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효율 및 역률 향상을 위한 지하철 역사 송풍용 SynRM 개발

        박예지(Ye-ji Park),김재원(Jae-Won Kim),진창성(Chang-Sung Jin),정동훈(Dong-Hoon Jung),김창민(Chang-Min Kim),이주(Ju Lee)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7

        본 논문에서는 지하철 역사 송풍용 유도전동기를 대체하기 위하여 SynRM(Synchronous Reluctance Motor)의 효율 및 역률향상 설계 연구를 진행하였다. IE4 이상의 효율 달성을 실현하여 유도전동기를 대체하기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유도전동기의 사양 및 출력 특성을 분석하였다. SynRM은 영구자석에 의한 마그네틱 토크가 없고 d-q축 인덕턴스 차이를 이용한 릴럭턴스 토크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회전자 베리어 형상에 따라 토크 특성이 결정된다. 그러므로 다변수로 이루어진 SynRM 회전자에 대해서 효율 및 역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최적 설계를 진행하였다. 회전자의 각 파라미터에 따른 최적 설계 모델을 도출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FEA)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SynRM의 설계 결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 청결 들깨 생산을 위한 세척 시험

        회만 ( Park Hoeman ),서영육 ( Youngwook Seo ),정보미 ( Bomi Jeong ),광집 ( Park Gwangjip ),예지 ( Hwang Yeji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들깨는 국민 식생활에 있어서 필수 조미식품의 원료로 성인병 예방과 학습능력 향상에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소비가 (’12) 1.02→(’18) 1.07→(’20) 1.23 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들깨는 친환경 밭작물로써 재배가 쉽고 이모작이 가능한 단기성 작물로 봄 감자, 찰옥수수 등의 후작 재배가 가능하여 재배면적(ha)이 ('08) 26,760→('13) 30,130→('20) 36,111, 생산량(톤)은 ('08) 28,479→('13) 33,347→('20) 38,784으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들깨는 분쇄한 가루, 착유한 들기름 형태로 식용하고 있다. 가을에 들깨는 탈곡, 건조, 정선, 석발 과정을 거쳐 유통하고 있다. 대부분의 농산물은 껍질을 벗기고 세척 후 식용하고 있어 들깨 또한 이물질 제거가 필요하다. 따라서 들깨세척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다. 들깨의 세척은 돌기식 오거에 의한 교반이송 및 이송부 상부 노즐 물분사 방식으로 하였다. 조사내용은 세척전과 세척후의 들깨를 대상으로 이물질 무게, 탁도, 탈수정도, 색도, 함수율 등으로 하였다. 탁도는 수질측정시료(들깨) 10 g에 증류수 250 mL을 600 rpm 30초간 진탕 후, 10 mL을 탁도계(90-FLT, TPS)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색도는 색차계(CR-4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물질 제거정도는 오븐 60℃에서 1시간 동안 여과지 건조 후 무게 측정, 들깨 10 g과 증류수 50 mL을 30초간 600 rpm으로 교반 후 여과 하였으며, 오븐 60℃에서 5시간 동안 건조 후 무게 측정하여 여과 전 여과지 무게와 여과 및 건조 후 여과지 무게를 차이를 이물질 무게 측정하였다. 표면부착수는 세척 전 들깨 및 자루 무게 측정, 들깨 100 g을 자루에 넣고 30초간 세척, 1분간 탈수 후 세척 및 탈수 후 자루+시료, 시료를 뺀 자루무게 측정 후 계산하였다. 탁도는 1차 세척 후 16.12 ppm, 2차 세척 후 9.69 ppm으로 탁도가 감소하여 세척효과가 보였다. 색도는 L 값이 32.05→28.95, a 값이 3.07→3.04, b 값이 14.82→14.15 로 조사되었으며, L 값은 다소 변화가 있었으나 a, b 값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물질 제거 양은 들깨 10 g에서 제거한 이물질 무게가 0.003 g으로 원물 무게 대비 0.03%로 나타났다. 표면 부착수는 들깨 100 g에 9.98 g으로 세척 전 무게의 약 10% 정도가 부착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세척을 통해 청결한 들깨 생산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금후 함수율, 세균수 등에 대한 추가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Epidemiological Study of Hereditary Hemolytic Anemia in the Korean Pediatric Population during 1997–2016: a Nationwide Retrospective Cohort Study

        예지,정혜림,신희영,강형진,Jung Yoon Choi,하정옥,이제민,임영탁,양의진,백희조,최형수,유건희,준은,김성구,김지윤,은실,임호준,최희원,김순기,이재희,유은선,Park Hyeon Jin,Lee Jun Ah,Park Meerim,강현식,지경,이나희,상규,이영호,이성욱,Eun Jin Choi,공섬김,Red Blood Cell Disorder Wo 대한의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5 No.33

        Background: Hereditary hemolytic anemia (HHA) is a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premature red blood cell (RBC) destruction due to intrinsic RBC defects. The RBC Disorder Working Party of the Korean Society of Hematology established and updated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for making an accurate diagnosis of HHA since 2007.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nationwide epidemiology of Korean HHA. Methods: We collected the data of a newly diagnosed pediatric HHA cohort (2007–2016) and compared this cohort's characteristics with those of a previously surveyed pediatric HHA cohort (1997–2006) in Korea. Each participant's information was retrospectively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A total of 369 children with HHA from 38 hospitals distributed in 16 of 17 districts of Korea were investigated. RBC membranopathies, hemoglobinopathies, RBC enzymopathies, and unknown etiologies accounted for 263 (71.3%), 59 (16.0%), 23 (6.2%), and 24 (6.5%) of the cas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hort from the previous decade, the proportions of hemoglobinopathies and RBC enzymopathies significantly increased (P < 0.001 and P = 0.008, respectively). Twenty-three of the 59 hemoglobinopathy patients had immigrant mothers, mostly from South-East Asia. Conclusion: In Korea, thalassemia traits have increased over the past 10 years, reflecting both increased awareness of this disease and increased international marriages. The enhanced recognition of RBC enzymopathies is due to advances in diagnostic technique; however, 6.5% of HHA patients still do not have a clear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accessibility of diagnosing HHA.

      • KCI등재

        사회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예지(Park Ye Ji),황혜원(Hwang Hye Won)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한 학습조직의 수준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지역에 소재하는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30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조직 수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습조직 수준이 높을수록, 급여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조직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팀학습, 공유비전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 수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습조직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학습조직 하위요인별로 팀학습, 시스템 사고, 개인적 숙련, 공유비전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개인차원과 조직차원에서의 학습조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perceived by social welfare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on 302 workers from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located in Chungcheongbuk-do,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ffect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pay,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xamination of each sub-factor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team learning and shared vision,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ffect of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on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and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examination of each sub-factor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team learning, system thinking, individual proficiency, and shared vis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 SCOPUSKCI등재

        컬러푸드 중 쿼세틴 및 쿼세틴 배당체 함량조사

        박예지(Ye-ji Park),김기철(Ki-Cheol Kim),조상훈(Sang-Hun Cho),문선애(Sun-Ae Moon),김한택(Han-Taek Kim),정아용(Ah-Yong Jeong),김아람(A-Ram Kim),채경석(Kyung-Suk Chae),김지원(Ji-Won Kim),명기(Myoung-Ki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7

        본 연구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유통되는 컬러푸드의 쿼세틴 및 배당체 함량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QuEChERS kit인 ENK1-SC와 WT186008075를 사용하여 추출 및 정제하는 전처리법을 확립하였고, LC-MS/MS를 이용해 21분 동안 negative 모드로 분석하는 기기 분석법을 확립하였다. 서류 1품목, 과일류 4품목, 채소류 8품목(총 100건)의 쿼세틴 및 배당체 함량을 분석한 결과, 브로콜리를 제외한 12품목에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총 쿼세틴 함량은 블루베리, 체리, 오디, 토마토, 양파, 포도, 고추, 파프리카, 애호박, 고구마, 콜리플라워, 양배추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Rutin의 함량이 가장 높은 항목은 체리(135.88±7.27μg/g FW)였고, 블루베리에서 hyperin(74.22±14.69 μg/gFW), isoquercitrin(58.48±12.30 μg/g FW), quercitrin(5.47±0.73 μg/g FW)의 함량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쿼세틴 함량은 양파(4.96±0.36 μg/g FW)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품목은 같지만 색이 다른 시료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포도의 isoquercitrin 함량은 청포도보다 약 9배 높게 검출되었고, 청고추의 quercitrin 함량은 홍고추보다 약 8배 높게 나타났다. 쿼세틴 함량이 가장 높은 양파를 부위별로 나누어 함량을 비교한 결과, 과육, 뿌리, 껍질 순으로 isoquercitrin과 쿼세틴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다소비 컬러푸드의 쿼세틴 및 배당체 함량에 대한 영양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quercetin and quercetin glycosides in colored foods. We developed a sample extraction and separation method using the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QuEChERS) kit, and the analytical method was performed by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mass spectrometry (LC-MS/MS). Totally, 13 colored foods were analyzed; quercetin and quercetin glycosides were obtained in 12 foods, except broccoli. The total quercetin contents of colored foods were high, in the sequential order blueberry, cherry, mulberry, tomato, onion, grape, pepper, sweet pepper, zucchini, sweet potato, cauliflower, and cabbage. Among the colored foods surveyed,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or rutin, a quercetin glycoside, in cherries (135.88±7.27 μg/g FW). The highest contents obtained in blueberries were hyperin (74.22±14.69 μg/g FW), isoquercitrin (58.48±12.30μg/g FW), and quercitrin (5.47±0.73 μg/g FW). Quercetin content was the highest in onions (4.96±0.36 μg/g FW). Comparing the contents of quercetin and quercetin glycosides according to color, the isoquercitrin content of purple grapes was determined to be about 9 times higher than in green grapes (P<0.05). Furthermore, the contents of rutin, isoquercitrin, and quercitr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een pepper than in red pepper (P<0.05).

      • KCI등재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자료의 정리와 해석’ 분석

        박예지(Park, Yeji),김채영(Kim, Chaeyoung),이채희(Lee, Chaehee),김윤민(Kim, Yunmi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통계 교육의 방향성 변화를 반영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자료의 정리와 해석’을 분석하였다. 개정한 중학교 1학년 교과서 10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 3개 중 성취기준 1에 해당하는 과제가 54%, 성취기준 2에 해당하는 과제는 16.5%였다. 둘째, 정보처리 역량은 자료 정리 및 분석 60.9%, 자료의 해석 및 활용 16.3%, 공학적 도구 활용 14.4%, 자료 수집 8.3%였다. 셋째, 공학적 도구로 활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이지통계와 통그라미였다. 넷째, 실제 자료는 19%였고, 실제 자료는 정보 처리 역량의 자료 수집, 성취기준 3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다섯째, 맥락의 소재는 사회현상, 학생일상, 과학현상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실생활 중심의 통계 교육을 지향하는 방향성이 맞추어 더 다양한 실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의 개발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of data’ in mathematics textbooks of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direction of statistics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10 revised first grade middle school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three achievement standards, 54% of the tasks belo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 1 and 16.5% of the tasks belo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 2. Seco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was 60.9% for data organization and analysis, 16.3% for interpretation and use of data, 14.4% for use of technological tools, and 8.3% for data collection. Third, the statistical software, used as technological tools, were Easy-statistics and Tongrami. Fourth, the actual data was 19%, and the actual data was most often found in the data collec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 3. Fifth, the context came in the order of social phenomena, scientific phenomena, and student daily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guidi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lans to allow use of a wider variety of actual data through real life-oriented statist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