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PCS의 전환공정에 따른 SiC세라믹스 수율 및 산소 함량 변화

        김정일,김원주,박지연,Kim, Joung-Il,Kim, Weon-Ju,Park, Ji-Yeon 한국세라믹학회 2005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2 No.3

        The conversions to SiC-based ceramics of a polycarbosilane (PCS) with and without oxidation curing were carried out. A yield and an oxygen content of conversed SiC-based ceramics were evaluated. The weight losses of conversed SiC-based ceramics by both processes analyzed to estimate the high temperature stability after heat treatment at high temperature in vacuum. The yield of SiC­based ceramics after oxidation curing was higher than that without curing process. However, the weight loss of SiC-based ceramics with oxidation curing was larger than that without curing process after heat treatment. 무기 고분자인 polycarbosilane(PCS)으로부터 탄화규소 (SiC) 세라믹스로의 전환을 열산화에 의한 불융화 처리를 한 후 열분해 하는 공정과 불응화 처리를 하지 않고 열분해 하는 두 공정으로 각각 행하고, 수율 및 산소 함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두 공정으로 얻어진 SiC 세라믹스의 고온 안정성 평가를 위해 진공분위기의 고온에서 열처리 하여 무게 감량을 비교하였다. 열산화에 의한 불융화 처리를 한 후 열분해 하여 얻어진 SiC 세라믹스의 수율이 불융화 처리를 하지 않고 열분해 하여 얻어진 SiC세라믹스의 수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이를 고온의 진공분위기에서 열처리 하였을 때는 열산화에 의해 불융화 처리를 한 공정으로부터 얻어진 SiC 세라믹스의 무게 감량이 크게 나타났다.

      • 연부조직 종물의 진단에서 초음파 유도하 중심부 침생검

        김정일,윤명수,천상진,최경운,이태홍,Kim, Jeung-Il,Youn, Myung-Soo,Cheon, Sang-Jin,Choi, Gyung-Un,Lee, Tae-H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2

        Purpose: To determine the utility of sonographically guided percutaneous core needle biopsy to diagnose musculoskeletal soft tissue masses.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55 patients referred for image-guided needle biopsy of primary or recurrent soft tissue masses and bone lesion or suspected solitary metastasis with extraosseous masses.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with a 14-gauge or 18-gauge cutting needle coupled to an automated biopsy device under local anesthesia and sonographic guidance. Statistical analysis was based on 49 biopsies confirmed by successful clinical treatment (11 cases) or surgical resection (38 cases). Results: An accurate diagnosis was obtained in 47 (97%) of 49 biopsies; sensitivity was 95%, and specificity was 100%. The method did not yield sufficient tissue to establish a diagnosis in 6 cases. Considering all 55 biopsies, high-quality specimens were obtained in 87%. There were no serious complications. Conclusions: Sonographically guided core needle biopsy is accurate and safe, in soft tissue masses and bone tumors with extraosseous masses in the appendicular skeleton. In such patients, the sonographically guided procedure is the most prompt and effective method for obtaining tissue samples. 목적: 근골격계 종물의 진단에 있어 초음파 유도하 생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8월 사이에 본원 정형외과를 내원한 환자 중 연부조직 종물을 가지는 환자의 진단을 위하여 조직 생검이 필요하였던 5 5명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조직검사는 초음파 유도하에서 조직의 채취 부위에 국소마취하에 시행하였으며 14 gauge 또는 18 gauge의 굵은 바늘을 사용하여 5~6개의 조직을 얻을때까지 시행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임상적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던 11명의 환자와 수술적 절제 후 조직의 최종 확인이 가능한 38명을 포함하여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불충분한 조직을 얻은 경우나 조직학적 진단이 불가능한 6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정확한 진단은 49명의 환자중 47명의 환자에서 얻을 수 있어 정확도는 96%였고 민감도는 90%, 특이도는 100%였다. 전체 55명의 환자중 89%(49명)에서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한 충분한 조직을 얻을 수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생검은 연부 조직 종물의 정확한 위치에 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어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이나 골종양의 진단에서 골외 부분이 있는 경우 시행할 수 있는 안전하면서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능동 시스템에서 위치관련 액션 수행을 위한 희소공간 공간객체의 효율적인 영역질의와 최근접질의

        김정일,홍동권,Kim, Jung-Il,Hong, Dong-Kw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8 No.2

        우리 사회에는 많은 종류의 재해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재해가 발생하면 귀중한 생명 또는 소중한 재산들을 보호하기 위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재해 또는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내용을 즉시 재해 또는 사고 대책 본부에 보고되고 즉각적인 처리를 위한 명령들이 관할 기관에 전달된다. 이 논문은 먼저 능동 데이터베이스의 트리거 기능을 이용한 지능현 무인 비상대책 시스템을 소개한다. 무인 비상 대첵 싯쳄은 사람의 직접적인 참여 없이 저장하고 있는 지식을 이요하여 다양한 종류와 사고를 처리한다. 이 시스템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적절한 처리 명령이 전달될 위치를 신속히 찾아내는 기능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 대책 시스템과 같은 능동 시스템에서의 명령이 전달될 위치를 신속히 찾기 취해서 전형화 방법인 Z-ordering 방법을 사용하여 희소 공간에서 효과적인 영역질의와 최근접 질의를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ㅏ였다. 뿐만 아니라 최소 강간에 존재하는 위치 사이의 거리가 직선거리가 아닌 실제 상황을 고려한 경우에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Various kind of disasters happens in our society. Most of them require immediate treatment to save life or to protect valuable products. When an accident happens in a place, it is reported to the headquarter of emergency measures system. According to the nature of accident several treatments orders are transmitted to the related authoriti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intelligent emergency measures system that uses trigger mechanism of active databases. The system responds to various events spontaneously without intervention of mankind by triggering proper rules. The most important part of an action in the system is the capability of searching places to apply adequate treatments quickly. We have developed a new method for range queries and nearest neighbor queries which utilize the z-ordering technique to get fast responses. Those new methods are further extended to handle more realistic actual distance of road among positions.

      • KCI등재

        소프트웨어 형상관리와 작업정보 리포팅을 통한 소프트웨어 제작 성능 향상

        김정일,이은석,Kim, Jeong-Il,Lee, Eun-Se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2 No.7

        대규모의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는 필수이다.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Configuration Management)의 범주는 버전관리 외에도 각 개발자의 작업영역 관리, 소프트웨어 제작 관리, 개발 프로세스 제어부분까지 폭 넓게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형상관리 부분에서 소프트웨어 제작부분의 최적화를 위해 다른 부분들이 어떻게 상호 유기적으로 조정되어야 하는지에 방향성을 두고 있으며 특히 형상관리 되어지는 정보 중에 어떠한 내용을 리포팅 할 때 소프트웨어 제작부분의 효율이 높아지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새로운 리포팅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고 평가하였다. 평가시에는 기존의 형상관리도구들의 관련 기능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상대적 유효성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각 리포팅 대상자들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했을 때 생겨나는 변화에 대하여 설문 조사하여 그 유효성기 정성적 평가를 추가하였다. A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SCM) is essential for processing large scale project. The scope of SCM involves each developer's work space management, software building management, and development process control as wet] as version control. In this paper we focus on what parts should be controlled systematically for the optimized software build tha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SCM. We also analyze tha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oftware build, what kind of configur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hould be reported. Based on the analysis, we have actually designed and implemented a new reporting system and evaluated it. The evaluation includes comparative evaluation in efficiency based on the analysis about the related functions provided by existing tools and some additional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 the questionnaires from stakeholders.

      • KCI우수등재

        암모니아 및 가성소다 처리 볏짚의 사료가치 향상 비교

        김정일,맹원재,장문백 ( J . I . Kim,W . J . Maeng,M . B . Chang ) 한국축산학회 1986 한국축산학회지 Vol.28 No.2

        Rice straw was treated with 4% anhydrous ammonia in a wire mesh silo and stack and 4% sodium hydroxide of the weight of rice straw dry matter (3.3% in a air dry rice straw). Treatment period with ammonia was winter time from September 23 to February 14, and chopped rice straw with 4-5 cm was sprayed with sodium hydroxide dissolved in water of 50% of straw weight and stacked for 96 hours, and then dried in a shadow. In vitro digestibility studies and goat metabolism trials with 4 × 4 Latin square design were conducted. Crude protein content of ammonia-treated rice straw, compared with 4.2% of untreated rice straw, was 11.9% (wire mesh silo) and 9.6% (stack) and increased 2.8 fold and 2.3 fold, respectively. Crude protein content of sodium hydroxide treated rice straw was 3.9% and decreased 7.1% over untreated rice straw. Digestible crude protein contents of untreated and sodium hydroxide treated rice straw were 0.6% and 0.5%, respectively, however, that of ammonia treated rice straw was 7.6% (wire mesh silo) and 5.6% (stack), which were considerably higher than untreated and sodium hydroxide treated rice straw. NDF, ADF, and cellouse contents of rice straw were decreased by ammonia and sodium hydroxide treatment. In vitro dry matter, NDF, ADF and cellouse digestibiliti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y ammonia and sodium hydroxide treatment (P$lt;0.01). Increases of in vitro digestibilities were the highest in sodium hydroxide treated rice straw and followed by ammonia treated rice straw in wire mesh silo. However, in vivo digestibilities of rice straw were the highest with ammonia treated rice straw in a wire mesh silo and were not different between ammonia treated rice straw in stack and sodium hydroxide treated rice straw. Rice straw intake increased by 62% in ammonia treatment in a wire mesh silo, by 26% in ammonia treatment in stack and by 35% in sodium hydroxide treatment (P$lt;0.05). Water intake and urine excre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ammonia and sodium hydroxide treatment of rice straw (P$lt;0.05) and highest with goat fed sodium hydroxide treated rice straw. Digestible dry matter and TDN contents of untreated and ammonia treated in a wire mesh and stack and sodium hydroxide treated rice straw were 48.6%, 57.4%, 54.3% and 52.9%, and 40.5, 53.9, 47.7 and 47.9,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total VFA in rumen fluid was the highest in ammonia treated rice straw in a wire mesh silo and composition of individual VF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

      • 신경초종 진단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의 진단적 가치

        김정일,김엄지,문태용,이인숙,송유선,최경운,Kim, Jeung Il,Kim, Um Ji,Moon, Tae Yong,Lee, In Sook,Song, You Seon,Choi, Kyung 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목적: 연부조직 종양 중 지방종과 신경초종(Schwannoma)은 자기공명영상촬영(MRI)만으로 충분한 진단적 가치를 가지는 종양이다. 하지만 신경초종의 경우 종양의 특성상 MRI에서 다양한 형태의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신경주변에 생긴 다른 종양이 MRI상 신경초종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있다. 따라서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RI에서 신경초종을 감별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술 전 자기공명영상촬영(MRI)상 신경초종(schwannoma)이 의심된 환자 10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최종 진단 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신경초종이 나온 경우를 1군으로 하고, 다른 병변이 나온 경우를 2군으로 나누어서 MRI 상 신경초종을 의심할 수 있는 영상의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04예의 조직검사 결과 신경초종으로 진단된 경우는 92예이며, 신경초종 외에 다른 병변으로 진단된 경우는 12예였다. MRI 특이 소견중 target sign은 1군에서는 41예(45%), 2군에서는 없었으며, fascicular sign은 1군에서는 47예(51%), 2군에서는 2예(17%), fat split sign은 1군에서는 44예(48%), 2군에서는 5예(42%),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은 1군에서는 28예(30%), 2군에서는 1예(9%)가 나타났다. 위 네가지 소견 모두 나타나지 않은 경우는 1군에서 8예(9%), 2군에서 6예(50%) 였다. 종양이 신경 주행 경로에 있는 경우는 1군에서 52예(57%), 2군에서 5예(42%)였다. Chi-squared test를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에서, 위의 네가지 소견 중 target sign이 신경초종의 진단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신경초종 진단에 MRI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신경초종이 지닌 여러가지 특성으로 인해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다른 종양으로 확진 된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다. 그러므로 MRI상 과녁징후가 보이지 않는 신경초종의 경우에는 다른 종양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접근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diagnose soft tissue tumor, such as lipoma and Schwannom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sufficient in most cases. However, various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MRI images of Schwannoma, thus other type of tumor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image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May 2013, 104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rith MRI images are included in data, and the final diagnosis is confirmed with biopsy. Patients are divided into group 1 and group 2 who are confirmed as Schwannoma and other disease with biopsy, respectively. Results: 92 patients were diagnosed as Schwannoma (group 1) and 12 patients were diagnosed as other disease (group 2). We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41 patients of group 1 (45%) and 0 patients of group 2 (0%) showed target sign, 47 patients of group 1 (51%) and 2 patients of group 2 (17%) showed fascicular sign, 44 patients of group 1 (48%)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showed fat split sign, 28 patients of group 1 (30%) and 1 patients of group 2(9%) showed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 and 8 patients of group 1 (9%) and 6 patients of group 2 (50%) showed none of four specific findings on their MRI images. 52 patients of group 1 (57%)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have tumors on the pathway of nerve. Target sign could be considered as the best diagnostic value of the sign we investigate (p<0.05). Conclusion: Although specific MRI findings have powerful diagnostic value, patient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findings. Therefore, if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based on MRI findings have no target sign on their MRI images,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other disease.

      • KCI등재

        정신분열증환자와 도파민 $D_1$ 수용체 대립유전자 연합

        김정일,이민수,곽동일,Kim, Jeong Il,Lee, Min Soo,Kwak, Dong Il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7 생물정신의학 Vol.4 No.2

        The results regarding an association between the polymorphism sites in the dopamine $D_1$ receptor gene and schizophrenia compelled us to study the distribution of the polymorphism in Korean schizophrenia and controls. Eighty-eight schizophre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were examined by case-control study for distribution of the polymorphism of the dopamine $D_1$ receptor gene in Korean popualtion to minimize the effect of racial differencies in gene frequencies. The frequencies of the $B_1$ and $B_2$ in schizophrenic patients were 0.11 and 9.89, respectively. And 0.10 and 0.90 in normal control. Ther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in the allele $B_1$ and $B_2$between schizophrenic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The author present here the evidence of a lack of alleic association between the polymorphism of the dopamine $D_1$ receptor gene and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The assumption that the dopamine $D_1$ receptor gene has a genetic role in the development of schizophrenia was not suppoorted by this case-control study.

      • KCI등재

        A case of generalized tetanus with characteristic neurophysiological findings

        김정일,이지만,김종열,박성파,서정규,Kim, Jung-Il,Lee, Ji-Man,Kim, Jong-Yeol,Park, Sung-Pa,Suh, Chung-Kyu Korean Society of Clinical Neurophysiology 2002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ol.4 No.1

        Tetanus is a disorder known to interfere with inhibitory modulation of the motor system in humans. In this report, we describe the characteristic neurophysiological findings in a 52-year-old patient with generalized tetanus. The cutaneous silent period was absent and the silent period evoked in distal upper limb muscles b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was shortened. Thes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as evidence of impaired inhibitory mechanisms at multiple levels of the nervous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