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축산식품학회 웹기반 논문투고관리 연구

        강무영,박재원,김병규,정희석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 심포지움 및 학술발표회 Vol.- No.36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는 학회업무 관리, 학술정보 관리를 학회가 어려움 없이 처리하도록 지원하고자, 학회 정보화 사업의 일환으로 학회 학술 정보 유통 체제 전 과정을 온라인화 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KISTI -ACOMS(KISTI-Article Contribution Management System: KISTI-웹기반 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2001년부터 학회에 무상으로 보급하여 왔다. 또한 2003년부터 최근 3년간 학회 편집위원회와 같은 임원회의를 통해 추가 요구기능을 수렴, 분석하고 재설계하여 2005년 9월에 KISTI-ACOMS 버전 2.0을 출시하여 최근 과학기술분야 학회를 대상으로 무상보급을 지원하고 있다. 웹기반 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국내 학회 정보화의 고도화를 지향하고자 하는 시기의 흐름에 맞추어 한국축산식품학회 또는 KISTI-ACOMS 버전 2.0을 도입하였으며, KISTI는 한국축산식품학회의 제반환경과 심사 프로세스를 분석, 적용하여 시스템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KISTI - ACOMS 버전 2.0을 기반으로 구축한 한국축산식품학회의 웹기반 논문투고관리 시스템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시스템에 필요한 기능 및 명세를 기술함으로써 한국축산식품학회의 개선된 웹기반 논문투고관리시스템을 제시한다.

      • KCI등재

        축산물 유통단계의 HACCP 적용과 체계화를 위한 실시간 관제시스템에 대한 현황

        이현욱,이주연,홍완수,이봉현,황선민,임성렬,백현동 한국축산식품학회 2010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0 No.6

        HACCP is a scientific and systematic program that identifies specific hazards and gives measurements in order to control them and ensure the safety of foods. Transportation of livestock and its products is one of the vulnerable sectors regarding food safety in Korea, as meats are transported by truck in the form of a carcass or packaged meat in a box. HACCP application and its acceleration of distribution, in particular transportation, are regarded as important to providing consumers with ultimately safe livestock products. To achieve this goal, practical tools for HACCP application should be developed. Supply chain management (SCM) is a holistic and strategic approach to demand, operations, procurement, and logistics process management. SCM has been beneficially applied to several industries, notably in vehicle manufacture and the retail trade. HACCP-based real-time visibility system using wireless application (WAP) of the livestock distribution is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control of temperature and HACCP management in real-time for livestock transportation.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HACCP to livestock distribution (transportation, storage, and sale) can be activated. Using this system, HACCP management can be made easier, and distribution of safe livestock products can be achieved. 축산물에 HACCP가 도입된 후 농장, 도축장, 가공장, 판매장 등 많은 업체에서 HACCP를 도입하고 있고 현재도많은 업체들이 HACCP를 도입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지만,축산물 운반업은 타업종에 비해 HACCP 도입이 활발하게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무선응용통신(WAP)을 이용한HACCP 기반의 축산물 유통 실시간 관제 시스템은 GPS와 개인 휴대용 무선기기를 이용하여 축산물 운반차량 또는 보관창고의 위치정보, 온도정보, 그리고 HACCP 운반관리점검표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의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중앙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운반차량을 관제할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실시간 HACCP 관리시스템은 운반업이나, 보관업에서 HACCP을 실시하기에 어려운점들(문서관리, 검증단계)을 시스템화하여 운반업이나 보관업의 특성 상 발생 가능한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최소화 하고, 중앙 관리자의 가시권에서 벗어날 수있다는 단점을 실시간 관제 시스템과 접목된 정보 수신기능을 통해 중앙 관리 및 감시를 가능하게 하여 위해 요인 제어 및 개선 조치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실시간HACCP 관리시스템은 운반업이나 보관업의 특성 상HACCP을 실시하기 어려운 유통업체의 실시간으로 HACCP 관리를 실시할 수 있게 해 주며, 특히 규모가 큰 업체의경우 다량의 차량을 보유하여 이들의 위생상태나 안전관리가 어려운 점을 보완해 줌으로써 안전한 축산물의 유통증대를 통해 저 품질화 제품의 유통을 감소시켜 경제적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축산물의 선호도가 높아짐으로써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음으로 축산물 유통에 매우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축산물 운반 단계의HACCP 적용이 자율 적용이라는 취지를 고려할 때 HACCP 적용 및 운반업의 현대화를 위한 모든 노력은 업체의 의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나, 이를 위한 HACCP 교육의 확대,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 실행을 위한 기술적도움 등 관련 전문가들의 관심과 협조가 동행되어야 할것으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HACCP의 본 취지인 ‘From Farm To Table’을 실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축산부문 U-축산 융합서비스 도입연구

        구지희,정태웅,이상락,Koo, J.H.,Jung, T.W.,Lee, S.R. 한국축산환경학회 201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8 No.1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각 분야에서는 IT와 융합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축산분야에서도 구제역발생 이후에 IT를 활용한 가축의 관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이 유비쿼터스 기술로 진보하면서 U-축산의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U-축산의 도입을 위해서는 우선 현재 업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 모델 도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 부문의 서비스모델을 가축 생애주기별로 구분하여 기존의 국내외 사례들을 기반으로 하여 도출하였다. 이중에는 현재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도 있으며,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들도 있다. 향후에는 도출된 서비스 모델에 대하여 각 서비스모델별로 목표를 설정하고, 기능을 정의하며, 플랫폼을 정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단일 서비스모델이 아닌 통합된 서비스모델로서 방향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이제 축산업에서도 유비쿼터스기술을 활용한 U-축산 도입을 통하여 첨단화 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가축관리가 진행되며, 산업 경쟁력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utput of Korea's livestock industry represents about 40% of the total agricultural production, making it the most high value-added sector in the entire agricultural and forestry industry. However, the fatal epidemics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and avian influenza spurs demands for the advanced management of livestock production with IT technologies. U-Livestock means the application of ubiquitous technologies to livestock production. In this study, U-Livestock service models a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life cycle of livestock by using local and overseas cases. The objectives, contents, and structures of service models are required to be designed in detail respectively. The integration of such service models is expected to he1p modernize the livestock industry and raise the productivity of sector.

      • 독일의 유기축산에 의한 젖소사육 현황과 무리나라의 발전 방향

        류종원 한국축산환경학회 2002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8 No.1

        환경오염, 자연파괴와 자연순환원리에 의한 가축사육이 되지 않는 원인에 따른 광우병, 구제역 발생으로 현대축산에 대한 비판 이 제기되고 있다. 동물약품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위험한 전염병은 사라지지 않고 있고 방제가 어려워지고 있다 독일에서는 20여년 전부터 이와 같은 현대축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유기축산이 연구되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기업농 형태의 농장체계를 소규모 유기농 체제로 개편하고 있는 실정이다. 독일의 경우 1950년부터 1990년까지 산유량은 152% 증가한데 비하여 번식장애는 233%, 질병 발생은 200-300% 증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사육환경의 불량, 부적절한 사료공급, 가축 병 발생증가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유기축산에 의한 젖소사육의 중요한 기준은 지역 및 농장에서의 물질순환 구조로 자가사료 생산에 의한 토양-식물-가축의 통합된 순환농법을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축산물의 품질향상과 질병방지와 지속적인 저투입 축산을 위한 한국형 유기축산에 의한 젖소사육의 모델 설정이 요구된다 또한 국제적인 유기식품 규격인 Codex 규정과 부합하는 우리나라의 유기축산 모델설정이 필요하다 In view of increasing environmental pollution, the organic farming in animal produc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urgent. The problems of veterinary medicine have not diminished through the most dangerous epidemic diseases. Organic farming attempts to function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The first criterion of the organic farm is that the animal must be self-sustaining. Their food must be produced to a large extent on the farm. The position of ruminants in biological systems is determined by the fact that this group of farm animals is provided with a digestive system which optimizes the utilization of the products of gut microfloral fermentation. The cattle do not require large amounts of concentrate feeling nor gross ugly farm building for intensive rearing. The economic profitability of a cow depends. on the first instance, on the level of milk production and the number of lactations. The length of life is an important factor since the tilde to maturing is relatively high in a cow. The result is that dairy cows in organic farming have greater length of live, and produce more milk in their life time than the shorter lived high input cow. This paper. therefore, discussed the problems of modern cattle farming and development trends of organic farming in Germany and Korea.

      • KCI우수등재

        한국마산의 역사적 연구;제1보 선사 , 삼국시대의 마산

        강면희 한국축산학회 1960 한국축산학회지 Vol.2 No.1

        1. 韓國産馬의 起源 古代韓國에 있어서의 養馬의 發祥地와 來歷에 關한 確實한 論證은 어려우나, 先民의 移動定着과 거의 때를 같이하여, 同伴, 飼育하여 乘用으로 하였으리라고 類推되며, 지금으로부터 約 2700年前 衛滿朝鮮과 扶餘에서는 말을 飼育하여 乘用으로, 또는 貢物로한 事實이 있으므로 이미 이때에는 南北을 通하여 말이 相當이 增殖飼育되었으리라고 推測된다. 그리고 그 繁殖經路는 主로 高句麗 百濟, 新羅의 順序로 北으로부터 南下했으며 一部는 中國本土로부터 直接 貿易品으로 百濟로 輸入되어 混血되기도 하여, 韓半島 氣候風土에 適應한 品種이 成立되고 古代 各國은 軍事上 必要性으로 繁殖과 改良에 絶對的인 힘을 기우렸던것이며, 新羅의 文化의 進步와 더부러 馬政, 産馬에 있어서도 더욱 많은 進步發達이 成就된 것이 事實이다. 2. 馬政 古來로 우리民族은 食肉의 慣習이있고 祭天行事等 神에 犧牲物로 提供하는 慣習으로 소, 말, 돼지, 羊 等의 家畜이 飼育되었고 周禮에는 六種의 하나로 말이 包含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犧牲用으로 郊豕라하며 主로 돼지를 使用했고 말은 犧牲用으로나 또는 農耕用으로 利用한 確實한 史蹟이 없는 것으로 보아 말은 用 乘用等 主로 軍用으로 利用하여 왔다고 할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家畜과 달이 戰爭의 最大의 武器였으므로 말에 關한 行政은 兵馬라하여 國政의 最 重要位置를 차지하였던 것이다. 그런까닭으로 宮中, 官에서의 牧場設置는 勿論, 一般에 그 增殖을 장려하였을 것이 分明하지만 上古時代의 馬政의 體系는 分明치 않으나, 三國時代以後에는 各國에서는 兵部에서 馬政을 管掌하고, 新羅時代에는 더욱 組織的인 産馬訓練에 힘쓰고 高麗朝以後에 實施되었던 官牧의 基礎를 닦기에 이르렀다.

      • KCI우수등재

        한국 낙농산업의 나아갈 길

        강성원 한국축산학회 1984 한국축산학회지 Vol.26 No.9

        한국 낙농 산업의 나아갈 길, 이런 命題를 論 한다는 것은 새삼스럽다는 느낌이 든다. 그것은 우리나라 축산의 장래를 걱정하는 사람치고 한국 낙농 산업의 나아갈 길을 그 原則에 있어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재확인 하는 뜻에서 여기에 정리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