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판 지역사회 회복력 척도의 타당성 검증 연구

        김아림,김수연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mmunity Resilience Scale (CCRAM-K) among Korean adults since the COVID-19 pandemic. A total of 320 participants were recruited via online community portals and convenience sampling method during April to May 2020. After excluding 7 incomplete data, out of 320, we examined the internal reliability, concurrent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CCRAM-K. As a result of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CRAM-K included 3 sub-scales (social relations within community, coping with crisis situations, and leadership). The factor loadings for the 19 ite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ange of .52 ~ .76. The CCRAM-K with 19 items demonstrat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 .93). The community resilience model with 3 sub-factors indicated good fit (CFI > .90, GFI > .80, RMR <.10), and concurrent validity by prov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CRAM-K and a perceived community resilien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CRAM-K ha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o assess the community’s ability to withstand and overcome adversity amid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in Korea. 본 연구는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COVID-19) 대유행 이후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판 지역사회 회복력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료는 2020년 4월 27일부터 5월 8일까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홍보 및 편의 표집 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총 320개 자료 중 불완전한 자료(7부)를 제외한 후, 한국판 지역사회 회복력 척도의 내적 신뢰도, 동시 타당도 및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한국판 지역사회 회복력 척도는 총 19문항, 3가지 하위 요인(지역 공동체 내 사회적 관계, 위기 상황에서의 대처, 리더십)으로 구성되었다. 3개 하위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의 요인 적재치는 .52 ~ .76 범위로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α .93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지역사회 회복력 모델의 적합도가 검증되었으며(CFI > .90, GFI > .80, RMR <.10), 지각된 지역사회 회복력 도구와의 유의한 상관성이 입증되어 동시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내외적으로 야기된 재난 상황 속에서 지역 공동체가 위기를 극복하는 힘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지역사회 회복력 척도를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Revisiting Korean long form negative question: A usage-based perspective

        김아림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연구 Vol.33 No.3

        Unlike most of the previous work on the semantic/functional ambiguity of the long form negative question construction in Korean which mainly focused on its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this present paper aims to revisit the issue from a strictly usage-based perspective. To do so, this study examines actual usages of the long form negative question from naturally occurring conversational data, collected from the 21st Century Sejong Corpus. My findings show that in Modern Spoken Korean, the construction is used for three different main functions: (i) to ask the hearer whether what the speaker assumes to be not true is true or not, (ii) to request the hearer’s verification or confirmation of what the speaker assumes to be true, and (iii) to request agreement from the hearer about what the speaker assumes to be true. However, the corpus data analysis further shows that there are ambiguous cases of functional overlap among these three different functions.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se overlapping cases provide evidence that the three different functions have a gradient speech act continuum. Moreover, I claim that the synchronic functional ambiguity of the construction not only indicates that it is currently undergoing a functional shift, but the frequency analysis of each function and the categories that overlap further provide evidence for the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s current semantic/functional shift.

      • 우리나라 건강 성인의 6분 보행검사에 대한 추정 정상치에 대한 연구

        김아림,김지나,김현지,정승욱,김연재,이병기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0

        목적: 6분 보행검사는 6분간 보행한 총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운동능력을 평가할 수 있어 만성 폐질환 환자의 중증도 및 예후의 판정 또는 치료반응의 평가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서구에서는 이미 건강 성인의 6분 보행거리에 대한 추정 정상치를 구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만성 폐질환 환자에서의 연구만 산발적으로 있을 뿐 건강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건강 성인의 6분 보행거리를 구하고, 관련된 독립인자들로 추정식을 구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2세에서 59세사이의 건강 성인 259명(남자 95, 여자 164)을 대상으로 하였다. 바닥이 단단한 실내에서 30 m 길이의 복도를 왕복하여 6분간 걸을 수 있는 최대거리를 측정하였으며, 2회 반복하여 가장 긴 거리를 선택하였다. 보행검사 전 안정시 폐기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보행검사 동안 심박수 및 경피적 말초혈액 산소포화도 감시를 하였다. 성적: 대상군의 평균나이는 36.6±10.83세였으며, 키, 몸무게, body mass index (BMI), FVC(L), FEV1(L)은 남자와 여자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 6분 보행거리는 598.5±57.92 m이었으며, 남자에서 628.9±59.51 m로 여자의 580.9±47.80 m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다. 단일변량 분석에서 6분 보행거리와 유의하게 관련된 인자는 나이, 키, 몸무게, BMI, FEV1(L) 및 FVC (L) 였다. 성, 나이, 키, 몸무게를 이용한 중선형 회귀분석에서 6분 보행거리에 유의한 독립변수는 키(r=0.453, p<0.001)였으며, 추정식은 6분 보행거리=105.655+2.996×키(cm)이었다(r2=0.205). 백인을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추정식은 한국성인의 6분 보행거리를 유의하게 높게 측정하였다. 결론: 0-50대 성인의 6분 보행거리는 평균 600 m로 관련된 유의한 독립변수는 키였으며, 추정식은 6분 보행거리 분산의 20%의 기여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영유아를 돌보는 양육자의 방임 및 학대에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 탐색

        김아림,탁영란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6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7 No.1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psycho-social factors regarding child neglect and abuse using the data from the 2013 Korea National Survey on Children and Youth. Methods: Data from a sample of 1,062 primary caregivers with young children were analyzed with the SPSS and AMOS program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depression,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parent-child attachment, and child neglect or maltreatment. Results: Depression, stress, and attachment had a direct influence on child neglect and abuse.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parenting stress, and attachment were found to play mediating roles in accounting for child neglect and abuse, explaining 12% of the variance. The results of multi group path analysis showed that some coefficien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group of the children. For caregivers with infants, parenting stress did not predict either attachment or child maltreatment, whereas for caregivers with toddlers, depres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tachment. Conclusion: In order to prevent child maltreatment,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community-based psycho-social support interventions focused on marital relationship as well as parent-child dyads and to provide practical child care support.

      • KCI등재

        Reference Equations for the Six-Minute Walk Distance in Healthy Korean Adults, Aged 22−59 Years

        김아림,김연재,권재춘,박인,김지나,김종민,정빈아,유성건,이병기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14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6 No.6

        Background: The six-minute walk test has been widely used in people with chronic cardiopulmonary disorders as an outcome assessment with regards to therapeutic or prognostic determinant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six-minute walk distance (6MWD) in a sample of healthy Koreans and to create a reference equation. We also compared the 6MWD of our cohort with previously published equations. Methods: Two hundred fifty-nine healthy subjects (95 males) aged 22−59 years performed two walking tests using a standardized protocol. 6MWD was defined as the greatest distance achieved from the two tests. The effect of anthropometrics on the 6MWD was also investigated. Results: The average 6MWD was 598.5±57.92 m, with significantly longer distances by males (628.9±59.51 m) than females (580.9±47.80 m) (p<0.001). Age,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6MWD in univariate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howed height to be single independent predictor of 6MWD (r2=0.205, p<0.001). The reference equations derived in Caucasian and North African populations tend to overestimate the distance walked by Korean subjects, while Asian equations underestimate it. Conclusion: The average 6MWD in these Korean populations was 600 m. The regression equation revealed that individual’s height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distance, explaining 20.5% of the distance variance.

      • S-314 : 기관지 내시경하 용종 절제술로 치료한 상부기관의 혼합 편평 세포 및 샘 유두종

        김아림,김지나,김연재,유성근,이병기,한만훈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3 No.1

        서론: 혼합 편평 세포 및 샘 유두종(mixed squamous cell and glandular papilloma, 혼합 유두종)은 폐의 양성 종양 중 매우 드문 질환으로 주로 중심기도에 발생한다. 국내에서는 말초기도에서 발생하여 폐절제술을 시행한 증례보고는 있으나, 기관에서 발생된 예는 없다. 연자들은 상부 기관에서 발생된 혼합 유두종을 굴곡기관지 내시경하 용종 절제술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78세 여자환자가 내원 1개월 전부터 경한 호흡 곤란 및 기침이 발생하였으며, 2일 전부터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였다. 14년 전에 당뇨병, 고혈압, 뇌경색, 4년 전에 협심증과 심부전증을 진단받았다. 체온은 정상이었으며, 신체 검진 상 중심 기도 부위에서 천명이 청진되었으며, 양 폐하에서 악설음이 청진되었고, 심음은 규칙적이었다. 단순 흉부 방사선 소견 상 심비대 및 양측 간질성 음영증가가 관찰되어, 심부전증에 의한 호흡곤란으로 진단하고 보존적인 치료를 시작하였다. 호흡곤란 악화의 원인규명을 위한 추가검사상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소견에 상부기관 내 종괴가 관찰되었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성문 3-4 cm 하부 기관 우벽에서 기인된 호흡에 따라 움직이는 돌출성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조직검사상 편평 세포 유두종으로 진단되었다. 기관지 내시경으로 종양 절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전신 마취하 굴곡기관지경을 통한 용종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혼합 유두종으로 확진되었다. 시술 후 흡인이나 출혈 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며 호흡곤란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3개월 후 시행한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이전에 시행한 절단면에서 새로운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 특별한 증상 없이 경과관찰 중이다. 요약: 혼합 유두종은 고분화의 편평세포암종, 유두모양샘암종 및 기타 양성 종양과의 감별이 요하며, 또한 드물게 편평세포제자리암종의 발생 가능성이 있어 치료로 수술적 완전절제가 중요하다. 증례의 경우는 용종 절제술 후 절제모서리에서 종양세포가 관찰되었으나, 고령, 복합적인 동반질병, 그리고 심폐기능의 저하로 추가적인 수술적 치료는 시행하지 않아 향후 주기적인 경과관찰이 요구된다. 전신 마취하 굴곡기관지경을 이용한 용종 절제술은 선택적인 기관 종양의 치료에 안전하게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