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Challenge Zone_Health people - 5집 가수, 메인 MC, 연기자 이승기의 무한도전

        김명현,Kim, Myeong-Hyeon 한국건강관리협회 2012 건강소식 Vol.36 No.2

        이승기는 5집 가수다. 예능 프로그램에서, 드라마에서 자리를 확실히 잡은 이승기지만, 가수 활동의 기분은 남다른 것이 아닐까. 소년시절을 졸업하고, 좀 더 자신만의 주관으로 자신의 진로를 말할 수 있게 된 청년 이승기가 풀어낸 이야기다.

      • KCI등재

        우리나라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식물상 특성

        김명현,어진우,김민경,오영주,Kim, Myung-Hyun,Eo, Jinu,Kim, Min-Kyeong,Oh, Young-Ju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4

        밭 경작지는 다른 유형의 경작지보다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이모작 등 영농활동에 의한 교란 정도가 상대적으로 크며 건조한 환경조건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생활형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36개 지역에서 2015년 6월과 8월 두 시기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밭 경작지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100과 322속 483종 9아종 37변종 1품종 2잡종으로 총 53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국화과가 가장 많은 75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68분류군, 콩과 34분류군, 마디풀과 21분류군, 장미과 19분류군, 백합과 1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종별 출현빈도는 깨풀과 쑥이 100%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환삼덩굴, 속속이풀, 망초, 개망초, 왕고들빼기, 닭의장풀, 바랭이, 돌피, 금방동사니, 괭이밥, 쇠비름, 명아주, 개비름, 콩, 주름잎, 왕바랭이 등이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논 경작지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Th-R<sub>5</sub>-D<sub>4</sub>-e)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주목, 목련, 할미밀망, 쥐방울덩굴, 벼룩아재비, 개지치, 애기담배풀, 두메부추, 물잔디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 식물은 환삼덩굴, 애기수영, 가시박,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양미역취, 미국쑥부쟁이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24과 68속 97종 1변종으로 총 9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30.5%, 귀화율은 18.4%를 나타냈다. Upland fields are characterized by dry environments, a high degree of disturbance by farming practices such as double-cropping, and a high diversity of crops compared to other field types. This study focu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upland fields in South Korea. Flora surveys were conducted in 36 areas in nine provinces at two times (June and August) in 201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scular plants in the upland fields in South Korea included 532 taxa, containing 100 families, 322 genera, 483 species, nine subspecies, 37 varieties, one form, and two hybrids. Among the 100 families, Asteraceae was the most diverse in species (75 taxa), followed by Poaceae (68 taxa), Fabaceae (34 taxa), Polygonaceae (21 taxa), Rosaceae (19 taxa), and Liliaceae (17 taxa). Based on the occurrence frequency of each species, Acalypha australis L. (100%), and Artemisia indica Willd. (100%)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Humulus scandens (Lour.) Merr., Rorippa palustris (L.) Besser,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Erigeron annuus (L.) Pers., Lactuca indica L., Commelina communis L., Digitaria ciliaris (Retz.) Koeler, Echinochloa crus-galli(L.) P.Beauv., Cyperus microiria Steud., and Oxalis corniculata L. The biological type of upland fields in South Korea was determined to be Th-R<sub>5</sub>-D<sub>4</sub>-e type. Rare plants were found in 11 taxa: Taxus cuspidata Siebold & Zucc, Magnolia kobus DC, Clematis trichotoma Nakai, Aristolochina contorta Bunge, Buxus sinica (Rehder & E.H.Wilson) M.Cheng var. koreana (Nakai ex Rehder) Q.L.Wang, 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Mitrasacme indica Wight, Lithospermum arvense L., Carpesium rosulatum Miq., Allium senescens L., and Pseudoraphis sordida (Thwaites) S.M.Phillips & S.L.Chen. Ninety-seven taxa contained naturalized plants composed of 24 families, 68 genera, 97 species, one variety, and one form. The urbanization and naturalization indices were 30.5% and 18.4%, respectively.

      • KCI등재

        응력확대계수를 이용한 하중 전달형 필릿 용접부의 피로강도 평가에 관한 연구

        김명현,강성원,김형래,Kim, Myung-Hyun,Kang, Sung-Won,Kim, Hyoung-Rae 대한용접접합학회 2008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26 No.6

        It is well known that there exist two typical fatigue crack initiation locations in ship structures: one is the weld toe and the other is the weld root where partial penetration weld is performed.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for fillet weldments to avoid weld root cracking in order to prevent catastrophic failure particularly in ship structures. Therefore detail considerations are required for cruciform joints with partial penetration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weld root crack initiation. For these reasons, fatigue tests on welded joint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Concept of stress intensity factor(SIF) by means of fracture mechanics is applied for predicting fatigue life of fillet welded joints.

      • KCI등재

        Seasonal Change in C<sub>3</sub>/C<sub>4</sub> Mixed Vegetation Populations over Paddy Levees in South Korea

        김명현,오영주,김미란,Kim, Myung-Hyun,Oh, Young-Ju,Kim, Miran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 2012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농업생태계 식물군락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기 위하여 기상요건이 다른 해남, 영동, 철원 3지역의 논둑에서 시기별로 식생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출현종수에서 $C_3$식물은 해남과 영동에서는 이른 봄부터 5월 중순까지 증가하다가 $C_4$식물이 출현하는 이후부터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철원에서는 이른 봄부터 가을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C_4$식물은 해남과 영동에서는 6월 중순, 철원에서는 7월 하순에 출현하여 가을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종다양성의 계절변화에서 해남은 $C_4$식물이 출현하기 전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영동은 $C_3$와 $C_4$식물이 혼생하는 초기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이후에 서서히 감소하였다. 철원은 감소경향이 나타나지 않고 계속적인 증가 패턴을 나타냈다. 이들 논둑에 출현하는 식물을 $C_3$와 $C_4$ 두 그룹으로 나누어 상대피도 및 상대우점율의 계절변화를 확인한 결과 지역별 차이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C_3$식물에서 $C_4$식물로 교대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교대시기를 온도와 일조시간을 고려한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었으며, 일평균기온 5 이상인 날에 대한 일조시간의 누적 합이 1017시간에서 논둑식생의 상대우점율이 $C_3$식물에서 $C_4$식물로 교대하는 것으로 예측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 식생분포의 예측에도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udies of seasonal changes in $C_3/C_4$ mixed communities are rare, particularly in Asian summer monsoon climate zones. In our present study, seasonal changes in the profile and coverage of $C_3$ and $C_4$ plants were investigated in 2009 in Haenam, Yeongdong and Cheorwon regions of South Korea (all at different latitudes). The aim was to estimate the impacts of temperature and sunshine duration on species composition and transition timing of the $C_3$ and $C_4$ plants. From our results, the number of $C_3$ plants was found to increase from early spring to mid-May, and then decrease again until September in the Haenam and Yeongdong regions, but continuously increase from early spring to September in the Cheorwon region under relatively low summer temperatur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C_4$ plants increased from June or July to September in all three regions. These seasonal changes in species number and ratio have a direct impact upon species diversity which is highest when there are no dominant species. The relative coverage and relative summed dominance ratio (SDR') of the $C_3$ plants decreased from spring to autumn, but increased for the $C_4$ plants during this time in an exponential fashion with increasing accumulated temperature and sunshine duration. The transition timing from $C_3$ to $C_4$ plants occurred when the sum of sunshine duration for the days with daily mean temperature above $5^{\circ}C$ was 1017 hrs for the SDR'.

      • SCOPUSKCI등재

        인천지역 청소년의 비만도와 혈청 콜레스테롤치와의 관계

        김명현,김태완,홍영진,손병관,배수환,장경자,김순기,Kim, Myung Hyun,Kim, Tae Wan,Hong, Young Jin,Son, Byong Kwan,Pai, Soo Hwan,Chang, Kyung Ja,Kim, Soon Ki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2

        목 적 : 경제발전과 더불어 영양과잉이 문제되고 있으며 비만한 소아가 매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저자들은 인천의 도시와 농촌 지역을 대상으로 중고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만 및 체중미달의 유병율을 알아보고 비만도와 콜레스테롤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청소년기의 영양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4, 5월 인천지역의 3개의 중학교, 5개의 고등학교, 인하대학교 여대생 총 1,456명(남 : 여=685 : 771)을 대상으로 신체계측과 함께, 혈청 콜레스테롤치를 측정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영양섭취상태를 조사하였으며, 1998년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측정한 한국 소아 및 청소년의 신장별 체중 백분위의 50퍼센타일 값을 표준체중으로 하여 비만도를 측정하여, 20% 이상을 비만, -10% 이하를 체중 미달로 정하였고, 또한 1998년 대한 소아과 학회에서 제정한 각 연령별 체질량지수를 근거로 95 백분위수 이상을 비만으로 정하고 15 백분위수 미만을 체중미달로 정하였다. 결 과 : 1) 청소년 비만도의 분포를 정상, 비만, 체중미달로 구분하였을 때, 남자에서는 각각 60.7%, 12.1%, 27.2%이었으며, 여자에서는 각각 70.9%, 11.3%, 17.8%로 남녀 분포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표준체중에 의한 비만 유병율은 11.7%(남 : 여=12.1 : 11.3)였고, 이 중 경도비만이 6.5%(남 : 여=6.7 :6.4), 중등도 비만 4.6%(남 : 여=4.4 : 4.8), 고도비만은 0.5%(남 : 여=1.0 : 0.1)였고,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 유병율은 남녀 각각 6.4%, 6.2%였다. 3) 남자에서 농촌 지역의 비만과 체중미달 유병율은 각각 8.5%, 34.1%였고, 도시 지역은 각각 14.3%, 22.9%로 분포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2). 여자에서 농촌 지역의 비만과 체중미달 유병율은 각각 12.5%, 19.6%였고, 도시 지역은 각각 10.5%, 16.6%로 두 지역의 체중 분포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29). 4) 연령별 비만 유병율은 나이가 많아지면서 증가하다가 16세에 16.3%(남자 15.8%, 여자 16.8%)로 가 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그 이후로 감소하였다. 체중 미달의 연령별 유병율은 남자가 14세에 39.4%, 여자가 12세에 53.2%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5) 인문계, 실업계 남자에서 비만 유병율은 각각 13.7%, 9.7%로 인문계에서 더 많은 분포를 차지하였으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고(P=0.116), 여자는 각각 6.8%, 18.0%로 실업계에 비만 청소년이 더 많은 분포를 차지하여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6) 혈청 콜레스테롤치 200 mg/dL 이상은 비만 청소년에서 6.2%, 170-200 mg/dL인 경우는 비만군에서 22.2%로 비 비만군에 비해 높았고 서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r=0.111). 결 론 : 인천지역의 청소년 비만은 조사자의 약 12%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반면 체중미달도 적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 영양에 대해 관심과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그리하여 성인병을 예방하고 한편 영양불량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로 생각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bese and underweight adolescents in Incheon area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 and obesity, then to assess the nutritional condition of adolescents. Methods : With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apparently healthy students aged 12 to 24 years by venipuncture at April and May, 2000. We measured the obesity index using standard body weight and the body mass index(BMI) according to the criteria established by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in 1998. Obesity was defined as BMI more than 95 percentile, and underweight less than 15 percentile by age and sex. Results : A total of 1,456 students(M : F=685 : 771) aged 12 to 24 yea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revalence of obesity by standard body weight in adolescents in Incheon were 11.7% : mild obesity 6.5%, moderate 4.6%, and severe 0.5%. By BMI,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6.4% in males and 6.2% in females. In males,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rural areas was 8.5%, lower than in urban areas(14.3%). The prevalence of underweight by obesity index was 34.1% in rural areas and 22.9% in urban areas. In female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12.5% in rural areas and 19.6% in urban a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gions(P=0.529). The prevalence of obesity increased with age till 16.3% of peak prevalence in 16 years of age, and then decreased. In males,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academic and vocational school were 13.7% and 9.7%, respectively(P=0.116). In females of the academic and vocational school,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6.8% and 18.0%, respectively(P=0.001). In obese adolescents, serum total cholesterol was over 200 mg/dL in 6.2%.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adolescents was about 12% and that the prevalence of underweight adolescents was considerably high. We think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re warranted for adolescent students.

      • KCI등재

        인체용 항생제의 우선관리대상 선정과 물환경 중 오염농도 추정

        김명현,박정임,김영희,최경호,Kim, Myung-Hyun,Park, Jeong-Im,Kim, Young-Hee,Choi, Kyung-Ho 한국환경보건학회 2006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2 No.5

        Antibiotics are manufactured and used for specific physiological functions, hence they may exert adverse ecological consequences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nontarget organisms. In the last decade, many reports have been made on the occurrences of various antibiotic compounds in surface water, and their potential impact to the environment has become an increasing concer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ioritize antibiotic substances with potential environment risk in Korea. Human use antibiotics with an EIC (Expected Introduction Concentration) value greater than $1{\mu}g/l$, US FDA's action limit criteria, were selected. In order to calculate a worst-case EIC for each substance, annual production volume (in kg) of each antibiotic substance was derived using the Korea Pharmaceut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KPMA)'s monetary database. Sixteen substances were preliminarily selected. The EICs of the 16 antibiotic substances were refined with the excretion rate of the parent substances. Ten antibiotic substances were identified to have EIC-corrected greater than $1{\mu}g/l$, which include Amoxicillin ($15.8{\mu}g/l$), Cefaclor ($10.1{\mu}/l$), Roxithromycin ($4.2{\mu}g/l$), Cephradine ($4.5{\mu}g/l$), Cefatrizine ($2.6{\mu}g/l$), Cefadroxil ($3.3{\mu}g/l$), Aztreonam ($2.3{\mu}g/l$), Ceftazidime ($2.8{\mu}g/l$), Ribostamycin ($1.3{\mu}g/l$), and Ceftezole ($1.3{\mu}g/l$). Additional risk assessments for these antibiotic substances are suggested.

      • KCI등재

        아로니아 분말 첨가가 돈육 패티의 항산화 활성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명현,주신윤,최해연,Kim, Myung-Hyun,Joo, Shin-Youn,Choi, Hae-Yeon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dding aronia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patties. The patties were prepared by adding 0%, 1%, 2%, and 3% of aronia powder. Water and ethanol were used to extract the antioxidant compounds from aronia. Total phenolic compounds of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aronia were 164.55 mg/g and 221.08 mg/g,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at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aronia powder. Moisture content in control group was 60.61%, an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ronia powder groups. The cooking loss rate and reduction ratio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amount of aronia powder. Th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the control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treatment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addition of 1% aronia received the best score in appearance, color, and overall preference. We suggest that aronia powder may be a useful ingredient in pork patties to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otential.

      • KCI등재

        울릉도 농경지의 식물상

        김명현,홍선희,이용호,김민경,최순군,어진우,엽소진,방정환,오영주,Kim, Myung-Hyun,Hong, Sun-Hee,Lee, Yong-Ho,Kim, Min-Kyeong,Choi, Soon-Kun,Eo, Jinu,Yeob, So-Jin,Bang, Jeong Hwan,Oh, Young-Ju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2

        화산섬인 울릉도는 내륙과는 다른 기후, 토양, 지형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농업 또한 차별화된 특징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 농경지에 출현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상 조사는 2016년 5월과 2020년 7월과 8월 총 3차례, 37개 지점에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울릉도 농경지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은 53과 132속 160종 14변종 5아종, 1잡종으로 총 18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국화과가 가장 많은 33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벼과 25분류군, 마디풀과 12분류군, 콩과가 12분류군, 마디풀과 11분류군, 백합과 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울릉도 농경지에 출현하는 식물의 생활형 유형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직립형(Th-R<sub>5</sub>-D<sub>4</sub>-e)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섬고사리, 섬기린초, 섬나무딸기, 섬바디, 섬쥐똥나무, 섬쑥부쟁이, 물엉겅퀴, 섬말나리, 왕둥굴레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 교란 식물은 애기수영, 환삼덩굴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3과 33속 44종 1변종으로 총 4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13.9%, 귀화율은 24.2%를 나타냈다. Ulleungdo, a volcanic island, has different climate, soil, and topography characteristics from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Its agriculture also exhibits distinctive features. This study focused on floristic compos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crop lands in Ulleungdo. Flora surveys were conducted for 37 areas three times, one in May of 2016, one in July of 2020, and one in August of 2020. Results showed that vascular plants of crop lands in Ulleungdo included 186 taxa of 53 families, 132 genera, 160 species, 14 varieties, five subspecies, and five hybrids. Asteraceae had the most diverse species (33 taxa), followed by Poaceae (25 taxa), Fabaceae (12 taxa), Polygonaceae (11 taxa), and Liliaceae (nine taxa). The biological type of crop lands in Ulleungdo island was determined to be Th-R<sub>5</sub>-D<sub>4</sub>-e type. Rare plants were found for nine taxa: Athyrium acutipinnulum Kodama ex Nakai, Sedum takasimense Nakai, Rubus takesimensis Nakai, Dystaenia takesimana (Nakai) Kitag., Ligustrum foliosum Nakai, Aster pseudoglehni Y.Lim, Cirsium nipponicum (Maxim.) Makino, Lilium hansonii Leichtlin ex D.D.T.Moore, and Polygonatum robustum (Korsh.) Nakai. In addition, 45 taxa contained naturalized plants of 13 families, 33 genera, 44 species, and one variety. Urbanization and naturalization indices were 13.9%, and 24.2%,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