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트니스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는 중앙 제어 훈련 시스템 개발 : 특허출원 20-2018-0001830

        박승보,남재준,이제욱 한국사회체육학회 201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7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tent is to develop a central governor training system that regulates the user’ s training by turning audible sound or visible indicator lamps on and off per the central computer into which a user-specific training plan is entered.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the sounding and flashing ofn idicator lamps (LED) on a centra l computer where training plans were entered per user by a coach; it was a centrally controlled training system consisting of a wearable device that controls the user’s training from the central computer. Results: The coach executes a central governor training program and logs in. The coach can enter an athlete’s information including name, sex,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exercise type, medical history, maximum heart rate, maximal oxygen uptake, and lactate threshold. The system allows a supervisor to control the training intensity or duration of each user with the wearalbe device through a central computer to effe-c tively execute the planned training program. Conclus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ed device is for group training, and not for individual training, and will play an effective role in the training of groups that mandatorily require fitness, such as special professions (soldiers, police officers, and firefighters) and athletes.

      • 등장인물 누적에 따른 스토리 발단 부분의 경계 판단

        박승보,이예지,유은순,정재은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1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2

        발단은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배경을 소개하고 사건의 실마리와 갈등을 암시하는 장치들을 제시한다. 따라서 영화의 축약이나 등장인물 정보의 추출을 위해 발단에서 많은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등장인물 수 누적그래프를 이용한 영화의 발단 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발단에서 주요 등장인물이 소개되므로 그들의 신규 등장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장면을 찾아 발단과 중반부의 경계로 추출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단역을 제거하는 방법과 기울기의 변곡점을 찾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의 효율성을 보이기 위해 영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 KCI등재

        난소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

        박승보,김종원,강상대,정상윤,송성,강인구,이원명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5

        1. 난소 종물로 확진된 550예중 비종양성 난소낭이 154예(28%), 양성 난소종양이 354예(64.4%), 악성 난소종양이 42예(7.6%)였다. 2. 비종양성 난소낭에는 황체낭과 난포낭이 67예(43.5%), 부난소낭이 45예(29.2%), 단순낭이 34예(22.1%), 자궁내막증이 8예(5.2%)의 빈도를 보였다. 3. 양성 난소종양은 비종양성 난소낭을 제외한 전난소종양 396예중 354예(89.4%)를 차지하였고, 이중 germ cell tumor인 낭성 기형종이 167예(47.2%), 점액성 낭선종이 91예(25.7%), 장액성 낭선종이 80예(22.6%), Brenner tumor 2예(0.6%)로 양성 epithelial ovarian tumor의 발생빈도는 48.9%로 가장 많았다. 섬유종이 8예(2.2%), 섬유 난포막종 5예(1.4%), 난포막종이 1예로 Sex-cord stromal tumor는 3.9%를 차지하였다. 4. 악성 난소종양은 전 난소종양 396예중 42예(10.6%)를 차지하였고, 이중 epithelial origln인 점액성 낭선암이 13예(30.9%), 장액성 낭선암이 9예(21.5%), 자궁내막성 암종이 3예(7.1%), clear cell carilnoma는 1예(2.4%)로 61.9%의 빈도를 보였다. Sex-cord stromal tumor에 속하는 granulosa cell tumor 2예와 androblastoma 1예로 발생빈도는 악성 난소종양중 7.2%를 차지하였고, germ cell tumor에 속하는 EST가 3예, embryonal carcinoma가 1예, immature teratoma가 3예로 발생빈도는 16.6%였다. K-tumor가 2예(4.8%), 전이성 선암이 1예(2.4%)로 2차전이성 난소암이 7.2%를 차지하였다. 낭성 기형종에서 악성변화된 편평상피암도 3예(7.1%)가 관찰되었다. 5. 난소종양 환자들의 연령분포는 비종양성 난소낭의 경우 20대에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전체 154예중 75예(48.7%)였고, 평균연령은 31.5세였다. 양성 난소종양 354예중 20대에서 147예(42.5%)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평균연령은 34세로 나타났다. 악성 난소종양(Borderline malignancy 포함)에 있어서는 20대에서 12예(28.5%), 30대에서 10예(23.8%), 40대에서 9예(21.1%), 50세이상에서는 10예(24%)였으며, 20~49세에서는 31예(73.8%)였고, 평균연령은 38.9세로 비종양성 난소낭 혹은 양성 난소종양보다 발생시기는 약 5~8년정도 늦은것으로 나타났다. 6. 비종양성 난소낭의 크기는 직경이 5cm이하인 경우가 84예(54.5%)로 가장 많았고, 양성 난소종양의 크기는 직경이 6~10cm인 경우가 112예(31.6%)로 가장 많았고, 악성 난소종양의 크기는 직경이 16~20cm인 경우가 12예(28.6%)로 가장 많았다. 7. 비종양성 나소낭 환자에서 분만경험이 2회가 53예(34.4%)로 가장 많고, 과거 분만경험이 없었던 예가 49예(31.8%), 분만경험이 1회인 경우가 21예(13.6%)였다. 양성 난소종양 환자에서 분만의 경험이 없었던 예가 119예(33.6%)로 가장 많았고, 분만경험 2회가 87예(24.6%), 1회가 43예(12.1%)로 나타났다. 악성 난소종양 환자에서 과거 분만경험이 없었던 예가 11예(26.2%)로 가장 많았고 2회와 3회는 각각 7예(16.7%), 6회 이상의 분만횟수는 4예(9.5%)로 나타났다. 8. 양성 난소종양 354예중 양측성인 경우는 35예(9.9%)였고 그중 양성기형종 166예에서 18예(10.8%)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악성 난소종양 총 42예에서 양측성인 경우가 11예(26.2%)로 나타났다.전이성 난소암의 양측성은 75%로 나타났다. 9. 비종양성 난소낭 환자의 내원시 주소는 하복부의 동통 및 불편감이 106예(68.8%)로 가장 많았고, 이는 양성 난소종양 환자에서와 마찬가지로 150예(42.4%)에서 가장 많았다. 악성 난소종양의 경우 가장 많은 주소는 복부종양의 촉지로서 19예(45.2%)였다. A clinico-pathological as well as statistical survey was carried out on a series of 550 patients with ovarian tumor, who were admitted, operated and confirmed histopathologically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atima Hospital, Taegu, for 10 years from Jan.1979 till Dec.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550 cases, the incidence of nonneoplastic ovarian tumors, benign ovarian tumors and malignant ovarian tumors were 154 cases (28 %), 354 cases (64.4 %) and 42 cases (7.6 %) respectively. 2. Among the benign tumors, cystic teratoma was most frequently revealed in 167 cases (47.2 %), and among the malignant tumors, mucinous cystadenocarcinoma was most frequently revealed in 13 cases (30.9 %). 3. The mean size of the benign ovarian tumors was 34 years and that of malignant ovarian tumors was 38.9 years. 4. The mean size of the benign ovarian tumors was 12.1 cm and that of the malignant ovarian tumors was 16.5 cm. 5. The bilaterality of the benign rumors was 9.9 %, bilaterality of the malignant ovarian tumors was 10.8 %. In metastatic malignant ovarian tumors, the bilaterality was 75 %. 6.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 of the benign tumors was lower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revealed in 42.4 % of the cases, while that of the malignant ovarian tumors was lower abdominal palpable mass, revealed in 45.2 % of the cases.

      • KCI등재

        운동부하검사 시 경두개직류자극이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및 운동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

        박승보,한정규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amine the effects of tDCS on VO2max, HRmax and time to exhaustion (TTE) in graded exercise testing. Thirteen healthy recreationally active male participated in this counter-balanced design study and completed two times a graded exercise testing. After receiving either 20 min 2 mA anodal tDCS applied over the primary motor cortex (M1) or Sham stimulation on separate days. In the Sham condition, the same device was worn for 15 minutes without current. Gas exchange, HRmax and time to exhaustion(TTE) were monitored during graded exercise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O2max(50.72±4 vs 48.42±3.83ml/kg/min for tDCS and Sham, respectively, p=.147) was observed between the tDCS and Sham conditions during the graded exercise test. And there was no differences among the two conditions in HRmax(198.92 ±5.28 vs 197.07±4.78beats/min for tDCS and Sham, respectively, p=.36). Fin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to exhaustion(14.21±1.48 vs 13.26±1.22min for tDCS and Sham, respectively, p=.085) was observed between the tDCS and sham condition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stimulation of the M1 using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tDCS) does not induce analgesic effect during exercise. These results play an important role in methodological advancement in developing the use of tDCS in maximal exercise performance. 본 연구는 운동부하검사 시 경두개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이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심박수 및 운동지속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참가자는 13명으로 신체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1차 실험은 tDCS집단은 일차운동피질(M1)에 15분간 2mA의 자극을 가하였으며, 2차 실험은 동일한 기기를 착용한 후 15분간 전류가 흐르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고 각기 다른 날 처치를 실시하였다. 운동부하검사 시 가스분석, 최대심박수 및 운동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운동부하검사 시 처치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tDCS: 50.72±4, Sham: 48.42±3.83ml/kg/min, p= .147), 운동부하검사 시 처치에 따른 최대심박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tDCS: 198.92±5.28, Sham: 197.07±4.78beats/min, p=.36), 마지막으로, 운동부하검사 시 처치에 따른 운동지속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DCS: 14.21±1.48, Sham: 13.26±1.22min, p=.085).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일차운동피질(primary motor cortex : M1) 위치의 경두개직류자극은 진통 효과(analgesic effect)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후속연구를 위하여 최대운동 시 tDCS 처치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