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모빌리티 사회 내 탈(脫) 가정화 -크리스타 볼프의『메데아, 목소리들』을 중심으로
김연정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3 독어교육 Vol.88 No.88
최근까지 메데아 연구는 독일통일을 기점으로 한 이념의 문제, 그리고 메데아를 악녀와 시대의 희생양 중 어느 그룹에 포함시키는가의 문제, 혹은 신화 속 인물과의 비교, 이방인의 문제, 여성성과 남성성, 젠더에 관한 주제가 대부분이었다. 가장 전통적인 주제인 메데아가 자식을 왜 살해했을까 에 대한 연구도 상당히 오래도록 진행되어 왔다. 이른바 메데아 콤플렉스 혹은 메데아 효과가 다 이 주제에서 나온 용어이다.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의 트라우마연구, 서술기법의 특징, 영웅주의와 연결시킨 현실비판의식의 고취 등 반복되는 연구도 이어졌다. 무대 공연에서도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아 를, 자식살해라는 키워드로 어미의 마음과 여자의 두 마음을 그려낸 <두 메데이아(2018 극단 서울공장)>가 공연되었다(김연정 2021, 339). 메데아가 악녀인지 희생양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본 논고에서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메데아와 그 주변 인물들을 장소와 인물, 그리고 권력의 모빌리티 이론에 맞추어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가고자 한다. Die griechische Mythologie liefert wichtigee Motive für die europäische Literatur Auf solch einem griechischen Mythos basiert Euripides Medea. Darin tötet Medea ihre Kinder, um sich an Jason zu rächen. Sie wird wegen Mordes an Kindern und Bruder als Teufel bezeichnet. Viele Jahre später wurde diese Sage von Christa Wolf in ihrem Roman Medea, Stimmen neu bearbeitet. Medea wird hier als Heldin wieder geboren. Durch die Verbindung von Medea und Glauke wird Medea eine Repräsentantin in Korinth, obwohl sie eine Ausländerin ist. In dieser Abhandlung wird der Mythos zu dem Drama, und in dem Roman verändert. Die Arbeit versucht, Medea hinsichtlich Mobilität zu interpretieren. Der Roman gliedert sich in elf Abschnitte. Und der wird aus der Sicht sechs verschiedene Personen erzählt. Die erzählerische Darbietungsform ist ein Monologe der Personen. Von diesen sechs Stimmen wird ein Bild von Medea neu gemacht. Die Welt bewegt sich. Medea bewegt sich auch in dieser Mobilitätsgesellschaft. Je nach Zeit wird Medea anders interpretiert. In dieser Abhandlung habe Ich Medea und andere Personen in der Theorie der Mobilität neu geforscht.
가정위탁아동의 자립준비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위탁, 연장위탁 청소년을 중심으로
김연정,정선영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elf-reliance preparation process and experiences of foster care youth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foster youths in regular care and 4 foster youths in extended care. The 17 themes, 7 sub-categorie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based on the statements of foster youths' experiences of self-reliance preparation process. This study found that the self-reliance preparation of foster youths was mainly focused on individual coping in the absence of external systematic assistance or programs, and that foster youths tended to choose realistic economic options they could afford rather than having time for exploration and investment for the future. Social policies and programs need to be tailored to support foster youth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as young carers of their old kinship carers and lack information and social capitals for self-reliance. 본 연구는 가정위탁 보호아동의 자립준비과정과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자립준비 프로그램의 대상 연령인 위탁아동 6명과 연장위탁 중인 청소년 4명 총 10명을 심층인터뷰하였다. 질적연구방법 중 질적사례연구를 사용하여 위탁아동이 경험하고 있는 자립준비를 아동이 처한맥락 속에 나타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가정위탁아동의 자립준비과정 경험에 대한 진술을 토대로17개의 주제와 7개의 하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정위탁아동의 자립은외부의 체계적 조력이나 프로그램이 부재한 가운데 개인적 대처에만 치우쳐 있었고, 탐색의 시간과미래를 위한 투자보다는 자신이 접근 가능한 현실적 경제적 선택을 우선함을 알 수 있었다. 부족한정보와 사회적 자본의 빈곤, 연로한 보호자의 영케어러(Young Carer)로서 어려움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필요하며 가정위탁아동의 특수성을 감안한 실효적 제도적 지원과 당사자의 다양한 욕구가 반영되는가정위탁아동 맞춤의 자립지원이 요구된다.
김연정,황해연,김윤회,류상훈,백승철,서을원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7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8 No.2
This study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moval capacity of heavy metals such as Cu (II), Zn (II) and Cd (II) dissolved in aqueous solution in the soils collected from Hyeon-Dong (HD), San-seong (SS), Keum-chon (KC) and Keum-Hac (KH) located in the upper Banbyun stream. The pH of all the soils was weak alkali such as 8.8 9.2.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of the soils, the amount of SiO2, AlO2 and CaO were similar in all tested soils. However, the amount of K2O, FeO3 and MgO were different from each soil. The XRD measurement with these soils showed that quartz and feldspar were presented in all tested soils, and the distribution of kaoline, illite, montmorillonite, vermiculite and calcite were different from each soil. The results of the removal capacity of heavy metals indicated that all the soils had more than 98% of the removal efficiency of Cu (II), Zn (II) and Cd (II), and among the heavy metals, Cu (II) was removed the most eff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oils collected from the upper Banbyun stream have the high removal capacity of heavy metals, and these soils could be used for the banking a river around the abandoned mine area, containing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than the usual stream. 본 연구는 반변천 상류에 위치한 현동, 산성, 금촌 그리고 금학 지역의 토양을 이용하여 물속에 존재하는 Cu(II), Zn(II) 및 Cd(II)과 같은 중금속 이온의 제거능을 조사하였다. 조사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의 pH는 8.8~9.2로서 약알칼리성을 나타냈으며, 토양의 화학적 구성 성분 중 SiO2, Al2O3 및 K2O는 양적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나, Na2O, TiO2 Fe2O3 CaO 및 MgO는 토양마다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 지역의 토양을 XRD로 측정 결과, 석영과 장석은 공통된 광물질로 확인되었으나, 카올린, 일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버뮤큘라이트 및 칼사이트는 토양에 따라 다소의 정성적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이들 지역의 토양을 사용하여 중금속 제거 실험을 한 결과 Cu(II), Zn(II) 및 Cd(II)의 제거 효율은 98%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른 중금속에 비하여 Cu(II)의 제거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본 조사지역의 토양을 폐광과 같은 중금속 상시 유출 지역의 제방 및 복토재로 활용할 경우 폐광 유출수내 중금속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가무형문화재 무용 분야 종목 지정 조사지표의 구성과 변화 양상
김연정 영남춤학회 2023 영남춤학회誌 Vol.11 No.1
Dance has not received a new cultural asset designation in the context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almost 30 years. In this case, the classification of a new event in the realm of dance should be actively assess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objective to identify and preserv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process for identifying objects as part of the nation'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first looked at in this thesis, and the survey indicators for designation were made up of items (such as transferability, lore environment, and contribution to teaching activities) and the changes they underwent. The designation of items mentioned in the regulations on inquiry and deliberation, such as the designation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the recognition of holders, is restricted to the survey indica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urvey indicators for the item which is whether the representation is based on tradition and Aesthetic quality of the dance designation were changed in three ways: first, in the direction of general simplification; second, the area of historicity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weight is shifting from artistic to academic; and third,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sustainability. Socio-cultural values like cultural identity and creativity of related communities were also changed. Indicators from the national survey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n be found to be gradually adopting the UNESCO Convention's definition of cultural heritage.
김연정,문진아,왕수경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10 自然科學 Vol.21 No.-
대전대학교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식생활과 다이어트’ 교과목을 수강하는 남녀 학생 151 명을 대상으로 다이어트 경힘과 함께 그들의 식습관을 알아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남학생 81 명과 여학생 70명으로 총 151 명이었다. 남학생들의‘식생활과 다이어트’ 수강동기는 식생활 전반에 대해 공부하고 싶다는 응답이 여학생들은 특히 다이어트에 관심이 있어서 라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높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 중 51 .4%, 남학생 중54.3%는 다이어트에 대한 경험이 있었으며, 다이어트 해 본 시기는 남학생은 대학교 때 여학생은 고등학교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다이어트 정보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인터넷과 경험 있는 친구 나 선배를 통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남녀 학생의 평균 운동 시간은 유의적 차이를 보여 남학생은 주 1 - 3시간 운동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여학생들의 주 1 시간미만 운동하는 학생이 많았다. 식생활 태도에 대한 조사에서 아침 식사를 하지 않는 학생이 남녀 각각 19.6%. 18.6%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과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간식을 먹는 횟수는 여학생이 많았다. 조사대상자 자신의 식생활의 개선점으로 남녀 학생이 각각 56 .4%와 47.0%가 불규칙한 식사로 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남녀 학생들이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고 식습관에 문제가 있어 “식생활과 다이어트”과목을 수강함으로써 식습관과 다이어트 과목을 통한 영양교육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In th is study, 151 students(male were 81 and female were 70enrolled in ‘' Food and Diet course were asked about their diet experiences and food habits . In the question asking the reasons for taking this‘' Food and Diet'class , most male subjects answered they enrolled 'to learn about overall knowledge’, whereas female students answered ' special interest in diet’' led to taking th is class. 67 .1 %of women and 64.2% of men said they put effort to maintain weight. Also , 51 .4%of female and 54.3% of male have experience of diet. The period of diet was most frequent in University for men (33 .3%) and in high school for women (47.1 %). Diet information was gathered from internet of from friends with previous experiences for both genders . It showed students gain little through reading nutrition related books , percentage was low for men and women (3 .7%. 1.4%, respectively). For diet methods. 40% of the subjects in total said they do diet through exercise. Female subjects showed that they've tried many different methods such as yoga and diet therapy . 53 .1 % of male and55.7% of female answered the diet was effective and lost weight. I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dietary life and habits. percentage of the subjects who do not eat breakfast was 19.6% for men and 18.6% for women. The frequency of excessive eating and taking snacks was higher in men and i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From above results , we can conclude that the interest in diet was high in both gender and they both have problems regarding eating habits. 80 by taking ‘' Food and Diet’' class , it is predicted that this course will have educational effect on students 'eating habits and their diet.
해외구매대행업 전자상거래에 대한 부가가치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연정,서희열 한국세무학회 2015 세무와 회계저널 Vol.16 No.4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IT)의 급속한 발전으로 소비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쉽게 국내·외에서 판매되는 상품정보 및 배송관련 정보를 파악하여 개인이 직접 해외의 업체에 주문을 하는 수입거래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 되고 있다. 그러나 개인의 국제 전자상거래는 언어장벽과 국제 배송 등에 따른 직접 구매로 인한 피해사례가 빈번하였고 그로 인해 수입대행업체들이 구매자를 대신하여 사이트에 상품과 가격 내역을 공시하고 고객이 구매를 요청하면, 고객의 주문 목록을 조회하여 직접 해외 사이트에 접속 후 구매 및 결제를 대행하고 선적 여부 등의 사후관리를 실시하는 온라인상의 구매대행용역과 오프라인의 국제복합운송주선용역이 연계된 수입대행업이 등장하였다. 이 경우는 국제간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국내 전자상거래 배송과는 달리 국제간의 물류 업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기존의 회계나 세제상의 접근을 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실질상의 경제현상을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구매대행업의 전자상거래에 대한 과세 상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국세청 과세당국은 관세청의 유형구분처럼 세무신고 업종을 세분화하여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업종코드는 세목별 세무신고서 즉, 부가가치세 신고서, 소득세 신고서, 법인세 신고서 등이 사업의 형태를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므로 가급적 세분화하면, 전산으로 납세자의 신고의 적정성을 검증하기가 수월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현재의 관세청 고시에 따른 구분을 그대로 국세청 과세당국도 사용하는 것이 수출입신고부터 세무신고까지 일관되게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부가가치세 환급을 판단하는데 있어서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운송용역에 대해 영세율 규정을 적용하는 데 있어 과세관청의 「부가가치세법」상 해석이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에는 화물 보관료 및 운송료를 포함하여 거래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대금, 요금, 수수료 기타 명목여하에 불구하고 대가관계가 있는 모든 금전적 가치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기타수수료인 취급수수료(Collect Charge 및 Handling Charge), CFS, THC 등 부대비용에 대해서도 화주로부터 받는 주선용역대금에 포함되어 영세율이 적용되어야 됨에도 불구하고 「부가가치세법」상 명확한 해석이 없어 영세율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셋째, 국제 운송주선 계약의 연장으로 이루어지는 국내 내륙운송 운임의 경우에도 영세율 적용에 있어 일관성이 없고, 혼재선적(Co-Loading: 소량의 화물을 운송할 때 하나의 컨테이너 화물을 만들 수 없는 경우 다른 혼재업자에게 선적으로 의뢰함)의 경우 운송주선업자가 후운송주선업자에게 의뢰를 한 용역을 알선으로 파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운송인의 주선’의 개념으로 파악하여 영세율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전통적인 고정사업장의 개념을 적용하게 되면 소비지국에 고정사업장을 설치하지 않고 최소의 인력이나 시설만을 두고 사업을 하는 경우 소비지국에서의 사업소득에 대한 과세권을 피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점차 국내의 과세권을 회피하기 위하여 서버를 국외에 두고 국내 고객이 구매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 With rapid advancement of internet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individual import trading is progressing worldwide, in which consumers easily addresses product and its delivery information available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via internet and directly order them to overseas company. However, individual international electronic commerce resulted in many and frequent damages due to language barriers and international delivery. Therefore, this made import agencies related to on-line purchasing agency and off-line international complex transportation service appear and they purchased products and its payment on behalf of customers by querying customer list and connecting overseas web sites directly and provide follow-up service such as shipping status when customers request purchasing of products referring to product list and its price notified by those agencies. In this case, as an unavoidable problem in connection with international trading, following problems occurs, where people are unable to address practical economic phenomenon when they access conventional accounting and tax. This is because this kind of trading is combined with international logistics unlike existing transportation. Therefore, this paper is intended to analyze problems on taxation for e-commerce from overseas purchasing agencies and suggest how to improve them. First, it's necessary for taxation department in National Tax Service to subdivide business categories in tax declaration like those of Korea Custom Service. As tax statement for tax types i.e value-added tax statement, income tax statement and corporation tax statement in business category codes are best data to address business types, it would be easy to verify feasibility of tax payer's statement via computer by subdividing them on more detailed base. In this case, if business categories based on notification by Korea Custom Service are used by taxation authority in National Tax Service, it seems to be criteria to manage tax-related processes covering export and import declaration including tax statement. Especially those are believed to be very important criteria to determine refund of value-added tax. Second, it's necessary to clarify interpretation of 「Value-added tax law 」 for taxation authorities to apply zero tax rate for transportation service. Although standard taxation on value added tax specifies that it includes all that have monetary value to be paid such as money, fee and commission received from trading partners including freight fee and its transportation cost whether or not they are listed, it's not easy to apply zero tax rate as there is no clear interpretation of 「Value-added tax law 」 although subsidiary costs such as collect charge, handling charge, CFS and THC should be included for service cost paid by freight owners. Third, there is no consistency to apply zero tax rate for domestic inland transportation fee which is an extended contract with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service and there are many co-loading cases (If a small amount of freight is transported and it can't be loaded into a single container, it is co-loaded on request) that a service provided by another transportation service provider on request of one transportation service provider is mostly regarded as a conciliation. This case needs to be regarded as 'Service by transporter' to apply zero tax rate. Fourth, if a traditional concept of fixed business is applied and when a business is conducted on consumption country by minimum personnel and facilities without installing a fixed business site, taxation right for business income tax in consumption country is unavoidable. Therefore, there are many cases that people gradually relocate their servers to oversea to avoid taxation in Korea and make a purchasing web site for domestic customers as an import agency, or there are also many cases that they relocate servers to overseas for reversed import. Therefore, it's re...
등척성운동을 포함한 세라밴드 저항훈련 프로그램이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김연정,윤미녀,한상숙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1 No.2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using isometric and isotonic thera band exerci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0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orthopedics department at 'B' hospital (control=15, experimental=15). The control group performed isometric exercises for one week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hree or more rounds of both isometric and isotonic exercises, including Thera-Band® exercises, everyday for four week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in muscular strength (Z=-1.99, P=0.047) and self-efficacy (Z=19.48, P=0.000), and showed lower levels of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Z=8.60, P=0.003).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in pain experi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Exercise programs using the isometric and Thera-Band® resistance training improve muscular strength and self-efficacy and relieve depression in total knee replacement patients. 연구배경: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등척성 운동을 포함한 저항성 세라밴드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근력, 통증, 자기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수술 후 재활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연구대상은 예비조사를 거쳐 2008년 7월 1일부터 9월 28일까지 B병원 정형외과에 입원한 환자로 실험군 15명, 대조군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등척성 운동만을, 실험군은 등척성운동을 포함한 저항성 세라밴드 운동 프로그램을 매일 3회 이상 30분씩, 4주간 시행하고 실험처치 전후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근력, 통증, 자기효능감, 우울점수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5.0 program을 이용하여 동질성은 χ²-test와 t-test로, 연구가설은 전후차를 구하여 비모수평균 검정(Mann-Whitney U)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등척성운동을 포함한 저항성 세라밴드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슬관절 신전근의 최대우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통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등척성운동을 포함한 저항성훈련 세라밴드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우울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퇴행성관절염으로 인한 인공슬관절 전치환술환자에게 등척성 및 저항성 세라밴드운동 프로그램은 근력,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며, 우울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등척성 및 저항성 세라밴드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재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와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는 근력저하와 통증이 있으므로 환자의 능력에 맞는 세라밴드 종류와 운동방법에 관한 연구를 제언한다.
남북정상회담 전후, 북한의 대남정책 고찰 : 북한의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김연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이화북한연구실 2000 북한연구 Vol.- No.3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북한의 변화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그럼, 과연 북한은 변하였는가? 이 문제에 대하여 이 논문에서는 그 진의를 파악해내려 하였다. 변하였다면, 그것은 체제유지를 위한 경제발전의 수단으로서 작용을 하였는가? 아니면, 본질적으로 북한정책에 있어서의 변화였는가? 이를 위하여 그 동안의 김일성과 김정일의 대남정책을 간단히 살펴본 후, 2000년의 북한의 대남정책을 비교적 자세히 살펴보았다. 무엇보다도, 북한의 정론을 엿볼 수 있는 로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공동합의문 5개항목을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서 남북정상회담이후, 북한의 대남정책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결과, 북한의 대남정책은 너무나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김일성에 이은 김정일은 여전히 연방제안을 우리 민족의 현실에 맞는 가장 합리적인 통일방안으로 내세우고 있다. 또한, 주한미군의 철수 등을 비롯한 자주적인 통일을 고수할 뿐이다. 이러한 본질적인 정책은 변함 없이 지속적으로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에 반하여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하여, 그 동안 협상의 대상에서 배제되었던 경제인 및 언론인과의 교류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체제유지를 위한 생존전략에 지나지 않는다. 현 시점에서 북한경제발전을 위하여 남한기업과의 경제협력은 불가피하며, 지금까지 남한을 비롯한 세계에서 북한의 이미지 쇄신을 필요로 하기에 언론인들과의 교류에 신경 쓰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미지 쇄신에 성공하였으며 오히려, 일각에서는 지금까지 지배해 오던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정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북한의 또 다른 변화로 지목되는 단계적인 연방제안의 제시는 단계를 밟아서 종국에는 연방제를 이룩하려는 주도면밀한 계획 하에 제기되는 방안으로서 본질적인 정책의 변화가 아님을 북한의 언론을 통해 확연히 드러내고 있다. 결국, 북한은 지속적으로 외세를 배격한 가운데 자주적이며 민족의 단결을 기반으로 한 통일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통일은 주체사상의 혁명적 당과 수령의 영도아래 온 민족이 단합하여 이루어 내야 할 과업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북한은 주체사상을 통치이념으로 삼고 있는 국가로서 모든 정책은 이 주체사상에서 출연하므로 정상회담이후, 북한의 대남정책 역시 변한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전술적인 변화에 지나지 않는다. 이 또한 북한 외교정책의 이중성을 드러내고 있을 뿐이다. 이에 우리는 신중하게 북한의 정책을 직관하는 능력을 키우고 그에 대처해야 하겠다.
노년기 소비자의 경제생활 위기와 위기 극복을 위한 재취업 활성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연정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4 Crisisonomy Vol.10 No.12
한국 노년기 경제생활의 구성요소를 분석해보면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금 수혜율이 적고 은퇴준비가 취약하여 많은 노년기 소비자들은 은퇴이후 재취업을 통한 기초 생활비인 근로소득 획득을 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소비자의 경제생활 위기 현황을 분석하고 노년 소비자들이 은퇴이후에도 재취업을 해야 하는 사회경제적 동기를 분석하기 위해 일자리사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들에 대한 표적집단면접과 내용분석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경제활동 참여 동기 및 취업영역, 취업조건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재취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노인 소비자들의 참여니즈와 최근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재취업 영역인 사회적기업의 참여의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자리사업 참여 동기로 은퇴이후 근로소득의 필요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의 일자리사업의 임금수준 향상과 지속적으로 충분한 일자리가 제공되길 가장 많이 희망했다. 또한 일자리 사업의 공공성, 교육성과 복지성을 포함한 직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자긍심과 해당 분야의 직무경험을 공유하는 적극성을 나타냈으나 낮은 임금수준은 노인들의 경제적 위기를 보완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을 제시하고 있다. 재취업 참여자들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보완책으로 시간제 일자리 사업에 대한 공공정책을 신뢰하였으며,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자녀로부터의 경제적 독립과 기초 생활비 마련이 우선시되었다. 사회적 기업의 참여관심 및 의향에 대해 노인소비자들은 일자리사업과 유사한 재취업영역으로 판단을 하였고 두 제도의 공공정책성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socio-economical needs to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through the aged senior job's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involved applying contents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 and research problem analyzed economical participation factors, satisfaction degree of senior job's program, various socio-economical participation needs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social enterprise.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motivation of senior job's participation were labor income after retirement and participation social activity. Publicity and educational traits of senior jobs were very important factor and the aged had pride of professional job program and had strong attitude to communicate the job experience with former job program participant. A participants showed high credibility of public policy to enhance aged economic status and suggested emotional support by partner and children. They agree the publicity between senior job and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had more business profitability and job profession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