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김치에서 박테리오신을 분비하는 Lactobacillus sakei 균주의 분리

        한택(Han-Taek Kim),박재용(Jae-Yong Park),이강권(Gang-Gweon Lee),정환(Jeong-Hwa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3

        배추김치로부터 식품유해균인 Listeria monocytogenes를 저해하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 Lactobacillus sakei P3-1이 분리되었다.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조사와 최종적으로 PCR로 증폭하여 얻은 16S rDNA 염기서열 결정을 통해서 L. sakei로 동정되었다. L. sakei P3-1이 분비하는 박테리오신은 여러 그람 양성 및 음성균들 중에서 단지 L. monocytogenes만을 저해하는 그래서 저해범위가 매우좁은 박테리오신으로 확인되었다.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박테리오신은 부분 정제되었으며 박테리오신의 열처리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121℃에서 15분간 그리고 100℃에서 10분간 열처리 후에도 각각 12.5%와 50%의 역가가 잔존하여 상당한 열안정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RS 배지에서 배양중 배양온도가 박테리오신 역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30oC에서 배양할 때 그리고 18시간 이상 배양에서 가장 높은 1,000 AU/mL 역가를 보였다. 한편 SDS-PAGE 및 activity staining에 의해 측정된 박테리오신의 분자량은 4,000이었다. L. monocytogenes 생육 억제능, 작은 분자량 및 높은 열안정성 등의 성질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L. sakei P3-1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박테리오신들 중에서 class Ⅱ-a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Bacteriocin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solated from Kimchi by using spot-on-the-lawn method.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were used as indicators. One isolate (P3-1) produced a bacteriocin efficiently inhibiting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16S rDNA sequence and sugar utilization test identified that P3-1 was a Lactobacillus sakei strain. Accordingly, the isolate was named as Lactobacillus sakei P3-1. L. sakei P3-1 produced a bacteriocin which efficiently inhibited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but did not inhibit other Gram positive and negative organisms tested. The bacteriocin was stable against heat, organic solvent, and pH variation and it retained 50% of activity after 10 min heat treatment at 100℃. The molecular weight of Sakacin P3-1 was estimated to be 4 kDa by SDS-PAGE.

      • KCI등재

        점진적 특징 가중치 기법을 이용한 나이브 베이즈 문서분류기의 성능 개선

        한준,장재영,Kim, Han-Joon,Chang, Jae-Yo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5 No.5

        In the real-world operational environment, most of text classification systems have the problems of insufficient training documents and no prior knowledge of feature space. In this regard, $Na{\ddot{i}ve$ Bayes is known to be an appropriate algorithm of operational text classification since the classification model can be evolved easily by incrementally updating its pre-learned classification model and feature space. This paper proposes the improving technique of $Na{\ddot{i}ve$ Bayes classifier through feature weighting strategy. The basic idea is that parameter estimation of $Na{\ddot{i}ve$ Bayes considers the degree of feature importance as well as feature distribution. We can develop a more accurate classification model by incorporating feature weights into Naive Bayes learning algorithm, not performing a learning process with a reduced feature set. In addition, we have extended a conventional feature update algorithm for incremental feature weighting in a dynamic operational environment.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we perform the experiments using the various document collections, and show that the traditional $Na{\ddot{i}ve$ Bayes classifie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proposed technique. 실제 운용 환경에서 자동문서분류시스템의 성공을 위해서 충분하지 못한 학습문서의 문제와 특징 공간들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는 상황을 해결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자동문서분류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나이브 베이즈 문서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이는 기존 학습된 분류모델과 특징 공간을 점진적으로 갱신함으로써 분류모델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징 가중치를 이용하여 문서분류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본 아이디어는 문서분류 모델의 인자로서 특징들의 분포뿐만 아니라 각 특징들의 중요도를 반영하는 것이다. 속성 선택을 미리 수행하여 학습모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속성 중요도를 나이브 베이즈 학습 모델에 포함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동적 환경에서 점진적인 특징 가중치 부여를 위해 기존의 특징 갱신 기법을 확장한 알고리즘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을 평가하기 위해서 Reuters-21578과 20Newsgroup 문서집합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여, 제안된 기법이 전통적인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킴을 증명한다.

      • KCI등재

        전극배치에 따른 2차원적 동전기 정화 특성의 수치해석

        수삼(Kim Soo Sam),한상재(Han Sang Jae),병일(Kim Byung Ill)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26 No.5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which is dependent on a various electrode configuration, was predicted from 2-D numerical analysis program (HERO-2D). Based on the predicted results for one dimensional and two dimensional electrode configurations, the optimized electrode configuration was determined by analyzing remediation efficiency, consumed electric power, installation cost of electrode and so on. When proposed electrode configurations were applied for in-situ remediation of the soils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the electrode configuration of high remediation efficiency should be chosen in case the high removal effect would be required, and one dimensional electrode configuration should be chosen in case the hard field works would be expected. Because the rectangular electrode configuration is better than others for consumed electric power, remediation efficiency per unit power, installation cost of electrode and so on, it can obtain the best results for the cost reduction. 본 논문에서는 HERO-2D를 이용하여 전극배치에 따른 2차원 동전기 정화 특성을 예측하였다. 즉 1차원 전극배치와 2차원 전극배치에 대해 전극 간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나타나는 동전기 현상을 예측하고, 이러한 예측결과를 토대로 소비 전력량, 전극 설치 비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각각의 전극배치마다의 전극간격을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지역의 높은 정화효율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높은 전체 정화효율을 나타내는 전극배치를 채택하는 것이, 대상부지에서 시공상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2차원 전극배치에 비해 시공이 용이한 1차원 전극배치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각형 전극배치는 전력소비량과 단위전력당 정화속도, 그리고 전극설치비용 등 경제성 면에서 다른 전극배치보다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시공에 투입되는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 적용한다면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목자판 표면 상태에 적응적인 영상 기반 수위 계측 기법

        재도(Jae-Do Kim),한영준(Young-Joon Han),한헌수(Hern-Soo Hah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9

        본 논문은 수위 측정 영역의 오염 상태에 적응적인 영상 기반 수위 계측 기법을 제안한다.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목자판이 진흙, 부유물, 조명의 강한 반사에 의해 얼룩진 경우, 목자판 내부의 수평 성분 패턴이 유지되는 영역의 최종 위치와 목자판과 수면의 색상 차를 이용하여 얻어진 대략적인 수위 위치인 참조 수위와의 거리 차를 측정하여 목자판의 오염 여부를 판단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목자판이 오염되지 않은 경우에는 수평 성분이 유지되는 최종 위치의 근방 하단 영역에서 수평 성분의 분포를 분석하여 히스토그램이 가지는 최대값의 30%이상의 값을 가지는 위치를 수위로 검출하고, 목자판이 오염된 경우는 참조 수위 근방의 색상 변화의 국지적인 정점과 골을 검출한 후 그 변화가 가장 큰 위치를 수위로 검출한다. 검출된 영상 수위는 영상에 보이는 목자판의 눈금을 기준으로 생성한 맵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실제 수위로 변환된다. 제안한 방법의 적용 가능성과 일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교량에 측정 시스템을 구축하고 같은 위치에 기존에 설치된 초음파 기반 측정 시스템과 그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image-based water level measurement method, which adapt to the ruler's surface condition. When the surface of a ruler is deteriorated by mud, drifts, or strong light reflection, the proposed method judges the pollution of ruler by comparing distance between two levels: the first one is the end position of horizontal edge region which keeps the pattern of ruler's marking, and the second one is the position where the sharpest drop occurs in the histogram which is construct using image density based on the axis of image height. If the ruler is polluted, the water level is a position of local valley of the section having a maximum difference between the local peak and valley around the second level. If the ruler is not polluted, the water level is detected as the position having horizontal edges more than 30% of histogram's maximum value around the first level. The detected water level is converted to the actual water level by using the mapping table which is construct based on the making of ruler in the image.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to the ultrasonic based method to evaluate its accuracy and efficiency on the real situation.

      • 절제 불가능한 4기 위암에서 예방적 위 공장 우회술의 의의

        환수,종석,종한,목영재,박성수,박성흠,장유진,승주,Kim, Hwan-Soo,Kim, Chong-Suk,Kim, Jong-Han,Mok, Young-Jae,Park, Sung-Soo,Park, Seong-Heum,Jang, You-Jin,Kim, Seung-Joo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진행성 위암 중 수술 소견에서 복강 내 원격전이가 존재하거나 주위 장기에 침윤이 심하여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에 위 배출구 폐색을 동반하지 않더라도 예방적 위공장 우회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있어, 단순 개복술 시행과 비교하여 그 의의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2007년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수술을 시행 받은 진행성 위암 환자 중 위 배출구 폐색이 없고 절제 불가능한 4기 위암 환자 16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법을 이용하여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치료성적, 그리고 예후 인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위 공장 우회술을 시행과 단순 개복술 시행을 비교한 결과, 나이, 성별, 간 전이 여부, 술 후 재원일, 재입원 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없었지만, 병소의 위치(P$\leq$0.014), 복막 파종(P=0.001)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예후 인자 분석에서는 위 공장 우회술을 시행한 군의 생존기간이 1~35.7개월(6.3개월), 시행하지 않은 군이 1~33.4개월(median 4.3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31), 복막전이가 있는 경우 1~31.0개월(median 3.4개월), 없는 경우 1~33.3개월(median 5.8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변량 분석을 통한 독립적 예후 인자로는 복막 전이 여부만이 의미가 있었다(P=0.002). 결론: 절제 불가능한 4기 위암 환자에서 폐색 증상이 없는 경우, 예방적 위 공장 우회술은 생존기간의 연장에서 큰 의의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palliative gastrojejunostomy for treating patients with unresectable stage IV gastric cancer, and as compared with laparotomy for treating patients with incurable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167 patients who could not undergo resection without obstruction at Korea University Hospital from 1984 to 2007.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that underwent palliative gastrojejnostomy (the bypass group, n=62) and one that underwent explo-laparotomy (the O&C group, n=105), and the clinical data and operative outcom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groups. Results: Fo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ge, gender and liver metastasis between the bypass group and the explo-laparotomy group,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for the presence of peritoneal metastasis (P=0.00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r the postoperative mortality and morbidity. For the postoperative outcomes, the duration of the hospital stay (29.25 vs 16.67) and the frequency of re-admission were not different, but the median overall survival (4.3 months vs. 3.4 months, respective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multivariate analysis, the presence of peritoneal metastasis was identified as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incurable gastric cancer. Conclusion: A prophylactic bypass procedure is not effect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olonging the life expectancy of unresectable stage IV gastric cancer patients without obstruction.

      • KCI등재

        복층터널의 분기터널 굴착에 따른 기존터널의 안정성 분석

        한얼,정주,이재국,유한규,Kim, Han-eol,Kim, Jung-Joo,Lee, Jae-Kook,Yoo, Han-Kyu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17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19 No.5

        최근 도심지의 지상교통시설이 포화수준에 이르렀을 뿐만 아니라 증가하는 교통량으로 인한 교통난과 미세먼지 등의 대기환경 오염의 심화로 인하여 지하도로건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지하도로건설은 도심지 교통난 해소와 더불어 친환경적인 도시설계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설도로 뿐만 아니라 기존도로 역시 지하화 되어 가는 추세이다. 지하도로건설시 IC(분기점)와 JC(나들목) 역할을 수행하는 분기터널의 건설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분기터널에 의한 기존터널의 영향분석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기터널 굴착 시 기존터널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기터널을 기존터널의 직하부를 기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45^{\circ}$간격으로 총 5가지의 경우를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서 변위조절방법(Displacement Controlled Model)을 이용하여 지반손실률을 0.5%, 1.0% 그리고 1.5%을 적용하여 수치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반손실률이 증가할수록 변위와 파괴범위, 그리고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하부에 위치한 분기터널이 가장 안정성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분기터널의 위치가 연직, 수평방향에 있을 경우보다 대각선방향에 위치할 경우가 변형과 라이닝 파괴 측면에서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underground road construction is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the ground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the urban area have reached the saturation level and traffic volume has increased and the air pollution has risen. Construction of underground roads is not only reduce trafficjam in downtown but also design the city eco-friendly, so existing roads as well as new roads go underground.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divergence tunnels that serve as IC (interchage) and JC (Junction) when constructing underpasses.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xisting tunnel by the divergence tunnel should be considered.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i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existing tunnel on the excavation of the divergence tunnel. The divergence tunnels were set in 5 cases at $45^{\circ}$ intervals in the clockwise direction start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existing tunnel. In each case, numer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DCM (Displacement Controlled Model) for applying the volume loss of 0.5%, 1.0% and 1.5%. As a result, when the volume loss increased, the effect on displacement, fracture range, and effect on stability increased as well.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vergence tunnel located directly underneath is the weakest for the stability, and the case where the divergence tunnel is located diagonally rather tha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is found to be vulnerable to displacement and lining de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