitie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have many cases relating to proceeding programs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Secondly, the activitie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have many cases that included the forest interpretation activity and the learning activity, such as a lecture. Furthermore, it is fair to say that there are more activities involving expertise. It is important to state that the schedule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mostly consisted of suggested activity names, often with an abstract and/or comprehensive concept; thus not offering contents about the intervention of the healing purpose. Therefore, in the design stage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we must state the activities of the composition for individualized forest healing programs, through clear analysis of participation. To achieve this, we must develop the systematic forest healing programs and formed activities, through study on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for the individual.

      • KCI등재후보

        녹지지수에 따른 산림패치 시계열 분석

        서응철(Suh Eung Chul),김영표(Kim Yeong Pyo)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2

        산림의 역할과 활용의 다양화 속에서 산림정보 분석에 대한 다각적 접근방법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대도시권에 인접해 여러 개발압력에 있는 도·농 중간형 지역을 대상으로 위성영상의 리모트센싱과 GIS분석 툴로 산림패치에 따른 녹지지수(NumP, MPS, TE, TD, AWMSI, IJI, TCA, MCA, CAD, TCAI)를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계열적 변화의 구조적 특성요인을 분석하였다. 2시점에서 비교적 큰 면적규모의 토지피복별 변화는 산림지와 초지, 경작지에서 나타났고, 전체적으로는 산림지역이 다양한 용도와 큰 규모로 전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녹지지수를 이용한 산림패치의 구조적 패턴특성로 시계열에 따른 산림의 파편화는 증가하고 패치형태의 복잡성 증가와 패치평균크기 감소로 나타나고, 이러한 결과는 생물종의 보호에 필요한 임계면적의 축소를 가져왔다. 산림의 여러 구조적 특성변화들은 핵심지면적지수(TCA)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또한 산림생태공간의 자연성에 대한 질적평가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산림패치를 이용한 녹지지수는 산림의 구조적 패턴특성을 정량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나아가 산림의 생태성 평가 및 지역 녹지계획수립에 필요한 사전 평가자료 제공과 산림변화 특성파악에 필요한 장래예측 툴로서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patterns characteristic of forest patch change difference to provide a basic data for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ecosystem in Haman county during 15 year from 1985s to 2000s using Landsat TM satellite images & GIS method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Green land indices (NumP, MPS, TE, TD, AWMSI, IJI, TCA, MCA, CAD, TCAI) were calculated with forest patch using patch analyst program of GIS. The chang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of a comparatively big area scale appeared at the forest and grass, the cultivated land at two points in time, and forest area changed in various uses and a big scale generally. As for the structural pattern characteristic of the forest patch which used a green land index, the fragmentation of the forest increased by time-series. The core area to show the threshold area that it could be protected outside interference a straight seed showed decrease by time-series. It can be applied to useful the green land index that used forest patch to quantify a structural pattern characteristic of the forest.

      • KCI등재후보

        자연휴양림과 도시형 산림이 주는 심리적 이완효과의 차이

        김경목(Kyung-Mok Kim),임효진(Hyo Jin Lim),김상희(Sang Hee Kim),최윤호(Yoon Ho Choi),신원섭(Won-Sop Shin),박범진(Bum-Jin Park) 한국산림휴양학회 201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휴양림과 도시형 산림이 주는 심리적 이완효과의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50명의 건강한 대학생이 피험자로 참여하였다. 피험자는 15분간 의자에 앉아서 자연휴양림, 도시형 산림 그리고 도시의 경관을 감상하였다. 기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 기분상태검사(POMS)와 의미분별법(SD법)을 활용하였다. SD법의 측정결과 도시형 산림은 도시환경보다 쾌적감과 자연감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연휴양림은 도시형 산림보다 쾌적감과 자연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기분상태 검사의 측정결과 자연휴양림과 도시형 산림 모두 도시환경과 비교하여 긴장-불안, 분노, 혼란, 그리고 종합감정장해가 유의하게 낮게 조사되었고 자연휴양림과 도시형 산림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이에 반하여 우울은 휴양림에서만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심리적 이완효과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연휴양림과 도시형 산림의 체류효과는 서로 다르며 이에 따라 방문목적도 서로 다르게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o 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between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urban forest. Fifty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subjects. The subjects seated on a chair and view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landscape, urban forest landscape and urban landscape for 15minutes. The profile of mood states (POMS) method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SD) method were employed in which a questionnaire after subjects sat and viewed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landscape, urban forest landscape and urban landscape. Responses to the SD questionnaire indicated that compared to urban settings, urban forest settings are perceived as being significantly pleasant and natural. Also, comparing to urban forest settings, natural recreation forest setting are significantly pleasant and natural. The POMS measures of tension and anxiety (T-A), anger and hostility (A--H), confusion (C), and total mood disturbance (TM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forests (national recreation forest and urban forest) and urban areas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recreation forest and urban forest. The POMS measures of depression and dejection (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ational recreation forest and urban area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rban forest and urban place. These results support the suggestion that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urban forest has another aims to visit for gain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 KCI등재후보

        북한의 산림자원과 산림휴양 실태 연구

        한상열(Sang-Yoel Han),이성연(Seong Youn Lee)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북한의 산림자원과 산림휴양과 관련된 문헌에서 북한에서의 산림휴양 실태에 대해 파악하였다. 북한의 휴양, 관광과 관련된 정보 등의 자료내용을 중심으로 파악,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북한에서의 산림과 관련된 휴양실태를 제시하였다. 북한에서는'주민·근로자의 휴식, 휴양'의 표현으로 즐겨 쓰는'관광'을 오직 생산성 향상, 사회주의 건설에 목표를 둔 시간관리, 노동력관리의 일환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주민의 휴식, 휴양, 여행의 범주에서 다루고 있을 뿐이다. 북한에서의 관광, 휴양 등의 시설 개발을 위한 근거법으로는 토지법, 노동법, 환경보호법을 들 수 있다. 북한은 전국 각지의 이름난 지역에 100여개가 넘는 휴양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휴양소들은 국가가 운영하는 별장의 형태로 휴양소의 관리 및 운영 등은 북한 내각 노동성 휴양관리국에서 관리를 하고 있으며, 최근 중앙뿐만 아니라 도, 시의 기관, 공장, 기업소에서도 휴양소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realities of the forest recreation in North Korea through the documents related to forest resources and forest recreation of North Korea. Materials with information regarding the recreation and the tourism of North Korea were analyzed so that we may present the actual conditions of forest-related recreation in North Korea. 'Tourism'in North Korea, which is mentioned as 'rest and recreation of residents and workers', is regarded as only time management and labor management aimed at increase of productivity and establishment of socialism, and dealt with in the categories of rest, recreation, travel of residents. In North Korea, the developments of facilities for tourism and/or recreation are conducted under the laws such as Land Act, Labor Act and Environment Protection Act. There are over 100 resorts operated in famous locations all over North Korea. They are a kind of state-run vacation homes, of which management and operation is overseen by the Recreation Department of the Ministry of Labour. It is known that the resorts are recently managed by local government agencies of provinces or cities, factories and enterprises as well as the central government.

      • KCI등재후보

        Delphi와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적용한 산림치유 직무교육 과정 개발

        신경희(Kyoung Hi Shin),신원섭(Won Sop Shin),김현식(Hyun-Sik Kim),연평식(Poung Sik Yeoun),정성호(Song-Ho Chong),이효은(Hyo Eun Lee)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산림인력개발원에서 1주일 기간으로 신설한 산림치유 교육과정의 교육과목 개발을 위해 수행하였다. 먼저, 다양한 방법으로 136개의 교육과목을 수집한 다음 전문가 집단토론을 통하여 34개를 추출하였고, 이어 13인의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과목을 22개로 축소 조정하였으며, 이를 191명의 산림관련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산림치유과정의 교육과목으로서 타당성을 분석하여 12개의 교육과목을 선정하였다. 산림인력개발원에서는 이를 토대로 편성한 산림치유 교육과정을 32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운영하였으며, I-P분석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교육과목에 있어서 우선시정 필요한 과목, 지속적 노력이 필요한 과목, 저 우선순위 과목, 과잉노력을 지양할 과목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기 교육과정에 환류하여 교육만족도 제고 및 성과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 의 방법론은 신규 교육과정을 개설할 때 교육과목 선정과 교육운영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verall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urriculum in forest therapy education program as a job training course in Fores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s, 136 subjects were collected. Using Delphi method with 13 professionals, 22 subjects were selected as candidate subjects. Then, final 12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survey with 191 officials in various positions. The forest therapy education program was performed in the Forest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for 32 officials.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and positioned in four dimensional grids.

      • KCI등재후보

        국유림 경영 관리를 위한 전문가 의식 조사

        이호상(Ho-Sang Lee),서정원(Jeong-Weon Seo),유병일(Byoung-Il Yoo) 한국산림휴양학회 2009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3 No.4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는 건강하고 생산적인 산림관리를 위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중심으로 기본정책이 변화하여 왔다. 이에 지역사회 발전과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체 산림면적의 약 23%를 차지하는 국유림 경영에 많은 관심을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산림경영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유림 경영관리를 위해 정책변화와 산림전문가의 의식조사를 통해 현재 문제점을 파악하고 조사결과를 토대로 국유림 역할 변화와 경영상의 정책방향을 도출하였다. 정책방향으로는 국유림 확대하는 것을 신중히 고려해야하고 국민 복지와 여가 생활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공익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며,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가예산 확보와 산림전문가 양성을 통해 고용창출의 기회도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체계적인 경영계획과 국유림확보에 따른 보상문제 그리고 공익기능 발전 등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general policy of our country has been changed into sustainable development to make a healthy and productive forest management for last 10 years. To achieve both community development and sustainable management,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23% of the total forest area, has been concerned.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forest management.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problem of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by the change of the policy so far and survey of a forester to try to find its solution. It found that conservation of national land and water resources were important from the result of the survey. To manage effectively,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national forest should be enhanced by enlarging of its size and budget.

      • KCI등재

        산촌지역 산림관리를 위한 임업노동력 미래 전망

        정병헌(Byung Heon Jung),김철상(Chul Sang Kim),김기동(Ki Dong Kim)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임업 노동력의 미래 수요를 전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임업 노동력 수요 예측에 필요한 자료는 한국은행에서 공표하는 임업부문 취업자수와 임업의 부가가치 등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산림작업 노동력의 수요는 2010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2030년까지 매년도의 수요를 예측하였다. 임업의 부가가치는 2003년 이후부터 숲 가꾸기 및 벌채생산 등 산림 사업량이 늘어나면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임업의 부가가치가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하여 예측한 산림작업 노동력의 수요는 2010년 24,372명, 2020년 23,942명, 2030년 23,185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산림작업 부문에 참여하는 취업자 수는 2010년 72,213명, 2020년에는 67,441명 그리고 2030년에는 61,920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현재 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임업노동의 취업여건 개선과 임업 노동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산림작업 노동력을 전업·전문적 직업으로 육성해 가는 정책이 요구된다. 영림단의 작업일수를 확대하고, 임금수준을 유사업종의 수준으로 높여가고, 경력 및 능력별 임금체계 조성, 영림단 운영의 개선 및 조직적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산림작업 노동을 전업적 노동으로 육성하는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forecasting future demand for forestry workforce in Korea. Data for the employed workers and value added in forestry that are used in this research were obtained of the Bank of Korea. Value added was based on the data of the constant prices in 2000 released by the Bank of Korea. The estimate of future demand stretches from 2010 to 2030. Value added in forestry has shown a growing trend due to the increase in forestry activities including forest management and timber harvest since 2003. Based on this trend, the demand for forest workers is predicted to continuously reduce to 24,372 in 2010, 23,942 in 2020 and 23,185 in 2030. And owing to poor and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of forest industries, the number of overall employed persons in forestry is likely to go down to 72,213 in 2010, 67,441 in 2020 and 61,920 in 2030, respectively. To make forestry activities the more attractive full-time job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the forest favorable polices, including extending annual working days and raising wages for forest workers.

      • KCI등재

        한국형 산림탄소순환마을 조성 유형화 모델 개발 - 충청남도 산촌지역을 대상으로

        한국산림휴양학회 201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6 No.2

        <P>&nbsp;&nbsp;산림탄소순환마을 조성 유형화 및 모델개발을 위하여 충청남도 산촌마을 11개 시·군 27개 읍·면내 272개 법정리를 대상으로 세대 수별 분포 분석과 행정리 수를 분석하여 취락형태를 집촌(集村)과 산촌(散村)으로 구분한 결과, 집촌(集村)형은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으로 나타났고, 산촌(散村)형은 천안시, 공주시, 보령시, 아산시, 논산시, 금산군, 부여군, 홍성군 등으로 분류되었다. 충청남도의 각 시·군별 임지잔재 바이오매스 량 및 산림관련 업체 수를 분석하였다. 바이오매스 량과 산업관련 업체 수를 점수로 환산하여 I-P분석(Impo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실시하여 시·군별 유형을 구분을 하였다. 시·군별 수집이 가능한 바이오매스 량은 보령시, 공주시의 순으로 높았다. 시·군별 임산업체 수는 천안시, 아산시의 순으로 많았다. 한국형 산림탄소순환마을은 순환형 산림경영을 기반으로 수집이 가능한 임지잔재 바이오매스, 산림바이오매스 자원 작물재배, CO&lt;SUB&gt;2&lt;/SUB&gt;흡수 및 고정, 탄소상쇄(carbon offset) 등 산림바이오매스를 종합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요구된다.</P><P></P>

      • KCI등재

        노년층의 산림휴양 특성 및 행태 분석 : 광주광역시 남구를 중심으로

        김민희(Min-hee Kim),진승현(Seung-hyun Jin),안기완(Ki-Wan An) 한국산림휴양학회 201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4 No.4

        산림이 인간에게 주는 커다란 유익성에 대해 젊은 층을 대상으로 산림휴양 참여 연구들은 시행되고 있으나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매우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남구지역을 60세 이상의 노년층을 대상으로 사회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행태를 비교·분석하여 노년층 산림휴양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림휴양 참여목적 가운데 운동을 가장 중요시 하였으며, 산림의 치유효과, 스트레스 해소, 시간보내기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우자가 없는 노년층은 건강효과와 스트레스 해소 및 사회적 관계에 대하여 중요하게 여겼으며, 참여목적에 부합하는 산림휴양 프로그램 제공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노년층의 산림휴양 활동은 주로 가을철에 친구와 함께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걷는 행태가 가장 많았다. 장소는 인근 산림과 도시공원의 방문을 가장 높게 선호 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on activation Methods of forest recreation for old people through the analysis of user behaviors.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over sixty is rising rapidly and they are faced with the problems. As one of the way to handle the problems, it was to grasp the participation-purpose of forest recreation and clarify the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at Nam district in Gwang-ju Metor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y are participating in Forest recreation to exercise with friends in autumn. Natural Park, near forest, and urban park recorded the highest use because of the Mudungsan privincial park, Jesuk mountain, and Green road park and so on.

      • KCI등재

        산림활동을 통한 보호대상아동 자립 정서 변화 분석

        이정희(Lee, Jeong hee),홍재윤(Hong, Jae Yoon),태유리(Tae, Yoo Ri) 한국산림휴양학회 2017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정서적 안정화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인 14~19세 보호대상아동의 자립정서강화를 위해 자연을 매개로한 산림치유기반의 자립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보호대상아동의 자립정서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호대상아동은 보호 종결이 되는 만 18세 이전부터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부분의 체계적인 자립준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자립지원에 대한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호대상아동에게 자연을 매개로한 산림치유기반의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과 자립역량에 대한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산림치유기반의 자립역량강화 프로그램은 2박3일간 횡성에 위치한 숲체원에서 진행되었으며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개선, 돈 관리 기술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 제공하였다. 그 결과 보호대상아동들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개선, 우울수준의 정서적 특성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경제적 부분의 돈 관리 기술이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자연을 매개로 한 산림치유기반의 자립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보호대상아동의 자립 정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산림치유의 대상자 확대와 치유효과분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aper tried to find out changes on self-reliance of at-risk children after applying self-reliance enhancing program based on forest healing therapy using nature as medium. The program, to strengthen their selfreliance sentiment, was conducted on subjects between14 to 19 years. These period is regarded as important as emotional stabilization is occurred during the term. At-risk children are required to prepare systematic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independence from 18 years old when guidance is terminated and for this, programs on selfreliance are applied. The research has applied a program that is based on forest healing therapy that has adapted nature as medium and tried to help enhancement of emotional stabilization and self-reliance capability. The program was conducted at Soopchewon located in Hoengseong, Gangwon Province for 2 nights and 3 days. It was to improve capability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and finance management and accordingly organized and provided for children. As a result, at-risk children’s self-esteem was increased and interpersonal relation and emotional status at the degree of depression were positively changed. Also, money management was improved. Through this, the paper can be said as meaningful as it has analyzed the self-reliance effects on at-risk children with the program based on forest healing therapy using nature as medium, expanded the subjects range and offered the basic material analyzing healing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