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Imaging Findings of Pneumothorax Caused by Bronchial Cartilage Hypoplasia in a Dog

        김수연,김성수,이저순,윤수경,오현정,손정민,김보은,김완희,윤정희,최민철,Kim, Su-yeon,Kim, Seong-soo,Lee, Jeo-soon,Yun, Soo-kyung,Oh, Hyun-jung,Shon, Jung-min,Kim, Bo-eun,Kim, Wan-hee,Yoon, Jung-hee,Choi, Min-cheol The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Clinics 2015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7 No.2

        10년령의 중성화된 수컷 Poodle이 기흉이 의심되어 내원하였다. 어릴 때부터 기침증상을 보이다가 약 2주 전부터 악화되었으며, 혈액검사 및 요검사에서 유의적인 특이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흉부 방사선 영상에서 기흉 소견 및 좌측 전엽 부위 기관지의 단절과 고도로 감소된 폐 실질이 관찰되었다. 흉부의 CT 영상 검사에서, 좌측 전엽과 덧엽에서 몇 개의 cyst들과 허탈된 폐가 관찰되었다. 또한 이 부위에서 기관지와 세기관지들은 비정상적인 형태로 끝부분이 가늘어지지 않았으며, 그 외에도 기흉, 기종격, 그리고 피하 기종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영상학적 특징들로부터 기종성 수포의 파열에 의해 발생한 자발성 기흉이 고려되었으며, 그 원인으로는 선천적인 기관지의 이상 또는 기관지 가지의 기형이 고려되었다. 부분적인 폐 덧엽 절제술이 실시되었으며, 좌측 전엽, 우측 중엽, 그리고 덧엽의 저형성이 확인되었고 특히 덧엽에서는 공기가 새고 있는 수포가 확인되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기관지 연골 저형성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A 10-year-old, castrated poodle dog presented with a cough for 2 weeks, and the cough initially developed since very young age. On radiographs, pneumothorax was noticed by characteristics of radiolucent area without pulmonary markings along the thoracic wall and diaphragm, retracted lung lobes from the thoracic wall and severely decreased volume of the left cranial lung lobe with disconnected bronchus.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identified several pulmonary air-filled cysts and collapsed lung with abnormal shape and non-tapered end of bronchus, bronchioles at the accessory lobe and left cranial lobe. Also, pneumothorax, pneumomediastinum and subcutaneous emphysema were found. Imaging diagnosis was the spontaneous pneumothorax caused by ruptured emphysematous bullae associated with congenital bronchial cartilage abnormality or bronchial tree malformation. On surgery, hypoplasia of the left cranial lobe, right middle lobe, and accessory lobe with a bulla where air was leaking was identified. The accessory lobe was partially resected and bronchial cartilage hypoplasia was confirmed by histopathologic examination.

      • KCI등재

        소아 천식 환아에서 호기 온도 측정의 임상적 의의

        김수연 ( Soo Yeon Kim ),김정윤 ( Jung Yoon Kim ),한윤기 ( Yoon Ki Han ),김종덕 ( Jong Deok Kim ),설인숙 ( In Suk Sol ),박영아 ( Young A Park ),김윤희 ( Yoon Hee Kim ),김경원 ( Kyung Won Kim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201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5 No.3

        Purpose: Exhaled breath temperature (EBT) has been suggested as a noninvasive marker of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ts clinical implication in children with asthma. Methods: A total of 233 childr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mong them, 116 were asthmatic children and 117 were healthy children. Spirometry, bronchodilator response (BDR) test, methacholine challenge test, and skin prick test were performed. EBT,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blood eosinophils, and total IgE levels were measured. EBT was measured by using X-halo. Results: EB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sthma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median [interquartile range], 32.1°C [30.0°C- 33.9°C] vs. 29.7°C [29.0°C-31.3°C], P<0.001). EB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oorly or partly controlled asthmatic children than well-controlled asthmatic children (33.5°C [31.0°C-34.4°C] vs. 30.3°C [29.3°C-32.9°C], P<0.0001). Among total subjects, EB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topic group than in the nonatopic group (32.4°C [30.3°C-34.0°C] vs. 29.8°C [29.0°C-30.3°C], P<0.001). There were neither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EBT and BDR (r=0.109, P=0.241) nor between EBT and PC20 (provocation concentra-tion causing a 20% fall in FEV1) in total subjects (r=0.127, P=0.316). EBT did not show any association with FeNO (r=0.353, P=0.071).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EBT might play a role as an ancillary marker for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and the degree of control in pediatric asthma patients.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to explore the value of EBT in detail.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5:147-152)

      • 유아교육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등록 및 수업 운영 현황 분석

        김수연 ( Soo Yeon Kim ),윤길근 ( Kilg Yuen Yoon ),이희경 ( Heek Yung Lee ),김성수 ( Sung Soo Kim ) 영유아교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연구 Vol.12 No.-

        이 연구는 유아교육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의 등록 및 수업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의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전공심화과정 제도가 발전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개설 19개 대학 학과장을 대상으로 질문지조사, 유아교육과 교수 및 전문대학정책관련 전문가 등 7명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2009년 현재 유아교육과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은 19개 전문대학 20개 과정이 운영되고 있으며, 등록률은 53.3%(272/510명), 졸업률은 96.9%이다 면접 결과, 교수들은 전공심화 과정의 개설 당위성과 제도적 한계로 인해 모집 및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 등 현실적 업무 속에서 많은 갈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산업체 경력기간에 대한 폐지 또는 축소 등 제도의 합리적 개선, 수요자 분석에 기초한 과정 개설, 교육현장 및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실무중심 현장 중심 직업교육과정 운영 등의 발전적 과제를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nrollment management and presented causes and solutions of problem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nd experts on Bachelor`s Degree Course at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Junior Colleges. At present, 19 Junior Colleges manage 20 Bachelor`s Degree Course at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ir enrollment ratio is 53.3%(272/510persons) and their completion ratio is 96.9%. The occupation distribution is 36 principals(18.8%), 147 teachers(77.0%). Results of Interviews indicated that professors had the conflicts and difficulties in collecting students and management of this course. Even though they know well this course is indispensa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department and college which they worked at, they had difficulties in collecting students causing by systematic limits. As the results of research, this study suggested an abolition or reduction of one-year work experiences in the industries and the management of in-service training course reflecting the needs of users and education fields.

      • KCI등재SCOPUS
      •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한국어 회화 연습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김수연 ( Soo-yeon Kim ),김지현 ( Ji-hyun Kim ),송나은 ( Na-eun Song ),윤서하 ( Seo-ha Yoon ),홍민영 ( Min-young H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본 논문은 비대면 한국어 회화 시험 연습용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한국어 학습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효과적인 한국어 회화 학습을 위해선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학습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구체적인 평가 지표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한국어 회화 능력을 평가하는 알고리즘과 개인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비대면 학습 플랫폼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해 회화 학습의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언택트 학습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원저 : 임신이 면역성 혈소판감소자반증에 미치는 영향과 예후

        김수연 ( Sue Youn Kim ),권지영 ( Ji Young Kwon ),조윤성 ( Yoon Sung Jo ),김사진 ( Sa Jin Kim ),신종철 ( Jong Chul Shin ),이종건 ( Jong Gun Lee ),나종구 ( Jong Gu Rha ),김수평 ( Soo Pyung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4

        목적:면역성 혈소판감소자반증(ITP)을 동반한 임신에서, 임신이 ITP의 경과에 비치는 영향, 임신과 분만의 임상적 특징, 신생아 혈소판감소증 발생의 위험인자를 규명하여 ITP 환자의 산전 진찰 및 분만 관리에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분만한 임산부 중 임신 전에 ITP를 진단받았던 24명과 임신 후 처음으로 ITP를 진단받은 3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분만기록 73건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ITP환자의 혈소판감소 정도는 임신 3개월 전보다 임신기간 중 악화되는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었으나(p<0.001), 분만 1년 후에는 임신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총 대상군의 63%에서 임신 중 치료가 필요하였으나 임신기간과 분만 중에 출혈과 관련된 합병증은 1예에서 경막하 출혈이 발생했다가 회복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없었다. 임신과 관련된 심각한 합병증으로는 자궁내태아사망한 경우 1예와 임신 30주에 조산한 1예가 있었다. 72명의 신생아 중 20명(27.8%)에서 일시적인 신생아 혈소판감소증이 발생하였고 이 중 20명이 치료를 필요로 하였다. 1명에서 경막하 혈종이 있었으나 이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은 없었다. 결론 : 임신 중 ITP는 악화되는 경향이 있으나 분만 후에는 임신 전 수준으로 회복 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임신과 분만의 예후는 좋으므로 ITP 환자의 임신은 긍정적으로 고려할 수 있으나, 산모와 신생아가 혈소판교정을 위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깊은 산전관리와 신생아 관리가 요구된다. Objective : The incidence of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is greatest in female during their childbearing years, so the concurrence of pregnancy and ITP is not unusual. Numer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outcomes of newborns, whereas fewe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with regard to the morbidity of obstetric patients with ITP. This study was aimed to find the outcome of pregnancy combined with ITP and the influence of the pregnancy on the severity of this disease. Methods :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05, a total of 62 pregnant women with ITP and their 73 deliverie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Among them, 38 were diagnosed with ITP during pregnancy and the other 24 had preexisting ITP before pregnancy. Results : The severity of thrombocytopenia was exacerbated during pregnancy, but recovered to a level of non-pregnant period after delivery in most cases. The outcome of pregnancy of all the patients was uneventful except each one case of fetal demise at 35 gestational weeks and preterm delivery at 30 gestational weeks. One patient suffered from multiple subdural hemorrhage during pregnancy, which was spontaneouly recovered. Twenty newborns (27.8%) had transient congenital thrombocytopenia and 18 of them required treatment for hemostatic impairment. Conclusion : For women with ITP, Pregnancy can affect the severity of ITP, but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was almost lacking. Although, in not a few cases, there may need to treat both mothers and infants to raise their platelet counts, most mothers with ITP can proceed with their pregnancies and delivery healthy infant without complication.

      • KCI등재

        소아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에서의 Berlin 정의

        김수연 ( Soo Yeon Kim ),김윤희 ( Yoon Hee Kim ),설인숙 ( In Suk Sol ),김민정 ( Min Jung Kim ),윤서희 ( Seo Hee Yoon ),김경원 ( Kyung Won Kim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earn Kim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구 대한알레르기학회) 2016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4 No.4

        Purpose: The revised Berlin definition (BD) showed better predictive validity for mortality in adults wit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We examined the validity of BD for pediatric ARDS as compared to the American-European Consensus Conference definition (AECCD). Methods: This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27 patients aged 1 month to 19 years who were admitted to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due to acute lung injury (ALI, n=31) or ARDS (n=96) using the AECCD. All patient characteristics and mortality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individual severity groups according to the BD and AECCD. Results: Sixty-four patients (50%) died. Mortality rates increased across the severity groups according to both definitions (26% in mild, 42% in moderate, and 75% in severe by the BD [P<0.001]; 26% in ALI non-ARDS and 58% in ARDS by the AECCD [P=0.002]). The mortality risk increased only for ‘severe ARDS’ (hazard radio for mortality, 2.56; 95% confidence intervals [CI], 1.14-5.78; P=0.023)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The BD better predicted mortality, with an integrate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iAUC) of 0.651 (95% CI, 0.571-0.725), than the AECCD, with an iAUC of 0.584 (95% CI, 0.523-0.637). The pediatric risk of mortality (PRISM) III and pediatric index of mortality 3 sco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BD severity groups, whereas only PRISM III scor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ECCD. Conclusion: The BD applied to children with ARDS. It could be adopted to severity classifications and predict pediatric ARDS mortality better than the AECCD.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6:4:257-263)

      • KCI등재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이소플라본 보충이 혈청 지질패턴 및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Soo Yeon Kim(김수연),Soon Young Kim(김순영),Chung Eun Chung(정은정),Sun Yoon(윤선),Jung Hwa Park(박정화)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1

        심혈관질환 및 암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을 예방하는 식이성분 이소플라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대두 단백질에 포함된 성분으로서의 이소플라본의 효과에 관해서는 많은 검증이 되어왔지만 정제된 이소플라본 자체의 생리활성에 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이 있다. 특히 이소플라본의 지방감소 효과, 항산화작용등에 관해서는 질병 예방의 효과와 관련하여 규명되어야 할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소플라본 첨가 식이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하는 흰쥐와 일반식이를 섭취하는 흰쥐의 지질 패턴과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생후 7주령 Sprague Dawley 수컷 흰쥐를 사용하여 대조군(basal diet, B), 이소플라본 보충군(B+Isoflavone, BI) 고콜레스테롤군(B+cholesterol, BC) 및 고콜레스테롤-이소플라본 보충군(BC+Isoflavone, BIC)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Two-way ANOVA를 실시하여 이소플라본과 콜레스테롤 보충효과 및 각 변수에 대한 두 요인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VLDL+LDL 콜레스테롤, atherogenic index는 콜레스테롤 비첨가 군 중에서(B, BI) 이소플라본에 의해 유의하게 낮았지는 효과가 있었고(각 각 p=0.0002, p<0.0001, p=0.0042). 콜레스테롤 첨가군(BC, BIC)들을 비교했을 때는 VLDL+LDL 농도만이 이소플라본 첨가시(BIC) 유의하게 낮았다(p<0.0001). T-SOD는 콜레스테롤 비첨가 군 중에서(B, BI) 이소플라본 첨가군(BI)이 비첨가군(B)보다 유의하게 높았고(각 각 p=0.0317) TAS는 콜레스테롤 첨가 여부와 관계 없이 이소플라본 첨가군(BI, BIC)이 비첨가군(B, BC)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001). 혈청 지질과산화, 총 항산화능, 항산화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소플라본과 콜레스테롤의 모든 효과는 각 각 독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이 혈청 지질패턴을 개선하고 항산화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심혈관계질환을 비롯한 만성퇴행성 질환을 예방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소플라본의 식이 첨가량에 따른 효과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potential of isoflavone in reduc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however, although several effects of isoflavone as a component of soy protein are well established, the hypolipid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purified isoflavone are still controversial.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soflavone on serum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status in rats. 7-week old 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fed one of the following diets for 8 weeks: basal diet (B), basal+0.3% isoflavone (BI), basal+0.5% cholesterol (BC), or basal+0.3% isoflavone +0.5% cholesterol (BIC). Two-way ANOVA was used to test the effects of dietary isoflavone and cholesterol supplementation and their interaction on variables. Serum lipid profiles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were examined spectrophotometrically. Degree of serum lipid peroxidation was measured by malondialdehyde (MDA) assay. The activities of serum antioxidant enzymes (GSH-Px, total-SOD) was determined.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VLDL+LDL-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I than those levels in group B (p=0.0002, p<0.0001, and p=0.0042, respectively). Serum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isoflavone supplemented groups (BI, BIC) compared to those levels in each control group (B, BC) (p<0.0001). Activity of total-SO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I compared to the activities in group B (p=0.0317).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isoflavone and cholesterol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isoflavone supplementat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serum lipid profiles and total antioxidant activities in both conditions, either when fed a diet with or without cholesterol. These effects of isoflavone were independent of cholesterol suppleme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