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장균에서 비천연 아미노산의 위치특이적 삽입을 위한 Amber Suppressor tRNA와 Aminoacyl-tRNA Synthetase의 Amber Suppression 활성측정시스템 개발

        김경태,박미영,박중찬,Kim, Kyung-Tae,Park, Mi-Young,Park, Jung-Chan 한국미생물학회 2009 미생물학회지 Vol.45 No.2

        대장균에서 비천연 아미노산을 단백질 생합성시 특정 위치에 삽입하는 방법의 하나로 amber suppressor tRNA와 여기에 비천연 아미노산을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변형된 aminoacyl-tRNA synthetase 쌍을 이용한다. 이러한 기술의 개발을 위해 필요한 여러 요소 중 하나는 이러한 시스템이 대장균에서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in vivo 보고시스템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beta$-galactosidase 유전자의 N-말단에 amber 코돈을 삽입한 보고유전자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대장균(DH10B)의 chromosomal DNA에 삽입하여 DH10B(Tn:lacZam) 균주를 개발하였다. Genomic PCR과 Sou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lacZ amber 유전자가 대장균의 염색체에 삽입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DH10B(Tn:lacZam)은 amber suppression을 유도할 수 있는 벡터가 형질 전환될 경우만 $\beta$-galactosidase 활성을 나타냈다. DH10B(Tn:lacZam)에 효모균의 amber suppressor $tRNA^{Tyr}$와 Tyrosyl-tRNA synthetase 쌍을 동시에 발현하는 벡터를 형질전환하였을 때, amber suppression에 의해서 $\beta$-galactosidase 활성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 활성은 대장균의 amber suppressor $tRNA^{Gln}$를 발현하는 pSupE2를 형질전환하였을 때와 비교 하여 매우 낮은 $\beta$-galactosidase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DH10B(Tn:lacZam) 균주가 $\beta$-galactosidase 활성을 통하여 정성 및 정량적으로 in vivo amber suppression 활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특성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Site-specific incorporation of unnatural amino acids into proteins in vivo can be achieved by co-expression of an orthogonal pair of suppressor tRNA and engineered aminoacyl-tRNA synthetase (ARS) that specifically ligates an unnatural amino acid to the suppressor tRNA. As a step to establish this technique, here we generated an Escherichia coli reporter strain DH10B(Tn:lacZam) by integrating amber mutated lacZ gene into the chromosome of E. coli DH10B strain. In vivo expression of E. coli amber suppressor $tRNA^{Gln}$ produced blue colonies in culture plates containing X-Gal as well as dramatically increased $\beta$-galactosidase activity. In addition, expression of an orthogonal pair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uppressor $tRNA^{Tyr}$ and tyrosyl-tRNA synthetase also produced blue colonies as well as moderate increase of $\beta$-galactosidase activity. These data demonstrate that our reporter strain will provide an efficient method to assess amber suppression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anners.

      • KCI등재

        한방복합치료(韓方複合治療)가 STRESS로 유발된 말초성안면신경마비(末梢性顔面神經麻痺)에 미치는 영향

        김경태,송호섭,Kim, Kyung-tae,Song, Ho-sueb 대한침구의학회 2004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1 No.4

        Objectiv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tress on Peripheral Facial Paralysis during the complex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Methods: We investigated 41 cases of patients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who were given the complex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one group had stress as main factor, the other group didn't it. we evaluated the treatment effect of each group by using Gross Grading System of House-Brackmann, Yanagihara's Unweighed Grading System. Results : 1. In age, sex, lesion, duration of disease, frequency of treatment, duration of treatment, we found that two group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2. Pain back of the ear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symptoms at onset. 3. Boyangwhanotang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oriental herb medicine treatment. 4. As a result of evaluation by using Gross Grading System of House-Brackmann, Yanagihara's Unweighed Grading System, treatment score after 2weeks was marked more higher than score before treatment and treatment score after final treatment was more higher than treatment score after 2weeks on each groups. 5. After final treatment, Non-stress group had signficant result on Gross Grading System of House-Brackmann, Yanagihara's Unweighed Grading System compared with stress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atient with Non-stress group should be get better than stress group.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 기반 지역 멀티홉 라우팅 프로토콜

        김경태,윤희용,Kim, Kyung-Tae,Youn, Hee-Y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6 No.4

        다수의 센서로 구성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정보수집을 목적으로 하며 현재 다양한 분야에 응용 및 활용이 되고 있다.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센서 노드들은 한정된 전력의 배터리로 동작하므로 에너지 효율성 및 장시간의 네트워크 수명을 제공하는 것이 센서 네트워크의 중요한 연구 목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 시키고 데이터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새로운 클러스터 기반의 지역 멀티홉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클러스터 내의 멀티홉 형성으로 센서 노드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며 지역 클러스터 헤드 순환 기법을 통해 기존 클러스터링 기법에서 빈번한 클러스터 구성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에 제안되었던 LEACH, LEACH-C, PEACH와 비교해 전체 노드의 에너지 소모를 균등하게 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consisting of a largenumber of sensors aims to gather data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and is beingused and applied in many different fields. The sensor nodes composing a sensornetwork operate on battery of limited power and as a result, high energyefficiency and long network lifetime are major goals of research in the WSN. In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cluster-based local multi-hop routing protocolthat enhances the overall energy efficiency and guarantees reliability in thesystem. The proposed protocol minimizes energy consumption for datatransmission among sensor nodes by forming a multi-hop in the cluster.Moreover, through local cluster head rotation scheme, it efficiently manageswaste of energy caused by frequent formation of clusters which was an issue inthe existing methods.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enhances energyefficiency and ensure longer network time in the sensor network as comparedwith existing schemes such as LEACH, LEACH-C and PEACH.

      • KCI등재

        스크린 프린팅 공정에 의해 제조된 열전후막모듈의 전기저항에 미치는 금속코팅층의 영향

        김경태,구혜영,하국현,Kim, Kyung-Tae,Koo, Hye-Young,Ha, Gook-Hyun 한국분말야금학회 2011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8 No.5

        Thermoelectric-thick films were fabricated by using a screen printing process of n and p-type bismuth-telluride-based pastes. The screen-printed thick films have approximately 30 ${\mu}m$ in thickness and show rough surfaces yielding an empty gap between an electrode and the thick film. The gap might result in an increase of an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fabricated thick-film-type thermoelectric module. In this study, we suggest a conductive metal coating onto the surfaces of the screen-printed paste in order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in the module. As a result,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a gold coating layer was significantly reduced up to 30% compared to that of a module without any metal coating. This result indicates that an introduction of conductive metal layers is effective to decrease the contact resistivity of a thick-film-typed thermoelectric module processed by screen printing.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비스무스 텔루라이드 기지 복합재료의 제조 및 열전특성

        김경태,장경미,김경주,하국현,Kim, Kyung-Tae,Jang, Kyeong-Mi,Kim, Kyong-Ju,Ha, Gook-Hyun 한국분말야금학회 2010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17 No.2

        Carbon-nanotube-embedded bismuth telluride (CNT/$Bi_2Te_3$) matrix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a powder metallurgy process. Composite powders, whereby 5 vol.% of functionalized CNTs were homogeneously mixed with $Bi_2Te_3$ alloying powders,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by using high-energy ball milling process. The powders were consolidated into bulk CNT/$Bi_2Te_3$ composites by spark plasma sintering process at $350^{\circ}C$ for 10 min. The fabricated composites showed the uniform mixing and homogeneous dispersion of CNTs in the $Bi_2Te_3$ matrix. Seebeck coefficient of CNT/$Bi_2Te_3$ composites reveals that the composite has n-type semiconducting characteristics with values ranging $-55\;{\mu}V/K$ to $-95\;{\mu}V/K$ with increasing temperature. Furthermore, the significant reduction in thermal conductivity has been clearly observed in the composites. The results showed that CNT addition to thermoelectric materials could be useful method to obtain high thermoelectric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상완골외측상과염(上腕骨外側上顆炎)에 대한 봉약침(峰藥鍼) 요법이 미치는 영향(影響)

        김경태,송호섭,Kim, Kyung-Tae,Song, Ho-Sueb 대한약침학회 2006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9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Bee Venom acupuncture therapy on external epicondylitis. Methods : We divided chronic arthritis of ankle patient into 2 groups; one group combined bee venom acupuncture therapy and acupuncture therapy, another group was only acupuncture therapy.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that applied for two groups, we used visual analog scale(VAS). We compared the VAS score of two groups statistically. Results : 1. As a result of evaluation by using visual analog scale(VAS), treatment score at final was marked more higher than score before treatment on each groups. 2. treatment at final, acupuncture and bee venom acupuncture therapy group had significant result on visual analog scale(VAS) compared with acupuncture therapy group. Conclusion : Bee Venom acupuncture therapy can be used with acupuncture therapy for highly effective treatment for external epicondylitis.

      • KCI등재후보

        진해만의 가덕수도 표층수와 표층 퇴적물 중의 중금속 분포

        김경태,김은수,조성록,강성현,김종근,박준건,Kim, Kyung-Tae,Kim, Eun-Soo,Cho, Sung-Rok,Kahng, Sung-Hyun,Kim, Jong-Kun,Park, Jun-Ku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4 No.2

        진해만의 가덕수도 표층 해수 중의 증금속은 육지에 가까운 정점에서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들의 븐포에는 조사 해역의 염분에 근거한 물리적 혼합은 크게 작용하지 않았다. 그리고 Pb를 제외한 다른 중금속은 과거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층 퇴적물의 중금속 함량은 거제도 혹은 가덕도에 인접한 정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해역의 Zn, Eu와 Pb 함량은 과거에 비해 약간 상승하여 인위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Hg과 Pb을 제외한 중금속은 상호간에 양호한 상관성을 보였으면, Eo, Ni, Zn, Eu, As와 Ed는 IL 및 COD와도 좋은 상관성을 보였다. 평균지각을 기준으로 한 농축계수는 As>Cd>Pb>Zn>Co>Cu>Hg>Ni의 순이 었으며, As, Ed, Ni, Pb, Zn은 전 정점에서 1 이상이었다. 한반도 연안 퇴적물의 중금속 배경 농도에 근거한 Ni과 Rn의 농축계수는 지각평균에 의한 농축계수보다 낮았고, Cu는 높게 나타났다.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awaters and sediments were measured in Gaduk channel of jinhae Bay. The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seawaters were found at the stations near the islands. In the seawaters, the mean concentrations of dissolved heavy metals except for Pb were not higher than previous data in this bay. Higher heavy metal contents in the surface sediments were observed at the stations adjacent to the Geojedo or Gadukdo of the Gaduk channel. The contents of Co,Ni,Zn,Cu,As and Cd in the surface sediments showed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IL and COD. The order of enrichment factors(EFs)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on the basis of average shale values was As>Cd>Pb>Zn>Co>Cu>Hg>Ni, and the EFs of As,Cd,Pb and Zn at whole stations were higher than 1. EFs of Ni and Zn on the basis of natural background concentration in Korean coastal sediments were lower than EFs by average shale.

      • KCI등재

        에너지 효율적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트리 기반 클러스터링 프로토콜

        김경태,윤희용,Kim, Kyung-Tae,Youn, Hee-Y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7 No.1

        다수의 센서로 구성된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하며 현재 다양한 분야에 응용 및 활용이 되고 있다.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센서 노드들은 한정된 전력의 배터리로 동작하므로 에너지 효율성 및 장시간의 네트워크 수명을 제공하는 것이 센서 네트워크의 중요한 연구 목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새로운 트리 기반의 클러스터링 프로토콜(tree based clustering protocol)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클러스터에서의 노드들은 클러스터 헤드를 루트로 하는 트리를 구성한다. 트리의 높이는 멤버 노드들과 클러스터 헤드의 거리를 기반으로 결정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에 제안되었던 LEACH, PEGASIS와 TREEPSI와 비교해 제안된 기법이 노드들 사이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균등하게 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consisting of a large number of sensors aim to gather data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and are being used and applied to many different fields. The sensor nodes composing a sensor network operate on battery of limited power and as a result, high energy efficiency and long network lifetime are major goals of research in the WS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tree-based clustering approach for energy efficient wireless sensor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forms the cluster and the nodes in a cluster construct a tree with the root of the cluster-head., The height of the tree is the distance of the member nodes to the cluster-head. Computer simul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scheme enhances energy efficiency and balances the energy consumption among the nodes, and thus significantly extends the network lifetime compared to the existing schemes such as LEACH, PEGASIS, and TREEPSI.

      • KCI등재후보

        해수 중의 미량금속 분석을 위한 청결기술의 소개

        김경태,김은수,나공태,문덕수,김현주,Kim, Kyung-Tae,Kim, Eun-Soo,Ra, Kong-Tae,Moon, Deok-Soo,Kim, Hyeon-Ju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5 No.2

        Al, Ag, Au, Cu, Cd, Co, Fe, Ni, Pb, Zn등의 금속은 해수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미량금속이라고 하며 일부는 미량영양소로서 생명체의 생리활동에 필요하지만 정해진 한계값을 초과할 때는 독성을 나타낸다. 미량금속(중금속)은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성 오염물질로 분류되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해수와 담수 등 자연수 중의 미량금속 측정은 정확도와 정밀도에 있어서 큰 오차를 가지고 있음이 장기간 인식되어 왔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1975년 이후 미량금속의 해수 중 농도가 과거에 인지된 농도의 $1/10{\sim}1/1,000$ 정도로 낮아졌으며, 수직 분포는 생물, 물리, 지화학적인 과정들이 반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부분 미량금속에 대한 분석방법과 기기의 발전에 기인하며, 시료 채취, 보관 및 분석 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제거해야 하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많은 해양환경 관린 조사 및 연구에서 정확성이 결여된 자료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미량금속 분석에 있어서 시료의 채취, 보관, 분석에 대한 정착한 인식 및 이해 부족은 자료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해양환경 연구 및 환경평가에 활용하기 위하여 자연수 중 미량금속의 정확한 자료를 획득하는 주요 과정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The metals such as Al, Ag, Au, Cu, Cd, Co, Fe, Ni, Pb, Zn, etc are present at very low concentration in seawater and are classified as so-called trace metals. Whiles some of them are used in metabolism of living organism as a micronutrient, they may show toxic effects on organisms in case of a limited threshold concentration of them Plenty of studies on trace metals have been performed bemuse trace metals have a persistent influence and an adverse effect on marine environment and ecosystem. For long years, when the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in natural waters such as seawater and fresh water are measured with high precision and accuracy, some systematic errors have been recognized to be present in measurements. Since 1975 in US and European countries,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in seawater have been found to be lower by factors of 10-1,000 than the previous data of trace metals measurements and the vertical profiles of the measurements have been shown to reflect well-known biological, physical and geochemical processes. These results are attributed to great advances in analytical instrumentation and methodology for trace metals measurements. Precautions against the contamination of samples are required to be taken in the process of sampling, storage, and analysis of samples. However, in Korea, erroneous data of trace metals with regard to ocean and marine environment related survey and investigations are reported The lock of exact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regarding precautions in sampling, storage and analysis of samples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data quality, especially in the analysis of trace metals. The major procedures to obtain the accurate data of trace metals in natural waters are introduced for applying to the study and assessment of marine environments.

      • 상완골 간부에 발생한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 - 1례 보고-

        김경태,이송,김진학,지미경,박준성,박관영,Kim, Kyung-Tae,Lee, Song,Kim, Jin-Hak,Ji, Mi-Kyung,Park, Joon-Seong,Park, Kwan-You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2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은 발생 빈도가 드물고 재발 빈도가 높은 양성 골 병변으로 1983년 Nora등에 의해 처음으로 기술되었다. 처음에는 수족지골에만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으나 이후 장골과 두개골 및 상악골 등에서 발생한 예가 보고 되었으며 특히 장골에 발생한 경우 악성 종양과의 감별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14세 남자환자의 상완골 간부에 발생한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의 예로 단순 방사선 사진 상 상완골 간부에 비교적 광범위한 기저부를 가지면서 피질골에 붙어있는 약 $4{\times}3$ cm 크기의 원형의 석회화된 종물 소견을 보였으며, 조직학적으로 고밀도의 연골성 증식과 함께 거기서 성숙해나가는 망상골, 그리고 골소주 주변에서는 섬유성 기질이 관찰되었다.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은 비교적 드문 질환이나 재발이 흔하고 악성 병변과 혼동 될 수 있는 조직학적 특징을 나타내며 단순 절제술로 치료한다. 저자들은 장골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비교적 빠른 성장 속도를 가진 상완골 간부의 기괴 방골성 골연골성 증식증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Bizza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is a rare lesion, tends to frequently recur. It was first described in 1983, when Nora and his colleagues reported 35 examples of a proliferative lesion involving small bones of the hand and the feet. It was regarded as occurring only in the small bones of the hand and the feet initially, but from then on, other authors have been reported cases including those involving long bones, skull and maxilla. We experienced a case of bizza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which affects the humeral shaft in a 14-year-old male patient. Radiographs showed calcified mass measuring $4{\times}3$ cm in size and attached to the underlying cortex, which had a broad stalk base. Histologically, it showed hypercellular cartilage maturation to the trabecular bone and plump amount of fibrous stroma in the spaces around the bony trabeculae. Bizzare parosteal osteochondromatous proliferation is a relatively rare lesion, but has a recurrent behavior and histologically tends to be mistaken for malignancy. It can be treated by ex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