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축산식품학회 웹기반 논문투고관리 연구

        강무영,박재원,김병규,정희석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6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는 학회업무 관리, 학술정보 관리를 학회가 어려움 없이 처리하도록 지원하고자, 학회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학회 학술 정보 유통 체제 전 과정을 온라인화 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KISTI -ACOMS(KISTI-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KISTI-웹기반 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2001년부터 학회에 무상으로 보급하여 왔다. 또한 2003년부터 최근 3년간 학회 편집위원회와 같은 임원회의를 통해 추가 요구기능을 수렴, 분석하고 재설계하여 2005년 9월에 KISTI-ACOMS 버전 2.0을 출시하여 최근 과학기술분야 학회를 대상으로 무상보급을 지원하고 있다. 웹기반 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국내 학회 정보화의 고도화를 지향하고자 하는 시기의 흐름에 맞추어 한국축산식품학회 또는 KISTI-ACOMS 버전 2.0을 도입하였으며, KISTI는 한국축산식품학회의 제반환경과 심사 프로세스를 분석, 적용하여 시스템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KISTI - ACOMS 버전 2.0을 기반으로 구축한 한국축산식품학회의 웹기반 논문투고관리 시스템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시스템에 필요한 기능 및 명세를 기술함으로써 한국축산식품학회의 개선된 웹기반 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제시한다.

      • KCI등재

        식육판매업소 종사자의 축산물 HACCP 제도 요구도 분석 - 서울 및 경기지역의 HACCP 지정업소와 미지정업소를 중심으로 -

        이주연,석희진,백진경,황혜선,박대섭,백현동,홍완수,Lee, Joo-Yeon,Suk, Hee-Jin,Paik, Jin-Kyoung,Hwang, Hye-Sun,Park, Dae-Seob,Paik, Hyun-Dong,Hong, Wan-Soo 한국축산식품학회 201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지역 식육판매업소의 종사자 271명을 대상으로 HACCP 지정업소 119명과 HACCP 미지정업소 152명에게 축산물 HACCP 제도 요구도에 관한 설문을 의뢰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사항과 HACCP 및 축산물안전관리 요구도로 구분하였으며, 평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70.8%는 남성이었고, 연령은 30대가 35.1%,40대가 31.4%로 나타났다. 종사경력은 3년 미만이 28.0%였으며, 10년 초과는 26.6%로 나타났다. 직위는 사원이52.0%로 가장 많았고, 소득은 100-150만원 이하가 32.8%,150-250만원 이하가 31.7%를 차지하였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64.9%로 많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계약상태는 정규직이 62.4%로 많았고, 근무시간은 60시간 초과가 48.4%를 차지하였다.HACCP 및 축산물 안전관리 요구도의 요인분석 결과HACCP 및 축산물 안전관리 요구도 속성들은 HACCP 지원, HACCP 홍보 및 교육, 축산물 안전관리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전체업소에서 HACCP 지원요인이 3.91점으로 HACCP 홍보 및 교육요인의 3.83점과 축산물 안전관리요인의 3.72점보다 요구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HACCP 지정여부에 따른 HACCP 요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HACCP 지정업소(4.11점)가 HACCP 미지정업소(3.57점)보다 높게 조사되었으며, 항목분석 결과, HACCP지정업소는 '정부의 대국민 축산물 HACCP 홍보'(4.35점,p<0.001) 항목이, HACCP 미지정업소는 'HACCP 지정을 위한 정부의 투자지원'(3.79점, p<0.05) 항목이 요구도 문항 중 가장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요구도 요인별로 살펴보면 HACCP 지원 요구도 요인의 경우,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HACCP지정을 위한 정부의 투자지원'으로 HACCP 지정업소(4.18점)가, HACCP 미지정업소(3.79점) 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요구도를 보였으며(p<0.01), HACCP 홍보 및 교육 요구도 요인의 경우, 요구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정부의 대국민 축산물 HACCP 홍보' 항목으로 HACCP 지정업소(4.35점)가 HACCP 미지정업소(3.75점)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나(p<0.01) 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축산물 안전관리 요구도 요인의 경우, 요구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축산물 유해 잔류물질의 검사의 강화'로HACCP 지정업소(4.14점)가 HACCP 미지정업소(3.53점)에 비해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 관심도가 높았다(p<0.001).한편, 축산물 HACCP 및 축산물 안전관리에 대한 관심은 연령이 적고 법적 근로시간을 준수하는 학력이 높은 중간관리자 집단에서 높게 나타난 바, 축산물 HACCP을 위한 교육매체 개발이나 교육대상자 교육 시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간주되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안전한 식품 소비를 위해서는 여러 전문가들이(Choe et al., 2004; Kim et al., 2002; Namet al., 2007) 식품안전 및 위생과 관련한 정부의 시책 강화와 식품가공업자 및 유통업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바와 같이, HACCP 지원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고취시키고 식육판매업소 종사자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적극적인 HACCP 홍보 및 교육을 실시하면, 이들의 축산물 HACCP 및 축산물 안전관리 행동과 위생이 향상됨과 동시에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 될 때까지 식육의 안전성이 훨씬 확보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HACCP is a preventative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whose application is highly encouraged worldwide. In this study, the workers' demands for the application of HACCP system at the meat retail shops were surveyed. According to a factor analysis on the demands of the application of HACCP system, the result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HACCP support, HACCP promotion and education, and generic livestock product safety management. Items on demands showed higher results for HACCP support (3.91 point) than for HACCP promotion and education (3.83 point) or generic livestock product safety management (3.72 point). The application of HACCP system was more demanded by HACCPcertified retailors with 4.11 point than the non-HACCP-certified ones (3.57 point). From the analysis of items on demands, 'governmental promotion of the general public livestock HACCP; (p<0.001) was the highest demand item by the HACCPcertified retailors and 'HACCP certification support for the government's investment' by the non-HACCP-certified ones (p<0.05). The strengthening of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application of HACCP at meat retail shops as well as active HACCP promotion and education aiming at general public was demanded. With this, the establishment of HACCP system and the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level at the area of meat retail shops could be achieved,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of consumers' satisfaction.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초위성체 표지를 이용한 한국재래돼지 집단의 분자유전학적 고찰

        연성흠 ( Seong Heum Yeon ),이승수 ( Seung Soo Lee ),조창연 ( Chang Yeon Cho ),진현주 ( Hyun Ju Jin ),유용희 ( Yong Hee Yoo ),이풍연 ( Poong Yeon Lee ),위미순 ( Mi Soon Wee ),고응규 ( Yeoung Gyu Ko ),손준규 ( Jun Kyu Son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1

        초위성체(MS) 표지를 이용하여 한국재래돼지 집단의 각각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평가를 통해 한국재래돼지에 대한 품종 및 계통분류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각 재래돼지 집단 내 및 집단간의 유전적 변이성을 확인하고, 그 분류 및 특성평가를 위한 MS 분석체계를 마련하여 국내 가축유전자원 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국내 관리기관 및 농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6개 재래돼지 집단을 중국의 4개 재래돼지 집단 및 외래종 돼지 7개 집단과 함께 분석하였다. 도합 17집단 648두를 대상으로 26개 MS 표지로 분석한 결과, 한국재래돼지 집단은 외래종과 중국재래돼지로부터 분자유전학적으로 별개의 집단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재래돼지 집단의 기대이형접합도(HE)는 0.65의 값을 보인 두 집단(B, D)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0.48~0.55의 수준을 보여 전반적으로 외래종에 비해 낮았다. 한국재래돼지 집단간의 유전거리 또한 0.12~0.34 정도로 비교대상에 비하여 낮았다. 분석대상 한국재래돼지 6집단 중 세 개의 집단은 높은 유전적 균일도를 보였으나, 두 집단에서는 일부 집단의 혼입을, 나머지 하나의 집단에서는 둘 이상의 집단으로부터의 복잡한 혼입이 의심되는 매우 낮은 유전적 균일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재래돼지 집단간의 유전적 차이 및 동질성, 그리고 집단내의 유전적 균일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유전자원의 고유성을 인정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로서, 국가수준의 가축유전자원 평가,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and optimize microsatellite(MS) markers for evaluation of Korean native pig(KNP) populations in order to provide standard for the classification and breed definition of the indigenous breeds. The study also aimed to characterize and classify each KNP populations. A total of 648 pigs from 17 pig populations including six KNP, four Chinese native pig and four commercial pig populations were analyzed with 26 MS markers. KNP populations formed separate cluster from those of Chinese native pig and introduced pig populations. Expected heterozygosity(He) of KNP populations were 0.48~0.55 except two populations with 0.65. Genetic distances between KNP populations were relatively shorter: 0.12-0.34. Among six KNP populations, three showed high genetic uniformity, two showed lower uniformity and one showed high level of impurity and heterozygosity. The results can be used to evaluate and manage animal genetic resources at national scale.

      • KCI등재

        서울시 축산물(식육)판매업소의 원산지 표시실태 및 위생상태 모니터링

        박정민,구효정,정종연,장은재,서형주,강덕호,김천제,김진만,Park, Jung-Min,Gu, Hyo-Jung,Jeong, Jong-Youn,Chang, Un-Jae,Suh, Hyung-Joo,Kang, Duk-Ho,Kim, Cheon-Jei,Kim, Jin-Ma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서울시 전제 25개 구를 대상으로 축산물(식육)을 판매하는 영업소를 대형 중형 소형영업소로 구분하여 축산물의 항목 표시 실태 및 위생상태를 점검 파악하기 위하여, 축산물(식육) 판매업소의 위생적 관리와 표시규정의 준수 여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시 25개 구를 각 구별로 비교 분석하기 위해, 1개 구마다 12개의 영업장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300개의 영업장을 조사하였고, 또한 이들 25개 구를 서울시 강남지역과 강북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업소의 규모는 대규모의 할인점이나 백화점, 대형 도매점 등의 300평 이상의 대규모 영업소가 16%였고, 중간 규모의 100-300평 사이의 중형영업소가 18%로 나타났다. 100평 이하의 소형 영업소는 6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시여부에 관한 규정의 준수는 비포장육과 포장육 모두 대체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비포장육의 등급별 용도표시 항목과 포장육의 조리방법 표시, 보관방법의 표시 항목은 아직 일부 영업자에게 그 필요성이 인식되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시여부에 관한 규정의 준수와는 달리 위생과 관련한 항목에서는 저조한 적합률을 나타내었다. 특히 작업 중과 작업 완료 후의 위생적 조치는 여러 지역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칼, 칼갈이, 도마 등의 기구류나 기계류가 상온에 그대로 방치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위생에 관련한 복장 상태 역시 대부분의 구에서 잘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관련 항목의 전반적인 적합률이 매우 낮은 것을 보았을 때 복장에서 유발될 수 있는 식육의 오염에 대한 개념이 많이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식육의 보관 온도에 관한 규정 준수 또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냉장육과 냉동육의 정확한 보관온도를 대부분의 영업자나 종업원들은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냉장육의 냉장보관의 경우에는 대체로 잘 지켜지고 있지만, 냉동육의 경우 냉동보관은 잘 지켜지고 있지 않는 사례가 많아 영업자에게 식육의 보관에 대한 적절한 교육과 홍보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의 각 구별 축산물(식육)판매업소의 실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중 소형 영업소의 영업자나 종업인은 축산물 판매에 필요한 정보를 표지판에 기재하여 소비자에게 알리기 보다는 구두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농림부 등 관계 당국에서는 식육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소비자에게 그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지 않는 축산물 판매업소의 영업자나 종업원은 법을 위반하고 있는 것이라는 교육 및 홍보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품위생과 안전성, 식품표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높여야 하며 또한, 축산물(식육) 판매업소의 위생상태에 관련하여 부적합한 대부분의 영업소의 영업자나 종업인의 식육에 대한 위생교육 또한 시급한 문제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Animals must be inspected prior to and after slaughter to make certain they are free of diseases and unacceptable defects. Since meats are potentially hazardous foods, they should not be accept if there are any signs of contamination, temperature abuse, or spoilage. This survey was aimed to monitor the current situation of country-of-origin labels and sanitation for the meat markets in Seoul, Korea. The markets were divided into groups as to 25 territories in Seoul and the size of markets (large size, medium size, and small size). In terms of size distribution, small butcher shops occupied the highest percentage. On the itemized suitability test of unpacked and packed beer in Seoul, most butcher shops showed good evaluation. However, labels indicating the grade, storage and cooking instruction for unpacked beef were not properly posted on the products. The results of monitoring sanitation conditions for butcher shops in Seoul showed relatively low suitability. Especially, there were serious lack of knowledge about wearing the sanitation clothings, caps, and shoes. The problem with food safety is so complicated that producers, consumers, merchandisers, the press, the government and the scholar should try to solve the problems altogether. Also, it is important to educate and provide them with correct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for food hygiene and safety.

      • KCI등재

        유전 및 육종 : 돼지 Melanocortin 4 Receptor(MC4R) 유전자의 육질연관성 분석

        노정건 ( Jung Gun Roh ),김상욱 ( Sang Wook Kim ),최정석 ( Jung Suk Choi ),최양일 ( Yang Il Choi ),김종주 ( Jong Joo Kim ),최봉환 ( Bong Hwan Choi ),김태헌 ( Tae Hun Kim ),김관석 ( Kwan Suk Kim ) 한국동물자원과학회 ( 구 한국축산학회 ) 2012 한국축산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는 한국재래돼지의 MC4R 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변이들을 규명하고 그 유전자형 효과가 유전자표지인자를 이용한 선발 (Marker assisted selection, MAS)에 활용 가능한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한국재래돼지의 MC4R 유전자 총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해 6개의 Primer들을 이용하여 증폭산물을 생성하였으며,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총 6개(c.-780C>G, c-135C>T, c.175C >T-Leu59Leu, c.707A>G-Arg236His, c.892A>G-Asp298Asn, c.*430A >T)의 단일염기변이를 발견하였다. 한국재래돼지 MC4R 유전자 내의 총 6개의 단일염기변이들간의 연관불균형과 반수체 분석을 통해 단일염기변이들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며, c.-780C >G, c-135C>T, c.175C>T-Leu59Leu, c.707A>G-Arg236His와 c.*430A>T는 완전한 연관불균형을 이루고 있었고, c.892A>G (Asp298Asn) 단일염기변이만 r2-value가 0.028, D`-value가 0.348로 연관불균형 정도가 매우 낮았다. c.707A>G(Arg236His)와 c.892A>G(Asp298Asn) 단일염기변이들을 선발하여 PCR-RFLP 유전자형 분석방법을 이용해 돼지 5품종간의 유전자형 빈도를 추정한 결과, c.707A>G(Arg236His) 단일염기변이는 요크셔 품종 집단에서 오직 A(His) 대립유전자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 한국재래돼지, 랜드레이스, 버크셔와 듀록 품종에서는 G 대립유전자의 고정으로 나타났다. c.707A>G 단일염기변이와 육질형질을 484두에서 연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지방, 등심 내의 수분, 육색, 적색도 그리고 황색도 등에서 유의적인 연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c.892A>G(Asp298Asn) 단일염기변이의 유전자형 빈도는 품종별로 차이가 났으며, A(Asn)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가장 높은 품종은 듀록으로 나타났고, G(Asp)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가장 높은 품종은 한국재래돼지로 조사되었다. c.892A>G(Asp 298Asn) 단일염기변이와 돼지 4 집단의 육질형질을 1,126두에서 분석한 결과, 등지방두께에 고도의 유의적인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2). AA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가 AG나 GG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보다 등지방두께가 두꺼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C4R 유전자 내의 c.892A>G(Asp298Asn) 단일염기변이는 돼지의 선발개량에 유전자표지인자로서 충분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SNPs) of the porcine MC4R gene and validate the effect of the MC4R genotype for marker assisted selection(MAS). Six amplicons were produced to analyze the entire base sequences of the porcine MC4R gene and six SNPs were detected(c.-780C>G, c.-135C>T, c.175C>T-Leu59Leu, c.707A>G-Arg236His, c.892A>G-Asp298Asn, and c.*430A>T). Linkage disequilibrium(LD) of the six SNPs was analyzed by performing haploid analysis. There was a perfect linkage disequilibrium in c.-780C>G, c.-135C>T, c.175C>T-Leu59Leu, c.707A>G-Arg236His, and c.*430A>T. Only the c.892A>G(Asp298Asn) SNP showed a very low LD with an r2 value of 0.028 and the D` value of 0.348. As a result, the two SNPs-c.707A>G(Arg236His) and c.892A>G(Asp298Asn)-were selected to extract the genotype frequencies from the 5 pig breeds by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PCR-RFLP) genotype analysis method. The SNP frequency of c.707A>G(Arg236His) indicated the presence of the A(His) allele only in Yorkshire, while the G allele was fixed in the KNP, Landrace, Berkshire, and Duroc. Associ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484 pigs with the c.707A>G (Arg236His) SNP and the meat quality traits of four different pig cross populations: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noted in crude fat, sirloin moisture, meat color, and the degree of red and yellow coloration. The frequency of the c.892A>G(Asp298Asn) SNP genotype varied among the breeds; while Duroc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A(Asn) allele, KNP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the G(Asp) allele. Associ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1126 pigs with the c.892A>G(Asp298Asn) SNP and the meat quality traits of four pig populations: a highly significant linkage was noted in the back-fat thickness(P<0.002). It was found that the back-fat thickness was higher in individuals with the AA genotype than in those with the AG or GG genotype. Thus, in this study, we verified that the c.892A>G(Asp298Asn) SNP in the pig MC4R gene has a sufficient effect as a gene marker for MAS in Korean pork industry.

      •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축산부문 U-축산 융합서비스 도입연구

        구지희,정태웅,이상락,Koo, J.H.,Jung, T.W.,Lee, S.R.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1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각 분야에서는 IT와 융합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축산분야에서도 구제역발생 이후에 IT를 활용한 가축의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이 유비쿼터스 기술로 진보하면서 U-축산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U-축산의 도입을 위해서는 우선 현재 업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 모델 도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 부문의 서비스모델을 가축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여 기존의 국내외 사례들을 기반으로 하여 도출하였다. 이중에는 현재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도 있으며,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들도 있다. 향후에는 도출된 서비스 모델에 대하여 각 서비스모델별로 목표를 설정하고, 기능을 정의하며, 플랫폼을 정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단일 서비스모델이 아닌 통합된 서비스모델로서 방향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제 축산업에서도 유비쿼터스기술을 활용한 U-축산 도입을 통하여 첨단화 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가축관리가 진행되며, 산업 경쟁력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utput of Korea's livestock industry represents about 40% of the total agricultural production, making it the most high value-added sector in the entire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y. However, the fatal epidemics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and avian influenza spurs demands for the advanced management of livestock production with IT technologies. U-Livestock means the application of ubiquitous technologies to livestock production. In this study, U-Livestock service models a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life cycle of livestock by using local and overseas cases. The objectives, contents, and structures of service models are required to be designed in detail respectively. The integration of such service models is expected to he1p modernize the livestock industry and raise the productivity of sector.

      • KCI우수등재

        한국 낙농산업의 나아갈 길

        강성원 한국축산학회 1984 한국축산학회지 Vol.26 No.9

        한국 낙농 산업의 나아갈 길, 이런 命題를 論 한다는 것은 새삼스럽다는 느낌이 든다. 그것은 우리나라 축산의 장래를 걱정하는 사람치고 한국 낙농 산업의 나아갈 길을 그 原則에 있어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재확인 하는 뜻에서 여기에 정리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